KR102157274B1 -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74B1
KR102157274B1 KR1020190067560A KR20190067560A KR102157274B1 KR 102157274 B1 KR102157274 B1 KR 102157274B1 KR 1020190067560 A KR1020190067560 A KR 1020190067560A KR 20190067560 A KR20190067560 A KR 20190067560A KR 102157274 B1 KR102157274 B1 KR 10215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ervical
support device
coupl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익수
Original Assignee
손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익수 filed Critical 손익수
Priority to KR102019006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시트에서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에 경추(목뼈)를 지지해줄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목 부분을 지지해주는 쿠션의 돌출 정도를 사용자의 체형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내측에 형성된 설치공간부에 경추지지장치가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개방된 부분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경추지지장치는; 헤드레스트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완만한 하향곡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의 형상을 따라 이동경로를 갖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동제어가 이루어지는 작동수단과, 상기 이동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작동수단의 제어에 따라 노출되는 부분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경추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cervical vertebrae support apparatus on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시트에서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에 경추(목뼈)를 지지해줄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목 부분을 지지해주는 쿠션의 돌출 정도를 사용자의 체형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또는 탑승객)의 체형 및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세밀하게 포지션을 조절해야 장시간 운전에도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특히,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eadrest)는 운전자의 머리를 받쳐주어 머리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충돌시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차단하여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운전자의 머리 뒷부분만을 지지해줄 뿐 목부분에 대한 지지효과는 거의 없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 목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목쿠션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운전자의 몸무게와 키를 비롯한 체형과, 두상, 경추구조, 시트의 각도, 운전자세 등의 요인에 따라 적합한 돌출정도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935205호(차량 시트 등받이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경추 지지장치)에는 착좌부, 등받이,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차량 시트 등받이에 경추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상단부 및 전단부 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주는 경추지지부재와, 상기 경추지지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경추지지부재를 전후방 이동되게 하는 전후방거리조절부와, 실린더의 작동으로 경추지지부재를 상하 이동되게 하는 상하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요구성에 해당하는 경추지지부재, 전후방거리조절부, 상하거리조절부의 구성이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등받이 내부를 비어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경우 등받이 자체의 쿠션효과를 떨어뜨리고, 등받이에 설치되는 열선기능 및 통풍기능을 위한 장치와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추지지부재가 등받이로부터 돌출되는 만큼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틈새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경추를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완만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진 목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야 하는데, 수평 또는 수직적으로 조절되는 경추 지지장치는 목 뒷부분에 정확히 밀착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경추지지장치를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설치하지 않고, 헤드레스트 부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시트 등받이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목을 지지해주는 쿠션부분이 수평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하부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며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목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내측에 형성된 설치공간부에 경추지지장치가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개방된 부분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경추지지장치는; 헤드레스트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완만한 하향곡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의 형상을 따라 이동경로를 갖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동제어가 이루어지는 작동수단과, 상기 이동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작동수단의 제어에 따라 노출되는 부분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경추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폭 방향 좌우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대가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대는; 한 쌍의 가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안내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쿠션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헤드레스트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수직으로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조절봉과, 상기 승강조절봉에 나사결합되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전방과 이동대의 후방에 양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이동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작동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조절봉은 " ㄷ"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설치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추지지장치를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설치하지 않고, 헤드레스트 부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간편하며, 시트 등받이에 설치된 열선기능 및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부분을 지지하는 경추쿠션이 수평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목 부분에 대하여 정확히 지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작동수단의 전동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돌출되도록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추쿠션이 헤드레스트 내측에서 일부만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추쿠션의 돌출정도와 관계없이 헤드레스트의 개방된 부분과 경추쿠션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탄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 및 이동대의 결합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경추쿠션이 헤드레스트 내측으로 최대한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추쿠션이 헤드레스트 외측으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10) 내측에 형성된 설치공간부(11)에 경추지지장치(100)가 설치되어 헤드레스트(10)의 전방에 개방된 부분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경추지지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완만한 하향곡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경로를 갖는 이동대(300)와, 상기 이동대(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00)의 경로를 따라 이동대(3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동제어가 이루어지는 작동수단(400)과, 상기 이동대(3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작동수단(400)의 제어에 따라 노출되는 부분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경추쿠션(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헤드레스트(10)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원호 형태의 하향곡선으로 형성되어, 이동대(300)와 결합된 경추쿠션(500)의 돌출안내가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한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동안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 좌우로 각각 설치되고, 이동대(300)가 한 쌍의 가이드부(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300)는 가이드부(200)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00)의 형상에 맞게 이동경로를 갖는 구성으로서, 자체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고 작동수단(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이동대(300)의 구성은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200)에 각각 결합되어 안내되는 이동블록(310)과, 상기 이동블록(310)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20)과, 상기 연결프레임(320)의 전방에 고정되는 쿠션브라켓(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블록(310)은 가이드부(200)에 직접 결합되어 안내되는 구성으로서, LM가이드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쿠션브라켓(330)은 쿠션의 뒷부분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작동수단(400)은 후방에 설치되어 이동대(300)가 가이드부(200)의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전동제어가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동대(300)를 후방으로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역할을 하되, 단순히 밀고당기는 구성이 아니라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작동수단(4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수직으로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조절봉(420)과, 상기 승강조절봉(420)에 나사결합되어 구동모터(4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블록(430)과, 상기 승강블록(430)의 전방과 이동대(300)의 후방에 양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이동대(3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작동링크(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조절봉(420)은 둘레에 숫나사 형태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블록(430)에는 암나사 형태로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된다. 그로 인해 구동모터(410)의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된 승강블록(430)이 승강조절봉(4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대(300)의 이동방향이 결정되며, 경추쿠션(500)이 헤드레스트(10) 내측으로 유입될 것인지 외부로 돌출시킬지를 결정하게 되며, 구동모터(410)의 회전정도에 따라 경추쿠션(500)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440)는 승강블록(430)과 이동대(3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회전가능한 형태로 링크결합되어 있다. 즉, 승강블록(430)의 위치(높이)에 따라 작동링크(440)가 밀어주거나 당기는 형태로 되되, 링크결합구조로 되어 있어서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추쿠션(500)이 헤드레스트(10) 내측으로 삽입되어, 헤드레스트(10) 전방으로 경추쿠션(500)이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경추쿠션(500)이 헤드레스트(10)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여 경추쿠션(500)이 헤드레스트(10)로부터 최대한 돌출되도록 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구동모터(4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경추쿠션(500)의 돌출 정도를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승강블록(43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부(200)에 이동대(3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경추쿠션(500)에 머리를 지지하여 뒤로 밀리지 않고 지탱해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410)는 헤드레스트(10) 내측에 직접 설치되는 것보다, " ㄷ "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설치지지대(450)에 모터와 승강조절봉(420)이 설치되도록 하여, 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드레스트(10)의 공간부는 쿠션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추지지장치(1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부분은 쿠션재로 채워지는 것이 좋다. 그러나 경추쿠션(500)이 헤드레스트(10) 내측에 위치할 때를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추쿠션(500)의 형태에 맞게 여유공간을 더 구비해야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헤드레스트 11 : 설치공간부
100 : 경추지지장치 200 : 가이드부
300 : 이동대 310 : 이동블록
320 : 연결프레임 330 : 쿠션브라켓
400 : 작동수단 410 : 구동모터
420 : 승강조절봉 430 : 승강블록
440 : 작동링크 450 : 설치지지대
500 : 경추쿠션

Claims (5)

  1. 헤드레스트(10) 내측에 형성된 설치공간부(11)에 경추지지장치(100)가 설치되어 헤드레스트(10)의 전방에 개방된 부분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경추지지장치(100)는;
    헤드레스트(10)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완만한 하향곡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00)의 형상을 따라 이동경로를 갖는 이동대(300)와,
    상기 이동대(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00)의 경로를 따라 이동대(3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전동제어가 이루어지는 작동수단(400)과,
    상기 이동대(3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작동수단(400)의 제어에 따라 노출되는 부분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경추쿠션(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폭 방향 좌우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대(300)가 한 쌍의 가이드부(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300)는;
    한 쌍의 가이드부(200)에 각각 결합되어 안내되는 이동블록(310)과, 상기 이동블록(310)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20)과, 상기 연결프레임(320)의 전방에 고정되는 쿠션브라켓(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0)은;
    헤드레스트(10)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수직으로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조절봉(420)과,
    상기 승강조절봉(420)에 나사결합되어 구동모터(4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블록(430)과,
    상기 승강블록(430)의 전방과 이동대(300)의 후방에 양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이동대(3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작동링크(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10)와 승강조절봉(420)은 " ㄷ"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설치지지대(45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1020190067560A 2019-06-07 2019-06-07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10215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60A KR102157274B1 (ko) 2019-06-07 2019-06-07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60A KR102157274B1 (ko) 2019-06-07 2019-06-07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74B1 true KR102157274B1 (ko) 2020-09-17

Family

ID=7270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560A KR102157274B1 (ko) 2019-06-07 2019-06-07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102362526B1 (ko) * 2020-10-26 2022-02-18 대원강업주식회사 넥 서포트형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230102904A (ko) * 2021-12-30 2023-07-07 대원강업주식회사 릴렉션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Y1 (ko) * 2005-08-09 2005-11-08 박경진 자동차용 의자의 상, 하 조절식 목 보호대장치
KR20150004994A (ko) * 2013-07-03 2015-01-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 장치
KR101806121B1 (ko) *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2B1 (ko) *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Y1 (ko) * 2005-08-09 2005-11-08 박경진 자동차용 의자의 상, 하 조절식 목 보호대장치
KR20150004994A (ko) * 2013-07-03 2015-01-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목 받침 장치
KR101806121B1 (ko) *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1806122B1 (ko) * 2016-07-19 2017-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526B1 (ko) * 2020-10-26 2022-02-18 대원강업주식회사 넥 서포트형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2258994B1 (ko) * 2021-01-05 2021-06-01 (주)훠링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20230102904A (ko) * 2021-12-30 2023-07-07 대원강업주식회사 릴렉션 헤드레스트
KR102576299B1 (ko) 2021-12-30 2023-09-07 대원강업주식회사 릴렉션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274B1 (ko)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101672718B1 (ko) 4-방향 럼버 서포트
US9517708B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1585850B1 (ko)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US7086700B2 (en) Automobile seat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KR101601535B1 (ko) 헤드레스트 장치
US10688898B2 (en) Position-adjustable cervical vertebrae support apparatus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back of vehicle seat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US9987955B2 (en) Motor vehicle seat
KR101712802B1 (ko) 차량 시트를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시트 조절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03419683A (zh) 用于调节车辆座椅的座椅部件的至少一个部段的调节设备
JP2015515946A5 (ko)
US10640023B2 (en) System and method of a thigh support and a seat for a vehicle
JP4438556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長可変の車両用シート
CN210416307U (zh) 座椅抬升机构、座椅以及车辆
KR101945797B1 (ko) 파워 헤드레스팅 장치
US108506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at
KR101470182B1 (ko)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2362526B1 (ko) 넥 서포트형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220050443A (ko) 전방 틸팅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KR101784153B1 (ko)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20180134007A (ko) 4-way 럼버 서포트
CN218558660U (zh) 座椅头枕结构和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