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71Y1 -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 Google Patents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71Y1
KR200483371Y1 KR2020150007334U KR20150007334U KR200483371Y1 KR 200483371 Y1 KR200483371 Y1 KR 200483371Y1 KR 2020150007334 U KR2020150007334 U KR 2020150007334U KR 20150007334 U KR20150007334 U KR 20150007334U KR 200483371 Y1 KR200483371 Y1 KR 200483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ellular phone
side support
support portion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민
Original Assignee
최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민 filed Critical 최태민
Priority to KR2020150007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휴대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세트;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지지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위에 덮여져 상기 오목부와 체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덮개부재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단에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부로 이동될수록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부피 축소가 가능하고, 휴대폰을 카세트에 보유하여 헤드셋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휴대폰의 장착이 용이하고, 열 배출이 원활한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cassette for holding cell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하, VR)은 시간이나 공간을 멀리해 존재하는 가상의 세계를 컴퓨터로 유사적으로 만들어 내고, 영상 표시 장치 등을 통해서 그 가상의 세계를 체험시키고, 그것을 신체의 움직임 등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나 로봇의 원격 조작 등을 시작으로 하여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게임의 세계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 체험을 위한 장치는 매우 고가여서 범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별도의 가상 현실 헤드셋을 통해 간단하게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기술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보는 형태가 된다. 가상 현실 헤드셋의 예로는 오큘러스 리프트, 기어 VR, G3 VR 등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로 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최소한의 이격 거리가 필요하여,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로 인해 기존의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는 잘 들어가지 않아서, 이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손에 들고 다니거나 별도의 가방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공간이 있지만, 스마트폰을 헤드셋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또는 헤드셋을 이동하는 중에 스마트폰이 헤드셋으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사용 중에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서, 헤드셋 내부의 공기가 쉽게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장착되는 스마트폰의 규격이 정해져 있어,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은 사용할 수 없는 등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53308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부피 축소가 가능하고, 휴대폰을 헤드셋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휴대폰의 장착이 용이하고, 열 배출이 우수한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휴대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세트;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지지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위에 덮여져 상기 오목부와 체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덮개부재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단에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부로 이동될수록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각각의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탄성 바아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 바아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바아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하단 측방 지지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측단 측방 지지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돌기를 갖는 제1 래치부 및 제2 래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수납 공간에 형성되는 결합 홈과 정합되어, 상기 카세트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측방 지지부는 상기 측단 측방 지지부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래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래치부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의 덮으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접속 개구와 정합되어, 상기 카세트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피 축소가 가능하고, 휴대폰을 카세트에 보유하여 헤드셋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휴대폰의 장착이 용이하고, 열 배출이 원활한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조절부재가 위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덮개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덮개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휴대폰(스마트폰)의 앱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전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폰(10)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좋게 하고, 휴대폰(10)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눈의 형태에 따라 초점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외부 케이스(120), 내부 본체(130, 140, 150, 160), 쿠션부(170), 보조 케이스(180), 피니언(126), 이동 손잡이(127) 등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20)는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외부를 덮는 케이스로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수납 공간에는 휴대폰(10)을 수납하는 카세트(110)가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카세트(110)와 결합되는 수납 공간은 전방 차단부(123)와 벽부(12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된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120)의 상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20)의 양 측부에는 피니언(126)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포함하고, 수형 가이드부(121, 122)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내부본체(130), 제2 내부본체(16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및 조절부(149)를 포함한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암형 가이드부(161, 162)와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정합된 상태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휴대폰(10)에 가까이 가는 방향을 말하고, 후방은 휴대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20)에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암형 가이드부(161, 16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반대로 외부 케이스(120)에 암형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 대신에 레일을 따라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통해 휴대폰(1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볼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방은 사용자의 이마 등이 닿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쿠션부(17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고 착용감을 좋게 한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20)에는 후방 차단부(183)를 갖는 보조 케이스(180)가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특정 부분이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면서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면서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를 덮도록 하여, 보조 케이스(180)와 외부 케이스(12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에는 외부 케이스(120)의 개구(125)와 연통되는 개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양측 단부에는 랙(rack)(134)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랙(134)에는 피니언(pinion)(126)이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126)은 랙(134)과 치결합하고, 피니언(126)의 단부는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125)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손잡이(127)는 피니언의 단부와 결합되고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손잡이(127)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랙(134)과 피니언(126)의 치결합에 의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내부본체(13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제2 내부본체(160) 및 조절부(149)가 조립되어 하나의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의 양 측부에는 랙(134)이 형성된다. 제2 내부본체(160)는 제1 내부본체(1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제2 내부본체(1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는 결합하면서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의 수납 공간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각각 수납된다. 그에 따라,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구(133, 163)가 형성된다.
제1 렌즈 조립체(140)는 전방 커버(143), 후방 커버(141), 제1 렌즈부(또는 렌즈부)(142) 및 조절 기어(144)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는 제1 렌즈부(142)를 수납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조절 기어(144)는 제1 렌즈부(142)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하고, 이러한 조절 기어(1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렌즈부(142)는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눈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커버(14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밑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톱니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조립체(150)는 전방 커버(153), 후방 커버(151), 제2 렌즈부(또는 렌즈부)(152) 및 조절 기어(154)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53)와 후방 커버(151)는 제2 렌즈부(152)를 수납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조절 기어(154)는 제2 렌즈부(152)의 기어와 치결합하고, 이러한 조절 기어(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렌즈부(152)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눈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커버(15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윗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2 톱니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절 기어(144, 154)는 약간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부(149)는 제1 렌즈 조립체(140)의 제1 톱니부(141a) 및 제2 렌즈 조립체(150)의 제2 톱니부(151a)와 치결합되어, 제1 렌즈부(142)와 제2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다른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의 반대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는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어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외부 케이스(120)의 전방 차단부(123)에 접촉되어 전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외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1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볼 때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 손잡이(127)를 돌려 휴대폰(10)과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를 통해 휴대폰(10)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렌즈에 맞는 적절한 초점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10)과 제1 렌즈부(142) 및 제2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상당한 범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적합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렌즈를 다른 렌즈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초점 거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서 호환성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를 개별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노브(149b)를 회전시키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부(142, 15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을 다 본 후에는, 이동 손잡이(127)를 반대로 돌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삽입 위치에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되어 휴대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을 수납하기 위한 카세트(1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조절부재가 위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덮개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카세트(110)는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은 전방 차단부(123)와 벽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되고, 카세트(110)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카세트(110)는 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장착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카세트(110)는 전방 지지부(111), 측방지지부(112, 113, 114, 115),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 제1 및 제2 래치부(113b, 114b)를 포함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전방 지지부(111)는 휴대폰(10)의 후면을 지지하고, 평면부(111a), 오목부(111b), 조절부재(111c) 및 덮개부재(111d)를 포함한다. 조절부재(111c)는 오목부(111b)와 덮개부재(111d)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력에 의해 휴대폰(10)의 상부 측면을 가압하여 휴대폰(10)을 카세트(110)에 보유 및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평면부(111a)는 편평하게 형성되고, 평면부(111a)의 일부는 개방되어 개구(111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11e)를 통해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개구(111e)에 대응하여 외부 케이스(120)의 전면이 개방되어, 휴대폰(10)의 후면은 개구(111e) 및 외부 케이스(120)를 통해 외기에 완전히 노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얼굴, 특히 눈 쪽에서 먼 곳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오목부(111b)는 평면부(111a)의 중앙에 평면부(111a) 보다 오목하게 형성된다. 오목부(111b)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돌기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111b')는 종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111c)는 오목부(111b)에 삽입된다. 조절부재(111c)는 상단에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압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11c)는 각각의 돌기부(111b')에 대응되는 탄성 바아(111c')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바아(111c')는 조절부재(111c)의 측부에서 가운데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바아(111c')가 돌기부(111b')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부(111c")를 위로 들어올려 조절부재(111c)가 상부로 이동되면, 탄성 바아(111c')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11c")는 상부로 이동될수록 탄성 바아(111c')의 변형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가압부(111c")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c"')는 휴대폰(10)이 카세트(110)에 보유된 상태에서 휴대폰(10)의 상면을 소정 길이만큼 덮어 휴대폰(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부재(111c)는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11c)의 하부에 탄성부재(118)가 연결되고, 가압부(111c")를 위로 들어올려 조절부재(111c)가 상부로 이동되면, 탄성부재(118)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11c")는 상부로 이동될수록 탄성부재(118)의 변형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덮개부재(111d)는 조절부재(111c) 위에 덮여져 오목부(111b)와 체결부재(111f)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덮개부재(111d)의 상단에는 개방된 부분(111d')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111d)가 오목부(111b)와 체결된 상태에서는, 조절부재(111c)의 가압부(111c")만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압부(111c")를 잡고 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측방지지부(112, 113, 114, 115)는 전방 지지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폰(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단 측방 지지부(112),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 및 하단 측방 지지부(115)를 포함한다.
상단 측방 지지부(112)에는 다수의 방열 개구(112a)가 형성되어,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 개구(112a)를 통해 사용자의 눈 쪽에서 먼 곳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는 카세트(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휴대폰(10)의 측면을 지지한다. 좌측의 측단 측방 지지부(113)에는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113a)가 형성된다. 우측의 측단 측방 지지부(114)에도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도시 안됨)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113a)는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면서, 충전용 잭이나 이어폰 등이 개구(113a)를 통해 휴대폰(10)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한다. 외부 케이스(120)에는 접속 개구(128)가 복수 개 형성되어, 충전용 잭이나 이어폰 등이 접속 개구(128) 및 개구(113a)를 통해 휴대폰(10)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래치부(113b) 및 제2 래치부(114b)는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돌기(113b', 114b')를 가질 수 있다. 제1 래치부(113b) 및 제2 래치부(114b)는 탄성을 가져서, 안쪽으로 약간 이동될 수 있다.
카세트(110)가 위에서 아래로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양쪽의 결합돌기(113b', 114b')는 외부 케이스(120)에 접촉되어 안쪽으로 힘을 받다가, 외부 케이스(120)의 결합 홈(129)이 있는 부분에서 힘이 해제되면서 결합 홈(129)과 정합될 수 있다. 카세트(110)가 외부 케이스(120)에서 분리될 때는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래치부(113b) 및 제2 래치부(114b)가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카세트(110)는 외부 케이스(12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단 측방 지지부(115)는 각각의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에서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가운데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가운데 부분은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하단 측방 지지부(115)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외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아래로 이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귀한다. 하단 측방 지지부(115)가 수평보다 하향으로 연장되므로,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하단 측방 지지부(115)의 전체 폭[하단 측방 지지부(115)가 전방 지지부(111)로부터 돌출되는 거리]에 걸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비교적 넓은 폭의 판 스프링 형태가 되어, 휴대폰(10)의 측면 전체를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하단 측방 지지부(115)의 양측 단부에서 중앙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카세트(110)에 휴대폰(10)이 보유된 상태에서 휴대폰(10)의 전면을 소정 영역만큼 덮어서 지지하는 돌기부(116a, 117a)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116a, 117a)는 휴대폰(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의 단부에서 후방[전방 지지부(111)의 반대편 방향) 끝에 치우쳐 형성된다. 돌기부(116a, 117a)의 크기는 휴대폰(10)의 전면을 약간 걸치는 정도로 덮을 수 있으면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카세트(110)에 휴대폰(10)이 보유된 상태에서, 가압부(111c")는 휴대폰(10)의 중앙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휴대폰(10)의 양쪽 끝부분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휴대폰(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11c")와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는 탄성적으로 작용하면서 후퇴할 수 있는 공간적 여유를 확보하고 있어, 큰 휴대폰(10)에서부터 작은 휴대폰(10)까지 카세트(110)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보유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서, 측방 지지부(112, 113, 114, 11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들어올 수 있는 휴대폰(10)은 카세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11c")와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의 탄성력의 조절에 의해, 장착되는 휴대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휴대폰(10)의 화면과 카세트(110)의 상하방향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에는 각각 휴대폰(10)의 전면을 덮어 지지하는 돌기부(116a, 117a)가 형성되어 있어, 보관 중이나 이동 중, 또는 카세트(110)를 외부 케이스(120)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휴대폰(10)이 카세트(110)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조절부재(111c)의 가압부(111c")는 휴대폰(10)의 가운데 부분을 가압하여 지지하고, 제1 탄성부(116) 및 제2 탄성부(117)는 휴대폰(10)의 끝 부분을 가압하여 지지하므로, 휴대폰(10)의 전체 부분이 가압부(111c")와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에 의해 카세트(110)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11c")가 휴대폰(10)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가 휴대폰(1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지만, 가압부(111c")와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외부 케이스(1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세트(110) 및 이러한 카세트(110)가 갖는 구성에 의해 휴대폰(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휴대폰의 장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하고,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을 수납하기 위한 카세트(1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조절부재가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서 덮개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카세트(210)는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은 전방 차단부(123)와 벽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되고, 카세트(210)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 케이스(120)의 수납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카세트(210)는 전방 지지부(211), 측방지지부(212, 213, 214, 215) 및 결합 래치부(2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카세트(210)는 제1 실시예의 카세트(110)보다 큰 크기의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방 지지부(211)는 휴대폰(10)의 후면을 지지하고, 평면부(211a), 오목부(211b), 조절부재(211c) 및 덮개부재(211d)를 포함한다. 평면부(211a), 오목부(211b), 조절부재(211c) 및 덮개부재(211d)는 제1 실시예의 평면부(111a), 오목부(111b), 조절부재(111c) 및 덮개부재(111d)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방지지부(212, 213, 214, 215)는 전방 지지부(211)와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폰(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단 측방 지지부(212), 측단 측방 지지부(213, 214) 및 하단 측방 지지부(215)를 포함한다.
상단 측방 지지부(212)에는 다수의 방열 개구(212a)가 형성되어,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 개구(212a)를 통해 사용자의 눈 쪽에서 먼 곳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단 측방 지지부(212)는 측단 측방 지지부(213, 214)를 지나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결합 래치부(216)를 포함한다. 결합 래치부(216)는 내측에 결합돌기(216a)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래치부(216)의 결합돌기(216a)는 카세트(210)가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을 덮으면서 외부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접속 개구(128)와 정합되어 카세트(210)를 외부 케이스(120)에 고정한다.
측단 측방 지지부(213, 214)는 카세트(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휴대폰(10)의 측면을 지지한다. 좌측의 측단 측방 지지부(213)에는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213a)가 형성된다. 우측의 측단 측방 지지부(214)에도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도시 안됨)가 형성된다.
하단 측방 지지부(215)는 각각의 측단 측방 지지부(213, 214)에서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가운데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가운데 부분은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카세트(210)에 휴대폰(10)이 보유된 상태에서, 가압부(211c")는 휴대폰(10)의 중앙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휴대폰(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래치부(113b) 및 제2 래치부(114b)가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에 형성되므로, 측단 측방 지지부(113, 114)의 일정 부분이 제1 래치부(113b) 및 제2 래치부(114b)이 차지하고 있어, 휴대폰(1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래치부(216)가 측단 측방지지부(213, 214)를 지나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측방 지지부(212, 213, 214, 21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제1 실시예보다 훨씬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큰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의 제1 및 제2 탄성부(116, 117)를 생략하였다.
이러한 카세트(210)의 구성에 의해, 상단 측방 지지부(212), 측단 측방 지지부(213, 214) 및 하단 측방 지지부(21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최대로 될 수 있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휴대폰(10)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200)은 외부 케이스(1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세트(210) 및 이러한 카세트(210)가 갖는 구성에 의해 휴대폰(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간 적용에 의해 최대 크기를 갖는 휴대폰(10)의 장착이 가능하고,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가상 현실 헤드셋
110 : 카세트
111 : 전방 지지부
111a : 평면부
111b : 오목부
111c : 조절부재
111c' : 탄성 바아
111c" : 가압부
111d : 덮개부재
111e : 개구
112, 113, 114, 115 : 측방 지지부
112a : 방열 개구
113b : 제1 래치부
113b' : 결합돌기
114b : 제2 래치부
114b' : 결합돌기
116 : 제1 탄성부
117 : 제2 탄성부
116a, 117a : 돌기부
120 : 외부 케이스
121, 122 : 수형 가이드부
123 : 전방 차단부
124 : 벽부
125 : 개구
126 : 피니언
127 : 이동 손잡이
128 : 접속 개구
129 : 결합 홈
130 : 제1 내부본체
135 : 렉
140 : 제1 렌즈 조립체
142 : 제1 렌즈부
144 : 조절 기어
149 : 조절부
150 : 제2 렌즈 조립체
152 : 제2 렌즈부
154 : 조절 기어
160 : 제2 내부본체
161 , 162 : 암형 가이드부
170 : 쿠션부
180 : 보조 케이스
183 : 후방 차단부

Claims (6)

  1. 가상 현실 헤드셋에 있어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휴대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카세트;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지지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위에 덮여져 상기 오목부와 체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덮개부재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단에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부로 이동될수록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고,
    상기 오목부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각각의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탄성 바아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 바아가 상기 돌기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바아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되는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하단 측방 지지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측단 측방 지지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돌기를 갖는 제1 래치부 및 제2 래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수납 공간에 형성되는 결합 홈과 정합되어, 상기 카세트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하는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단 측방 지지부, 측단 측방 지지부 및 하단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측방 지지부는 상기 측단 측방 지지부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래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래치부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수납 공간 내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의 덮으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접속 개구와 정합되어, 상기 카세트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하는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20150007334U 2015-11-12 2015-11-12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0483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34U KR200483371Y1 (ko) 2015-11-12 2015-11-12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34U KR200483371Y1 (ko) 2015-11-12 2015-11-12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71Y1 true KR200483371Y1 (ko) 2017-05-08

Family

ID=5871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334U KR200483371Y1 (ko) 2015-11-12 2015-11-12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0368A (zh) * 2017-08-31 2017-11-24 中山诺顿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vr眼镜
KR102690772B1 (ko) * 2019-03-08 202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204101824U (zh) * 2014-09-05 2015-01-14 珠海真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移动终端上观看左右格式片源的3d立体眼镜
CN204439946U (zh) * 2015-03-13 2015-07-01 深圳市谦辰国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横纵双向调节可拆卸镜片及手机夹的3d眼镜
KR101533085B1 (ko)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204101824U (zh) * 2014-09-05 2015-01-14 珠海真幻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移动终端上观看左右格式片源的3d立体眼镜
KR101533085B1 (ko) 2014-12-01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CN204439946U (zh) * 2015-03-13 2015-07-01 深圳市谦辰国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横纵双向调节可拆卸镜片及手机夹的3d眼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0368A (zh) * 2017-08-31 2017-11-24 中山诺顿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vr眼镜
KR102690772B1 (ko) * 2019-03-08 202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011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US20160370690A1 (en) Multi-lens optical attachment for mobile devices
CN103957349B (zh) 成像装置
JP5932301B2 (ja) カメラ用ケース
TWI482489B (zh) 成像裝置
US20170318281A1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US1047709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3216611U (ja) クランプ装置
KR200483039Y1 (ko)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0483371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2136952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JP2019505048A (ja) スマートフォン、キーボード、タブレットを全て合体して備え画像をキャプチャできる個人用情報端末
CN108965672A (zh) 辅助摄像装置及其制造方法
CN114415373A (zh) 头戴式设备
KR1017653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180041816A (ko)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0483040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US20180192177A1 (en) Extended reality headsets including removable ear cups and related structures
CN201499218U (zh) 电子设备内置摄像头结构
KR20170001130U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