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39Y1 -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Google Patents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039Y1 KR200483039Y1 KR2020150006285U KR20150006285U KR200483039Y1 KR 200483039 Y1 KR200483039 Y1 KR 200483039Y1 KR 2020150006285 U KR2020150006285 U KR 2020150006285U KR 20150006285 U KR20150006285 U KR 20150006285U KR 200483039 Y1 KR200483039 Y1 KR 2004830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lens assembly
- rear cover
- virtual reality
- tee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각각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결합되는 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원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기 톱니와 치결합되는 조절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커버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톱니는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호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는 상기 호형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기어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산 형상부와 상기 골 형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부 전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부 본체를 외부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초점 조절이 용이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부 본체를 외부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초점 조절이 용이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하, VR)은 시간이나 공간을 멀리해 존재하는 가상의 세계를 컴퓨터로 유사적으로 만들어 내고, 영상 표시 장치 등을 통해서 그 가상의 세계를 체험시키고, 그것을 신체의 움직임 등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나 로봇의 원격 조작 등을 시작으로 하여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게임의 세계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 체험을 위한 장치는 매우 고가여서 범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별도의 가상 현실 헤드셋을 통해 간단하게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기술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보는 형태가 된다. 가상 현실 헤드셋의 예로는 오큘러스 리프트, 기어 VR, G3 VR 등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로 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최소한의 이격 거리가 필요하여,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부피로 인해 기존의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는 잘 들어가지 않아서, 이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손에 들고 다니거나 별도의 가방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의 눈에 따라 화면과 렌즈 사이의 적절한 초점 거리가 달라지는데, 종래의 가상 현실 헤드셋은 스마트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한적이어서 사람에 따라서는 초점 조절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부피 축소가 가능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이 뛰어나고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각각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결합되는 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원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기 톱니와 치결합되는 조절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커버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톱니는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호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는 상기 호형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기어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산 형상부와 상기 골 형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부 전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커버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골 형상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상기 골 형상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사이에는 물결 모양의 연속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의 상기 후방 커버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하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조립체의 상기 후방 커버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2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제1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와 동시에 치결합되는 간격 조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와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가까워지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와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멀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은,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각각 원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상기 톱니와 치결합되는 조절 기어와,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톱니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절 기어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산 형상부와 상기 골 형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부 전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본체를 외부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상 현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내부본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렌즈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내부본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렌즈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내부본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에서 내부 본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전방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에서 렌즈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휴대폰(스마트폰)의 앱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전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있으며, 후방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2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좋게 하고, 휴대폰과 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눈의 형태에 따라 초점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외부 케이스(120), 내부 본체(130, 140, 150, 160), 쿠션부(170), 보조 케이스(180), 피니언(126), 이동 손잡이(127) 등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20)는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외부를 덮는 케이스로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수납 공간에는 휴대폰(10)을 수납하는 수납부(110)가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110)와 결합되는 수납 공간은 전방 차단부(123)와 벽부(12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수납부(110)의 전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영상을 보는 동안에 휴대폰(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된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120)의 상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 2개의 수형 가이드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20)의 양 측부에는 피니언(126)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포함하고, 수형 가이드부(121, 122)에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제1 내부본체(130), 제2 내부본체(16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및 간격 조절부(149)를 포함한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암형 가이드부(161, 162)와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정합된 상태에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휴대폰(10)에 가까이 가는 방향을 말하고, 후방은 휴대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외부 케이스(120)에 수형 가이드부(121, 122)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암형 가이드부(161, 16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반대로 외부 케이스(120)에 암형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수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 대신에 레일을 따라서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를 통해 휴대폰(1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볼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전방은 사용자의 이마 등이 닿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쿠션부(17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고 착용감을 좋게 한다. 쿠션부(170)에는 복수의 돌기부(171)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부(171)를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형성된 개구(164)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쿠션부(170)가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에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20)에는 후방 차단부(183)를 갖는 보조 케이스(180)가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특정 부분이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면서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면서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를 덮도록 하여, 보조 케이스(180)와 외부 케이스(12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보조 케이스(180)의 측부에는 외부 케이스(120)의 개구(125)와 연통되는 개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케이스(180)에는 외부 케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양측 단부에는 랙(rack)(134)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의 랙(134)에는 피니언(pinion)(126)이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126)은 랙(134)과 치결합하고, 피니언(126)의 단부는 외부 케이스(120)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125)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손잡이(127)는 피니언의 단부와 결합되고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손잡이(127)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랙(134)과 피니언(126)의 치결합에 의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수형 가이드부(121, 122)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부본체(130), 제1 렌즈 조립체(140), 제2 렌즈 조립체(150), 제2 내부본체(160) 및 간격 조절부(149)가 조립되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구성한다.
제1 내부본체(130)의 양 측부에는 랙(134)이 형성된다. 제2 내부본체(160)는 제1 내부본체(1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외부 케이스(120)의 수형 가이드부(121, 122)와 정합되는 암형 가이드부(161, 162)는 제2 내부본체(1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에서, 암형 가이드부(161, 16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구(131,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본체(130)에서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개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본체(160)에는 제1 내부본체(130)의 개구(136)에 대응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코 형상으로 돌출되는 코 형상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는 결합하면서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의 수납 공간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각각 수납된다. 그에 따라,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에는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개구(133, 163)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 케이스(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손잡이(127)를 사용자의 반대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의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는 보조 케이스(180)의 후방 차단부(183)에 접촉되어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외부 케이스(120)의 전방 차단부(123)에 접촉되어 전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는 외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1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볼 때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 손잡이(127)를 돌려 휴대폰(10)과 제1 및 제2 렌즈 조립체(140, 1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제1 및 제2 렌즈 조립체(140, 150)를 통해 휴대폰(10)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렌즈에 맞는 적절한 초점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10)과 제1 및 제2 렌즈 조립체(140, 15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상당한 범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적합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렌즈를 다른 렌즈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초점 거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서 호환성이 뛰어나게 된다.
보조 케이스(180)에는 후방 차단부(183)와 연속되고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는 반원형 돌출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반원형 돌출부(184)는 제2 내부본체(160)의 코 형상부(165)의 하부와 연속되는 형태로 코 형상부(165)의 하부를 막아서, 사용자의 눈 쪽으로 들어오는 광을 최소화하여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원형 돌출부(184)는 코 형상부(165)의 하부를 막아서 코 형상부(165)의 하부의 비교적 날카로운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영상을 다 본 후에는, 이동 손잡이(127)를 반대로 돌려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삽입 위치에 있도록 하여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가상 현실 헤드셋(100)의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가상 현실 헤드셋(100)은 핸드백이나 작은 가방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되어 휴대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렌즈 이동이 가능한 본 고안의 제1 렌즈 조립체(140) 및 제2 렌즈 조립체(15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제1 렌즈 조립체(140)는 전방 커버(143), 이러한 전방 커버(143)와 결합되는 후방 커버(141),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 사이에 위치되고 원주를 따라 톱니(142d)가 형성되는 렌즈부(142), 이러한 렌즈부(142)의 톱니(142d)와 치결합되는 조절 기어(144)를 포함한다. 제2 렌즈 조립체(150)는 전방 커버(153), 후방 커버(151), 렌즈부(152) 및 조절 기어(154)를 포함한다. 제2 렌즈 조립체(150)는 제1 렌즈 조립체(140)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형상만 대칭이고 구성은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렌즈 조립체(14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는 설명을 위해 서로 혼용될 수 있다.
후방 커버(141)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141b')와, 이러한 산 형상부(141b') 사이의 골 형상부(14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커버(141)에는 3개의 산 형상부(141b')와 3개의 골 형상부(141b")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산 형상부(141b')와 골 형상부(141b")는 각각 120°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각각의 산 형상부(141b')와 골 형상부(141b")는 서로 연결된다.
또한, 후방 커버(141)는 짧은 길이로 돌출되는 단축부(141c)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축부(141c)에는 조절 기어(144)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141)는 전방 커버(143)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4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41d)에는 홈이 형성되어, 전방 커버(143)의 돌기부(143d)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방 커버(143)와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커버(143)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143b')와, 이러한 산 형상부(143b') 사이의 골 형상부(143b")를 포함한다. 전방 커버(143)에는 3개의 산 형상부(143b')와 3개의 골 형상부(143b")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산 형상부(143b')와 골 형상부(143b")는 각각 120°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각각의 산 형상부(143b')와 골 형상부(143b")는 서로 연결된다.
전방 커버(143)의 산 형상부(143b')는 후방 커버(141)의 골 형상부(141b")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전방 커버(143)의 골 형상부(143b")는 후방 커버(141)의 산 형상부(141b')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 사이에는 물결 모양의 연속되는 통로(145)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커버(143)에서 후방 커버(141)의 단축부(141c) 및 조절 기어(144)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구(143c)가 형성된다.
렌즈부(142)는 렌즈(142a)와, 이러한 렌즈(142a)로부터 이격되는 링 형상의 톱니(142d)와, 렌즈(142a)와 톱니(142d)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42c)를 포함한다. 연결부(142c)는 산 형상부(141b') 및 골 형상부(141b")와 동일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142c)가 산 형상부(141b') 및 골 형상부(141b")를 따라 이동할 때, 렌즈부(142)를 전후방으로 전체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42c)는 120°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인접하는 연결부(142c)들 사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호형 개구(142e)가 형성된다.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는 렌즈부(142)를 수납한 상태에서 결합된다. 이때, 후방 커버(141)의 산 형상부(141b')는 호형 개구(142e)에 삽입된다. 조절 기어(144)는 단축부(141c)에 끼워져, 톱니(142d)와 치결합하게 된다.
조절 기어(144)를 회전하면, 톱니(142d)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연결부(142c)가 산 형상부(141b') 및 골 형상부(141b")를 따라 이동하면서 렌즈부(142) 전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는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145)를 따라 이동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연결부(142c)가 골 형상부(141b")에 있을 때는, 후방 커버(141) 측에 가까이 있게 되고, 연결부(142c)가 산 형상부(141b')에 있을 때는, 전방 커버(143) 측에 가까이 있게 된다. 3개의 산 형상부(141b')와 골 형상부(141b")가 형성되므로, 연결부(142c)가 1회전하는 동안 3회의 전후방 이동이 진행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조절 기어(144)를 회전하면서 렌즈부(142)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렌즈(142a)의 초점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산 형상부(141b')의 높이에 따라, 렌즈부(142)가 이동하는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렌즈 조립체(140)의 후방 커버(14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하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톱니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조립체(150)의 후방 커버(151)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하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2 톱니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절 기어(144, 154)는 약간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부(142, 15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간격 조절부(149)는 제1 렌즈 조립체(140)의 제1 톱니부(141a) 및 제2 렌즈 조립체(150)의 제2 톱니부(151a)와 동시에 치결합되어, 렌즈부(142)와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다른 다양한 사용자의 눈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간격 조절부(149)는 제1 톱니부(141a) 및 제2 톱니부(151a)와 치결합하는 조절 치형부(149a)와, 이러한 조절 치형부(149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이동 노브(149b)를 포함한다.
제1 렌즈 조립체(140)와 제2 렌즈 조립체(150)가 제1 내부본체(130)와 제2 내부본체(160)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 노브(149b)는 약간 위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이동 노브(149b)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부(142)와 렌즈부(15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노브(149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부(142)와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동 노브(149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부(142)와 렌즈부(15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상 현실 헤드셋(100)에 따르면, 이동 손잡이(127)를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본체(130, 140, 150, 160)를 외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휴대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조절 기어(144, 154)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렌즈부(142, 152)를 개별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근시나 원시 등 사용자의 눈에 맞게 초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내부 본체(130, 140, 150, 160)가 외부 케이스(120)에 대해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여,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 노브(149b)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양쪽의 렌즈부(142, 15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다른 사용자의 눈에 렌즈부(142, 152)를 맞출 수 있다.
상기에서 렌즈부(142)의 전후방 이동에 대해 특정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조절 기어(144)를 회전함에 따라, 톱니(142d)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142c)가 산 형상부(141b')와 골 형상부(141b")를 따라 이동하면서 렌즈부(142) 전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전방 커버(143)와 후방 커버(141) 사이의 구성의 차용 또는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고,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가상 현실 헤드셋 110 : 수납부
120 : 외부 케이스 121, 122 : 수형 가이드부
123 : 전방 차단부 124 : 벽부
125 : 개구 126 : 피니언
127 : 이동 손잡이 130 : 제1 내부본체
135 : 렉 140 : 제1 렌즈 조립체
141: 후방 커버 141a : 제1 톱니부
141b' : 산 형상부 141b" : 골 형상부
141c : 단축부 142 : 렌즈부
142a : 렌즈 142b : 렌즈 거치부
142c : 연결부 142d : 톱니
142e : 호형 개구 143 : 전방 커버
143b' : 산 형상부 143b" : 골 형상부
144 : 조절 기어 145 : 통로
149 : 간격 조절부 149a : 조절 치형부
149b : 이동 노브 150 : 제2 렌즈 조립체
151 : 후방 커버 151a : 제2 톱니부
152 : 렌즈부 153 : 전방 커버
154 : 조절 기어 160 : 제2 내부본체
161 , 162 : 암형 가이드부 170 : 쿠션부
180 : 보조 케이스 183 : 후방 차단부
120 : 외부 케이스 121, 122 : 수형 가이드부
123 : 전방 차단부 124 : 벽부
125 : 개구 126 : 피니언
127 : 이동 손잡이 130 : 제1 내부본체
135 : 렉 140 : 제1 렌즈 조립체
141: 후방 커버 141a : 제1 톱니부
141b' : 산 형상부 141b" : 골 형상부
141c : 단축부 142 : 렌즈부
142a : 렌즈 142b : 렌즈 거치부
142c : 연결부 142d : 톱니
142e : 호형 개구 143 : 전방 커버
143b' : 산 형상부 143b" : 골 형상부
144 : 조절 기어 145 : 통로
149 : 간격 조절부 149a : 조절 치형부
149b : 이동 노브 150 : 제2 렌즈 조립체
151 : 후방 커버 151a : 제2 톱니부
152 : 렌즈부 153 : 전방 커버
154 : 조절 기어 160 : 제2 내부본체
161 , 162 : 암형 가이드부 170 : 쿠션부
180 : 보조 케이스 183 : 후방 차단부
Claims (4)
- 가상 현실 헤드셋에 있어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1 렌즈 조립체 및 제2 렌즈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각각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결합되는 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원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기 톱니와 치결합되는 조절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커버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산 형상부와, 상기 산 형상부 사이의 골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톱니는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호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골 형상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상기 골 형상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사이에는 물결 모양의 연속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산 형상부는 상기 호형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기어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의 상기 후방 커버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하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조립체의 상기 후방 커버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2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헤드셋은,
상기 제1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와 동시에 치결합되는 간격 조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와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가까워지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렌즈 조립체와 상기 제2 렌즈 조립체는 멀어지는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6285U KR200483039Y1 (ko) | 2015-09-22 | 2015-09-22 |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CN201620662452.0U CN205862010U (zh) | 2015-09-22 | 2016-06-28 | 镜头能够移动的虚拟现实头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6285U KR200483039Y1 (ko) | 2015-09-22 | 2015-09-22 |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039Y1 true KR200483039Y1 (ko) | 2017-03-28 |
Family
ID=5764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6285U KR200483039Y1 (ko) | 2015-09-22 | 2015-09-22 |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039Y1 (ko) |
CN (1) | CN205862010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59991A (zh) * | 2018-08-31 | 2019-01-25 | 深圳市智聪科技发展有限公司 | 光学训练仪 |
KR20220000887U (ko) * | 2020-10-16 | 2022-04-25 | 민상규 |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
WO2022260272A1 (ko) * | 2021-06-09 | 2022-12-15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4034867A1 (ko) * | 2022-08-11 | 2024-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43588B (zh) * | 2018-10-26 | 2023-09-22 | 歌尔科技有限公司 | 一种头戴显示设备及其焦距调节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007B1 (ko)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
CN104317054A (zh) * | 2014-10-27 | 2015-01-28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头戴式显示器 |
CN204347349U (zh) * | 2015-01-19 | 2015-05-20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可调式头戴显示器 |
KR101533085B1 (ko) | 2014-12-01 | 2015-07-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
-
2015
- 2015-09-22 KR KR2020150006285U patent/KR200483039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6-28 CN CN201620662452.0U patent/CN205862010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007B1 (ko)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
CN104317054A (zh) * | 2014-10-27 | 2015-01-28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头戴式显示器 |
KR101533085B1 (ko) | 2014-12-01 | 2015-07-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
CN204347349U (zh) * | 2015-01-19 | 2015-05-20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可调式头戴显示器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59991A (zh) * | 2018-08-31 | 2019-01-25 | 深圳市智聪科技发展有限公司 | 光学训练仪 |
CN109259991B (zh) * | 2018-08-31 | 2020-09-29 | 深圳市智聪科技发展有限公司 | 光学训练仪 |
KR20220000887U (ko) * | 2020-10-16 | 2022-04-25 | 민상규 |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
KR200496499Y1 (ko) | 2020-10-16 | 2023-02-09 | 민상규 |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
WO2022260272A1 (ko) * | 2021-06-09 | 2022-12-15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20166145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617019B1 (ko) * | 2021-06-09 | 2023-12-27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4034867A1 (ko) * | 2022-08-11 | 2024-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5862010U (zh) | 2017-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3039Y1 (ko) | 렌즈 이동이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
EP3982187B1 (en) | Head mount display support and head mount display | |
US9851803B2 (en) | Autonomous computing and telecommunications head-up displays glasses | |
US8303123B2 (en) | Stereoscopic kaleidoscope and 3D viewer | |
US20170010471A1 (en) | Graphic display adapter device for mobile virtual stereoscopic vision | |
JP6500793B2 (ja) |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 |
TWI653467B (zh) | 滑動框架 | |
CN107003523A (zh) | 基于微显示器的沉浸式头戴视图器 | |
US11287660B2 (en) | Head-mounted display | |
WO2017016299A1 (zh) |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 |
WO2015173444A1 (es) | Visor adaptador de dispositivos gráficos móviles para visión virtual estereoscópica | |
EP3874321B1 (en) | Mixe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eadset and system | |
KR20170003621U (ko) |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 |
CN207557583U (zh) | 一种调节装置及头显设备 | |
US11415807B2 (en) | Bumper system | |
CN107505714B (zh) | 虚拟现实头戴式显示设备 | |
KR20180041816A (ko) |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 |
KR20170001130U (ko) |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 |
KR200483371Y1 (ko) |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 |
KR20160003517U (ko) | 착용감이 개선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
EP3514603A1 (en) |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thereof | |
KR200483040Y1 (ko) |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 |
CN206684387U (zh) | 一种观察筒及虚拟现实头盔 | |
CN218332126U (zh) | 视场可切换光学镜头 | |
CN112600956A (zh) | 一种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