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952B1 -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952B1
KR102136952B1 KR1020190081847A KR20190081847A KR102136952B1 KR 102136952 B1 KR102136952 B1 KR 102136952B1 KR 1020190081847 A KR1020190081847 A KR 1020190081847A KR 20190081847 A KR20190081847 A KR 20190081847A KR 102136952 B1 KR102136952 B1 KR 10213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torage unit
shaft
earphone storag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Original Assignee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filed Critical 임철수
Priority to PCT/KR2020/00399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972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의 측면으로부터 타 측의 측면방향으로 일정길이이상의 길쭉한 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나란히 11자형의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 입구의 배면(221)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으로 일정깊이 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를 눌렀다 놓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Smartphone equipped with earphone storages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평소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스마트폰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블루투스이어폰 소지 및 사용에 편리함을 갖는 효과가 있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기술의 발달로 5G LTE(Long Tem Evolution)가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하게 되는데, 이 때 스마트폰의 음성출력단자와 연결한 유선이어폰 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블루투스이어폰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스마트폰, 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m 안팎의 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인하여 초소형 블루투스이어폰이 출시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충전과 별도로 블루투스이어폰을 충전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 중 배터리충전이 소진되면 블루투스이어폰충전기를 통하여 다시 충전할 때까지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8061호의 모바일일체형 블루투스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16-0128061호를 살펴보면, 이어폰에 해당되는 '블루투스디바이스'를 스마트폰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블루투스디바이스'를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이어폰을 수납하려면 스마트폰의 앞면 전체면 중 디스플레이화면을 제외한 일정범위의 공간이 필요하고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면 디스플레이화면이 좁아지는 문제 및 스마트폰디자인의 전체적인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 도면1 및 도면2 (66)를 살펴보면 커넥터수납부 옆에 커넥터를 배출하기 위한 '수동버튼(66)'이 핸드폰 외부로 일정 길이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동버튼'은 커넥터가 핸드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위한 장치로서 반드시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어 있는 '수동버튼'을 손으로 직접 눌러야만 커넥터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는 커넥터를 절대로 배출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또한 외부로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 커넥터만 눌렀다 놓는 것으로는 커넥터가 절대로 배출될 수 없는 구조이고, 설령 수동버튼을 커넥터수납 배면 안쪽에 배치한다 하더라도 커넥터를 터치만으로는 절대로 커넥터를 수납 및 배출할 수 없는 구조이다.)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경우 '수동버튼'을 반드시 핸드폰 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수동버튼'이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핸드폰을 사용 시 사용자손에 수동버튼의 돌출부가 걸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 외부로 수동버튼이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디자인의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은, 종래에 사용하던 장치 및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장치 및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이 아니고, 스마트폰에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블루투스이어폰을 스마트폰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스마트폰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며, 블루투스이어폰 소지를 편리하게 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을 수납함에 있어 스마트폰 측면에 미려하게 형성된 내부로 길쭉한 통형의 작은 구멍에 이어폰을 수납함으로 스마트폰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어폰을 인출 시 수납되어있는 이어폰을 터치하면 이어폰이 인출됨으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장치가 스마트폰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마트폰디자인의 미려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의 측면으로부터 타 측의 측면방향으로 일정길이이상의 길쭉한 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나란히 11자형의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 입구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으로 일정깊이 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를 눌렀다 놓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으로 일정깊이 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이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를 눌렀다 놓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전체적으로 납작하며 길쭉한 형태의 한 쌍의 이어폰이 수납가능 하도록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각각의 이어폰수납부입구는, 제1방향의 지름보다 제2방향의 지름이 일정이상 큰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통형의 이어폰수납부 각각의 깊이는, 이어폰수납부입구의 제2방향 지름길이 보다 3배 이상길이의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제1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를 누를 때 마다 회전하는 노크부재; 상기 노크부재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축;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제1실린더의 상부에 일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크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가 1회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샤프트가 제1실린더 내로 삽입되어 삽입 상태로 유지되거나, 제1샤프트가 제1실린더에서 배출되어 배출상태로 되도록 노크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제2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 하는 제2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제2실린더에서 상기 제2샤프트가 삽입 및 배출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 걸리도록 하기 위해 걸림고리 끝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걸림고리이동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이동통로는, 하트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제3샤프트와 스프링 및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3샤프트는, 제3샤프트가 왕복운동하면서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걸림고리에 걸리도록 하기위해 걸림고리 끝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걸림고리이동통로;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도록 하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양 쪽 끝 중 어느 하나의 끝은 이어폰인출작동부 일 측에 좌우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끝은 상기 걸림고리이동통로가 이동하며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이동통로는, 하트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깊이 이상 삽입하면 이어폰의 끝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이 삽입방향으로 일정깊이 이상 들어가도록 이어폰을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을 일정깊이이상 누를 때 이어폰의 끝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며, 이어폰을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면서 이어폰수납부로부터 이어폰을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깊이 이상 삽입하면 이어폰의 끝이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를 밀어 넣어 연결받침부가 밀려들어가면서 장치이동부를 통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이 삽입방향으로 일정깊이 이상 들어가도록 이어폰을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을 일정깊이이상 누를 때 이어폰의 끝이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에 힘을 가하며, 이어폰을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장치이동부를 통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장치이동부를 통해 연결받침부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면서 이어폰수납부로부터 이어폰을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동통로는, 하트모양의 꼭짓점 이동통로 좌우의 깊이가 서로 다르며, 상기 이동통로 좌우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은, 하트모양의 꼭짓점 좌우 이동통로 중 걸림고리가 이동하는 쪽이 타 쪽 보다 일정깊이이상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작동부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작동부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에 형성 되고, 제2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에 형성된 장치이동부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에 형성된 장치이동부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이동부는 연결받침부가 제1이어폰수납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장치이동부는 연결받침부가 제2이어폰수납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수납부와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이어폰을 고정하기 위한 자석;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 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이 형성되고,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 수납부 깊이 끝부분 일 측부터 이어폰수납부 입구 끝부분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의 길이 중 귀삽입부 쪽 일 측에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수납부 입구 끝부분 일 측에 짧게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 길이의 귀삽입부 일 측부터 이어폰손잡이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제2몸체는 제1몸체로부터 수평 및 수직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거나, 제2몸체로부터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받기위한 제1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원 또는 통신을 전달받거나, 제1몸체로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1단자를 대응하는 제2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몸체의 제2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1단자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2몸체의 제1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은, 제1방향의 길이보다 제2방향의 길이가 일정이상 길고,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3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방향의 길이보다 3배이상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의 귀삽입부 측에 탄성부재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에 끼워지는 연질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의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과 외피사이에는 중공 상태가 이루어지고, 탄성부재의 끼움홈을 중심으로 탄성부재 제1방향의 제3중공부 및 제4중공부 보다 탄성부재 제2방향의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가 일정이상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은, 스마트폰 화면에 터치 및 필기를 할 수 있는 펜촉; 및 상기 펜촉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한 펜촉인출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은, 스마트폰을 통하여 셀프촬영 등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원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폰본체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으로 일정거리이상 누르는 단계;
b) 이어폰 끝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는 단계;
c)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가 걸림 고정으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d)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는 단계;
e)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가 밀려나옴에 따라 이어폰이의 일부가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밀려나오는 단계;
f) 사용자가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하는 단계;
g)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 후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이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하는 단계;
h) 이어폰수납부에 삽입한 이어폰을 일정 깊이 이상 눌러 이어폰 끝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를 밀어 넣는 단계;
i)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어 밀려나오지 않는 단계;
j)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완료 되는 단계;
k) 스마트폰으로부터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평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하게 되는데,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 시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만 소지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을 동시에 소지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 스마트폰만을 충전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이 자동으로 충전됨으로 별도의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관 및 충전됨으로 별도의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 생산에 따른 예산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기대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전체화면을 넓게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미려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수납부 내부 확대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형성된 이어폰인출작동부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4의 이어폰인출작동부를 조립한 상태의 제1샤프트가 배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4의 이어폰인출작동부를 조립한 상태의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배출상태에서 삽입상태로 되는 노크부재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내부평면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삽입상태에서 배출상태로 되는 노크부재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내부평면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실린더와 제1샤프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이어폰수납부 내부 확대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
도 12는 도11에서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
도 14는 도13에서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종류별 형성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작동부의 다른 방법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에 연결된 받침부 종류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확대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22는 도21의 결합되는 접촉면 및 단자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귀에 기존 블루투스이어폰을 삽입한 상태의 사진.
도 25는 귀 사진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을 귀에 삽입한 상태의 사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접이부의 종류별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몸체의 탄성부재 끼움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귀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몸체에 형성된 측면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의 길쭉한 자석 및 펜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배터리 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 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 . . 부', '. . . 기', '. .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시',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지 않는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인출작동부(300)'란 이어폰(400)이 스마트폰(100)의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삽입방향으로 눌렀다놓으면,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손잡이(440)가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의 손잡이(440)가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 부호를 '이어폰인출작동부(300)'라 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400)를 '눌렀다놓으면'이란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작동하도록 이어폰손잡이부분을 일정거리이상(통상 약5mm내외) 눌렀다놓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어폰을 터치함으로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이 배출되도록 하는 모든 장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블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수납부 내부 확대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형성된 이어폰인출작동부의 분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4의 이어폰인출작동부를 조립한 상태의 제1샤프트가 배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4의 이어폰인출작동부를 조립한 상태의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배출상태에서 삽입상태로 되는 노크부재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가 삽입상태에서 배출상태로 되는 노크부재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실린더와 제1샤프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먼저 도2A를 살펴보면, 스마트폰본체(100)의 일 측(101)에서 타 측(102)방향으로 길쭉한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0)의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형의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삽입하여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B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200) 확대도로서, 스마트폰의 두께를 고려하여 도23과 같이 얇고 길쭉하며 슬림한 이어폰을 수납하려면, 이어폰수납부(200)는, 도2B와 같이 반드시 수납부입구(220)의 제1방향(201a)의 길이보다 제2방향(201b)의 길이가 일정이상 크게 형성되며, 수납부깊이(201c)는 상기 제2방향(201b)의 길이보다 3배이상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어폰수납부 내부 확대 개략도인 도3을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200)는 원통형의 실린더(210) 형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어폰수납부입구(220) 반대쪽 후단(221)에는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어폰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어폰수납부(200)에 제1충전단자(230) 및 이어폰(400)에 제2충전단자(4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와 이어폰(400) 중 어느 일 측에 자석(24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일 측에 형성된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240a)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2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자석대신 이어폰수납부(200)에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고정돌기(도면미도식)와 이어폰(400)에 형성된 고정홈(도면미도식)을 통하여 이어폰(400)을 수납 시 고정돌기가 탄성으로 고정홈에 들어가 이어폰(400)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이어폰(400);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의 측면(101)으로부터 타 측의 측면(102)방향으로 일정길이이상의 길쭉한 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나란히 11자형의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전체적으로 납작하며 길쭉한 형태의 한 쌍의 이어폰이 수납가능 하도록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 각각의 이어폰수납부입구(220)는, 제1방향(201a)의 지름보다 제2방향(201b)의 지름이 일정이상 큰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0a)(200b) 각각의 깊이(201c)는, 이어폰수납부입구(220)의 제2방향(201b) 지름길이 보다 3배 이상길이의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이어폰(400);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상기 이어폰수납부 입구(220)의 배면(221)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400)이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400)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일정깊이 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400c)이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를 눌렀다 놓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이어폰'이란 블루투스이어폰을 말하며, 이어폰(400)을 스마트폰본체(100)와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스마트폰본체(100)에 수납하여 스마트폰본체(100)와 이어폰(400)을 일체화하여 휴대하게 된다.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 시 통형의 실린더(210)형식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의 수납부입구(220)에 이어폰(400)을 귀삽입부(407)가 먼저 들어가도록 삽입하게 된다.
이어폰(400)의 손잡이(440)를 눌러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계속 이어폰을 삽입하면 도3A와 같이 이어폰끝(400c)이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받침부(350)에 닿게 된다.
도3A의 상태에서 이어폰손잡이(440)를 일정거리이상(통상 5mm내외) 더 눌렀다놓으면,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샤프트(320)가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실린더(310) 내부로 들어가면서 제1샤프트(320) 및 받침부(350)와 이어폰(400)이 도3B와 같이 들어가 고정되며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이어폰수납과 반대로 도3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할 때는 이어폰(400)을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으면 도3A와 같이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되면서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의 손잡이(440)가 배출한다.
사용자는 도3A의 상태에서 이어폰의 손잡이(440)를 잡고 이어폰(400)을 인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이어폰(400)을 수납 및 인출 시 푸시온/푸시오프 작동하는 것은 사용자가 이어폰손잡이(440)를 이어폰삽입방향으로 한번 누르면 푸시온 즉 이어폰손잡이(440)가 삽입되고, 이어폰손잡이(440)를 이어폰삽입방향으로 다시 한 번 누르면 푸시오프 즉 이어폰손잡이가 배출 되는 것이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3을 살펴보면,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 내부로 들어가면 도3B와 같이 스프링(341)이 압축되면서 들어가며 제1실린더(310)에 제1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노크부재(330)가 회전하면서 제1샤프트(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의 손잡이(440)를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통상 5mm내외) 눌렀다놓으면 노크부재(330)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샤프트(320)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이 때 도3A와 같이 스프링(341)의 탄력을 받아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되게 된다.
노크부재(330)는 제1샤프트(320)를 한번 누를 때마다 회전하면서 노크돌기(331)가 제1실린더(310)의 안내돌기(312)에 걸렸다 해제됐다 하며 제1실린더(310) 내부로 제1샤프트(320)가 삽입됐다 배출됐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도4 내지 도9를 참고하여 그 작동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4를 살펴보면, 제1샤프트(320)가 형성된 이어폰인출작동부(300) 분해도로서, 이어폰인출작동부(300) 외부커버 인 제1실린더(310)와 제1실린더(310)내부를 왕복이동 하는 제1샤프트(320) 및 제1샤프트를 누를 때마다 회전하는 노크부재(330)와 노크부재(330)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축(340) 및 스프링(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린더(31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샤프트(320)는 상기 제1실린더(310)의 상부에 일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크부재(330)는 상기 제1샤프트(320)와 스프링(34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노크부재(330)는 상기 제1샤프트(320)가 1회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 내로 삽입되어 삽입상태로 유지되거나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에서 배출되어 배출상태로 되도록 노크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에 삽입상태에서는 스프링(341)은 수축되고,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에서 배출상태에서는 스프링(341)수축이 해제된다.
상기 제1실린더(310) 및 제1샤프트(320), 노크부재(330), 스프링(341)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 일반적으로 노크식 이어폰인출작동부 다른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7 내지 도9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1샤프트(320)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복수의 이동돌기(321)가 돌출 형성되고, 제1실린더(310)상부후단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이동돌기(321)를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홈(311) 및 안내돌기(312)가 일정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하여 각각 형성되고, 노크부재(330)에는 상기 이동돌기(321)의 1/2에 해당하는 수의 노크돌기(331)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고,
안내돌기(312)의 한쪽 모서리에는 상기 제1샤프트(320)를 누름에 따라 상기 노크부재(330)가 회전하는 회전경사면(31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경사면(313)에는 상기 제1실린더(310)에 제1샤프트(320)가 삽입된 상태 에서는 노크돌기(331)가 걸리고 상기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상태 에서는 노크돌기(331)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턱(3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샤프트(32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크부재(330)쪽 끝면에는 삼각형상의 복수의 톱니(322)가 형성된다.
상기 노크부재(330)는 대략 원통 또는 원기둥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크돌기(331)의 끝면은 상기 톱니(322)가 중간부에 경사면(332)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5에 나타난바와 같이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된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삽입하면서 상기 제1샤프트(320)를 누르면 도6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노크부재(330)가 전진하여 노크부재(330)의 전진하는 쪽 끝면이 스프링(341)을 수축한 상태가 되므로 제1실린더(310)에 제1샤프트(32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크부재(330)를 계속 전진시키면, 도6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노크부재(330)의 끝면이 상기 스프링의 힘을 이기고 전진하는 동시에 제1실린더(310)에 제1샤프트(320)가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된 상태에서 삽입상태로 되면, 도7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320)의 이동돌기(321) 및 노크부재(330)의 노크돌기(331)는 상기 제1실린더(310)의 안내홈(311)을 따라 이동 전진하게 되고, 안내홈(311)의 끝부분까지 전진하면 노크돌기(331)는 상기 제1실린더(310)의 안내홈(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벗어나 회전경사면(313)을 타고 회전하다가 걸림턱(314)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게 됨에 따라 제1실린더(310)에 제1샤프트(320)가 삽입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샤프트(320)를 다시 한 번 누른 후 힘을 제거하면, 도8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노크돌기(331)는 상기 걸림턱(314)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회전경사면(313)을 타고 회전한 후 상기 이동돌기(321)와 함께 안내홈(311)을 따라 후진하고, 상기 스프링(341)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거리 후진하여 제1실린더(310)에서 제1샤프트(320)가 배출상태로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이어폰수납부 내부 확대 개략도로서,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이어폰수납부(200) 측면(222)에 형성한 것으로 장치이동부(367)을 추가하였으며 장치이동부외 기타 자세한 설명은 상기 도3 내지 도9 설명과 같다.
도10을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이어폰(400);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상기 이어폰수납부 측면(222)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400)이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일정깊이 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400c)이 장치이동부(367)(377)의 연결받침부(367a)(377a)를 눌렀다 놓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마트폰의 공간배치에 따라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도3과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의 배면(221)에 형성하지 않고 도10과 같이 측면(222)에 형성할 경우 이어폰수납부(300)에 이어폰(400)을 삽입함으로 인하여 제1샤프트(320)를 작동시켜야 하는데 도10과 같이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측면(222)에 배치될 경우 제1샤프트(32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1샤프트(320)과 연장 연결되는 장치이동부(367) 및 연결받침부(367a)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10의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거꾸로 형성해서 장치이동부(367)를 제1실린더(310)에 연장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제1샤프트(32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린더(310); 상기 제1실린더(310)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제1샤프트(320); 상기 제1샤프트(310)를 누를 때마다 회전하는 노크부재(330); 상기 노크부재(33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축(340); 및 스프링(34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샤프트(320)는, 상기 제1실린더(310)의 상부에 일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크부재(330)는, 상기 제1샤프트(320)가 1회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 내로 삽입되어 삽입 상태로 유지되거나,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에서 배출되어 배출상태로 되도록 노크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이어폰인출작동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한 푸시온/푸시오프 작동 방법의 모든 장치는 본 발명의 이어폰인출작동부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이고, 도12는 도11에서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11과 도12를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제2실린더(3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실린더(360) 내를 왕복운동 하는 제2샤프트(36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361)는, 제2샤프트(361)가 상하운동하면서 제1걸림부(362e) 및 제2걸림부(362f)가 걸림고리(363)에 걸리도록 하기위해 걸림고리(363) 끝(363a)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통로(362a)(362b)(362c)(362d); 상기 걸림고리(363)에 걸리도록 하는 제1걸림부(362e) 및 제2걸림부(362f);가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36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362a)(362b)(362c)(362d)가 이동하며 상기 제1걸림부(362e) 및 제2걸림부(362f)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3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360) 또는 제2샤프트(361)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 삽입에 의하여 상기 제2실린더(360) 또는 제2샤프트(361)가 상하이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1의 작동원리에 대한 것은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작동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이고, 도14는 도13에서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작동부 분해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13과 도14를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제3샤프트(371)와 스프링(374) 및 걸림고리(373)가 형성되고,
상기 제3샤프트(371)는, 제3샤프트(371)가 상하운동하면서 제1걸림부(372e) 및 제2걸림부(372f)가 걸림고리(373)에 걸리도록 하기위해 걸림고리(373) 끝(373a)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통로(372a)(372b)(372c)(372d); 상기 걸림고리(373)에 걸리도록 하는 제1걸림부(372e) 및 제2걸림부(372f);가 형성되고,
양 쪽 끝(373a)(373b) 중 어느 하나의 끝(373b)은 이어폰인출작동부(300)(376)일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끝(373a)은 상기 이동통로(372a)(372b)(372c)(372d)가 이동하며, 상기 제1걸림부(372e) 및 제2걸림부(372f)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3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샤프트(371)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 삽입에 의하여 상기 제3샤프트(371)가 상 하 이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362)(372)는, 하트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일정깊이 이상 삽입하면 이어폰의 끝(400c)이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어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이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도록 이어폰(400)을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400)을 일정깊이이상 누를 때 이어폰의 끝(400c)이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며, 이어폰을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면서 이어폰수납부로부터 이어폰을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300)에 삽입 후 일정깊이 이상 삽입하면 이어폰의 끝(400c)이 장치이동부(367)(377)의 연결받침부(367a) (377a)를 밀어 넣어 연결받침부(367a)(377a)가 밀려들어가면서 장치이동부를 통해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400)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이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깊이 이상 들어가도록 이어폰을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을 일정깊이이상 누를 때 이어폰의 끝(400c)이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a)(377a)에 힘을 가하며, 이어폰을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장치이동부(367)(377)를 통해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장치이동부를 통해 연결받침부(367a)(377a)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면서 이어폰수납부(200)로부터 이어폰을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3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400c)이 제1샤프트(320)를 누르면서 노크부재(330)가 톱니(322)에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내로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으면,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노크부재(330)가 톱니(322)를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에서 배출됨으로 제1샤프트 배출되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 일부가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이어폰수납부 측면(222)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실린더(310) 또는 제1샤프트(320)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 삽입에 의하여 상기 제1실린더(310) 또는 제1샤프트(320)가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67); 및 상기 장치이동부와 연장 연결되며 삽입되는 이어폰을 받쳐주는 연결받침부(367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361)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끝(363a)이 제1이동통로(362a) 및 제2이동통로(362b)를 거쳐 제1걸림부(362e)에 걸리면, 상기 제2샤프트(361)가 제2실린더(360)내로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361)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 끝(363a)이 제3이동통로(362c) 및 제4이동통로(362d)를 거쳐 제2걸림부(362f)에 걸리면 제2샤프트(361)가 제2실린더(360)에서 배출됨으로 제2샤프트(361) 배출되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 일부가 이어폰수납부(2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어폰인출작동부(300)가 이어폰수납부 측면(222)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2실린더(360) 또는 제2샤프트(361)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 삽입에 의하여 상기 제2실린더(360) 또는 제2샤프트(361)가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67); 및 상기 장치이동부와 연장 연결되며 삽입되는 이어폰을 받쳐주는 연결받침부(367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통로(362)는, 하트모양의 꼭짓점(362g) 이동통로 좌우(362h)(362i)의 깊이가 서로 다르며, 상기 이동통로 좌우(362h)(362i)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은,
하트모양의 꼭짓점(362g) 좌우(362h)(362i) 이동통로 중 걸림고리가 이동하는 쪽(362h)이 타 쪽(362j) 보다 일정이상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3샤프트(371)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 끝(373a)이 제1이동통로(372a) 및 제2이동통로(372b)를 거쳐 제1걸림부(372e)에 걸리면, 상기 제3샤프트(371)가 밀려들어가 밀려들어간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3샤프트(371)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 끝(373a)이 제3이동통로(372c) 및 제4이동통로(372d)를 거쳐 제2걸림부(372f)에 걸리면 제3샤프트(371)가 밀려나옴으로 제3샤프트(371) 밀려나오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 일부가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이어폰수납부 측면(222)에 형성할 경우, 상기 제3샤프트(371)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 삽입에 의하여 상기 제3샤프트(371)가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77) 및 상기 장치이동부와 연장 연결되며 삽입되는 이어폰(400)을 받쳐주는 연결받침부(377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372)는, 하트모양의 꼭짓점(372g) 이동통로 좌우(327h)(372i)의 깊이가 서로 다르며, 상기 이동통로 좌우(327h)(372i)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은, 하트모양의 꼭짓점(372g) 좌우(327h)(372i) 이동통로 중 걸림고리가 이동하는 쪽(372h)이 타 쪽(372j) 보다 일정이상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1 및 도13의 작동과정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400)을 삽입하여 일정거리이상 누르면 이어폰끝(400c)이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에 닿게 되며,
이 때 이어폰(400)을 더 누르면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안으로 밀리면서 걸림고리의 일측 끝(363a), (373a)에 따라 도13B의 P에서 S의 단면도와 같이 U자형 홈으로 형성된 제1이동통로(362a), (372a)가 이동하여 제2이동통로(362b), (372b)와 만나는 꼭짓점(362g), (372g)에 이르게 된다.
이어폰(400)을 누른 상태에서 놓으면 스프링(364), (474)의 탄력에 의하여 이동통로(362), (372)가 상부로 올라가며 걸림고리 끝(363a), (373a)에 따라 제2이동통로(362b), (372b)가 이동하여 제1걸림부(362e), (372e)에 걸리게 된다.
이 때 걸림고리 끝(363a), (373a)에 따라 제2이동통로(362b), (372b)가 이동하게 되는 것은 꼭짓점(362g), (372g)으로부터 양쪽 이동통로의 깊이가 이동하는 쪽(362h), (372h)이 타 쪽(362i), (372i) 보다 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2이동통로(362b), (372b)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림고리 끝(363a), (373a)이 제1걸림부(362e), (372e)에 걸리게 되면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됨으로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400)을 삽입방향(400s)으로 누르면 이동통로(362), (372)가 들어가면서 걸림고리 끝(363a), (373a)에 따라 제3이동통로(362c), (372c)가 이동하여 제4이동통로(362d), (372d)와 만나는 꼭짓점(362g), (372g)에 이르게 된다.
이 때 이어폰(400)을 누른 상태에서 놓으면 스프링(364), (374)의 탄성에 의하여 이동통로(362), (372)가 밀려나오면서 걸림고리 끝(363a), (373a)에 따라 제4이동통로(362d), (372d)가 이동하여 제2걸림부(362f), (372f)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고리 끝(363a), (373a)이 제2걸림부(362f), (372f)에 걸리게 되면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밀려나온 상태가 됨으로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밀려남으로 인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손잡이부분(440)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12, 도14, 도15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이어폰수납부(200) 측면에 형성할 경우 이어폰(400)을 수납 및 인출 시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들락날락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치이동부(367), (377)을 형성하였다.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일정거리 이상 누르면 이어폰 끝(400c)이 연결받침부(367a), (377a)에 닿게 되며 이어폰(400)을 더 누르면 장치이동부(367), (377)가 이동하며 장치이동부(367), (377)와 연결되어 있는 제2샤프트(361) 또는 제3샤프트(371)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도12의 경우 장치이동부(367)는 제2샤프트(361)에 연결하거나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거꾸로 설치해서 제2실린더(360)에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작동부의 다른 방법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16A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이어폰수납부(200) 입구(220)의 배면에 형성하고, 도16B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이어폰수납부(200)측면에 형성한 것이다.
도17은 이어폰인출작동부(300a)(300b)를 양쪽의 이어폰수납부(200a)(200b) 사이에 형성한 것으로서 스마트폰본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17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300)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220)에 형성 되고,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에 형성된 장치이동부(367)(377)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에 형성된 장치이동부(367)(377)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이동부는 연결받침부(367a)(377a)가 제1이어폰수납부(300a)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장치이동부는 연결받침부(367a)(377a)가 제2이어폰수납부(300b)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할 경우 이어폰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3과 도30A를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수납부와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이어폰을 고정하기 위한 자석(240);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 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a);이 형성되고,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은, 이어폰수납부 깊이 끝부분(223) 일 측부터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a)은, 이어폰의 길이 중 귀삽입부(407) 쪽 일 측에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은,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에 짧게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a)은, 도30A와 같이 이어폰 길이의 귀삽입부(407) 일측부터 이어폰손잡이(440)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지하철 등 복잡한 장소에서 이어폰수납부(200)로부터 이어폰(40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이어폰을 놓치게 되면 이어폰이 바닥에 떨어져서 사용상 불편할 수가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자석(240) 및 자석에 붙는물질(240)을 길쭉하게 형성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이 완전히 인출되기 전 이어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18을 살펴보면, 도18A와 같이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400)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누르면 도18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일부가 배출된다.
사용자는 도18B의 상태에서 이어폰(400)을 잡고 이어폰을 인출하면 되며, 이어폰(400)을 수납 시 도18C의 상태에서 도18B와 같이 이어폰(400)을 삽입 후 삽입방향으로 누르면 도18A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되게 된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에 연결된 받침부 종류들을 설명하기위한 개략도로서 도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받침부(350), (351), (352), (353)는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이어폰끝(400c)이 받침부에 받쳐 제1샤프트(320)가 중공형실린더(310)내로 삽입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부를 도19A, B, C와 같이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컵형받침부(352)'란 이어폰인출작동부(300)의 제1샤프트(320)와 연결되며 받침부(350)를 도19A와 같이 평판형받침부(351)로 형성할 경우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시 이어폰(400)의 탄성부재(420)가 받침부에 닿아 밀착되면서 탄성부재(420)의 손상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도19B와 같이 받침부를 컵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시 컵형받침부(352)에 이어폰(400)을 삽입하면,
이어폰의 탄성부재(420)가 컵형받침부(352) 바닥에 닿기 전에 컵형받침부(352) 가장자리(355)가 이어폰의 걸림돌기턱에 걸리게 되며, 컵받침부(352) 가장자리(355)가 걸림돌기턱에 걸리므로 탄성부재(420)가 컵형받침부(352)의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내로 들어가면서 컵형받침부(352)와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깊이 들어가 이어폰(400)이 수납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n자형기둥받침부(353)'란 컵형받침부(352)를 형성할 경우 컵형받침부(352)의 원형으로 인해 스마트폰본체(100)의 두께로 인하여 비효율적일 수 있다. 스마트폰본체(100) 두께에 맞게 이어폰수납부(2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컵형받침부(352)와는 달리 받침부(350) 양측에 n자형기둥(354)을 형성하여 이어폰의 탄성부재(420)가 n자형기둥받침부(353) 바닥에 닿기 전에 n자형기둥받침부(353) 가장자리(356)가 이어폰의 걸림돌기턱에 걸리게 되며,
n자형기둥받침부(353) 가장자리(356)가 걸림돌기턱에 걸리므로 탄성부재(420)가 n자형기둥받침부(353)의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내로 들어가면서 n자형기둥받침부(353)와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깊이 들어가 이어폰(400)이 수납되게 된다.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확대사시도이며,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이고, 도22는 도21의 결합되는 접촉면 및 단자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며,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20 내지 도23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은(400), 제1몸체(400a)와 제2몸체(400b)로 구분되고, 상기 제2몸체(400b)는 제1몸체(400a)로부터 수평 및 수직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400a)는, 상기 제2몸체(400b)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거나, 제2몸체(400b)로부터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받기위한 제1단자(40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원 또는 통신을 전달받거나, 제1몸체로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1단자(402)를 대응하는 제2단자(403);가 형성되되,
상기 제1단자(402)는, 상기 제1몸체의 제2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자(403)는, 상기 제1단자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2몸체의 제1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400a)와 제2몸체(400b)의 결합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공(404);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기 위하여, 결합공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결합공삽입홀(4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도2와 같은 얇은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수납하려면 상기 이어폰은, 반드시 제1방향(411a)의 길이보다 제2방향(411b)의 길이가 일정이상 길고,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3방향(11c)의 길이는, 상기 제2방향(411b)의 길이보다 3배이상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어폰(400)을 얇은 스마트폰에 수납가능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이어폰 및 그 이유를 도25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24는 귀에 기존 블루투스이어폰을 삽입한 상태의 사진이며, 도25는 귀 사진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을 귀에 삽입한 상태의 사진으로서, 통상 블루투스이어폰은 도24와 같이 귓구멍(413) 지름(413a) 전체둘레에 꼭 맞게 형성하게 된다.
도24와 같이 이어폰을 귓구멍(413) 지름(413a) 전체둘레에 꼭 맞게 형성할 경우 이어폰원형의 귀 삽입부분이 크게 형성됨으로 슬림형의 스마트폰본체(100)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이어폰(400-1)을 스마트폰본체(100)에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이어폰(400)이 스마트폰본체(100)에 수납 가능하도록 도23과 같이 이어폰몸체 제1방향(411a)을 얇게 형성 하였다.
또한,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어폰몸체 제1방향(411a)과 제2방향(411b)모두를 얇게 형성할 경우 이어폰두께가 귓구멍지름(413a)의 크기보다 작아 이어폰(400)을 귀에 삽입 시 안정적인 삽입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어폰몸체 제1방향(411a)보다 제2방향(411b)을 일정이상 길게 형성하여 제2방향(411b)의 크기가 귓구멍 지름(413a)의 크기에 꼭 맞게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어폰은, 스마트폰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기 위한 이어폰(400)으로서,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을 수납 시 스마트폰(100) 두께 보다 얇은 통형의 수납부(200)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이어폰몸체(400)의 제2방향(411b) 두께보다 제1방향(411b) 두께가 일정이상 얇게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400)을 귓구멍(413)에 삽입 시 이어폰몸체(400)의 제2방향(411b) 양측 가장자리가 귓구멍의 원지름(413a) 중 귓구멍상부(413b)와 귓구멍하부(413c)에 꼭 맞게 끼워져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어폰몸체의 제1방향(411a)두께보다 제2방향(411b) 두께를 귓구멍 크기의 두께만큼 크게 형성하였다.
도25B를 살펴보면 이어폰이 귓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어폰몸체 제1방향(411a)의 귓구멍은 공간(413f)이 있지만 이어폰몸체 제2방향(411b)은 귓구멍지름 귓구멍상부(413b)와 귓구멍하부(413c)에 꼭 맞아 이어폰이 귓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접이부의 종류별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26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400)은, 제1몸체(400a)에서 제2몸체(400b)가 ㄱ자로 접혀지도록 하는 접이부(4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400)는, 제1몸체(400a)로부터 제2몸체(400b)가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a), 제1몸체로부터 제2몸체가 힌지를 통해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b), 제1몸체에 형성된 11자형 기둥으로부터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c), ㄱ ㄴ 자 형식의 접이부를 통하여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는(401d)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몸체의 탄성부재 끼움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귀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27 및 도28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400)은, 이어폰의 귀삽입부(407) 측에 탄성부재(420)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에 끼워지는 연질의 탄성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의 탄성부재(420)는,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끼워지는 끼움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421)과 외피(428)사이에는 중공 상태(422)(423)(424)(425)가 이루어지고, 탄성부재의 끼움홈(421)을 중심으로 탄성부재 제1방향(426)의 제3중공부(424) 및 제4중공부(425) 보다 탄성부재 제2방향(427)의 제1중공부(422) 및 제2중공부(423)가 일정이상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400)은, 이어폰의 귀삽입부 측에 탄성부재(420)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409)에 끼워지는 연질의 탄성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의 탄성부재(420)는,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끼워지는 끼움홈(421)이 형성되며, 탄성부재의 끼움홈(421)을 중심으로 탄성부재 제1방향(426)은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고 탄성부재 제2방향(427)으로 제1중공부(422) 및 제2중공부(4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폰이 슬림함으로 이어폰의 귀삽입부쪽에 형성되는 탄성부재도 상기와 같이 얇은 슬림형으로 형성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 탄성부재를 도29와 같이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몸체에 형성된 측면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29를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400)은, 상기 제2몸체(400b)의 평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이어폰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이상 연질의 측면탄성부재(4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이어폰에 형성된 펜촉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개략도로서, 상기 이어폰(400)은, 스마트폰 화면에 터치 및 필기를 할 수 있는 펜촉(417); 및 상기 펜촉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한 펜촉인출작동부(4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이어폰(400)은, 스마트폰(100)을 통하여 셀프촬영 등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원격조정부(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배터리 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1을 참조하여 도31을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폰본체(100)는, 상기 스마트폰본체가 충전중인지를 체크하는 충전체크부(700); 상기 충전체크부(700)의 체크상태에 따라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배터리 충전방법을 선택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체크부(700)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체크부(700)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 아니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통하여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본체(100)는,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이어폰수납체크부(800);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수납여부에 따라 이어폰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수납체크부(800)의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되면, 상기 이어폰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면 이어폰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 흐름도로서, 도32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폰본체(100)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누르는 단계;(1001)
b) 이어폰 끝(400c)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는 단계;(1002)
c)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 중 어느 하나가 걸림 고정으로부터 해제되는 단계;(1003)
d)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 중 어느 하나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는 단계;(1004)
e)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가 밀려나옴에 따라 이어폰의 일부가 이어폰수납부(200) 외부로 밀려나오는 단계;(1005)
f) 사용자가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하는 단계;(1006)
g)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 후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이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하는 단계;(1007)
h) 이어폰수납부에 삽입한 이어폰을 일정 깊이 이상 눌러 이어폰 끝(400c)이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중 어느 하나 또는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를 밀어 넣는 단계;(1008)
i) 제1샤프트(320), 제2샤프트(361), 제3샤프트(371), 장치이동부의 연결받침부(367)(377)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어 밀려나오지 않는 단계;(1009)
j)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완료 되는 단계;(1010)
k) 스마트폰으로부터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10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구성요소에 두개이상의 부호를 기입한 경우 두개이상의 부호가 모두 해당되거나 두개이상의 부호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폰본체
101 : 스마트폰 측면 102 : 타측면
110 : 스마트폰본체배터리 200 : 이어폰수납부
200a : 제1이어폰수납부 200b : 제2이어폰수납부
201a : 제1방향 201b : 제2방향
201c : 수납부깊이 210 : 실린더
211 : 고정돌기 220 : 수납부입구
221 : 배면 222 : 측면
223 : 깊이 끝부분 230 : 제1충전단자
231 : 고정단자 232 : 유동단자
240, 240a :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
241 : 길죽한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
242 : 짤막한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
250 : 고정돌기 260 : 고정패널
261 : 길죽한 고정패널 300 : 이어폰인출작동부
300a : 제1이어폰인출작동부 300b : 제2이어폰인출작동부
310 : 제1실린더 311 : 안내홈
312 : 안내돌기 313 : 회전경사면
314 : 걸림턱 320 : 제1샤프트
321 : 이동돌기 322 : 톱니
330 : 노크부재 331 : 노크돌기
332 : 경사면 340 : 스르링 축
341 : 스프링 350 : 받침부
351 : 평판형 받침부 352 : 컵형 받침부
353 : n자형기둥 받침부 354 : n자형기둥
355, 356 : 가장자리 360 : 제2실린더
361 : 제2샤프트 371 : 제3샤프트
362, 372 : 이동통로 362a, 372a : 제1이동통로
362b, 372b : 제2이동통로 362c, 372c : 제3이동통로
362d, 372d : 제4이동통로 362e, 372e : 제1걸림부
362f, 372f : 제2걸림부 362g, 372g : 꼭짓점
362h, 372h : 걸림고리가 이동하는 쪽, 깊은곳
362i, 372i : 타 쪽, 얕은곳 362j, 372j : 걸림턱
363, 373 : 걸림고리 363a, 363b, 373a, 373b : 끝
364, 374 : 스프링 365 : 회전방지 나사못
365a : 회전방지홈 366 : 걸림고리고정구
366a : 걸림고리고정링 367, 377 : 장치이동부
367a, 377a : 연결부받침 371 : 제3샤프트
372 : 이동통로 373 : 걸림고리
374 : 스프링 376 : 걸림고리 고정구
377b : 스프링고정부 380 : 하우징
400 : 이어폰 400a : 제1몸체
400b : 제2몸체 400c : 이어폰 끝
400s : 이어폰삽입방향 401 : 접이부
401a : 회전식접이부 401b : 힌지식접이부
401c : 11자형 기둥식접이부 401d : ㄱ,ㄴ자 형식 접이부
402 : 제1단자 402a : 일부단자
402b : 전체면단자 403 : 제2단자
403a : 일부단자 403b : 전체면단자
404 : 결합공 405 : 결합공삽입홀
406 : 결합접촉면 406a : 제1몸체의 결합접촉면
406b : 제2몸체의 결합접촉면 407 : 귀삽입부
408 : 귀삽입감지부 409 : 스프링끼움돌기
411a : 이어폰몸체 제1방향 411b : 이어폰몸체 제2방향
411c : 이어폰몸체 제3방향 413 : 귓구멍
413a : 귓구멍 지름 413b :귓구멍 상부
413c : 귓구멍 하부 413d : 귓구멍 좌측부
413e : 귓구멍 우측부 413f : 공간
415 : 고정홈 416 : 고정돌기
417 : 펜촉 418 : 펜촉인출작동부
420 : 스프링 421 : 음향출력구, 끼움홈
422 : 제1중공부 423 : 제2중공부
424 : 제3중공부 425 : 제4중공부
426 : 제1방향 427 : 제2방향
428 : 외피 429 : 측면스프링
430 : 제2충전단자 440 : 이어폰손잡이
441 : 둘레홈 450 : 블루투스모듈
460 : 이어폰배터리 470 : 배터리상태표시램프
500 : 이어폰작동버튼 510 : 음향출력부
520 : 음향조절부 530 : 신호수신부
540 : 마이크 600 : 제어부
700 : 충전체크부 701 : 이어폰수납체크부
710 : 스마트폰본체 배터리를 통한충전
720 : 다이렉트충전 800 : 이어폰수납체크부
900 : 배터리체크부 1000 : 원격조정부
1001 :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으로 일정거리이상 누르는 단계;
1002 : 이어폰 끝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는 단계;
1003 :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 가 걸림 고정으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1004 :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가 이어폰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는 단계;
1005 :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가 밀려나옴에 따라 이어폰이의 일부가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밀려나오는 단계;
1006 : 사용자가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하는 단계;
1007 :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 후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이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하는 단계;
1008 : 이어폰수납부에 삽입한 이어폰을 일정 깊이 이상 눌러 이어폰 끝이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를 밀어 넣는 단계;
1009 :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어 밀려나오지 않는 단계;
1010 :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완료 되는 단계;
1011 : 스마트폰으로부터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

Claims (31)

  1. 삭제
  2.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4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제1샤프트(32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린더(310);
    상기 제1실린더(310)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제1샤프트(320);
    상기 제1샤프트를 누를 때마다 제1샤프트의 톱니(322)를 대응하여 회전하는 노크부재(330);
    상기 노크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노크부재를 밀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일정깊이이상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1샤프트(320)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밀려나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는,
    제1실린더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311) 및 안내돌기(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여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321)가 형성되며, 노크부재(330)를 대응하여 상기 노크부재를 회전시키는 톱니(3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 내에서 제1실린더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크부재는,
    상기 제1실린더의 안내홈에 대응하여 노크부재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노크돌기(33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샤프트가 1회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노크부재가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5.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4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작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 시 왕복운동을 하는 제2샤프트(361);
    상기 제2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걸림고리(363)일 측 끝(363a)이 이동하는 이동통로(362);
    상기 이동통로 일 측에 형성되며, 걸림고리일 측 끝(363a)에 걸리도록 하는 제1걸림부(362e);
    상기 이동통로를 이동하며 상기 제1걸림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363);
    상기 제2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함에 있어 제2샤프트를 밀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일정깊이이상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인출작동부의 제2샤프트(361)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밀려나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는 제2실린더(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하트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통로(362a), 제2이동통로(362b), 제3이동통로(362c), 제4이동통로(362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부(362e)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제3이동통로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362) 일 측에 형성되며, 걸림고리(363)일 측 끝(363a)에 걸리도록 하는 제2걸림부(362f);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362f)는, 제4이동통로(362d)와 제1이동통로(362c)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363)는,
    걸림고리의 양 쪽 끝 중 어느 하나의 끝(363b)은, 타 측 끝(363a)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끝(363a)은, 이동통로(362)를 따라 이동하며 제1걸림부(362e) 또는 제2걸림부(362f)가 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U자형의 홈으로 형성되되, 꼭짓점(362g) 좌우(362h)(362i) 이동통로의 좌우(362h)(362i)의 깊이가 서로 다르며,
    이동통로 좌우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은, 꼭짓점(362g) 좌우(362h)(362i) 이동통로 중 걸림고리가 이동하는 쪽(362h)이 타 쪽(362j) 보다 일정이상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제1이어폰인출작동부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로 구분되되,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제2이어폰수납부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220)에 형성 되고,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 사이의 이어폰수납부측면에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이동통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 할 때 삽입되는 힘에 의하여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이동통로 중 어느 하나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67)(377); 및
    상기 장치이동부와 연장 연결되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 시 이어폰 일 측 부가 받쳐지는 연결받침부(367a)(377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이어폰인출작동부(300a)에 연결된 연결받침부와 제2이어폰인출작동부에 연결된 연결받침부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받침부는 제1이어폰수납부(300a)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받침부는 제2이어폰수납부(300b)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와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이어폰을 고정하기 위한 자석(240);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 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이 형성되고,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은, 이어폰수납부 깊이 끝부분(223) 일 측부터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a)은, 이어폰의 길이 중 귀삽입부(407) 쪽 일 측에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은,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에 짧게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240a)은, 이어폰 길이의 귀삽입부(407) 일 측부터 이어폰손잡이(440)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이어폰 끝(400c)이 제1샤프트(320)를 누르면서 제1샤프트와 노크부재가 밀려들어간 상태에서 노크부재(330)가 제1샤프트의 톱니(322)에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회전하면 상기 제1샤프트(320)가 제1실린더(310)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 놓는 과정에서 노크부재(330)가 제1샤프트(320)의 톱니(322)를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 회전하면 노크부재의 노크돌기(331)가 제1실린더(310)의 안내홈(311)을 통하여 배출됨으로 노크부재배출의 힘에 의하여 제1샤프트(320)가 배출되고 제1샤프트 배출되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361)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363) 일 측 끝(363a)이 제1이동통로 및 제2이동토로를 거쳐 제1걸림부에 걸리면, 상기 제2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어폰이 수납되고,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삽입방향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가 일정거리이상 들어갔다 나오면서 걸림고리 일 측 끝(363a)이 제3이동통로 및 제4이동통로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가 밀려나오면서 제2샤프트 밀려나오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제1몸체(400a)와 제2몸체(400b)로 구분되고, 상기 제2몸체(400b)는 제1몸체(400a)로부터 수평 또는 수직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400a)는, 상기 제2몸체(400b)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거나, 제2몸체(400b)로부터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받기위한 제1단자(40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원 또는 통신을 전달받거나, 제1몸체로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1단자(402)를 대응하는 제2단자(403);가 형성되되,
    상기 제1단자(402)는, 상기 제1몸체의 제2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자(403)는, 상기 제1단자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2몸체의 제1몸체와 결합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400a)와 제2몸체(400b)의 결합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공(404);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기 위하여, 결합공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결합공삽입홀(4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제1몸체(400a)에서 제2몸체(400b)가 ㄱ자로 접혀지도록 하는 접이부(4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제1몸체(400a)로부터 제2몸체(400b)가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a), 제1몸체로부터 제2몸체가 힌지를 통해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b), 제1몸체에 형성된 11자형 기둥으로부터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거나(401c), ㄱ ㄴ 자 형식의 접이부를 통하여 꺾이면서 접혀지게 하는(401d)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의 귀삽입부(407) 측에 탄성부재(420)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에 끼워지는 연질의 탄성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의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끼움돌기(409)가 끼워지는 끼움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421)과 외피(428)사이에는 중공 상태(422)(423)(424)(425)가 이루어지고, 탄성부재의 끼움홈(421)을 중심으로 탄성부재 제1방향(426)의 제3중공부(424) 및 제4중공부(425) 보다 탄성부재 제2방향(427)의 제1중공부(422) 및 제2중공부(423)가 일정이상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2몸체(400b)의 평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이어폰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이상 연질의 측면탄성부재(4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스마트폰 화면에 터치 및 필기를 할 수 있는 펜촉(417); 및 상기 펜촉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한 펜촉인출작동부(4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을 통하여 일정거리이상 떨어진 곳의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원격조정부(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는,
    상기 스마트폰본체가 충전중인지를 체크하는 충전체크부(700);
    상기 충전체크부(700)의 체크상태에 따라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배터리 충전방법을 선택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체크부(700)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체크부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 아니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통하여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90081847A 2019-03-25 2019-07-08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KR10213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990 WO2020197238A1 (ko) 2019-03-25 2020-03-24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61 2019-03-25
KR20190033461 2019-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952B1 true KR102136952B1 (ko) 2020-07-23

Family

ID=7189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847A KR102136952B1 (ko) 2019-03-25 2019-07-08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6952B1 (ko)
WO (1) WO20201972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33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200106134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200106132A (ko) * 2020-05-01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9033A (zh) * 2021-05-19 2022-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719A (ko) * 2004-05-22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형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1496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30126873A (ko) * 2012-05-13 2013-11-21 유장호 핸드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719A (ko) * 2004-05-22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형 커넥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1496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30126873A (ko) * 2012-05-13 2013-11-21 유장호 핸드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32A (ko) * 2020-05-01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199B1 (ko) 2020-05-01 2020-12-04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200106133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200106134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400B1 (ko) 2020-05-26 2020-12-04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200B1 (ko) 2020-05-26 2020-12-04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238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952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JP6619357B2 (ja) 腕時計型スマート端末機
US20220049730A1 (en) Self-locking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self-locking connection device
TWM455309U (zh) 電話機
KR102187200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170048752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060083623A (ko) 박형 콤팩트 타입 이어폰 릴 케이스 부착 휴대폰 홀더 및그 릴 조립체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101330257B1 (ko) 립스틱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립스틱
KR102187199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N110584290B (zh) 蓝牙耳机盒及蓝牙耳机
KR20210129827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US20230208949A1 (en) Smartphone having earphone storage unit
KR100693358B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20040001432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2187400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JP2012028291A (ja) コードリール付き変換アダプタ
KR200483371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220010134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0365366Y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200483040Y1 (ko) 휴대폰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