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095Y1 - 이어폰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095Y1
KR200336095Y1 KR20-2003-0030588U KR20030030588U KR200336095Y1 KR 200336095 Y1 KR200336095 Y1 KR 200336095Y1 KR 20030030588 U KR20030030588 U KR 20030030588U KR 200336095 Y1 KR200336095 Y1 KR 200336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d
bobbin
stop le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보빈은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긴다. 스톱레버는 상기 하우징 공간 내에 상기 보빈의 걸림턱과 맞물리며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 상기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정지상태를 해제한다. 코일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스톱레버에 인가되는 코드 장력이 해소되면 상기 스톱레버가 상기 보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캠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면 사이에 수납되어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마다 상기 스톱레버가 해제위치와 잠김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고, 동작이 정확하고 고장이 적다.

Description

이어폰 권취 장치{Apparatus for winding earphone}
본 고안은 이이폰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MP3 플레이어등의 이어폰 코드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권취 동작과 권취 정지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한 이어폰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CD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사용자들의 급증과 연령의 다양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판매 및 보급되어 사용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깨끗한 통화 및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잭을 선택된 기기와 연결하고, 코드의 타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꽂아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보편화되면서 이어폰이 연결된코드가 필요한 길이보다 더 많이 노출되고, 늘어진 코드는 하나의 간섭요인으로 전락되어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인 지하철, 버스 등 사람들의 신체접촉과 외부구조물 등에 걸리면서 이어폰과 연결잭에 연결된 코드의 접촉불량이 발생하고 미사용 시에는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를 보관하기가 마땅하지가 않아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핸드백에 담고 다니다가 재사용 시에는 코드가 서로 엉켜서 풀어서 사용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을 내재하고있으며 보관 및 휴대 시에도 많은 불편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런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를 소정의 길이만큼 하우징에서 인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었다. 통상적으로 코드를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 또는 릴에 권취하고 사용시에는 코드를 잡아 당겨서 풀어 사용하는 코드 권취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드 권취 장치들은 권취 케이스의 표면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권치 정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은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여 사용상 불편하고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만을 인출 및 권취하고 코드에 연결된 플러그는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도 항상 노출되어 우선 단선이나 파손 등의 우려가 있고 일정하게 정돈되지 아니한 상태로 보관되어 미관상 지저분하고 외관이 변질되거나 현저히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드를 잡아당길 때마다 권취 정지 동작의 해제와 정지동작이 반복해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권취 정지 해제 버튼이 필요없이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며, 사용상 편리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가 인출된 상태의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이어폰 권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하우징 110 : 제1 반원판
112 : 제1 중심축 삽입공 114 : 핀 클러치
116 : 결합핀 117 : 제1 가이드홈
118 : 제1 고정홈 119 : 제3 고정홈
120 : 제1 측벽 122 : 제1 홈
124 : 제2 홈 130 : 제1 캡
132 : 제1 고정핀 134 : 제1 돌기
140 : 제3 캡 150 : 가이드
160 : 스톱레버 161 : 제1 슬라이드부
162 : 레버 163 : 돌출부
164 : 제2 슬라이드부 165 : 롤러
170 : 코일 스프링 180 : 캠
182 : 캠홈 184 : 핀
200 : 제2 하우징 210 : 제2 반원판
212 : 제2 중심축 삽입공 214 : 결합홈
215 : 제2 가이드홈 216 : 제1 고정핀 고정부
217 : 제2 고정핀 고정부 218 : 돌출부
219 : 제2 고정홈 220 : 제2 측벽
222 : 제3 홈 224 : 제4 홈
226 : 제5 홈 230 : 제2 캡
232 : 제2 고정핀 234 : 제2 돌기
240 : 수납케이스 242 : 몸체
244 : 고정부 246 : 지지부
300 : 보빈 302 : 제3 중심축 삽입공
310 : 제1 면 312 : 제1 슬릿
314 : 삽입홈 316 : 돌출부
318 : 걸림턱 320 : 제2 면
322 : 제2 슬릿 330 : 제1 권취홈
400 : 중심축 410 : 일단부
412 : 제1 축홈 420 : 타단부
422 : 제2 축홈 500 : 고정핀
502 : 걸림홈 600 : 나선 스프링
610 : 내측단 620 : 외측단
700 : 코드 710 : 이이폰
720 : 연결잭 800 : 하우징
810 : 제1 개구부 820 : 제2 개구부
830 : 제3 개구부(제5 홈)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코드의 양단부를 각각 인출하기 위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에 내측홈 및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코드가 상기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공간 내에 상기 보빈의 걸림턱과 맞물리며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코드의 인출 장력에 의해 상기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스톱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스톱레버에 인가되는 코드 장력이 해소되면 상기 스톱레버가 상기 보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면 사이에 수납되어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마다 인출 장력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가 해제위치와 잠김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어폰 권취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 권취 장치를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이어폰 권취 장치는 별도의 해제버튼의 조작없이 코드를 잡아 당기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코드 권취 및 권취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캠 동작에 의해 권취 해제와 권취 정지가확실하게 동작되므로 고장이 적고 부드럽게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에 이어폰이 고정되므로 미관상으로 단정한 느낌을 준다. 또한 상기 고정핀을 이용하여 허리 벨트나 상의의 주머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권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어폰 권취 장치는 하우징(800), 보빈(300), 나선 스프링(600), 중심축(400), 스톱레버(160), 코일 스프링(170), 캠(180), 수납케이스(240) 및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8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으로 구성된다.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은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 및 제2 중심축 삽입공(212)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120) 및 제2 측벽(22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1 측벽(120)에는 제1 홈(122) 및 제2 홈(1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2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20)에도 제3 홈(222) 및 제4 홈(2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210)의 곡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20)에는 제5 홈(226)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홈(122)과 제3 홈(222) 및 제2 홈(124)과 제4 홈(22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1 반원판(1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11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2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2 반원판(2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핀(116)과 결합홈(214)은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3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반원판(1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1 캡(13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원판(110)의 모서리에는 제3 캡(140)을 연결하기 위한 제3 고정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210)에는 제2 중심축 삽입공(2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2 캡(23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118) 및 제2 고정홈(219)은 제1 캡(130) 및 제2 캡(230)을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원판(1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관통홈에 의해 제1 중심축 삽입공(112)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핀 클러치(114)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00)의 제1 측벽(120)과 제2 하우징(200)의 제2 측벽(220)의 종단면이 서로 면접하고, 결합핀(116)과 결합홈(214)이 결합된다. 이로써 측벽(120, 220)과 반원판(110, 210)들에 의해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홈(122)과 제3 홈(222) 및 제2 홈(124)과 제4 홈(224)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1 개구부(810) 및 제2 개구부(820)를 형성한다. 제5 홈(226)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에 의해 제3 개구부(830)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810)를 통하여 이어폰(710)과 연결되는 코드(700)가 출입되고, 제3 개구부(830)를 통하여 연결잭(720)과 연결되는 코드(700)가 출입된다. 제2 개구부(820)에는 수납케이스(240)가 고정된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가 인출된 상태의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빈(300)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310)과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면(320)을 갖는다. 보빈(3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제1 면(310)과 제2 면(320)을 관통하여 제3 중심축 삽입공(302)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300)은 상기 제1 면(310)과 제2 면(32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권취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면(3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3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의 삽입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3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3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면(3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ring) 모양의 돌출부(316)가 형성된다. 돌출부(316)에는 돌출부(316)의 반지름 방향으로 즉, 상기 제1 면(3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31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310)과 삽입홈(314)의 측벽에 걸쳐 제1 슬릿(312)이 형성된다.
돌출부(316)는 후술하는 스톱레버(16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316)가 스톱레버(16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320)에는 보빈(300)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제2 권취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면(320)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320)에는 상기 제2 면(320)의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태의 제2 슬릿(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권취홈(33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은 제2 권취홈(34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보다 크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 및 타단부(420)에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과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제1 축홈(412) 및 제2 축홈(422)이 형성된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가 제1 하우징(100)의 제1 중심축 삽입공(112)에 끼워진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의 구조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중심축(4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핀 클러치(114)에 의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심축(400)의 일단부(410)에는 축방향을 따라 걸림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430)에 나선 스프링(600)의 내측단(610)이 끼워진다. 중심축(400)은 보빈(300)의 제3 중심축 삽입공(302)을 관통하여 지난다. 중심축(400)의 타단부(42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중심축 삽입공(212)에 끼워진다. 따라서 보빈(300)은 하우징(800) 내부의 공간에서 중심축(40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중심축(400)의 양단부(410, 420)가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에 각각 결합될 때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된다.
제1 캡(130)은 제1 고정핀(132)이 제1 고정홈(118)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 캡(1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1 돌기(134)는 중심축(400)의 제1 축홈(412)에 끼워져 중심축(400)을 고정한다.
제2 캡(230)은 제2 고정핀(232)이 제2 고정홈(219)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캡(2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2 돌기(234)는 중심축(400)의 제2 축홈(4212)에 끼워져 중심축(400)을 고정한다. 제1 캡(130) 및 제2 캡(230)은 중심축(400)을 고정하고, 하우징(800)의 미관을 좋게한다.
제3 캡(140)은 제3 고정홈(199)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3 캡(140)은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미관을 더욱 유려하게 한다.
수납 케이스(240)는 이어폰(7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42), 고정부(244) 및 지지부(246)로 구성된다.
몸체(242)는 이어폰(71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사각 상자 형태를 가진다. 몸체(242)의 저면은 이어폰(71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형상을 갖는다. 몸체(242)의 내부 형상은 이어폰(710)의 외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46)는 몸체(242)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몸체(242)에 수납되는 이어폰(710)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고정부(244)는 몸체(24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개구부(820)에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수납 케이스(240)에 이어폰(710)이 고정되므로, 하우징(800)의 외부에 위치한 이어폰(710)이 흔들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500)은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하우징(800)을 허리 벨트나 상의의 호주머니에 부착한다. 고정핀(500)은 소정의 폭을 갖는 갈고리 모양으로 고리 부위에 걸림홈(5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고정핀 고정부(216)에 고정핀(500)의 고리 부위가 삽입된다. 고정핀(500)의 걸림홈(502)에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돌출된 제2 고정핀 고정부(217)가 끼워져 고정핀(500)이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돌출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8)는 고정핀(218)과 접하면서 고정핀(500)의 고정력을 강화한다.
코드(700)는 일부분이 제1 권취홈(330)에 묶인 상태로 고정된다. 코드(700)로부터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1 권취홈(330)에 권취되고 제1 개구부(810)를 지나 이어폰(710)과 연결된다. 코드(700)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 슬릿(322)을 통해 제2 권취홈(340)에 권취되고 제3 개구부(830)를 지나 연결잭(720)과 연결된다. 연장된 코드(700)의 양단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긴다. 즉 이어폰(710)과 연결된 코드(700)는 큰 회전축을 가지는 제1 권취홈(330)에 빠른 속도로 감기고, 연결잭(720)과 연결된 코드(700)는 작은 회전축을 가지는 제2 권취홈(340)에 느린 속도로 감긴다.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 코드(700)는 이어폰(710)과 연결된 코드(70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800)이 외부로 인출되고,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다. 제2 권취홈(340)에 감겨진 코드(700)는 이어폰(710)과 연결된 코드(70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800)의 내부에서 제2 권취홈(340)으로부터 풀려지고,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제2 권취홈(340)에 감겨진다. 연결잭(720)과 연결된 코드(700)는 하우징(800) 내에서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므로 하우징(800) 외부로 노출된 연결잭(72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나선 스프링(600)은 상기 제1 면(310)의 삽입홈(314)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나선 스프링(600)의 내측단(610)은 중심축(400)의 걸림홈(4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620)은 제1 슬릿(312)에 고정된다. 따라서, 나선 스프링(600)은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심축(40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 6은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이어폰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톱레버(160)는 제1 슬라이드부(161), 레버(162), 돌출부(163), 제2 슬라이드부(164) 및 롤러(165)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부(161)는 제1 홈(122)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7) 및 상기 제1 가이드홈(117)에 결합되는 가이드(150)에 삽입되어 가이드(15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레버(162)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161)와 수직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16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보빈(300)의 제1 면(310)에 형성된 걸림턱(318)과 맞물린다. 레버(162)의 일측 단부는 걸림턱(318)과 보다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해 일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된다. 레버(162)는 걸림턱(318)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걸림턱(318)이 레버(162)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돌출부(163)는 레버(162)를 기준으로 제1 슬라이드부(16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162)로부터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슬라이드부(164)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버(162)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215) 삽입된다. 제2 슬라이드부(164)도 제2 가이드홈(215)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롤러(165)는 관 형태로 제2 슬라이드부(164)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롤러(165)는 제2 슬라이드부(164)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코드(700)의 인출과 권취를 부드럽게 한다.
코일 스프링(170)은 일측 단부가 돌출부(183)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1 측벽(120)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스톱레버(160)는 코일 스프링(170)에 의해 항상 우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레버(162)가 걸림턱(318)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코드(70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2 슬라이드부(164)에 코드(700) 장력이 인가되어 스톱레버(160)가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레버(162)와 걸림턱(318)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코드(700) 장력이 해소되면 코일 스프링(170)에 의해 스톱레버(160)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복원되게 된다.
캠(180)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홈(182) 및 제1 가이드홈(11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캠홈(182) 내에서 회전 운동하는 핀(184)을 포함한다. 캠홈(182)은 오목 위치와 볼록 위치를 갖는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이어폰 권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이어폰 권취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어폰(710)과 연결된 코드가 하우징(8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 중인 정지상태에서 코드(70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상부의 캠홈(182))을 따라 이동한다. 코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B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C 위치에서 스톱레버(160)의 레버(162)와 걸림턱(318)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코드(700)는 제1 권취홈(330)과 제2 권취홈(340)에 각각 감겨진다.
코드(700)가 보빈(300)에 감져진 해제 상태에서 이어폰(710)에 연결된 코드(70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나선 스프링(600)은 중심축(400)에 감겨지고, 제2 권취홈(340)에 감겨있던 코드(700)는 하우징(80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보빈(300)의 제2 면(32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풀려진다.(도 5참조) 핀(184)은 C 위치에서 D 위치까지 이동한다. 코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D 위치에서 하부의 캠홈(182)을 따라 A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A 위치에서 스톱레버(160)의 레버(162)와 걸림턱(318)의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710)이 연결된 코드(700)를 한번 잡아당기면, 정지상태가해제되고,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해제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별도의 정지/해제 버튼 구조없이 코드(700)를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해 정지 및 해제동작의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해제버튼의 조작없이 코드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스톱레버가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코드 권취 및 권취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하트형 캠 동작에 의해 권취 해제와 권취 정지가 확실하게 동작되므로 고장이 적고 부드럽게 동작된다.
연결잭에 연결된 코드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감김과 풀림을 반복하므로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연결잭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을 이용하여 허리 벨트나 상의의 주머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코드의 양단부를 각각 인출하기 위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되는 중심축;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에 내측홈 및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코드가 상기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 스프링;
    상기 하우징 공간 내에 상기 보빈의 걸림턱과 맞물리며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코드의 인출 장력에 의해 상기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스톱레버;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스톱레버에 인가되는 코드 장력이 해소되면 상기 스톱레버가 상기 보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면 사이에 수납되어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마다 인출 장력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가 해제위치와 잠김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권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 권취 장치를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권취 장치.
KR20-2003-0030588U 2003-09-27 2003-09-27 이어폰 권취 장치 KR200336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88U KR200336095Y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88U KR200336095Y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095Y1 true KR200336095Y1 (ko) 2003-12-18

Family

ID=4934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88U KR200336095Y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0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45A (ko) * 2014-08-19 2016-02-29 한은수 케이블 정리구
US10244305B2 (en) 2017-08-03 2019-03-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US10306351B2 (en) 2017-08-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45A (ko) * 2014-08-19 2016-02-29 한은수 케이블 정리구
KR101650535B1 (ko) * 2014-08-19 2016-08-23 한은수 케이블 정리구
US10244305B2 (en) 2017-08-03 2019-03-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US10306351B2 (en) 2017-08-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7466U (ja) コード収納プーリーを具えたコードリール
US6644582B1 (en) Cable reel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JP6055835B2 (ja) ユーザ装着式ヘッドホンの収納リ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る携帯機器用ケース
JP5037833B2 (ja)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US5600719A (e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a telephone line
US6305632B1 (en)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TWI547429B (zh) 容置裝置
US20070251786A1 (en)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US684772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orable earphone
US7201342B2 (en) Signal cable rewinder with two rewinding discs
CN210779380U (zh) 便携式条形数据线
US8833690B2 (en) Wire-winding device
KR200342206Y1 (ko) 귀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0336960Y1 (ko)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0336961Y1 (ko)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101147853B1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90052559A (ko) 권취장치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101118058B1 (ko) 휴대 단말기용 이어폰 인입 및 인출 장치
JP2002101484A (j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