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961Y1 -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6961Y1 KR200336961Y1 KR20-2003-0031667U KR20030031667U KR200336961Y1 KR 200336961 Y1 KR200336961 Y1 KR 200336961Y1 KR 20030031667 U KR20030031667 U KR 20030031667U KR 200336961 Y1 KR200336961 Y1 KR 2003369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necklace
- case
- cord
- bobb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이어폰을 자동 권취하는 이어폰 권취기를 구비한다.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외측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목걸이줄을 자동 권취하는 목걸이줄 권취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상기 이어폰 권취기와 상기 목걸이줄 권취기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을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줄 및 상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의 소리를 듣기 위한 이어폰을 각각 권취하기 위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사용자들의 급증과 연령의 다양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판매 및 보급되어 사용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깨끗한 통화 및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잭을 선택된 기기와 연결하고, 코드의 타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꽂아 사용한다.
따라서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를 소정의 길이만큼 하우징에서 인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었다. 통상적으로 코드를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 또는 릴에 권취하고 사용시에는 코드를 잡아 당겨서 풀어 사용하는코드 권취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목걸이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걸이줄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상기 목걸이줄의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줄 권취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코드 권취 장치와 목걸이줄 권취 장치가 휴대폰 또는 MP3 등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에는 차지하는 부피가 크고, 사용이 불편하며, 미관상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드 권취 장치와 목걸이줄 권취 장치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으나 코드 권취 장치나 목걸이줄 권취 장치 중 어느 하나만 필요한 경우에도 일체로 구성되는 상기 코드 권취 장치 및 목걸이줄 권취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줄과 코드를 동시에 권취하며 서로 착탈이 가능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목걸이줄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목걸이줄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c-c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하우징 110 : 제1 케이스
136 : 탄성 걸림턱 138 : 연결부
139 : 걸림홈 140 : 제2하우징
142 : 제2타원형판 160 : 제1 중심축
170 : 제1 보빈 174 : 권취홈
176 : 제3중심축 삽입공 188 : 제1지지바
190 : 제2지지바 200 : 제1 나선 스프링
210 : 캡 230 : 목걸이줄
300 : 제3 케이스 311 : 연결가이드
313 : 돌출부 360 : 스톱레버
370 : 코일 스프링 380 : 캠
400 : 제4 케이스 440 : 수납케이스
500 : 제2 보빈 518 : 걸림턱
600 : 제2 중심축 650 : 제2 나선 스프링
660 : 코드 662 : 이어폰
664 : 연결잭 700 : 제2 하우징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이어폰을 자동 권취하는 이어폰 권취기 및 외측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목걸이줄을 자동 권취하는 목걸이줄 권취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목걸이줄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크게 목걸이줄 권취기와 이어폰 코드 권취기로 구성된다. 상기 목걸이줄 권취기와 이어폰 코드 권취기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경우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목걸이줄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목걸이줄 권취기는 제1 하우징(100), 제1 보빈(170), 제1 나선스프링(200), 목걸이줄(230), 제1 중심축(160) 및 캡(210)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00)은 제1 케이스(110)아 제2 케이스(140)로 구성된다.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40)는 각각 제1 타원형판(112) 및 제2 타원형판(142)으로 구성된다. 제1 타원형판(112) 및 제2 타원형판(142)은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6) 및 제2 중심축 삽입공(146)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타원형판(112) 및 제2 타원형판(14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116) 및 제2 측벽(146)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타원형판(112)의 장축 방향의 일측단에 위치한 제1 측벽(114)에는 제1 홈(128) 및 제2 홈(129)이 형성된다. 제1 홈(128) 및 제2 홈(129)이 형성된 부위의 제1 타원형판(112)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제1 측벽(114)이 연장된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반원 형태의 제1 오목부(130)가 형성된다. 제1 타원형판(112)의 장축 방향의 타측단에 위치한 제1 측벽(114)에는 소정 폭을 가지는 제3 홈(132)이 형성된다.
제2 타원형판(142)의 장축 방향의 일측단에 위치한 제2 측벽(144)에는 제4 홈(152) 및 제5 홈(153)이 형성된다. 제4 홈(152) 및 제5 홈(153)이 형성된 부위의 제2 타원형판(142)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제2 측벽(144)이 연장된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반원 형태의 제2 오목부(150)가 형성된다. 제2 타원형판(142)의 장축 방향의 타측단에 위치한 제2 측벽(144)에는 소정 폭을 가지는 제6 홈(156)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홈(128)과 제4 홈(152), 제2 홈(129)과 제5 홈(153), 제1 오목부(130)와 제2 오목부(150) 및 제3 홈(132)과 제6 홈(156)은 각각 서로 대응한다.
제3 홈(132)에서 제1 타원형판(1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134)이형성된다. 제6 홈(156)에는 핀(134)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핀(134)이 삽입되기 위함 삽입홈(154)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타원형판(112)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6)을 중심으로 제1 캡(212)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홈(126)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타원형판(142)에는 제2 중심축 삽입공(146)을 중심으로 제2 캡(216)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홈(14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홈(126) 및 제2 연결홈(148)은 제1 캡(212) 및 제2 캡(216)을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심축 삽입공(116)을 중심으로 'U'자 형태의 긴 관통공(124)이 형성되어 제1 타원형판(112)을 내측부(118)와 외측부(120)로 구분한다. 관통공(124)은 제1 연결홈(126)이 형성된 위치보다 안쪽에 형성된다. 관통공(124)의 안쪽에 위치한 내측부(118)는 제1 타원형판(112)을 기준으로 탄성력에 의해 제1 타원형판(112)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제1 타원형판(112)의 외측부(120)의 외측면에는 제1 타원형판(112)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부(118)의 양측으로 연결부(138)가 각각 형성된다. 연결부(138)는 제1 타원형판(112)의 외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에서 다시 상기 연장된 부분에 수직하며 제1 타원형판(11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시 연장된다. 즉 연결부(138)는 길이가 긴 두 개의 직사각형 판이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된 모양으로 길이가 긴 'L'자 형태를 갖는다. 연결부(138)에서 제1 타원형판(112)과 연결되지 않은 부위, 즉 제1 타원형판(112)과 평행한 부위의 외측면에는 걸림홈(139)이 형성된다. 걸림홈(139)은 제1 타원형판(112)에서 제1 홈(128) 및 제2 홈(129)이 형성된 부위의 가깝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측부(118)에는 제1 타원형판(112)의 장축 방향으로 제1 중심축 삽입공(116)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관통홈에 의해 제1 중심축 삽입공(116)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핀 클러치(122)가 형성된다.
제1 타원형판(112)의 내측부(118)의 내측면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6)의 주위에 탄성 걸림턱(136)이 형성된다. 탄성 걸림턱(136)은 제1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통과시키고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1 케이스(110)의 제1 측벽(114)과 제2 케이스(140)의 제2 측벽(144)의 종단면이 서로 면접하여 이루는 측벽과 타원형판(112, 142)들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홈(128) 및 제2 홈(129)과 제4 홈(152) 및 제5 홈(153)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를 형성하고, 제3 홈(132)과 제6 홈(156)도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제3 개구부(108)를 형성한다. 제1 오목부(130) 및 제2 오목부(150)도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오목부(106)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를 통하여 목걸이줄(230)이 출입되며,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 사이에 형성된 제1 하우징(100)에 의해 목걸이줄(230)이 제1하우징(100) 내부로 모두 들어가지 않고 걸리게 된다. 오목부(106)는 손가락의 끝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를 통해 출입되는 목걸이줄(230)을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기가 용이하다. 제3 개구부(108)에 형성된 핀(134)에는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 등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제3 개구부(108)는 제1 하우징(100)을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40)로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제1 보빈(170)에는 외주면을 따라 목걸이줄(230)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빈(170)의 중앙 부위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빈(170)은 제1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제2 케이스(14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 2면을 가진다.
상기 제1 면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176)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외측홈(184)이 형성된다. 외측홈(184)의 저면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176)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동일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출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172)의 높이는 외측홈(184)의 깊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72)는 탄성 걸림턱(136)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 보빈(170)이 제1 케이스(11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1 보빈(170)이 제1 케이스(11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172)가 탄성 걸림턱(136)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176)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내측홈(186)이 형성된다. 내측홈(186)은 제1 나선스프링(200)의 폭보다 깊도록 형성되어 제1 나선스프링(20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홈(186)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바(188) 및 제2 지지바(190)가 형성된다. 제1 지지바(188) 및 제2 지지바(190)는 각각 제2 원형홈(184)의 내벽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2 원형홈(184)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2 면과 내측홈(186)의 내벽에 걸쳐 제1 슬릿(178) 및 제2 슬릿(180)이 형성된다. 제1 슬릿(178) 및 제2 슬릿(180)은 서로 18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1 슬릿(178) 및 제2 슬릿(180)과 각각 90도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 2면과 내측홈(186)의 내벽에 걸쳐 제3 슬릿(182)이 형성된다.
목걸이줄(230)은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편편한 형태의 줄이다. 목걸이줄(230)의 제1 마디(232)와 제2 마디(234)는 고정을 위하여 상기 일정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즉, 목걸이줄(230)의 제1 마디(232) 및 제2 마디(234)는 상기 내벽과 제1 지지바(188) 및 상기 내벽과 제2 지지바(190) 사이에 걸릴 각각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목걸이줄(230)의 제1 마디(232) 및 제2 마디(234)는 열에 의해 단부가 녹아 붙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걸이줄(230)의 일측단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개구부(102)를 통하여 제1 보빈(170)에 인입되고 제1 슬릿(178)을 통하여 내측홈(186)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 마디(232)가 제1 지지바(188)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된다. 목걸이줄(230)의 타측단은 제1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4)를 통하여 제1 보빈(170)에 인입되고제2 슬릿(180)을 통하여 내측홈(186)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2 마디(234)가 제2 지지바(190)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걸이줄(230)은 제1 보빈(170)의 권취홈(174)에 감겨진다.
한편, 목걸이줄(230)의 제1 마디(232)와 제2 마디(234)는 내측홈(186)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180도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제1 보빈(170)의 회전에 의해 목걸이줄(230)이 권취홈(174)을 따라 감겨질 때 어느 한쪽의 마디(232, 234)와 연결된 목걸이줄(230)이 제1 보빈(170)의 1/2회전하는 길이만큼 더 감겨지게 된다.
목걸이줄(230)이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걸이줄(23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힘에 의해 목걸이줄(230)이 고정된 부분에도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힘에 의해 제1 지지바(188)와 내측홈(186)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되면서 목걸이줄(230)의 제1 마디(232)가 빠져나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힘에 의해 제2 지지바(190)와 내측홈(186)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되면서 목걸이줄(230)의 제2 마디(234)가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목걸이줄(230)의 고정이 해제된다. 목걸이줄(230)은 제1 마디(232)와 제2 마디(234)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마디(232)와 제2 마디(234) 중 어느 하나의 고정이 해제되거나 제1 마디(232)와 제2 마디(234)의 고정이 동시에 해제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1 나선스프링(200)은 내측홈(186)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제1 나선스프링(200)의 내측단(204)은 제1 중심축(160)의 홈(166)에 끼워져 고정되고,외측단(202)은 제3 슬릿(18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나선스프링(200)은 제1 보빈(170)이 제1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중심축(16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제1 중심축(160)은 축머리(162)가 제1 케이스(110)의 제1 중심축 삽입공(116)에 끼워진다. 제1 중심축(160)은 삽입된 축머리(162)의 구조에 의해 제1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제1 중심축(16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핀 클러치(122)에 의해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제1 중심축(160)은 제1 보빈(170)의 제3 중심축 삽입공(176)을 관통하여 지난다. 제1 중심축(160)의 축꼬리(164)는 축방향을 따라 홈(166)이 형성되어 있고, 홈(166)에 제1 나선스프링(200)의 내측단(204)이 끼워진다. 제1 중심축(160)이 제1 하우징(100)에 조립되면 제1 중심축(160)의 축꼬리(164)는 제2 케이스(140)의 제2 중심축 삽입공(146)을 지나 제2 케이스(14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캡(210)은 제1 캡(212)과 제2 캡(216)으로 구성된다. 제1 캡(212) 및 제2 캡(216)의 내측면에는 제1 연결홈(126) 및 제2 연결홈(148)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돌출부(214) 및 제2 돌출부(218)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케이스(110)의 외측면과 제2 케이스(140)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2 캡(212)의 내측면은 제1 중심축(160)의 축꼬리(164)와 접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목걸이줄 권취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9에서와 같이 최초 상태에서 목걸이줄(230)은 제1 보빈(170)의 권취홈(174)에 감겨진 상태로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를 통해 제1 하우징(100)의 외부에 걸려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0) 외부에 걸려진 목걸이줄(230)을 잡아당기면, 제1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제1 보빈(17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보빈(170)의 돌출부(172)의 경사면과 제1 케이스(110)의 탄성 걸림턱(136)의 경사면이 서로 만나게 된다. 따라서 목걸이줄(230)이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 계속 인출되면서 제1 보빈(170)이 정지하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나선스프링(200)의 내측단(204)이 고정된 제1 중심축(160)은 핀 클러치(122)의 작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제1 보빈(17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외측단(202)이 제1 보빈(170)에 고정된 제1 나선스프링(200)은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중심축(160)에 감기게 된다.
이후 목걸이줄(230)을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제1 보빈(170)은 제1 나선스프링(200)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보빈(17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보빈(170)의 돌출부(172)와 제1 케이스(110)의 탄성 걸림턱(136)은 서로 수직면이 만나게 되어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제1 보빈(170)의 회전은 탄성 걸림턱(136)에 의해 정지된다. 이때 제1중심축(160)은 제1 나선스프링(20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핀 클러치(12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도 8에서와 같이 목걸이줄(230)을 다시 제1 보빈(170)의 권취홈(174)에 감기 위해서는 제2 캡(216)을 누른다. 제2 캡(216)을 누르면 제2 캡(216)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있는 제1 중심축(160)의 축꼬리(164)를 눌려지게 된다. 눌려진 제1 중심축(160)은 제1 보빈(170)의 제3 중심축 삽입공(176)을 통하여 제2 케이스(140)으로부터 제1 케이스(11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중심축(160)은 제1 케이스(110)의 제1 타원형판(112)의 내측부(118)를 밀게 된다. 내측부(118)가 밀리면서 내측부(118)의 내측면의 탄성 걸림턱(136)과 제1 보빈(170)의 돌출부(17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정지되었던 제1 보빈(170)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목걸이줄(230)이 권취홈(174)에 감겨진다. 이때 목걸이줄(230)은 제1 개구부(102) 및 제2 개구부(104)에 걸릴 때까지 제1 보빈(170)의 권취홈(174)에 감겨진다.
목걸이줄(230)이 제1 보빈(170)의 권취홈(174)에 감겨지는 도중에 제2 캡(21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1 중심축(160)에 의해 밀려졌던 제1 케이스(110)의 제1 타원형판(112)의 내측부(118)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제1 케이스(110)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제1 중심축(160)도 제2 케이스(1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부(118)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내측면의 탄성 걸림턱(136)과 제1 보빈(170)의 돌출부(172)가 다시 맞물리게 되고, 제1 보빈(170)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멈추고정지하게 된다.
목걸이줄 권치 장치의 사용시에는 우선, 제1 하우징(100)을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오목부(106)의 목걸이줄(230)을 잡아 당겨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목걸이줄(230)을 목에 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인출한다. 인출된 목걸이줄(230)을 목에 건 상태에서 목걸이줄(230)이 긴 경우에는 제2 캡(216)을 눌러 목걸이줄(230)을 제1 보빈(170)에 권취하여 인출된 목걸이줄(230)의 길이를 짧게 한다. 목걸이줄(230)이 짧은 경우에는 목걸이줄(230)이 목에 걸린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0)을 잡아당겨 목걸이줄(230)을 더 인출하여 목걸이줄(230)의 길이를 늘인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을 잡아당기고 제2 캡(216)을 누르는 것을 반복하여 알맞은 목걸이줄(230)의 길이를 조정한다.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줄 권취 장치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목걸이줄(230)이 당겨지거나, 혹은 부주의하여 이동 중인 자동차, 버스, 오토바이 및 지하철 등에 상기 목걸이줄(230)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당겨지는 힘에 의해 목걸이줄(230)이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된다. 목걸이줄(230)이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더 힘이 가해지면 목걸이줄(230)이 제1 지지바(188)와 내측홈(186)의 내벽 사이 또는 제2 지지바(190)와 내측홈(186)의 내벽사이에서 빠져나오면서 고정이 해제된다. 목걸이줄(23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도 10에서와 같이 목걸이줄(230)이 제1 보빈(170)과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목걸이줄 권취 장치를 분해한 후, 고정이 해제된 목걸이줄(230)의 제1마디(232) 및 제2 마디(234)를 각각 제1 지지바(188)와 내측홈(186)의 내벽 사이 및 제2 지지바(190)와 내측홈(186)의 내벽 사이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줄 권취 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제2 하우징(700), 제2 보빈(500), 제2 나선스프링(650), 제2 중심축(600), 스톱레버(160), 코일 스프링(170), 캠(180), 수납케이스(240) 및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700)은 제3 케이스(300)과 제4 케이스(400)으로 구성된다. 제3 케이스(300) 및 제4 케이스(400)은 각각 제1 반원판(310) 및 제2 반원판(410)으로 구성된다. 제1 반원판(310) 및 제2 반원판(410)은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중심축 삽입공(312) 및 제2 중심축 삽입공(412)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310) 및 제2 반원판(41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320) 및 제2 측벽(42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3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1 측벽(320)에는 제1 홈(322) 및 제2 홈(3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4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420)에도 제3 홈(422) 및 제4 홈(4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410)의 곡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420)에는 제5 홈(426)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홈(322)과 제3 홈(422) 및 제2 홈(324)과 제4 홈(42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반원판(3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1 반원판(3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11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4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2 반원판(4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핀(116)과 결합홈(214)은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3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반원판(3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3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1 캡(33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홈(3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원판(310)의 모서리에는 제3 캡(340)을 연결하기 위한 제3 고정홈(31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410)에는 제2 중심축 삽입공(4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2 캡(43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홈(4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318) 및 제2 고정홈(419)은 제1 캡(330) 및 제2 캡(430)을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원판(3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312)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관통홈에 의해 제1 중심축 삽입공(312)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핀 클러치(114)가 형성된다.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에는 제1 반원판(310)의 수직 부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중심축 삽입공(312)의 양측으로 연결가이드(311)가 형성된다. 연결가이드(311)는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에서 다시 상기 연장된 부분에 수직하며 제1 중심축 삽입공(312)이 형성된 방향으로 다시 연장된다. 연결가이드(311)는 길이가 긴 두 개의 직사각형 판이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된 모양으로 길이가 긴 'L'자 형태를 갖는다. 연결가이드(311)가 형성된 부위의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에는 돌출부(313)가 형성된다. 돌출부(313)는 제1 반원판(310)의 직선 부위와 가깝도록 형성된다.
연결가이드(311)의 형태는 제1 케이스(110)의 연결부(138)의 형태와 대응하고, 연결가이드(311)와 연결부(138)는 결합된다. 연결부(138)의 걸림홈(139)에 돌출부(313)가 끼워지므로, 연결가이드(311)와 연결부(138)는 더욱 단단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결합된다. 또한 연결가이드(311)와 연결부(138)를 분리함으로써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착탈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연결부(138)와 연결가이드(311)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형태로 착탈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에 연결고리와 연결홈을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상기 연결고리가 삽입되는 형태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700)은 다양한 형태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00)의 제1 측벽(320)과 제4 케이스(400)의 제2 측벽(420)의 종단면이 서로 면접하고, 결합핀(316)과 결합홈(414)이 결합된다. 이로써 측벽(320, 420)과 반원판(310, 410)들에 의해 제2 하우징(7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홈(322)과 제3 홈(422) 및 제2 홈(324)과 제4 홈(424)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1 개구부(710) 및 제2 개구부(720)를 형성한다. 제5 홈(426)은 제3 케이스(300)와 제4 케이스(400)의 결합에 의해 제3 개구부(730)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710)를 통하여 이어폰(662)과 연결되는 코드(660)가 출입되고, 제3 개구부(730)를 통하여 연결잭(664)과 연결되는 코드(660)가 출입된다. 제2 개구부(720)에는 수납케이스(440)가 고정된다.
도 9는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보빈(500)은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510) 과 제4 케이스(4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면(520) 을 갖는다. 제2 보빈(5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제1 면(510) 과 제2 면(520) 을 관통하여 제3 중심축 삽입공(5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빈(500)은 제1 면(510)과 제2 면(52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권취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면(5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5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의 삽입홈(514)이 형성된다. 제1 면(5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5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면(5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ring) 모양의 돌출부(516)가 형성된다. 돌출부(516)에는 돌출부(516)의 반지름 방향으로 즉, 제1 면(5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518)이 형성된다. 제1 면(510)과 삽입홈(514)의 측벽에 걸쳐 제1 걸림턱(518)이 형성된다.
돌출부(516)는 후술하는 스톱레버(36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2 보빈(500)이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2 보빈(500)이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516)가 스톱레버(36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520)에는 제2 보빈(500)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제2 권취홈(5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면(520) 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520) 에는 상기 제2 면(520) 의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태의 제2 슬릿(5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권취홈(53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은 제2 권취홈(54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보다 크다.
제2 중심축(600)은 일단부(610) 및 타단부(620)에 제3 및 제4 케이스(300, 400)과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제1 축홈(612) 및 제2 축홈(622)이 형성된다. 제2 중심축(600)은 일단부(610)가 제3 케이스(300)의 제1 중심축 삽입공(312)에 끼워진다. 제2 중심축(600)은 일단부(610)의 구조에 의해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제2 중심축(6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핀 클러치(314)에 의해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중심축(600)의 일단부(610)에는 축방향을 따라 걸림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430)에 제2나선스프링(650)의 내측단(610)이 끼워진다. 제2 중심축(600)은 제2 보빈(500)의 제3 중심축 삽입공(502)을 관통하여 지난다. 제2 중심축(600)의 타단부(620)는 제4 케이스(400)의 제2 중심축 삽입공(412)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2 보빈(500)은 제2 하우징(660) 내부의 공간에서 제2 중심축(60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제2 중심축(600)의 양단부(610, 620)가 제3 케이스(300) 및 제4 케이스(400)에 각각 결합될 때 제3 케이스(300) 및 제4 케이스(4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된다.
제1 캡(330)은 제1 고정핀(332)이 제1 고정홈(318)에 삽입되어 제3 케이스(300)의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 캡(3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1 돌기(334)는 제2 중심축(600)의 제1 축홈(612)에 끼워져 제2 중심축(600)을 고정한다.
제2 캡(430)은 제2 고정핀(432)이 제2 고정홈(419)에 삽입되어 제4 케이스(400)의 제2 반원판(4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캡(4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2 돌기(434)는 제2 중심축(600)의 제2 축홈(4412)에 끼워져 제2 중심축(600)을 고정한다. 제1 캡(330) 및 제2 캡(430)은 제2 중심축(600)을 고정하고, 제2 하우징(660)의 미관을 좋게 한다.
제3 캡(340)은 제3 고정홈(319)에 삽입되어 제3 케이스(300)의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3 캡(340)은 제1 반원판(3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미관을 더욱 유려하게 한다.
수납 케이스(440)는 이어폰(66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442), 고정부(444) 및 지지부(446)로 구성된다.
몸체(442)는 이어폰(662)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사각 상자 형태를 가진다. 몸체(442)의 저면은 이어폰(662)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형상을 갖는다. 몸체(442)의 내부 형상은 이어폰(662)의 외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46)는 몸체(442)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몸체(442)에 수납되는 이어폰(662)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고정부(444)는 몸체(44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개구부(720)에 제3 케이스(300)와 제4 케이스(40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수납 케이스(440)에 이어폰(662)이 고정되므로, 제2 하우징(660)의 외부에 위치한 이어폰(662)이 흔들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드(660)는 일부분이 제1 권취홈(530)에 묶인 상태로 고정된다. 코드(660)로부터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1 권취홈(530)에 권취되고 제1 개구부(710)를 지나 이어폰(662)과 연결된다. 코드(660)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 슬릿(522)을 통해 제2 권취홈(540)에 권취되고 제3 개구부(730)를 지나 연결잭(664)과 연결된다. 연장된 코드(660)의 양단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긴다. 즉 이어폰(662)과 연결된 코드(660)는 큰 회전축을 가지는 제1 권취홈(530)에 빠른 속도로 감기고, 연결잭(664)과 연결된 코드(660)는 작은 회전축을 가지는 제2 권취홈(540)에 느린 속도로 감긴다.
제1 권취홈(530)에 감겨진 코드(660)는 이어폰(662)과 연결된 코드(66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제2 하우징(660)이 외부로 인출되고, 제2 나선스프링(65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보빈(500)의 제1 권취홈(530)에 감겨진다. 제2 권취홈(540)에 감겨진 코드(660)는 이어폰(662)과 연결된 코드(66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제2 하우징(660)의 내부에서 제2 권취홈(540)으로부터 풀려지고, 제2 나선스프링(65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제2 권취홈(540)에 감겨진다. 연결잭(664)과 연결된 코드(660)는 제2 하우징(660) 내에서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므로 제2 하우징(660) 외부로 노출된 연결잭(664)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나선스프링(650)은 상기 제1 면(510) 의 삽입홈(514)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제2 나선스프링(650)의 내측단(610)은 제2 중심축(600)의 걸림홈(6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620)은 제1 걸림턱(518)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나선스프링(650)은 제2 보빈(500)이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중심축(60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 11은 도 1의 c-c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톱레버(360)는 제1 슬라이드부(361), 레버(362), 돌출부(363), 제2 슬라이드부(364) 및 롤러(365)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부(361)는 제1 홈(322)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홈(317) 및 상기 제1 가이드홈(317)에 결합되는 가이드(350)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홈(317) 및 가이드(15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레버(362)는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361)와 수직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36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보빈(500)의 제1 면(510)에 형성된 걸림턱(518)과 맞물린다. 레버(362)의 일측 단부는 걸림턱(518)과 보다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해 일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된다. 레버(362)는 걸림턱(518)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2 보빈(500)이 제3 케이스(3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2 보빈(500)이 제3 케이스(3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걸림턱(518)이 레버(362)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돌출부(363)는 레버(362)를 기준으로 제1 슬라이드부(36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362)로부터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슬라이드부(364)는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버(362)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제4 케이스(400)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415) 삽입된다. 제2 슬라이드부(364)도 제2 가이드홈(415)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롤러(365)는 관 형태로 제2 슬라이드부(364)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롤러(365)는 제2 슬라이드부(364)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코드(660)의 인출과 권취를 부드럽게 한다.
코일 스프링(370)은 일측 단부가 돌출부(363)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1 측벽(320)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스톱레버(360)는 코일 스프링(370)에 의해 항상 우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레버(362)가 걸림턱(518)에 맞물리는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코드(66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2 슬라이드부(364)에 코드(660) 장력이 인가되어 스톱레버(360)가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레버(362)와 걸림턱(518)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코드(660) 장력이 해소되면 코일 스프링(370)에 의해 스톱레버(360)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복원되게 된다.
캠(380)은 제3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홈(382) 및 제1 가이드홈(31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캠홈(382) 내에서 회전 운동하는 핀(384)을 포함한다. 캠홈(382)은 오목 위치와 볼록 위치를 갖는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어폰 코드 권취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어폰(662)과 연결된 코드가 제2 하우징(660)의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 중인 정지상태에서 코드(66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36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상부의 캠홈(382)을 따라 이동한다. 코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36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384)은 B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C 위치에서 스톱레버(360)의 레버(362)와 걸림턱(518)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나선스프링(65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보빈(5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코드(660)는 제1 권취홈(530)과 제2 권취홈(540)에 각각 감겨진다.
코드(660)가 제2 보빈(500)에 감져진 해제 상태에서 이어폰(662)에 연결된 코드(66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360)가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나선스프링(650)은 제2 중심축(600)에 감겨지고, 제2 권취홈(540)에 감겨있던 코드(660)는 제2 하우징(66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제4 케이스(400)의 내측면과 제2 보빈(500)의 제2 면(52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풀려진다.(도 10 참조) 핀(384)은 C 위치에서 D 위치까지 이동한다. 코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360)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384)은 D 위치에서 하부의 캠홈(382)을 따라 A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A 위치에서 스톱레버(360)의 레버(362)와 걸림턱(518)의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662)이 연결된 코드(660)를 한번 잡아당기면, 정지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해제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별도의 정지/해제 버튼 구조없이 코드(660)를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해 정지 및 해제동작의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목걸이줄 권취기는 제1 보빈에 고정된 목걸이줄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보빈과 목걸이줄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목걸이줄에 강한 힘에 작용하여 사용자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기는 별도의 해제버튼의 조작없이 코드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스톱레버가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코드 권취 및 권취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하트형 캠 동작에 의해 권취 해제와 권취 정지가 확실하게 동작되므로 고장이 적고 부드럽게 동작된다.
또한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목걸이줄 권취기와 이어폰 코드 권취기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결합하여 목걸이줄 권취기 및 이어폰 코드 권취기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목걸이줄 권취기만 사용하거나 이어폰 코드 권취기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이어폰을 자동 권취하는 이어폰 권취기; 및외측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목걸이줄을 자동 권취하는 목걸이줄 권취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권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권취기는 무접점 줄당김 작동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폰 권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1667U KR200336961Y1 (ko) | 2003-10-08 | 2003-10-08 |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1667U KR200336961Y1 (ko) | 2003-10-08 | 2003-10-08 |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6961Y1 true KR200336961Y1 (ko) | 2003-12-31 |
Family
ID=4942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1667U KR200336961Y1 (ko) | 2003-10-08 | 2003-10-08 |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6961Y1 (ko) |
-
2003
- 2003-10-08 KR KR20-2003-0031667U patent/KR2003369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97466U (ja) | コード収納プーリーを具えたコードリール | |
US8793842B2 (en) | Cord management sleeve | |
JP6055835B2 (ja) | ユーザ装着式ヘッドホンの収納リ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る携帯機器用ケース | |
US6736346B1 (en) | Apparatus for winding cord | |
US20050098405A1 (en) |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 |
US6962306B2 (en) | Units for storing flexible elongated objects | |
US20060243845A1 (en) |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 |
KR101001510B1 (ko) | 분리형 이어폰 와이어 권취롤 | |
US6305632B1 (en) |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 |
US20070251786A1 (en) |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 |
KR200336961Y1 (ko) |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
KR101321007B1 (ko) | 이어폰 케이블 감김 장치 및 감는 방법 | |
KR101147853B1 (ko) |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 |
KR200336095Y1 (ko) | 이어폰 권취 장치 | |
KR200336960Y1 (ko) |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
KR200440626Y1 (ko) | 전선 정리 장치 | |
KR20090003689A (ko) | 이어폰 수납장치 | |
WO2010078618A1 (en) | Cable organiser | |
KR200342206Y1 (ko) | 귀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
KR100948206B1 (ko) | 권취장치 | |
JP6832544B2 (ja) | イヤホンコード絡まり防止具 | |
JP2017199889A (ja) | コードケース | |
KR200355142Y1 (ko) |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 |
KR200420542Y1 (ko) |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 |
KR200420804Y1 (ko) |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