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206B1 -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206B1
KR100948206B1 KR1020070119121A KR20070119121A KR100948206B1 KR 100948206 B1 KR100948206 B1 KR 100948206B1 KR 1020070119121 A KR1020070119121 A KR 1020070119121A KR 20070119121 A KR20070119121 A KR 20070119121A KR 100948206 B1 KR100948206 B1 KR 10094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iven
gear
case
wind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559A (ko
Inventor
이형춘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Priority to KR10200701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권취장치 케이스 내부에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신축부재를 신속히 인출 및 되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권취장치의 슬림화된 제품디자인 또는 구형태로 제품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도록 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중심축에 조립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귄취드럼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귄취드럼에 고정 설치되는 태엽과, 상기 권취드럼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그 외주연으로 감겨져 보관되었다가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권취드럼의 감김 및 풀림을 단속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회전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전수단 일측에는 상기 구동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풀림 및 감김 회전되는 종동권취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외주연에 감김 방향으로 감겨져 보관되어 있고;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일측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수단 및 종동권취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권취장치, 구동회전수단, 종동권취수단, 신축부재, 태엽, 구동기어, 종동기어, 중간기어

Description

권취장치{wind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권취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20 ; 케이스 21 ; 커버
22 ; 축지지구멍 23 ; 슬라이드홈
24 ; 노브안착부 25 ; 노브
26 ; 걸림구 27 ; 핀구멍
28 ; 안내핀 29,194 ; 코일스프링
30 ; 신축부재 31 ; 안내돌기
40,140 ; 권취드럼 50,151 ; 태엽
60,160 ; 구동회전수단 61,161 ; 구동중심축
62 ; 기어부 63,163 ; 구동기어
64 ; 축구멍 70,170 ; 종동권취수단
71,171 ; 종동중심축 72,172 ; 종동기어
173 ; 중간기어 80,180 ; 제동장치
190 ; 걸림부재 191 ; 걸림돌부
192 ; 단턱 193 ; 꽂이부
본 발명은 가늘고 긴 와이어나 테이프 형태의 플랙시블한 줄이나 끈 등으로 되는 신축부재가 감겨지는 권취드럼으로부터 신축부재가 인출된 다음 자동적으로 감겨지도록 이루어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그 내부가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권취장치 케이스 내부에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권취드럼으로부터 신속히 인출하여 사용한 다음 자동으로 되감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권취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태 로 이루어진 와이어, 테이프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부재(1)를 케이스(2) 내부에 수납되어 중심축(2a)에 회전가능하게 있는 권취드럼(3) 외주연에 감아 보관하였다가 상기 신축부재(1)를 잡아당겨 상기 케이스(2)의 슬롯(4)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신축부재(1)를 인출하여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권취드럼(3) 내측에 구비된 나선형스프링(spiral spring; 5, 이하 "태엽"이라 함.)에 탄성이 축척되므로서 다시 상기 신축부재(1)가 상기 권취드럼(3)에 자동적으로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출된 상태의 상기 신축부재(1)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감기지 않도록 권취드럼(3)의 일측에 별도의 제동장치(6)가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이 제동장치(6)로서 상기 권취드럼(3)의 회전을 단속하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1)를 다 사용한 후에는 상기 제동장치(6)를 풀림 해제시키면 상기 태엽(5)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3)이 감김 방향으로 역회전되므로서 인출되었던 상기 신축부재(1)가 상기 권취드럼(3)에 자동적으로 감겨져서 보관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권취장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분야 및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이며, 그 길이 또한 측정 길이별로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고 그 크기도 다양하다.
또한, 상기 권취장치의 다른 용도로는 가전 제품에 사용되는 전선 등을 감아 보관할 때 상기와 같은 권취드럼에 감아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제품이나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권취장치는 권취드럼을 감김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태엽이 권취드럼의 중앙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고, 권취드럼의 외주연으로 상기 신축부재를 감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 부재는 동일한 길이를 감더라도 신축부재의 소재나 종류에 따라 권취드럼의 감김 공간을 신축부재를 감을 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길이가 긴 신축 부재를 많이 감는 경우에는 권취드럼의 외곽의 공간도 함께 커지게 되므로 권취장치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권취장치에 신축부재가 많이 감겨지는 경우에는 권취장치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비례적으로 커질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태엽 또한 상기 권취장치에 감겨진 상기 신축부재를 다시 감기 위하여 더 큰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태엽이 요구되므로서 태엽의 설계상 감김 회수가 증가하게 되고, 탄성력이 더 높은 소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제작상 비효율적이고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길이가 짧은 신축부재가 감겨지는 권취장치의 경우에는 휴대하기 좋은 작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였으나, 길이가 긴 신축부재를 감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권취장치의 크기가 대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권취장치를 휴대하고 다닐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휴대용 권취장치의 경우에도 태엽이 상기 권취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한 형태가 일반적이어서 더욱 컴팩트한 권취장치를 제작하기가 어려워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슬림한 형태나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 용 제품을 디자인하는데 설계 제작상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기가 컴팩트 하여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권취장치 케이스 내부에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신축부재를 신속히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 사용한 다음에는 자동으로 되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권취장치의 내부 구성부품의 배열을 가로 배열로 구성하여 상기 권취장치의 슬림화된 제품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권취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권취장치의 내부 구성부품의 배열을 적층 구조로 배열로 구성하여 상기 권취장치의 외관을 구(球) 형태의 제품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면서도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 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측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중심축에 조립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귄취드럼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어 내측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귄취드럼에 고정되는 태엽과, 상기 권취드럼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그 외주연으로 감겨져 있다가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권취드럼의 감김 및 풀림을 단속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회전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전수단 일측에는 상기 구동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풀림 및 감김 회전되는 종동권취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외주연에 감김 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일측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수단 및 종동권취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회전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구동중심축이 마련되어 이 구동중심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태엽은 상기 구동기어 내측 공간에 수납되어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에 고정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 측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권취수단은 상기 구동중심축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간격의 위치에 종동중심축이 마련되어 이 종동중심축에 상기 권취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그 외주연으로 상기 신축부재가 감겨지며, 상기 권취드럼의 상측에는 상기 종동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동장치에 걸려 감김 및 풀림 회전이 단속되기 위한 다수의 걸림돌기가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슬림 형태의 권취장치는 상기 케이스는 두께가 얇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 상기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구동중심축과 상기 종동중심축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중심축에는 상기 태엽과 구동기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상기 구동기어는 그 하부에 돌출형성된 보스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권취드럼과 종동기어는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종동중심축에 조립되되,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이 커버에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돌기와 걸리도록 상기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커버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되고, 그 하부에 수직으로 걸림구가 돌출 형성된 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의 걸림구에는 측방향으로 안내핀이 끼워져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조 립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커버의 밑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에 지지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위치에서 이탈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 형태의 권취장치는 상기 케이스는 구(球)형태로 이루어져서 반구 형태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각각 나뉘어져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 중앙에는 상기 구동중심축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 중앙에는 종동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중심축에는 상기 태엽과 구동기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면이 커팅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상측에 상기 태엽이 수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일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며, 그 하측 내주연에는 내접기어부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종동기어는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종동중심축에 조립되되, 상기 권취드럼 상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내접기어부와 종동기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기어가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권취드럼 밑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동장치에 탄성적으로 걸려 회전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권취드럼의 걸림홈의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에 관통 형성되어 스프링탄지턱을 가진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는 상단부에 상기 권취드럼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 상기 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탄지턱에 탄발되게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가늘게 형성되다가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이 상기 관통구멍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꽂이부로 구성된 걸림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 저면에는 상기 꽂이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가 인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100)는 크기가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좁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20) 내부에 와이어 또는 테이프 형태의 신축부재(30)를 상기 권취드럼(40)에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30)를 상기 권취드럼(40)으로부터 신속히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 사용한 다음에는 인출되었을 때 축척된 태엽(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되는 상기 권취드럼(40)에 되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권취장치(100)는 상기 케이스(20)와 커버(21)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20)의 일측에는 슬롯(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상기 태엽(50)과 상기 권취드럼(40)이 각각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 구동회전수단(60) 및 종동권취수단(70)이 수평으로 배열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권취수단(70)에는 권취드럼(40)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제동장치(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20)는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로 원반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측이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21)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조립되어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 일측에는 두 개의 중심축이 적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한쪽은 구동중심축(61)이 되고, 다른 한쪽은 종동중심축(71)이 된다.
상기 구동회전수단(60)은 원반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외주연에는 기어부(62)가 형성된 구동기어(63)로 이루어진다.
이 구동기어(63)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태엽(50)이 수납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구동중심축(61)에 조립되는 축구멍(64)이 형성되어 그 하측 밑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20)의 바닥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스(65)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종동권취수단(70)은 상기 종동중심축(71)과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본실시예에서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중심축(71)의 상하단부는 상기 케이스(20)의 바닥과 상기 커버(21)의 표면에 형성된 축지지구멍(22)에 끼워져 조립되고, 그 상측에는 상기 구동기어(63)와 맞물려 회전되는 종동기어(72)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72)의 하부에는 상기 권취드럼(40)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권취드럼(40)의 상면은 약간 인입 형성되고 그 표면에 상기 종동기어(72)의 주변으로 다수의 걸림돌기(41)가 방사 형태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1)는 상기 신축부재(30)의 감김 방향으로 수직면(4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경사면(41b)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30)를 당기면 후술된 제동장치(80)의 걸림구(26)와 걸림 해제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권취드럼(4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권취드럼(40)의 상,하단부 외주연은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권취드럼(40)의 외면에 감기는 신축부재(30)가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고 잘 감기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수단(60) 및 종동권취수단(70)의 배열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기어(63)와 종동기어(72)가 상측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72)의 하측으로는 상기 권취드럼(40)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기어(63)의 하부으로 위치되어 겹치도록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중심축(61)과 상기 종동중심축(7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 두 축에 상기 구동기어(63)와 상기 종동기어(72)가 맞물리도록 설치됨으로써 그 하부에 상기 신축부재(30)를 감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40)의 외주연에 감기는 상기 신축부재(30) 길이가 많아 그 감겨진 부피가 커지더라도 권취드럼(40)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신축부재(30)를 제한된 길이 이상으로 감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63)와 종동기어(72)의 회전비는 설정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63)가 1 회전을 할 때 기준으로 상기 종동기어(72)는 상기 구동기어(63)에 대한 기어비에 따라 그 회전수가 증가하거나 감속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기어(63)와 종동기어(72)의 기어비를 1:1로 설정하면 상기 구동기어(63)의 회전수와 상기 종동기어(72)의 회전수가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태엽(50)의 감김 회전수와 비례하여 상기 권취드럼(40)이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63)와 종동기어(72)의 기어비를 1:2로 설정하면 상기 구동기어(63)가 1 회전할 때 상기 종동기어(72)는 2 회전하게 되므로 그 만큼 권취드럼(40)에 상기 신축부재(30)를 더 많이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3)와 종동기어(72)의 기어비를 1:3 이상으로 하게 설정하면 태엽(50)의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은 회전수 이내에서 권취드럼(40)에 신축부재(30)를 더욱 많이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동장치(80)는 상기 권취드럼(40)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21)에 슬라이드식으로 조작되도 록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40)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1)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21)에는 장공 형태로 인입되어 그 바닥 중앙에 슬라이드홈(23)이 형성된 노브안착부(24)가 형성되어, 이 노브안착부(24)에 노브(25)가 조립된다.
상기 노브(25)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노브안착부(24)보다 그 길이가 작게 형성되므로써 슬라이드식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23)에 관통하여 밑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돌기(41)에 걸리도록 걸림구(26)가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26)에는 측방향으로 핀구멍(27)이 형성되어 이 핀구멍(27)에 안내핀(28)이 끼워지고 그 외측으로 다시 코일스프링(29)이 끼워짐으로서 상기 노브(25)의 걸림구(26)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권취드럼(40)의 걸림돌기(41)로 부터 걸림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핀(28)의 단부는 상기 커버(21)의 밑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31)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된 권취장치(100)로부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케이스(2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상기 케이스(20)의 슬롯(20a)에 걸려 돌출되어 있는 상기 신축부재(30)의 단부를 잡고 잡아당기면 상기 권취드럼(40)이 회전되고, 이와 함께 종동 기어(72)가 상기 신축부재(30)의 감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롯(20a)을 통해 인출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40)의 걸림돌기(41)는 상기 노브(25)의 걸림구(26)에 걸린 상태이지만 상기 신축부재(3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29)의 힘을 이기면서 상기 걸림돌기(41)의 경사면을 따라 옆으로 상기 노브(25)의 걸림구(26)가 이동된다.
상기 걸림구(26)는 상기 안내핀(28)에 안내되면서 이동하여 걸림돌기(41)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권취드럼(40)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25)의 걸림구(26)가 하나의 상기 걸림돌기(41)를 통과하면 상기 걸림구(25)는 상기 안내핀(28)에 끼워져 있는 상기 코일스프링(29)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신축부재(30)를 당기지 않아 상기 권취드럼(40)이 감김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41)의 수직면(41a)이 상기 걸림구(26)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상기 신축부재(30)를 잡아당겨 인출하는 동안 상기 권취드럼(40)이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걸림구(26)가 상기 걸림돌기(41)의 경사면(41b)에 의해 반복적인 걸림 해제 동작하면서 상기 신축부재(30)가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종동기어(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63)가 함께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태엽(50)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태엽(50)은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61)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그 외측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상기 태엽(50)에는 점차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30)의 인출되는 길이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63)와 상기 종동기어(72)의 기어비가 1:3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구동기어(63)가 1회전 하는 동안 상기 종동기어(72)와 귄취드럼(40)은 3 회전 되므로서 상기 신축부재(30)를 많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은 상기 권취드럼(40)에 충분히 확보된 권취 공간에 많은 길이의 신축 부재(30)를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30)를 다시 감을 때는 상기 노브(25)를 일측으로 당기면 상기 걸림구(26)와 상기 걸림돌기(41)가 해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태엽(50)에 축척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태엽(50)이 역회전하게 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63)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기어(6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72)와 권취드럼(40)이 감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신축부재(30)가 권취드럼(40) 외주연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신축부재(30)를 인출할 때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기어(63)와 상기 종동기어(72)의 기어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63)가 1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72)는 3 회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신축부재(30)가 상기 권취드럼(40)에 신속하게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100)에 의하면 슬림화된 케이스(20)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권취드럼(40)에 감겨지는 상기 신축부재(30) 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30)를 인출하였다가 다시 되감더라도 상기 구동기어(63)와 상기 종동기어(72)의 기어비에 의하여 상기 권취드럼(40)의 신속한 회전력으로 길게 인출되었던 상기 신축부재(30)가 용이하게 되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는 두께가 얇은 슬림화 디자인을 갖는 케이스의 구성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권취장치의 외관을 구(球)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권취장치를 구 형태의 제품디자인으로 다양하게 구현하면서도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많이 감아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다른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200)는 그 외형이 구(球)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20)는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부품을 복층으로 적층하 여 구성하여 구 형태의 디자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각각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21) 및 하부케이스(122)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상기 구동회전수단(160)과 상기 종동권취수단(170)이 상하로 적층되어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구동회전수단(160)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121) 내부 중앙에는 상기 구동중심축(16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2)에도 상기 종동중심축(171)이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22)의 일측에는 상기 신축부재(130)의 인출 방향으로 상기 슬롯(1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21)에는 상기 태엽(150)과 상기 구동기어(163)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구동기어(163)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동기어(63)와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163)는 반구형의 상부케이스(121) 내부에 수납되기 위하여 상면 일부가 커팅된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상측으로 상기 태엽(15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그 상측에는 상기 태엽(150)이 설치되는데, 상기 태엽(150)의 내측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16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구동기어(163) 상면 일측에 돌출된 고정돌기(16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63)의 밑면은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그 내주연에 내접기어부(16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종동권취수단(170)으로서 상기 하부케이스(122)에는 상기 종동기 어(172)와 상기 권취드럼(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172)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63)의 내접기어부(165)와 연결하기 위한 중간기어(17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간기어(173)는 상기 구동기어(163)의 내접기어부(165)와 상기 종동기어(172)의 기어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종동기어(172)의 주위를 공전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6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종동기어(17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드럼(140)의 상,하단부 외주연은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140)의 외면에 감기는 상기 신축부재(130)가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고 잘 감기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수단(160) 및 종동권취수단(170)의 배열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태엽(50)과 상기 구동기어(163) 및 상기 종동기어(172)가 상기 상부케이스(121) 내에서 상,하로 적층 배열되고, 그 사이에 중간기어(173)가 맞물려서 연결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172)의 하측으로는 상기 하부케이스(122) 내에 상기 권취드럼(140)이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122)의 내부에 상기 권취드럼(14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130)를 감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140)의 외주연에 감기는 상기 신축부재(130)의 감기는 길이가 많아 그 감겨진 부피가 커지더라도 상기 권취드럼(140)에 상기 신축부 재(130)를 제한된 길이 이상으로 감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163)와 상기 종동기어(172)의 회전비는 설정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가 1회전을 할 때 기준으로 볼 때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에 대한 기어비에 따라 그 회전수가 증가하거나 증감될 수 있는 구성이며 이러한 원리는 상기한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작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권취드럼(140)의 밑면에는 상기한 실시예의 제동장치(80)와 같이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홈(141)이 방사 형태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제동장치(180)는 상기 걸림홈(14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22)의 바닥에 관통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스프링탄지턱(123)을 가진 관통구멍(124)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24)에는 걸림부재(190)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90)는 상단부에 상기 걸림홈(141)에 끼워지는 걸림돌부(1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부(191) 외측으로 코일스프링(124)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탄지턱(123)에 탄발되게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가늘고 형성되다가 단턱(192)을 이루어 그 단턱(192)이 상기 관통구멍(124)의 바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24)의 하단부는 굵고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꽂이부(19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동장치(200)는 상기 권취드럼(140)의 걸림홈(141)에 걸림돌부(125)가 탄지되어 있다가 상기 꽂이부(128)를 잡아당기면 상기 코일스프 링(126)의 힘을 이기면서 상기 걸림홈(14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권취드럼(14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90)의 꽂이부(193)은 필요에 따라 상기 권취장치(200)를 지면에 꽂은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재(130)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재(190)의 중간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꽂이부(193)가 꺽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90)의 꽂이부(193)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22)의 저면에 인입 형성된 수납부(195) 측으로 접어서 끼워 놓으면 권취장치(200) 휴대시 외부로 상기 꽂이부(193)가 돌출되지 않아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걸림부재(19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돌부(191)와 상기 꽂이부(193)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꽂이부(193)의 접힘 구조는 상기 하부케이스(122)에 힌지 결합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납부(195)측으로 절첩식으로 수납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된 권취장치(200)로부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케이스(12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상기 케이스(120)의 슬롯(122a)에 걸려 돌출되어 있는 상기신축부 재(30)의 단부를 잡고 잡아당기면 상기 권취드럼(140)이 회전되고, 이와 함께 종동기어(172)가 상기 신축부재(130)의 감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롯의 통해 인출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90)의 걸림돌부(191)는 상기 권취드럼(141)의 걸림홈에 탄지되어 걸려 있는 상태이지만 상기 상기 신축부재(3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코일스프링(124)의 힘을 이기게 되면서 상기 걸림돌부(191)가 상기 걸림홈(141)을 타고 넘으면서 상기 권취드럼(140)이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190)의 걸림돌부(191)가 하나의 상기 걸림홈(141)을 타고 넘게 되면 걸림돌부(191)는 상기 코일스프링(194)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다음의 걸림홈(141)에 끼워져 걸리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신축부재(30)를 당기지 않아 상기 권취드럼(140)이 감김 방향으로 역회전되더라도 상기 걸림돌부(191)가 상기 걸림홈(141)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상기 신축부재(130)를 잡아당겨 인출하는 동안에 상기 권취드럼(140)이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걸림돌부(191)가 걸림홈(141)과 반복적인 걸림 해제 동작하면서 상기 신축부재(130)가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종동기어(172)가 회전되면서 상기 권취드럼(140)도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상기 중간기어(173)는 상기 권취드럼(140)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종동기어(172)를 중심으로 그 주변을 공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중간기어(173)는 상기 종동기어(17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기어(173)는 상기 구동기어(163)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여 기서 상기 중간기어(173)는 상기 내접기어부(165)와 내접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기어(163)가 상기 중간기어(173)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구동기어(163)는 상기 종동기어(17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163)는 상기 구동중심축(161)을 중심으로 회전 회전됨에 따라 상기 태엽(150)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태엽(150)은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161)에 고정된 상태이고, 그 외측단부는 상기 고정돌기(164)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 외측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상기 태엽(150)에는 점차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130)의 인출되는 길이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163)와 종동기어(172)의 기어비가 예를 들어 1:3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구동기어(163)가 1회전 하는 동안 상기 귄취드럼(140)은 3회전 되므로서 상기 신축부재(130)를 많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은 상기 권취드럼(140)에 충분히 확보된 권취 공간에 많은 길이의 신축 부재를 감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축부재(130)를 다시 감을 때는 상기 걸림부재(190)를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걸림돌부(191)와 상기 걸림홈(141)이 해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태엽(150)에 축척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태엽(150)이 역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기어(163)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16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간기어(173)가 반대 방향으로 회 전하면 상기 종동기어(172)와 상기 권취드럼(140)이 감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신축부재(130)가 상기 권취드럼(140) 외주연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신축부재(130)를 인출할 때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기어(163)와 종동기어(172)의 기어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63)가 1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172)는 3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신축부재(130)가 상기 권취드럼(140)에 신속하게 권취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190)의 꽂이부(193)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수납부(195)에 접혀 보관하였다가 사용할 때에는 상기 꽂이부(193)를 펼쳐서 지면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꽂이부(193)에 의해 권취장치(20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신축부재(130)를 잡고 당기기만 하면 쉽게 인출된다.
상기 신축부재(130)를 다시 감기 위해서는 신축부재(130)를 느슨히 잡은 상태에서 지면에 꽂은 상태로 권취장치(200)를 살짝 들어 올리기만 하면 상기 걸림부재(190)의 걸림돌부(191)와 상기 걸림홈(141)이 걸림 해제된 상태이므로 신축부재(130)을 한손으로 용이하게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 의하면 구 형상의 케이스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지는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신축부재를 인출하였다가 다시 되감더라도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비에 의한 권취드럼의 신속한 회전력으로 길게 인출되었던 상기 신축부재가 용이하게 되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는 컴팩트한 크기의 구형 디자인을 갖는 케이스의 구성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권취장치 케이스 내부에 신축부재를 더 많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신축부재를 신속히 인출 및 되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권취장치의 슬림화된 제품디자인 또는 구(球) 형태로 제품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도록 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하며, 상기 신축부재의 사용상의 취급성이 매우 좋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일측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중심축에 조립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귄취드럼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어 그 내측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외측단부는 상기 귄취드럼에 고정되는 태엽과, 상기 권취드럼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그 외주연으로 감겨져 있다가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권취드럼의 감김 및 풀림을 단속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회전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전수단 일측에는 상기 구동회전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풀림 및 감김 회전되는 종동권취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외주연에 감겨져 보관되어 있고;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종동권취수단의 일측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수단 및 종동권취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구동중심축이 마련되어 이 구동중심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태엽은 상기 구동기어 내측 공간에 수납되어 그 내측 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에 고정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연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종동권취수단은 상기 구동중심축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간격의 위치에 종동중심축이 마련되어 이 종동중심축에 상기 권취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그 외주연으로 상기 신축부재가 감겨지며, 상기 권취드럼의 상측에는 상기 종동중심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동장치에 걸려 감김 및 풀림 회전이 단속되기 위한 다수의 걸림돌기가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슬림 형태를 이루도록 두께가 얇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 상기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구동중심축과 상기 종동중심축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중심축에는 상기 태엽과 구동기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상기 구동기어는 그 하부에 돌출형성된 보스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권취드럼과 종동기어는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종동중심축에 조립되되,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이 커버에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돌기와 걸리도록 상기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커버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되고, 그 하부에 수직으로 걸림구가 돌출 형성된 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노브의 걸림구에는 측방향으로 안내핀이 끼워져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조립되며, 그 끝단부는 상기 커버(21)의 밑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에 지지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위치에서 이탈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구(球)형태를 이루도록 반구 형태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각각 나뉘어져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 중앙에는 상기 구동중심축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 중앙에는 종동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중심축에는 상기 태엽과 구동기어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면이 커팅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상측에 상기 태엽이 수납되어 그 내측단부가 상기 구동중심축에 고정되고, 그 외측단부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며, 그 하측 내주연에는 내접기어부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종동중심축에 조립되되, 상기 권취드럼 상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내접기어부와 종동기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기어가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권취드럼 밑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동장치에 탄성적으로 걸려 회전이 단속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권취드럼의 걸림홈의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에 관통 형성되어 스프링탄지턱을 가진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는 상단부에 상기 권취드럼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 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탄지턱에 탄발되게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가늘게 형성되다가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이 상기 관통구멍의 바깥면에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꽂이부로 구성된 걸림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저면에는 상기 꽂이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가 인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KR1020070119121A 2007-11-21 2007-11-21 권취장치 KR10094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121A KR100948206B1 (ko) 2007-11-21 2007-11-21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121A KR100948206B1 (ko) 2007-11-21 2007-11-21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559A KR20090052559A (ko) 2009-05-26
KR100948206B1 true KR100948206B1 (ko) 2010-03-16

Family

ID=4086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121A KR100948206B1 (ko) 2007-11-21 2007-11-21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83Y1 (ko) * 2013-05-13 2017-07-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 풀림기
CN112758776B (zh) * 2021-01-20 2024-04-12 安徽省公共卫生临床中心(安徽省传染病医院) 一种心电图导线卷绕器
CN115037095B (zh) * 2022-06-09 2024-05-2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薄片组合式弹性直线展收驱动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535A (ko) * 1995-02-27 1998-07-15 레나토 로씨 릴에 연속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감는 방법 및 장치
US20040035971A1 (en) 2002-07-08 2004-02-26 Shin-Lin Li Deceleration device of a tape rule
KR100612726B1 (ko) 2006-03-21 2006-08-17 주식회사코메론 블레이드의 가속 방지를 위한 줄자
KR200437505Y1 (ko) 2007-10-05 2007-12-0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터 동력 수수되는 좌석벨트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535A (ko) * 1995-02-27 1998-07-15 레나토 로씨 릴에 연속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감는 방법 및 장치
US20040035971A1 (en) 2002-07-08 2004-02-26 Shin-Lin Li Deceleration device of a tape rule
KR100612726B1 (ko) 2006-03-21 2006-08-17 주식회사코메론 블레이드의 가속 방지를 위한 줄자
KR200437505Y1 (ko) 2007-10-05 2007-12-0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터 동력 수수되는 좌석벨트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559A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4901938A (en) Electrical cord retractor
JP4206426B1 (ja) 長尺状体巻取りリール装置
US6086007A (en) Viscously damped cord retract
CN104044962A (zh) 电缆牵引器
US20170013343A1 (en) Cable winding device
US9272876B2 (en) Cable retractor
KR100948206B1 (ko) 권취장치
KR20060115251A (ko) 진공청소기
US3409246A (en) Cord reel apparatus
TWI547429B (zh) 容置裝置
US6305632B1 (en)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US4489902A (en) Cord caddy
WO2022047700A1 (zh) 柔性显示装置
US8833690B2 (en) Wire-winding device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US2834078A (en) Cord storage device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JP2007099442A (ja) コード収納装置
JPS59161963A (ja) 電話機のコ−ド巻取り装置
KR200411957Y1 (ko) 줄넘기 손잡이
CN210393294U (zh) 一种移动按键收线器
JP2014233617A (ja) 自動傘地巻き取り傘
KR20110006615U (ko)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KR200345620Y1 (ko) 권선장치가 내장된 핸드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