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960Y1 -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960Y1
KR200336960Y1 KR20-2003-0031665U KR20030031665U KR200336960Y1 KR 200336960 Y1 KR200336960 Y1 KR 200336960Y1 KR 20030031665 U KR20030031665 U KR 20030031665U KR 200336960 Y1 KR200336960 Y1 KR 200336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bbin
cord
necklace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1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에서 기준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고정이 해제되도록 목걸이줄의 양단이 고정되는 제1 보빈 및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는 제2 보빈이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다.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하우징 공간 내에 구비되는 스톱레버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고정 또는 해제된다. 따라서 목걸이줄 및 코드를 각각 권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Apparatus for winding sting and earphone code}
본 고안은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을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줄 및 상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의 소리를 듣기 위한 이어폰을 각각 권취하기 위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사용자들의 급증과 연령의 다양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판매 및 보급되어 사용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깨끗한 통화 및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잭을 선택된 기기와 연결하고, 코드의 타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꽂아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보편화되면서 이어폰이 연결된코드가 필요한 길이보다 더 많이 노출되고, 늘어진 코드는 하나의 간섭요인으로 전락되어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인 지하철, 버스 등 사람들의 신체접촉과 외부구조물 등에 걸리면서 이어폰과 연결잭에 연결된 코드의 접촉불량이 발생하고 미사용 시에는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를 보관하기가 마땅하지가 않아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핸드백에 담고 다니다가 재사용 시에는 코드가 서로 엉켜서 풀어서 사용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을 내재하고있으며 보관 및 휴대 시에도 많은 불편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런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를 소정의 길이만큼 하우징에서 인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었다. 통상적으로 코드를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 또는 릴에 권취하고 사용시에는 코드를 잡아 당겨서 풀어 사용하는 코드 권취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목걸이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걸이줄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상기 목걸이줄의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줄 권취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코드 권취 장치와 목걸이줄 권취 장치는 휴대폰 또는 MP3 등에 각각 구비되므로 차지하는 부피가 크고, 사용이 불편하며, 미관상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줄과 코드를 동시에 권취하여 사용상 편리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5 : 제1 개구부
20 : 제2 개구부 25 : 제3 개구부
30 : 캡 100 : 제1 하우징
102 : 제1 반원판 104 : 제1 측벽
110 : 제1 중심축 삽입공 112 : 제1 고정홈
114 : 관통공 120 : 핀 클러치
130 : 걸림턱 140 : 제4 개구부
142 : 제5 개구부 150 : 제1 홈
160 : 제2 홈 200 : 제2 하우징
202 : 제2 반원판 204 : 제2 측벽
210 : 제2 중심축 삽입공 212 : 제2 고정홈
214 : 제1 가이드홈 220 : 스톱레버
221 : 제1 슬라이드 222 : 레버
223 : 돌출부 224 : 제2 슬라이드
225 : 롤러 230 : 코일스프링
240 : 캠 242 : 핀
244 : 캠홈 250 : 제3 홈
260 : 제4 홈 270 : 제5 홈
300 : 제 1보빈 310 : 제3 중심축 삽입공
320 : 외측홈 322 : 돌출부
324 : 제1 지지바 326 : 제2 지지바
330 : 제1 권취홈 340 : 제1 슬릿
350 : 제2 슬릿 360 : 제3 슬릿
370 : 제1 내측홈 390 : 목걸이줄
400 : 제2 보빈 410 : 제4 중심축 삽입공
420 : 제2 권취홈 430 : 제3 권취홈
440 : 제4 슬릿 450 : 제5 슬릿
460 : 제2 내측홈 470 : 돌출부
472 : 걸림턱 490 : 코드
492 : 이어폰 494 : 연결잭
500 : 제1 나선스프링 510 : 내측단
520 : 외측단 600 : 제2 나선스프링
610 : 내측단 620 : 외측단
700 : 중심축 710 : 축머리
720 : 축꼬리 730 : 축홈
800 : 디스크 810 : 제5 중심축 삽입공
900 : 제1 캡 902 : 제1 고정핀
910 : 제2 캡 912 : 제2 고정핀
920 : 수납케이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면에 탄성 걸림턱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목걸이줄의 인출을 위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코드의 양단부를 각각 인출하기 위한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면에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기 위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에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의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지지바가 내측홈의 내벽과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는 제1 및 제2 슬릿이 형성된 제1 보빈과, 제1마디와 제2마디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보빈에 인입되고 상기 제1슬릿을 통하여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마디가 상기 제1지지바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보빈에 인입되고 상기 제2슬릿을 통하여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2마디가 상기 제2지지바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및 제2 마디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로부터 해제되는 목걸이 줄과, 상기 제1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목걸이줄이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고 해제시에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목걸이줄이 상기 제1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나선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에 내측홈 및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는 제2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코드가 상기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나선 스프링과,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보빈의 걸림턱과 맞물리며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보빈에 감겨진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코드의 인출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스톱레버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톱레버에 인가되는 코드 장력이 해소되면 상기 스톱레버가 상기 제2 보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마다 인출 장력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가 해제위치와 잠김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캠 및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중심축이 상기 제1하우징의 탄성 걸림턱을 밀쳐내어 상기 탄성 걸림턱과 상기 돌출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걸림턱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 걸림턱과 상기 돌출부가 맞물림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면에 상기 중심축과 접하도록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상기 제1 보빈의 제2면과 상기 제2 보빈의 제2면 사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 나선 스프링과 상기 코드의 마찰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걸이줄의 제1 및 제2 마디는 열에 의해 단부가 녹아 붙도록 하여 상기 내벽과 지지부 사이에 걸릴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하우징 내에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어 각각의 장치로 존재할 때보다 부피가 줄어들고 사용상 편리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는 하우징(10), 제1 보빈(300), 제2 보빈(400), 제1 나선 스프링(500), 제2 나선 스프링(600), 중심축(700), 디스크(700) 및 캡(3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제1 반원판(102) 및 제2 반원판(202)으로 구성된다. 제1 반원판(102) 및 제2 반원판(202)은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0) 및 제2 중심축 삽입공(21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102)의 내측면 중앙에는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제1 반원판(102) 및 제2 반원판(20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104) 및 제2 측벽(20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측벽에는 목걸이줄(390)의 출입을 위한 제4 개구부(140) 및 제5 개구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반원판(102)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1 측벽(104)의 일측에는 제1 홈(150)이 형성된다. 제1 반원판(102)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1 측벽(104)의 타측에는 제2 홈(160)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202)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04)의 일측에는 제3 홈(250)이 타측에는 제4 홈(260)이 각각 형성된다. 제2 반원판(202)의 곡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04)에는 제5 홈(27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홈(150)과 제3 홈(250) 및 제2 홈(160)과 제4 홈(260)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반원판(102)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0)을 중심으로 제1 캡(90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반원판(202)에는 제2 중심축 삽입공(210)을 중심으로 제2 캡(91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112) 및 제2 고정홈(212)은 제1 캡(900) 및 제2 캡(910)을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중심축 삽입공(110)을 중심으로 'U'자 형태의 긴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제1 반원판(102)을 내측부와 외측부로 구분한다. 관통공(114)은 제1 고정홈(112)이 형성된 위치보다 안쪽에 형성된다. 관통공(114)의 안쪽에 위치한 상기 내측부는 제1 반원판(102)을 기준으로 탄성력에 의해 제1 반원판(102)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측부에는 제1중심축 삽입공(110)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관통홈에 의해 제1중심축 삽입공(110)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핀 클러치(120)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부의 내측면에는 제1중심축 삽입공(110)의 주위에 탄성 걸림턱(130)이 형성된다. 탄성 걸림턱(130)은 제1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통과시키고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1 하우징(100)의 제1 측벽(104)과 제2 하우징(200)의 제2 측벽(204)의 종단면이 서로 면접하여 이루는 측벽과 반원판(102, 202)들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홈(150) 및 제2 홈(160)과 제3 홈(250) 및 제4 홈(260)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1 개구부(15) 및 제2 개구부(20)를 형성한다. 제5 홈(270)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측벽(104)의 종단면에 의해 제3 개구부(25)를 형성한다.
제1 개구부(15)를 통하여 이어폰(492)과 연결되는 코드(490)가 출납되고, 제3 개구부(25)를 통하여 연결잭(494)과 연결되는 코드(490)가 출납된다. 제2 개구부(20)에는 이어폰(492)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920)가 고정된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 보빈(300)은 외주면을 따라 목걸이줄(390)을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빈(300)의 중앙 부위에는 제3중심축삽입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빈(300)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제2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진다. 제1 보빈(300)은 제1 하우징(100)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면에는 제3 중심축삽입공(31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외측홈(320)이 형성된다. 외측홈(320)의 저면에는 제3 중심축삽입공(310)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동일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출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322)의 높이는 외측홈(320)의 깊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2)는 탄성 걸림턱(130)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1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322)가 탄성 걸림턱(13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에는 제3 중심축삽입공(31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1 내측홈(370)이 형성된다. 제1 내측홈(370)은 제1 나선스프링(500)의 폭보다 깊도록 형성되어 제1 나선스프링(50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측홈(370)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바(324) 및 제2 지지바(326)가 형성된다. 제1 지지바(324) 및 제2 지지바(326)는 각각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1 내측홈(37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2 면과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에 걸쳐 제1 슬릿(340) 및 제2 슬릿(350)이 형성된다. 제1 슬릿(340) 및 제2 슬릿(350)은 서로 18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1 슬릿(340) 및 제2 슬릿(350)과 각각 90도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면과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에 걸쳐 제3 슬릿(360)이 형성된다.
목걸이줄(390)은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편편한 형태의 줄이다.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와 제2 마디(394)는 고정을 위하여 상기 일정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즉,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 및 제2 마디(394)는 상기 내측벽과 제1 지지바(324) 및 상기 내측벽과 제2 지지바(326) 사이에 걸릴 각각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 및 제2 마디(394)는 열에 의해 단부가 녹아 붙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걸이줄(390)의 일측단은 하우징(10)의 제4 개구부(140)를 통하여 제1 보빈(300)에 인입되고 제1 슬릿(340)을 통하여 제1 내측홈(37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 마디(392)가 제1 지지바(324)와 내측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된다. 목걸이줄(390)의 타측단은 하우징(10)의 제5 개구부(142)를 통하여 제1 보빈(300)에 인입되고 제2 슬릿(350)을 통하여 제1 내측홈(37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2 마디(394)가 제2 지지바(326)와 내측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걸이줄(390)은 제1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다.
한편,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와 제2 마디(394)는 제1 내측홈(3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180도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제1 보빈(300)의 회전에 의해 목걸이줄(390)이 제1 권취홈(330)을 따라 감겨질 때 어느 한쪽의 마디(232,234)와 연결된 목걸이줄(390)이 제1 보빈(300)의 1/2회전하는 길이만큼 더 감겨지게 된다.
목걸이줄(390)이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걸이줄(39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힘에 의해 목걸이줄(390)이 고정된 부분에도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힘에 의해 제1 지지바(324)와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되면서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가 빠져나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힘에 의해 제2 지지바(326)와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되면서 목걸이줄(390)의 제2 마디(394)가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목걸이줄(390)의 고정이 해제된다. 목걸이줄(390)은 제1 마디(392)와 제2 마디(394)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마디(392)와 제2 마디(394) 중 어느 하나의 고정이 해제되거나 제1 마디(392)와 제2 마디(394)의 고정이 동시에 해제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1 나선스프링(500)은 제1 내측홈(37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제1 나선스프링(500)의 내측단(510)은 중심축(700)의 축홈(7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520)은 제3 슬릿(36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나선스프링(500)은 제1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심축(16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도 3의 c-c 선을 기준으로 한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2 보빈(400)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제1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갖는다. 제2 보빈(4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제4 중심축 삽입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빈(400)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제2 권취홈(4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면에는 제4 중심축 삽입공(41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의 제2 내측홈(46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에는 제4 중심축 삽입공(41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ring) 모양의 돌출부(470)가 형성된다. 돌출부(470)에는 돌출부(470)의 반지름 방향으로 즉,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47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과 제2 내측홈(460)의 측벽에 걸쳐 제5 슬릿(450)이 형성된다.
돌출부(470)는 후술하는 스톱레버(2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470)가 스톱레버(22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에는 제2 보빈(400)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제3 권취홈(43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면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2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태의 제4 슬릿(4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2 권취홈(42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은 제3 권취홈(43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보다 크다.
코드(490)는 일부분이 제2 권취홈(420)에 묶인 상태로 고정된다. 코드(490)로부터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2 권취홈(420)에 권취되고 제1 개구부(15)를 지나 이어폰(492)과 연결된다. 코드(490)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4 슬릿(440)을 통해 제3 권취홈(430)에 권취되고 제3 개구부(25)를 지나 연결잭(494)과 연결된다. 연장된 코드(490)의 양단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긴다. 즉 이어폰(492)과 연결된 코드(490)는 큰 회전축을 가지는 제2 권취홈(420)에 빠른 속도로 감기고, 연결잭(494)과 연결된 코드(490)는 작은 회전축을 가지는 제3 권취홈(430)에 느린 속도로 감긴다.
제2 권취홈(420)에 감겨진 코드(490)는 이어폰(492)과 연결된 코드(49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10)이 외부로 인출되고, 제2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보빈(400)의 제2 권취홈(420)에 감겨진다. 제3 권취홈(430)에 감겨진 코드(490)는 이어폰(492)과 연결된 코드(49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제3 권취홈(430)으로부터 풀려지고, 제2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에서 제3 권취홈(430)에 감겨진다. 연결잭(494)과 연결된 코드(490)는 하우징(10) 내에서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므로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연결잭(494)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나선 스프링(600)은 상기 제1 면의 제2 내측홈(46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제2 나선 스프링(600)의 내측단(610)은 중심축(700)의 축홈(7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620)은 제5 슬릿(4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나선 스프링(600)은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중심축(70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디스크(800)는 원판 형태로 중앙에 제5 중심축 삽입공(810)이 형성된다. 디스크(800)는 제1 보빈(300)의 제2면과 제2 보빈(400)의 제2면 사이에 중심축(7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제1 나선 스프링(500)이 제1 보빈(300)의 제1 내측홈(37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보빈(400)의 제3 권취홈(430)에 권취된 코드(49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나선 스프링(500)과 코드(490)의 마찰을 방지한다.
중심축(700)은 축머리(710)가 제1 하우징(100)의 제1 중심축 삽입공(110)에 끼워진다. 중심축(700)은 삽입된 축머리(710)의 구조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중심축(7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핀 클러치(120)에 의해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중심축(700)에는 제1 보빈(300), 디스크(800) 및 제2 보빈(400)이 순서대로 끼워진다. 중심축(700)의 축방향을 따라 축홈(730)이 형성되어 있다. 축홈(730)에는 제1 나선스프링(500)의 내측단(510) 및 제2 나선스프링(600)의 내측단(610)이 각각 끼워진다. 중심축(700)의 축꼬리(72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중심축 삽입공(210)에 끼워진다. 중심축(700)이 하우징(10)에 조립되면 중심축(700)의 축꼬리(72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중심축 삽입공(210)을 지나 제2 하우징(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캡(30)은 제1 캡(900)과 제2 캡(910)으로 구성된다. 제1 캡(900) 및 제2 캡(910)의 내측면에는 제1 고정홈(112) 및 제2 고정홈(212)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고정핀(902) 및 제2 고정핀(912)이 형성되어 있어 제1 하우징(100)의 외측면과 제2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2 캡(910)의 내측면은 중심축(700)의 축꼬리(720)와 접하게 된다.
목걸이줄 권취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최초 상태에서 목걸이줄(390)은 제1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 상태로 제4 개구부(140) 및 제5 개구부(142)를 통해 제 1하우징(100) 외부에 걸려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0) 외부에 걸려진 목걸이줄(390)을 잡아당기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제1 보빈(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보빈(300)의 돌출부(322)의 경사면과 제1 하우징(100)의 탄성 걸림턱(130)의 경사면이 서로 만나게 된다. 따라서 목걸이줄(390)이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 계속 인출되면서 제1 보빈(300)이 정지하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나선 스프링(500)의 내측단(510)이 고정된 중심축(700)은 핀 클러치(120)의 작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제1 보빈(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외측단(510)이 제1 보빈(300)에 고정된 제1 나선 스프링(500)은 중심축(700)에 감기게 된다.
이후 목걸이줄(390)을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제1 보빈(300)은 제1 나선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보빈(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보빈(300)의 돌출부(322)와 제1 하우징(100)의 탄성 걸림턱(130)은 서로 수직면이 만나게 되어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1 보빈(300)의 회전은 탄성 걸림턱(130)에 의해 정지된다. 이때 중심축(700)은 제1나선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핀 클러치(12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목걸이줄(390)을 다시 제1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기 위해서는 제 2캡(910)을 누른다. 제2 캡(910)을 누르면 제2 캡(91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있는 중심축(700)의 축꼬리(720)가 눌려지게 된다. 눌려진 중심축(700)은 제1 보빈(300)의 제3 중심축 삽입공(310)을 통하여 제2 하우징(200)으로부터 제1 하우징(10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중심축(700)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02)의 내측부를 밀게 된다. 상기 내측부가 밀리면서 내측면의 탄성 걸림턱(130)과 제1 보빈(300)의 돌출부(3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정지되었던 제1 보빈(300)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목걸이줄(390)이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다. 이때 목걸이줄(390)은 제4 개구부(140) 및 제5 개구부(142)에 걸릴 때까지 제1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다.
목걸이줄(390)이 제1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지는 도중에 제2 캡(90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중심축(700)에 의해 밀려졌던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02)의 내측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제1 하우징(100)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중심축(700)도 제2 하우징(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내측면의 탄성 걸림턱(130)과 제1 보빈(300)의 돌출부(322)가 다시 맞물리게 되고, 제1 보빈(300)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멈추고 정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줄을 목에 걸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목걸이줄(390)이 당겨지거나, 혹은 부주의하여 이동 중인 자동차, 버스, 오토바이 및 지하철 등에 상기 목걸이줄(390)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당겨지는 힘에 의해 목걸이줄(390)이 하우징(1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된다. 목걸이줄(390)이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더 힘이 가해지면 목걸이줄(390)이 제1 지지바(324)와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 사이 또는 제2 지지바(326)와 제1 내측홈(370)의 내벽사이에서 빠져나오면서 고정이 해제된다. 목걸이줄(39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목걸이줄(390)이 제1 보빈(300)과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목걸이줄 권취 장치를 분해한 후, 고정이 해제된 목걸이줄(390)의 제1 마디(392) 및 제2 마디(394)를 각각 제1 지지바(324)와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 사이 및 제2 지지바(326)와 제1 내측홈(370)의 내측벽 사이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줄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톱레버(220)는 제1 슬라이드부(221), 레버(222), 돌출부(223), 제2 슬라이드부(224) 및 롤러(225)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부(221)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 우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홈(214) 및 상기 제1 가이드홈(214)에 결합되는 가이드(미도시)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레버(222)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221)와 수직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2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보빈(400)의 제1 면에 형성된 걸림턱(472)과 맞물린다. 레버(222)의 일측 단부는 걸림턱(472)과 보다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해 일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된다. 레버(222)는 걸림턱(472)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걸림턱(472)이 레버(222)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돌출부(223)는 레버(222)를 기준으로 제1 슬라이드부(22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222)로부터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슬라이드부(224)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버(222)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제2 슬라이드부(224)도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롤러(225)는 관 형태로 제2 슬라이드부(224)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롤러(225)는 제2 슬라이드부(224)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코드(490)의 인출과 권취를 부드럽게 한다.
코일 스프링(250)은 일측 단부가 돌출부(223)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측벽(204)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스톱레버(220)는 코일 스프링(250)에 의해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항상 좌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레버(222)가 걸림턱(47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코드(49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2 슬라이드부(224)에 코드(490) 장력이 인가되어 스톱레버(220)가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레버(222)와 걸림턱(472)과의맞물림이 해제된다. 코드(490) 장력이 해소되면 코일 스프링(250)에 의해 스톱레버(220)는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복원되게 된다.
캠(240)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홈(244) 및 제1 가이드홈(214)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캠홈(244) 내에서 회전 운동하는 핀(242)을 포함한다. 캠홈(244)은 오목 위치와 볼록 위치를 갖는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에서 이어폰 코드 권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이어폰(492)과 연결된 코드(49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 중인 정지상태에서 코드(49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2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242)은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상부의 캠홈(244)을 따라 이동한다. 코드(490)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므로 코일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22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242)은 B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C 위치에서 스톱레버(220)의 레버(222)와 걸림턱(472)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나선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보빈(4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즉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폰(490)과 연결된 코드(490)가 제2 권취홈(420)에, 연결잭(494)과 연결된 코드(490)가 제3 권취홈(430)에 각각 감겨진다.
코드(490)가 제2 보빈(400)에 감겨진 해제 상태에서 이어폰(492)에 연결된코드(49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220)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나선 스프링(600)은 중심축(700)에 감겨지고, 제3 권취홈(430)에 감겨있던 코드(490)는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디스크(800)와 제2 보빈(400)의 제2 면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풀려진다. 핀(242)은 C 위치에서 D 위치까지 이동한다. 코드(490)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220)가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242)은 D 위치에서 하부의 캠홈(244)을 따라 A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A 위치에서 스톱레버(220)의 레버(222)와 걸림턱(472)의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492)이 연결된 코드(490)를 한번 잡아당기면, 정지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해제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별도의 정지/해제 버튼 구조없이 코드(490)를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해 정지 및 해제동작의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목걸이줄 권취부는 보빈에 고정된 목걸이줄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보빈과 목걸이줄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목걸이줄에 강한 힘에 작용하여 사용자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코드 권취부는 별도의 해제버튼의 조작없이 코드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스톱레버가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코드 권취 및 권취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목걸이줄 권취부 및코드 권취부를 일체로 구성하여 휴대폰, MP3 등을 목에 건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내측면에 탄성 걸림턱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목걸이줄의 인출을 위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코드의 양단부를 각각 인출하기 위한 제3 개구부 및 제4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되는 중심축;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면에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기 위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에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의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지지바가 내측홈의 내벽과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는 제1 및 제2 슬릿이 형성된 제1 보빈;
    제1마디와 제2마디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보빈에 인입되고 상기 제1슬릿을 통하여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마디가 상기 제1지지바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보빈에 인입되고 상기 제2슬릿을 통하여 상기 내측홈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2마디가 상기 제2지지바와 내벽 사이에 걸리게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및 제2 마디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로부터 해제되는 목걸이 줄;
    상기 제1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목걸이줄이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고 해제시에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목걸이줄이 상기 제1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나선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에 내측홈 및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코드의 일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는 제2 보빈;
    상기 제2 보빈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보빈에 고정되어 상기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시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감기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코드가 상기 보빈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나선 스프링;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보빈의 걸림턱과 맞물리며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보빈에 감겨진 코드가 하우징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코드의 인출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보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스톱레버;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톱레버에 인가되는 코드 장력이 해소되면 상기 스톱레버가 상기 제2 보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코드가 인출될 때마다 인출 장력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톱레버가 해제위치와 잠김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캠; 및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중심축이 상기 제1하우징의 탄성 걸림턱을 밀쳐내어 상기 탄성 걸림턱과 상기 돌출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걸림턱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 걸림턱과 상기 돌출부가 맞물림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면에 상기 중심축과 접하도록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의 제2면과 상기 제2 보빈의 제2면 사이에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제1 나선 스프링과 상기 코드의 마찰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줄의 제1 및 제2 마디는 열에 의해 단부가 녹아붙도록 하여 상기 내벽과 지지부 사이에 걸릴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2003-0031665U 2003-10-08 2003-10-08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0336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65U KR200336960Y1 (ko) 2003-10-08 2003-10-08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65U KR200336960Y1 (ko) 2003-10-08 2003-10-08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960Y1 true KR200336960Y1 (ko) 2003-12-31

Family

ID=4934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665U KR200336960Y1 (ko) 2003-10-08 2003-10-08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9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9160A (zh) * 2020-11-19 2021-02-02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绳索牵引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9160A (zh) * 2020-11-19 2021-02-02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绳索牵引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US6644582B1 (en) Cable reel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US7494083B1 (en) Reel structure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JP5037833B2 (ja)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EP2383215A1 (en) Cord reel
TWI547429B (zh) 容置裝置
US9162847B2 (en) Wire dispenser for beading
US6305632B1 (en)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WO2016183393A1 (en) Detachable spring loaded headphone reel and method of use
KR101371672B1 (ko) 이어폰 선 자동 권선장치
US7490791B1 (en) Reel structure
KR200336960Y1 (ko) 목걸이줄 및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US7201342B2 (en) Signal cable rewinder with two rewinding discs
US684772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orable earphone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KR101147853B1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200336961Y1 (ko)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KR200342206Y1 (ko) 귀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JP2017199889A (ja) コードケース
KR101827443B1 (ko)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200336835Y1 (ko) 목걸이줄 권취 장치
CN213586274U (zh) 一种多功能导游讲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