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43B1 -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7443B1 KR101827443B1 KR1020160171915A KR20160171915A KR101827443B1 KR 101827443 B1 KR101827443 B1 KR 101827443B1 KR 1020160171915 A KR1020160171915 A KR 1020160171915A KR 20160171915 A KR20160171915 A KR 20160171915A KR 101827443 B1 KR101827443 B1 KR 101827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cord
- stop
- cover
- release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은, 릴로부터 코드를 푼 후, 코드를 릴에 감고자 할 때, 필요에 따라, 코드를 당겼다가 놓으면서 코드를 릴에 감는 제1정지/해제모듈 또는 누름부재를 눌러서 릴에 걸린 걸림부재를 릴로부터 이격시켜 코드를 릴에 감는 제2정지/해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정지/해제모듈과 제2정지/해제모듈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드(Cord)를 감는 모드(Mode)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기에는 일측은 전원(電源)측과 접속되고, 타측은 내부의 부품과 접속되어 전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코드(Cord)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전자 기기의 일종인 넥밴드(Neckband)형 헤드셋(Headset)에는 음성 전송용 코드가 설치된다.
코드는 소정 길이를 가지므로, 엉키거나 꼬이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전자 기기의 내부에는 코드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코드감김장치가 설치되며, 코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코드감김장치에 코드를 감아서 보관한다.
코드감김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드가 감기는 릴(Reel)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코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릴로부터 코드를 풀어서 사용하고, 코드의 미사용시에는 릴에 코드를 감아서 보관한다.
코드감김장치는 코드를 당겨서 릴로부터 푼다. 그리고, 코드가 풀렸을 때, 릴에 설치된 볼을 이용하여 릴을 정지시키고, 릴이 정지된 상태에서 코드를 릴로부터 푸는 방향으로 더 당긴 후 놓으면 코드가 릴에 자동으로 감기는 타입, 코드가 풀렸을 때, 릴의 외주면 일측에 걸림바가 걸려서 릴을 정지시키고, 릴에 걸린 걸림바를 릴로부터 이격시키면 코드가 자동으로 감기는 타입이 있다.
종래의 코드감김장치는 코드를 당겼다가 놓으면서 감는 타입과 걸림바를 해제시켜 감는 타입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2가지 타입의 코드감김장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코드감김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1904호(2014년 12월 11일) 등에 개시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코드를 당겼다가 놓으면서 코드를 감는 모드(Mode) 또는 릴로부터 걸림부재를 해제시켜 코드를 감는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코드(Cord)가 감겨서 보관되며, 상기 코드를 상기 받침판의 외측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상기 코드에 가하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코드가 풀리고,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코드가 감기는 릴(Reel): 일단부측은 상기 받침판측에 지지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릴에 지지되어 상기 릴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릴의 상면측을 덮는 형태로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커버; 상기 릴의 상면에 직선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릴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볼(Ball)을 가지고,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볼이 밀착되게 하여 상기 릴을 정지시키고, 상기 볼에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상기 코드에 가한 후 제거하여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볼을 이탈시키면 상기 릴의 타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제1정지/해제모듈;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상기 릴의 외주면에 일측에 걸려서 상기 릴을 정지시키고, 압력을 가하여 상기 릴에 걸린 부위를 제거하면 상기 릴의 타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제2정지/해제모듈;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과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및 청구항6 내지 청구항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상기 코드의 단부측에 접속 설치된 이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은, 릴로부터 코드를 푼 후, 코드를 릴에 감고자 할 때, 필요에 따라, 코드를 당겼다가 놓으면서 코드를 릴에 감는 제1정지/해제모듈 또는 누름부재를 눌러서 릴에 걸린 걸림부재를 릴로부터 이격시켜 코드를 릴에 감는 제2정지/해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정지/해제모듈과 제2정지/해제모듈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부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가 헤드셋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부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가 헤드셋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100)는 받침판(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판(110)의 상면에는 지지축(1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축(112)의 상단면(上端面)에는 후술할 탄성부재(135)의 일단부측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110)의 상면에는 릴(Reel)(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릴(12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축(112)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즉, 릴(120)은 지지축(112)에 지지되어,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릴(120)의 외주면에는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Cord)(225)(도 7b 참조)가 감겨서 보관될 수 있다.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코드(225)에 작용하면, 릴(120)이 시계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릴(120)에 감긴 코드(225)가 릴(120)로부터 풀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릴(120)이 반시계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코드(225)가 릴(120)에 감길 수 있다.
코드(225)의 일단부측은 받침판(110)에 설치되어 릴(120)에 의하여 덮힌 회로기판(131)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부측에는 이어패드(220)(도 7a 참조)가 접속 설치될 수 있다.
릴(120)은 상호 결합되어 함께 운동하는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5) 사이에는 탄성부재(135)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35)는 일단부측은 지지축(112)의 지지홈(112a)에 삽입 지지되고, 타단부측은 하부몸체(121)에 지지되어,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35)는 코드(225)를 릴(120)의 외주면에 감기 위한 방향으로, 릴(12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릴(120)의 외주면에 코드(225)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으로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면,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탄성부재(135)가 수축되고, 릴(120)에 가해진 견인력을 제거하면,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성부재(135)는 판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35)의 상하측에는 탄성부재(135)가 하부몸체(121)의 상면 및 상부몸체(125)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137)이 설치될 수 있다.
받침판(110)의 상면에는 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140)는 릴(120)의 상면인 상부몸체(125)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받침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면 코드(225)가 릴(120)로부터 풀리며, 릴(1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릴(120)에서 풀린 코드(225)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면, 릴(120)이 회전되지 않아야 풀린 코드(225)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225)를 사용한 다음에는 릴(1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코드(225)가 릴(120)에 감겨서 보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100)에는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는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였을 때,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 다음, 릴(120)이 정지한 상태에서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정지/해제모듈 및 제2정지/해제모듈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과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140)에는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 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71)가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은 릴(120)의 상면에 직선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릴(120)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볼(Ball)(1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은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릴(120)의 일측 및 커버(140)에 형성된 후술할 구속편(143)(도 3 및 도 도 7c 참조)에 볼(151)이 밀착되어 릴(120)이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릴(120)의 일측 및 구속편(143)에 볼(151)에 밀착되어 릴(120)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코드(225)에 가한 후 제거하여 릴(120)의 일측 및 구속편(143)으로부터 볼(151)을 이탈시키면,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은, 전술한 볼(151) 이외에, 릴(120)의 상부몸체(125)의 상면에 형성된 외측트랙(153), 내측트랙(155), 제1연통로(157) 및 제2연통로(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0)에는 볼(15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41)과 전술한 구속편(143)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41)은 커버(140)의 상판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40)의 측면에서 중앙부측을 향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41)에는 볼(151)의 상측 부위가 삽입 지지되며, 볼(151)은 안내홈(141)을 따라 직선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볼(151)은 자전하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속편(143)은 안내홈(141)이 형성된 커버(140)의 상판 하면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볼(151)이 안내홈(141)을 타고서 제1연통로(157)로 이동되어 오면, 볼(151)을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릴(120)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외측트랙(153)은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릴(120)이 회전함에 따라 볼(151)이 위치될 수 있다. 볼(151)이 외측트랙(153)에 위치되는 경우는,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드(225)가 릴(120)로부터 풀리는 경우이다.
내측트랙(155)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트랙(15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측트랙(153)과 동심을 이룰 수 있다. 릴(120)이 회전함에 따라 볼(151)은 내측트랙(155)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볼(151)이 내측트랙(155)에 위치되는 경우는,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드(225)가 릴(120)에 감기는 경우이다.
제1연통로(157)는 외측트랙(153)과 내측트랙(155)을 연통시킬 수 있으며, 볼(151)은 제1연통로(157)를 통하여 외측트랙(153)에서 내측트랙(155)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151)이 제1연통로(157)로 이동되면, 볼(151)은 외측트랙(153)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내측트랙(155)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외측트랙(153)에 볼(151)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코드(225)에 가하면 릴(1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볼(151)은 자전하면서 외측트랙(153)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볼(151)이 외측트랙(153)에 위치되고,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릴(120)은 반시계방향 회전한다. 그러면,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볼(151)이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에 삽입된다.
볼(151)이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에 삽입되면, 볼(151)의 일측 부위는 구속편(143)에 접촉 지지된다. 그런데, 릴(120)은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계속하여 반시계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므로,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에 의하여 볼(151)의 일측은 구속편(143)에 밀착되고, 타측은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에 밀착된다. 이로 이해, 릴(1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제2연통로(159)는 내측트랙(155)과 외측트랙(153)을 연통시킬 수 있으며, 볼(151)은 제2연통로(159)를 통하여 내측트랙(155)에서 외측트랙(15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볼(151)은 제2연통로(159)를 통하여 내측트랙(155)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볼(151)은 제1연통로(157)로만 유입될 수 있고, 제1연통로(157)에 위치된 볼(151)은 내측트랙(155)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내측트랙(155)에 위치된 볼(151)은 제2연통로(159)를 통해서만 외측트랙(15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측트랙(153), 내측트랙(155), 제1연통로(157) 및 제2연통로(159)의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하면 형성할 수 있다.
제1연통로(157)의 단부측 및 구속편(143)에 볼(151)이 밀착된 상태에서 코드(225)에 상기 견인력을 가하면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견인력이 탄성부재(135)의 탄성력보다 세므로, 릴(1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볼(151)은 제1연통로(157)에서 내측트랙(155)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볼(151)이 내측트랙(155)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릴(120)이 반시계방향을 회전하면, 코드(225)가 릴(120)에 감긴다.
그 후, 코드(225)를 릴(120)로부터 풀기 위하여 코드(225)에 견인력을 가하면, 내측트랙(155)에 위치된 볼(151)이 제2연통로(157)를 통하여 외측트랙(153)에 위치된다.
다음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정지/해제모듈 부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은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릴(120)의 외주면에 일측에 걸려서 릴(120)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압력을 가하여 릴(120)에 걸린 부위를 제거하면,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은, 하우징(161), 걸림부재(163), 제1탄성부재(165), 누름부재(167), 제2탄성부재(169)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61)은 받침판(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163)는 일측은 하우징(161)의 내부에 삽입 지지될 수 있고, 타단부측은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하우징(161)을 출입하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171)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걸림부재(163)의 타단부측은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릴(120)의 일측에 걸릴 수 있다.
릴(120)의 하부몸체(121)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걸림부재(163)가 걸리는 걸림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2)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단(段)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171)가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걸림부재(163)는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하여 걸림턱(122)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걸림부재(163)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하우징(161)의 내부에 코일(미도시)을 설치한 다음,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면, 걸림부재(163)를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71)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스위치(171)가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직선운동한다. 이때,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걸림부재(163)는 제1탄성부재(165)에 의하여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직선운동한다.
걸림부재(163)는 걸림턱(122)에 걸려서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턱(122)에 걸림부재(163)의 타단부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으로 코드(225)를 당기면, 릴(1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걸림턱(122)의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하면, 걸림턱(122)에 걸림부재(163)가 걸려 있어도,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65)는 하우징(161)의 내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163)를 릴(120)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71)가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걸림부재(163)가 제1탄성부재(165)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스위치(171)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면, 제1탄성부재(165)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부재(163)가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직선운동하며, 이로 인해 걸림부재(163)의 타단부측이 걸림턱(122)에 걸린다.
누름부재(167)는 일측은 하우징(161)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하우징(161)을 출입하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누름부재(167)는 압력에 의하여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눌릴 수 있으며, 누름부재(167)가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하면 걸림부재(163)는 누름부재(167)에 의하여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그러면, 걸림부재(163)가 걸림턱(122)으로부터 이격 분리되므로, 릴(1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누름부재(167)의 타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름부재(167)를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시킴에 따라, 걸림부재(163)가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걸림부재(163)와 누름부재(167)에는 상호 접촉되는 경사면(163a)(167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69)는 누름부재(167)를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스위치(17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부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71)는 커버(1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 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171)는 커버(140)의 상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171a), 돌출편(171b) 및 이탈방지편(171c)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71a)는 커버(140)의 상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돌출편(171b)은 몸체(171a)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몸체(171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171)를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돌출편(171b)을 밀거나 당겨서 스위치(17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편(171c)은 몸체(171a)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몸체(171a)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171c)은 커버(140)를 관통하여 릴(120)의 상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171)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면, 볼(151)이 릴(120)의 상면 설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편(171c)은 안내홈(141)에 위치되어, 볼(151)이 외측트랙(153)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스위치(171)가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걸림부재(163)가 릴(120)로 이격되어 릴(120)에 형성된 걸림턱(122)에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스위치(171)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이탈방지편(171c)에 의하여 볼(151)이 외측트랙(157)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볼(151)이 외측트랙(15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 볼(151)은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 및 구속편(143)에 밀착되지 않는다.
커버(140)의 상면에는 관통로(147)가 형성될 수 있고, 관통로(147)에는 이탈방지편(171c)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탈방지편(171c)은 관통로(147)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커버(140)의 상면에는 관통로(147)를 감싸는 형태로 안내홈(1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71a)는 안내홈(148)에 삽입되어 안내홈(148)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안내홈(148)의 내주면에는 스위치(171)의 몸체(171a)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148a)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171a)의 외주면에는 걸림홈(148a)에 삽입되어 걸리는 탄성을 가진 탄성편(171d)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171)를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탄성편(171d)이 어느 하나의 걸림홈(148a)에 삽입되어 걸리면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걸림홈(148a)에 삽입되어 걸리면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버(140)의 상면에는 안내홈(148)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홈(149)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149)에는 지지프레임(175)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75)은 돌출편(171b) 외측의 몸체(171a) 부위를 지지하여 스위치(171)가 커버(14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동작 및 스위치(171)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이다.
릴(120)에 코드(225)(도 7b 참조)가 감겨 있고, 볼(151)이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스위치(171)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해제모듈의 걸림부재(163)가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하여, 걸림부재(163)의 타단부측이 릴(120)로부터 이격된다.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코드(225)에 견인력을 가하여,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225)가 릴(120)로부터 풀리며, 이로 인해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릴(120)로부터 풀린 코드(225)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면, 코드(225)에 작용하는 상기 견인력을 제거한다. 그러면,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되려는 탄성부재(1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볼(151)이 제1연통로(157)에 유입된다.
볼(151)이 제1연통로(157)에 유입되면,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향으로 회전하려는 릴(120)의 힘에 의하여 볼(151)의 일측은 구속편(143)에 밀착되고, 타측은 제1연통로(157)의 일단부측에 밀착된다. 그러면, 릴(12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릴(120)로부터 풀린 코드(225)를 사용한다.
도 7c에 도시된 상태에서, 코드(225)를 릴(120)에 감고자 할 경우에는, 코드(225)에 상기 견인력을 가한 후, 상기 견인력을 제거한다. 코드(225)에 가해지는 상기 견인력은 탄성부재(135)의 탄성력보다 세므로, 코드(225)에 상기 견인력을 가하면,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로(157)에 위치된 볼(151)이 내측트랙(155)에 위치된다. 볼(151)이 내측트랙(155)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릴(120)은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릴(120)에 코드(225)가 감긴다.
그 후,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겨서 릴(120)로부터 코드(225)를 풀때에는, 도 7a의 상태가 되어 릴(120)로부터 코드(225)가 풀리게 된다.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동작 및 스위치(171)의 동작을 도 5, 도 6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제2정지/해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 평면도이다.
릴(120)에 코드(225)가 감겨 있고, 볼(151)이 외측트랙(153)에 위치된 상태(도 8b 참조)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스위치(17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71)의 이탈방지편(171c)이 안내홈(141)(도 3 참조)에 위치되어 볼(151)이 외측트랙(153)(도 2 참조)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걸림부재(163)는 하우징(16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에서, 코드(225)에 견인력을 가하여, 코드(225)를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당기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225)가 릴(120)로부터 풀리며, 이로 인해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릴(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걸림턱(122)의 형상에 의하여, 걸림부재(163)가 걸림턱(122)에 걸려도 회전할 수 있다.
릴(120)로부터 풀린 코드(225)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면, 코드(225)에 작용하는 상기 견인력을 제거한다. 그러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63)가 걸림턱(122)에 걸리므로,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되려는 탄성부재(135)(도 2 참조)의 복원력에 의해서도 릴(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그 후, 도 8c에 도시된 상태에서, 코드(225)를 릴(120)에 감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부재(167)를 하우징(161)측으로 누르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63)의 경사면(163a)과 누름부재(167)의 경사면(167a)으로 인하여, 걸림부재(163)가 하우징(161)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러면, 걸림부재(163)가 릴(120)로부터 이격되므로, 걸림부재(163)가 걸림턱(12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릴(120)은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코드(225)가 릴(120)에 감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가 헤드셋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은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210)는 사용자의 목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본체(210)의 양단부 내측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100)가 단위 유닛으로 제조될 경우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은 받침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100)가 헤드셋(200)의 본체(210)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이 본체(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67)의 타단부측은 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은, 코드(225)를 릴(120)에 감고자 할 때, 필요에 따라, 코드(225)를 당겼다가 놓으면서 코드(225)를 릴(120)에 감는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 또는 누름부재(167)를 눌러서 릴(120)에 걸린 걸림부재(163)를 릴(120)로부터 이격시켜 코드(225)를 릴(120)에 감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과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110: 받침판
120: 릴
140: 커버
171: 스위치
200: 헤드셋
210: 본체
110: 받침판
120: 릴
140: 커버
171: 스위치
200: 헤드셋
210: 본체
Claims (13)
-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코드(Cord)가 감겨서 보관되며, 상기 코드를 상기 받침판의 외측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상기 코드에 가하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코드가 풀리고,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코드가 감기는 릴(Reel):
일단부측은 상기 받침판측에 지지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릴에 지지되어 상기 릴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릴의 상면측을 덮는 형태로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커버;
상기 릴의 상면에 직선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릴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볼(Ball)을 가지고,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볼이 밀착되게 하여 상기 릴을 정지시키고, 상기 볼에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상기 코드에 가한 후 제거하여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볼을 이탈시키면 상기 릴의 타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제1정지/해제모듈;
상기 견인력에 의하여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견인력을 제거하면 상기 릴의 외주면에 일측에 걸려서 상기 릴을 정지시키고, 압력을 가하여 상기 릴에 걸린 부위를 제거하면 상기 릴의 타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제2정지/해제모듈;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과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
상기 몸체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릴의 상면측에 위치되며, 상기 볼이 설정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릴의 일측에 걸리는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부위는 상기 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릴의 일측에 걸리지 않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이탈방지편에 의하여, 상기 볼의 위치가 구속되어 상기 볼에는 상기 릴의 일측 및 상기 커버의 일측이 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편이 관통 삽입되어 직선운동하는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삽입되어 직선운동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탄성을 가진 탄성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홈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몸체의 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스위치가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청구항1, 청구항7 내지 청구항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상기 코드의 단부측에 접속 설치된 이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은,
상기 받침판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하우징;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정지/해제모듈의 구동이 선택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릴의 일측에 걸리지 않고, 상기 제2정지/해제모듈이 선택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릴의 일측에 걸려서 상기 릴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압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눌리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직선운동시켜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릴의 일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릴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1915A KR101827443B1 (ko) | 2016-12-15 | 2016-12-15 |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1915A KR101827443B1 (ko) | 2016-12-15 | 2016-12-15 |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7443B1 true KR101827443B1 (ko) | 2018-02-09 |
Family
ID=6119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1915A KR101827443B1 (ko) | 2016-12-15 | 2016-12-15 |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4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84186A (zh) * | 2018-03-16 | 2018-06-19 | 歌尔科技有限公司 | 一种卷线耳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906B1 (ko) * | 2014-04-14 | 2014-06-02 | 주식회사 블루콤 |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
KR101471903B1 (ko) * | 2014-08-18 | 2014-12-26 | 주식회사 블루콤 |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
KR101673414B1 (ko) * | 2015-12-24 | 2016-11-07 | 주식회사 블루콤 |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
-
2016
- 2016-12-15 KR KR1020160171915A patent/KR1018274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906B1 (ko) * | 2014-04-14 | 2014-06-02 | 주식회사 블루콤 |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
KR101471903B1 (ko) * | 2014-08-18 | 2014-12-26 | 주식회사 블루콤 |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
KR101673414B1 (ko) * | 2015-12-24 | 2016-11-07 | 주식회사 블루콤 |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84186A (zh) * | 2018-03-16 | 2018-06-19 | 歌尔科技有限公司 | 一种卷线耳机 |
CN108184186B (zh) * | 2018-03-16 | 2024-03-12 | 歌尔科技有限公司 | 一种卷线耳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36346B1 (en) | Apparatus for winding cord | |
US6942079B2 (en) |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 |
US8684295B2 (en) | Cord reel | |
JP5037833B2 (ja) |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 |
JP3186491U (ja) | ユニバーサルワインディング装置 | |
KR101752771B1 (ko) |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 |
US10273115B2 (en) | Detachable spring loaded headphone reel and method of use | |
US9192216B2 (en) | Apparatus for safekeeping of a headset or ear bud | |
KR101827443B1 (ko) |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
KR101681674B1 (ko) |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 |
US20070251786A1 (en) |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 |
KR940022532A (ko) | 테이프 카세트 | |
KR100828906B1 (ko) | 끈 길이 조절장치 | |
KR101896362B1 (ko) |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 |
KR200411957Y1 (ko) | 줄넘기 손잡이 | |
KR200420542Y1 (ko) |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 |
KR200420804Y1 (ko) |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 |
KR20170029119A (ko) | 이어폰용 권취릴 | |
KR200336095Y1 (ko) | 이어폰 권취 장치 | |
JP2019127371A (ja) | コード巻取り具 | |
KR200332219Y1 (ko) |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 |
JP2015084696A (ja) | リール内部の巻き取り機構 | |
JP2002101484A (ja) |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 |
KR200338975Y1 (ko) | 먹통의 릴 제동장치 | |
JP5230679B2 (ja) | ストラッ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