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219Y1 -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219Y1
KR200332219Y1 KR20-2003-0025199U KR20030025199U KR200332219Y1 KR 200332219 Y1 KR200332219 Y1 KR 200332219Y1 KR 20030025199 U KR20030025199 U KR 20030025199U KR 200332219 Y1 KR200332219 Y1 KR 200332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obbin
winding bobbin
neckl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20-2003-0025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보빈; 상기 권취보빈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목걸이줄; 상기 권취보빈의 일측에 설치되어 풀려진 상기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상기 권취보빈에 귄취시키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귄취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목걸이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손쉽게 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 및 각종 키패드 그리고 액세서리용 목걸이줄의 사용 시 그 사용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

Description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PORTABLE NECK-WIRE REWI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및 각종 키패드를 사용자의 목에 걸때 사용되는 목걸이줄을 필요시 자동으로 감아서 보관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휴대폰 및 키패드 등의 사용시 이들의 사용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줄이 근래에 상당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목걸이줄은 사용자의 목에 걸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그 보관이 상당히 번거롭다.
즉 길이가 긴 목걸이줄을 아무렇게나 뭉쳐서 사용자의 호주머니 등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필요시에는 다시 뭉쳐진 줄을 수작업으로 풀어서 사용하여야 한다. 더욱이 뭉쳐진 줄이 서로 엉켜져 있을 경우에는 목걸이줄의 엉켜진 부분을 풀어서 사용하여야 하여 하므로 이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걸이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목걸이줄을 손쉽게 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나선형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제어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서 권취드럼과 중심축의 끝단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권취드럼
20...목걸이줄
30...제 1권취보빈
40...제 2권취보빈
50...제어블럭
60...제어스위치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보빈; 상기 권취보빈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목걸이줄; 상기 권취보빈의 일측에 설치되어 풀려진 상기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상기 권취보빈에 귄취시키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귄취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보빈은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되며 중심에 중공축이 돌출하여 형성된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1권취보빈과 동축상에 접하며 상기 중공축이 관통하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된 제 2권취보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권취보빈은 제 1회전판과 제 2회전판 그리고 상기 중공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을 이격시키며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된 제 1이격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권취보빈은 상기 제 2회전판과 접하는 제 3회전판과 제 4회전판 그리고 상기 축홀과 연통되며 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된 제 2이격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4회전판에는 원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2권취보빈을 서로 반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려진 상기 목걸이용 줄을 상기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2권취보빈에 각각 권취시키도록 내측단이 상기 중공축에 결합되고, 외측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주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권취보빈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와 상기 제어수단이 설치되는 제어수단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권취보빈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돌출턱과, 상기 제 4권취보빈의 바깥쪽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돌출턱과, 상기 제어수단 설치부에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권취보빈 측으로 탄지되어 상기 제 1돌출턱과 상기 제 2돌출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어블럭과, 상기 제어블럭을 상기 권취보빈 측으로 전 후진 동작시키는 제어스위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블럭의 외측단에는 눌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눌림턱을 눌러 상기 제어블럭이 상기 권취보빈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도록 상기 눌림턱과 접하는 면이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어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의 상기 권취드럼에는 내측 중심에서 돌출한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보빈은 각각이 소정간격 이격된 제 1회전판과 제 2회전판 및 제 3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며 상기 제 1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 사이에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이격시키고, 상기 제 2회전판과 상기 제 3회전판 사이에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하는 중공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3회전판의 외측면에는 원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설치홈에 내장되며, 일단이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벽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권취보빈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와, 상기 권취보빈 설치부의 측방에 형성된 제어수단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권취드럼 내부에 안착된 판체의 링과, 상기 링으로부터 일부 절개 돌출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어스위치 설치부에 설치된 제어스위치에 의하여 눌려지는 눌림부로 구비되고, 상기 링과 접하는 상기 권취보빈의 외주연에는 상기 탄성부의 절곡부분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드럼은 두개의 부재가 나사에 의하여 서로 분리 결합되게 되어 있고, 상기 권취드럼의 내측 타면에는 상기 중심축의 끝단이 끼워지는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6)에 의하여 서로 분리 결합되며 일면에 각종 사진과 같은 액세서리 등을설치할 수 있도록 한 홈(14)이 형성된 권취드럼(10)과, 이 권취드럼(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보빈(30)(40)을 구비한다.
그리고 권취보빈(30)(40)에 양단이 결합되어 귄취보빈(30)(40)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목걸이줄(20)과, 권취보빈(30)(40)의 일측에 설치되어 풀려진 목걸이줄(20)을 자동으로 권취보빈(30)(40)에 귄취시키는 권취수단 및 권취드럼(10)에 설치되어 귄취보빈(30)(40)의 귄취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권취드럼(10)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권취보빈(30)(40)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11)와, 이 권취보빈 설치부(11)와 연결되며 내부에 제어수단이 설치되는 제어수단 설치부(12)가 권취보빈 설치부(11)의 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권취드럼(10)의 제어수단 설치부(1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권취보빈(30)(40)에 감겨진 목걸이줄(20)의 양측이 각각 외부로 연장 노출되도록 하는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권취보빈(30)(4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1권취보빈(30)은 중심에 중공축(31)이 돌출하여 형성되며 중공축(31)에 일체로 결합된 제 1회전판(32)을 구비하고, 이 제 1회전판(3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회전판(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1회전판(32)과 제 2회전판(33)을 이격시키며 이들 모두와 일체로 형성되며 목걸이줄(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 1이격관(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권취보빈(40)은 전술한 중공축(31)이 관통하도록 중앙에축홀(41)이 형성되며 외주에 목걸이줄(20)의 타단이 결합된 제 2이격관(42)을 구비하고, 이 제 2이격관(42)의 일단에는 제 2회전판(33)과 면접하는 제 3회전판(43)이 형성되고, 제 2이격관(42)의 타단에는 상당한 두께를 가진 제 4회전판(44)이 일체로 구현된다. 여기서 제 4회전판(44)의 외측으로는 조립시 축홀(41)을 관통한 중공축(31)의 단부가 제 4회전판(44)의 두께 이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제 4회전판(44)의 외측면에는 원형의 설치홈(44a)이 형성되는데, 이 설치홈(44a)에는 전술한 권취수단이 장착된다. 이 권취수단은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려진 목걸이줄(20)이 동시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권취수단은 설치홈(44a)에 내삽 설치된 나선형 스프링(45)으로 마련되고, 이 나선형 스프링(45)의 동작을 위하여 나선형 스프링(45)의 내측단은 중공축(31)에 고정 결합되며, 외측단은 설치홈(44a)의 내주에 고정 결합되어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이 서로 반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제 1권취보빈(30)중 제 1회전판(32)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돌출턱(35)과, 제 2권취보빈(40)중 제 4회전판(44)의 바깥쪽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돌출턱(46)을 포함하고, 제어수단 설치부(12)에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권취보빈(30))(40) 측으로 탄지되어 제 1돌출턱(35)에 걸리는 제 1걸림턱(51)과, 제 2돌출턱(46)에 걸리는 제 2걸림턱(5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어블럭(50)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블럭(50)을 권취보빈(30)(40) 측으로 전 후진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스위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블럭(50)의 외측단에는 양측방으로 연장된 눌림턱(53)이 형성되고, 제어스위치(60)는 외측단이 눌림턱(53)에 접하여 상측에서 눌려지면 눌림턱(53)을 눌러 제어블럭(50)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도록 눌림턱(53)과 접한면이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두 개의 제어돌기(6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돌출턱(35)과 제 2돌출턱(46)은 나선형 스프링(45)에 의하여 각각의 권취보빈(30)(40)이 복원하는 방향으로는 그 돌출부분이 거의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방향 즉 풀리는 방향으로는 그 돌출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돌출턱(35)과 제 2돌출턱(46)의 형성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10)에 핸드폰, 또는 각종 키패드 등을 결합하거나 또는 그 외의 다양한 목걸이용 액세서리를 결합하여 사용하며, 목걸이줄(20)을 풀어서 목에 걸때나 또는 목걸이줄(20)을 감아서 별도 휴대할 때 본 고안의 권취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먼저 목걸이줄(20)을 풀 때에는 권취드럼(1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목걸이줄(20)의 양쪽을 끌어당기면 목걸이줄(20)이 풀리게 된다.
이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목걸이줄(20)의 양측이 권취드럼(10)으로부터 끌어당겨지면 목걸이줄(20)의 일단이 감겨진 제 1권취보빈(30)과, 목걸이줄(20)의 타단이 감겨진 제 2권취보빈(40)이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이 회전하게 되면 나선형 스프링(45)은 이때의 회전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의 회전시 제 1돌출턱(35)과 제 2돌출턱(46)은 각각이 제어블럭의 제 1걸림턱(51)과 제 2걸림턱(52)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걸림턱(51)(52)에 각각의 돌출턱(35)(46)이 걸리는 부분은 돌출턱(35)(46)의 경사진 부분이다.
따라서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회전이 멈추면 순간적으로 나선형 스프링(45)에 의하여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이 목걸이줄(20)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복원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의 복원 동작시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의 최초 제어블럭(50)의 걸림턱(51)(52)과 접하게 되는 부분은 각각의 돌출턱(35)(46)에 형성된 경사진 부분의 반대편인 수직부분이다. 그러므로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은 각각의 걸림턱(51)(52)이 각각의 돌출턱(35)(46)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목걸이줄(20)의 풀림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풀려진 목걸이줄(20)을 사용자의 목에 걸때에는 목걸이줄(20)의 링크결합부(21)를 분리하여 목걸이줄(20)의 양단을 목 뒷부분으로 이동시킨 다음 링크결합부(21)를 결합시켜 목에 걸 수 있고, 링크결합부(21)를 분리하지 않고, 직접 머리를 통하여 목에 걸 수도 있다.
다음으로 풀려진 목걸이줄(20)을 감을 때에는 사용자가 제어스위치(60)를 누름으로써 그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 동작은 최초 제어스위치(60)를 누르면 제어돌기(61)가 눌려지면서 제어돌기(61)의 경사진 부분이 제어블럭(50)의 눌림턱(53)을 상부로부터 누르게 된다. 이때 눌림턱(53)이 눌리면 제어블럭(50)은 외측으로 밀려 나가게 되며, 동시에 제어블럭(50)의 후방에 탄지된 코일스프링(54)은 압착된다.
이렇게 제어블럭(50)이 외측으로 밀려나감으로써 제 1걸림턱(51)과 제 2걸림턱(52)이 제 1돌출턱(35)과 제 2돌출턱(46)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이 나선형 스프링(45)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 즉 복원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목걸이줄(20)이 제 1권취보빈(30)과 제 2권취보빈(40)에 각각 자동으로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제어스위치(60)를 놓게 되면 제어블럭(50)은 코일 스프링(54)에 의하여 복원하여 각각의 걸림턱(51)(52)이 각각의 돌출턱(35)(46)에 걸리게 되어 권취보빈(40)들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이 두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에 대한 구성중 일부분은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가능한 언급하지 않으므로, 구성 중 일부는 도 1 내지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일부 참조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기술적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내부 중심에 중심축(110)이 돌출 형성된 권취드럼(100)과, 이 권취드럼(100) 내부에 장착된 하나의 권취보빈(300)을 구비한다.
이 권취보빈(300)은 각각이 소정간격 이격된 제 1회전판(310)과 제2회전판(320) 및 제 3회전판(330)으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중공(340)이 형성된 중공관(360)이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회전판(310)과 제 2회전판(320) 사이에는 목걸이줄(200)의 일단이 결합되어 권취되어 있고, 제 2회전판(320)과 제 3회전판(330) 사이에는 목걸이줄(200)의 타단이 결합되어 권취되어 있는데, 이 목걸이줄(200)의 양단은 동일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제 3회전판(330)의 외측면에는 원형의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홈에는 권취수단인 나선형 스프링(350)이 내장 설치된다. 이 나선형 스프링(350)은 일단이 중심축(110)에 형성된 끼움홈(110a)에 결합되고, 타단이 설치홈의 내벽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결합되어 권취보빈(300)에 대한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중 설치홈이 내벽에 형성된 끼움홈의 구성은 본 고안의 첫 번재 실시예를 설명한 도 3의 도면 구성과 유사한다.
한편, 권취드럼(100)은 권취보빈(300)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120)와, 권취보빈 설치부(120)의 측방에 돌출 형성된 제어수단 설치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권취드럼(100) 내부에 안착된 판체의 링(400)을 포함하는데, 이 판체의 링(400)은 링(400)과 이 링(400)으로부터 일부 절개 돌출된 탄성부(410)와 탄성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제어수단 설치부(130)로 연장된 눌림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눌림부(420)의 상측으로는 별도의 제어스위치(500)가 설치된다.
여기서 링(400)과 접하는 권취보빈(300)의 외주연에는 탄성부(410)의 절곡부분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턱(332)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332)은 복원방향이 수직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반대편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눌림부(420)가 제어스위치(500)에 의하여 눌려지지 않으면 탄성부(410)의 절곡부분에 권취보빈(300)에 형성된 걸림턱(332)의 수직부분이 걸려서 회전이 저지되고, 눌림부(420)가 제어스위치(500)에 의하여 눌려서 탄성부(410)가 눌려지면 권취보빈(300)이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목걸이줄(200)을 풀 때에는 사용자가 목걸이줄(200)의 양단을 끌어당기면 권취보빈(300)이 회전하면서 목걸이줄(200)이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권취보빈(300)의 회전시 링(400)의 탄성부(410)가 걸림턱(332)의 경사진 부분과 접하므로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목걸이줄(200)이 풀려지면서 권취보빈9300)이 회전함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350)이 압축된다.
반면에 권취된 목걸이줄(200)을 감을 때에는 제어스위치(500)를 누르면 탄성부(410)가 권취드럼(100)의 바닥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410)가 권취보빈(300)의 걸림턱(332)에서의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러면 나선형 스프링(350)은 그 복원력으로 권취보빈(300)을 목걸이줄(200)이 풀릴 때의 반대방향, 즉 권취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목걸이줄(200)의 양단은 권취보빈(300)에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목걸이줄(200)의 권취동작시 제어스위치(500)를 놓으면 순간적으로 탄성부(410)가 신속하게 복원하여 최초 접하게 되는 걸림턱(332)에 탄성부(410)의 절곡부분이 걸리게 됨으로써 권취보빈(300)의 권취동작이 멈추어지게 된다.
한편, 권취드럼(100)은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권취보빈(300)이 설치되게 되어 있는데. 어느 하나의 권취드럼(100)에는 상술한 중심축(11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권취드럼(100)에는 나사(510)가 관통 설치되어 이 나사(510)가 중심축(110) 끝단과 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중심축(110)에는 나선형 스프링(350)의 중심 끝단이 끼워지도록 상단으로부터 끼움홈(110a)이 절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510)가 중심축(110)의 상단으로 결합될 경우 중심축(110)의 끝단이 외측으로 벌어져 나사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100) 중 나사(510)가 결합되는 권취드럼(100)의 내측면에는 캡(100a)이 돌출 형성되어 이 캡(100a)의 내측으로 중심축(11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나사 결합시 중심축(110)의 끝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캡(100a)을 돌출시켜 형상하지 않고, 권취드럼(100)의 내면에 중심축(11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하는 홈(미도시)을 형성하여서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휴대폰, 각종 키패드 또는 목걸이용 액세서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권취보빈의 숫자와 구성 그리고 나선형 스프링의 숫자와 구성을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을 두 개 설치하고, 각각의 권취보빈을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두개 설치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지만,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성들이 본 고안의 필수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는 목걸이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손쉽게 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 및 각종 키패드 그리고 액세서리용 목걸이줄의 사용시 그 사용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보빈;
    상기 권취보빈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겨지는 목걸이줄;
    상기 권취보빈의 일측에 설치되어 풀려진 상기 목걸이줄을 자동으로 상기 권취보빈에 귄취시키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귄취보빈의 귄취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보빈은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되며 중심에 중공축이 돌출하여 형성된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1권취보빈과 동축상에 접하며 상기 중공축이 관통하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된 제 2권취보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권취보빈은 제 1회전판과 제 2회전판 그리고 상기 중공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을 이격시키며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된 제 1이격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권취보빈은 상기 제 2회전판과 접하는 제 3회전판과 제 4회전판 그리고 상기 축홀과 연통되며 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된 제 2이격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회전판에는 원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2권취보빈을 서로 반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려진 상기 목걸이용 줄을 상기 제 1권취보빈과, 상기 제 2권취보빈에 각각 권취시키도록 내측단이 상기 중공축에 결합되고, 외측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주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권취보빈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와 상기 제어수단이 설치되는 제어수단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권취보빈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돌출턱과, 상기 제 4권취보빈의 바깥쪽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돌출턱과, 상기 제어수단 설치부에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권취보빈 측으로 탄지되어 상기 제 1돌출턱과 상기 제 2돌출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어블럭과, 상기 제어블럭을 상기 권취보빈 측으로 전후진 동작시키는 제어스위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블럭의 외측단에는 눌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눌림턱을 눌러 상기 제어블럭이 상기 권취보빈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도록 상기 눌림턱과 접하는 면이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어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의 내측 일면 중심에서 돌출한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보빈은 각각이 소정간격 이격된 제 1회전판과 제 2회전판 및 제 3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며 상기 제 1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 사이에 상기 목걸이줄의 일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이격시키고, 상기 제 2회전판과 상기 제 3회전판 사이에 상기 목걸이줄의 타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하는 중공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회전판의 외측면에는 원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설치홈에 내장되며, 일단이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벽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권취보빈이 설치되는 권취보빈 설치부와, 상기 권취보빈 설치부의 측방에 형성된 제어수단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권취드럼 내부에 안착된 판체의 링과, 상기 링으로부터 일부 절개 돌출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어스위치 설치부에 설치된 제어스위치에 의하여 눌려지는 눌림부로 구비되고,
    상기 링과 접하는 상기 권취보빈의 외주연에는 상기 탄성부의 절곡부분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은 두개의 부재가 나사에 의하여 서로 분리 결합되게 되어 있고, 상기 권취드럼의 내측 타면에는 상기 중심축의 끝단이 끼워지는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KR20-2003-0025199U 2003-08-05 2003-08-05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KR200332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199U KR200332219Y1 (ko) 2003-08-05 2003-08-05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199U KR200332219Y1 (ko) 2003-08-05 2003-08-05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219Y1 true KR200332219Y1 (ko) 2003-11-05

Family

ID=4934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199U KR200332219Y1 (ko) 2003-08-05 2003-08-05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2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53B1 (ko) * 2005-03-17 2012-05-24 명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101256203B1 (ko) 2012-10-19 2013-04-19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자동으로 수직위치 측정이 가능한 광파 측량용 프리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53B1 (ko) * 2005-03-17 2012-05-24 명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101256203B1 (ko) 2012-10-19 2013-04-19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자동으로 수직위치 측정이 가능한 광파 측량용 프리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6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winding a portable cord
US7328868B2 (en) Wire-winding device for two kinds of cables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US5797558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US20020040945A1 (en) Retractable cable assembly
US6349808B1 (en) Cord rewinder device and horizontally-mounted electrical cord rewind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USRE38211E1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JPS5935617B2 (ja) 真空掃除機等のコ−ド巻取装置
US2031434A (en) Conductor reel
US20160332842A1 (en) Detachable Spring Loaded Headphone Reel and Method of Use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KR200332219Y1 (ko)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US20060071112A1 (en) Cable reel
KR19980059970U (ko)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JP3043585U (ja) コード巻取装置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233029Y1 (ko)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JPS59161963A (ja) 電話機のコ−ド巻取り装置
GB2351485A (en) Storage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having an earpiece
KR200200163Y1 (ko) 이어마이크 권취릴 잠금 해제 장치
JP2002101484A (j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KR200204483Y1 (ko) 핸즈프리용 이어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