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14B1 -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 Google Patents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14B1
KR101673414B1 KR1020150186499A KR20150186499A KR101673414B1 KR 101673414 B1 KR101673414 B1 KR 101673414B1 KR 1020150186499 A KR1020150186499 A KR 1020150186499A KR 20150186499 A KR20150186499 A KR 20150186499A KR 101673414 B1 KR101673414 B1 KR 10167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ry drum
hole
ear canal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박대균
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5018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C' 형태로 굽어져 목에 걸리는 넥 밴드와; 오디오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고 평상시 넥 밴드의 양끝에 고정되다가 소리를 듣기 위해 외이도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넥 밴드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의 일단이 전기 접속된 이어폰 헤드; 상기 넥 밴드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쉬(Push) 되었을 때 넥 밴드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를 다시 넥 밴드 안으로 말아 넣는 복귀 버튼; 및 상기 와이어가 이어폰 헤드를 따라 넥 밴드 바깥으로 당겨졌을 때 와이어가 당겨진 길이만큼 와이어를 풀어내며 복귀 버튼이 눌렸을 때 넥 밴드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를 넥 밴드 안으로 감아 넣는 리트랙터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은 넥 밴드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고 넥 밴드 내부의 고정축에 관통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부 둘레면을 관통한 와이어 토출구에 와이어의 일단이 끼워진 채 바깥 둘레 면에 와이어가 권취 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의 바깥 둘레 면으로부터 회전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고 측부 둘레 면에 각이 진 제동턱이 갖추어진 제동 날개, 상기 복귀 버튼과 연동 되어 복귀 버튼이 푸쉬(Push) 되지 않았을 때 제동턱에 걸려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복귀 버튼이 푸쉬(Push) 되었을 때 제동턱으로부터 빠져나와 회전 드럼이 되감기도록 하는 스톱퍼, 및 태엽 형태로 말아진 스프링으로서 선단이 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 드럼에 고정되어 회전 드럼에 권취 된 와이어가 풀릴 때 고정축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탄성력이 증대되었다가 복귀 버튼이 눌려 제동턱으로부터 스톱퍼가 빠져나왔을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회전 드럼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드럼의 외부 둘레 면에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하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태엽 스프링이 완전히 수축되어 더 이상 와이어가 넥 밴드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을 때 회전 드럼에 반 바퀴 이상 감기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토출구와 맞닿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가 손상됨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헤드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끝단이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됨을 예방하고, 넥 밴드형 이어폰에 있어서, 리트랙터블 모듈에 감긴 와이어가 리트랙터블 모듈에 감기거나 리트랙터블 모듈로부터 풀릴 때 리트랙터블 모듈에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이 반복적으로 꺽여 손상됨을 예방한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나 DMB 단말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이어폰이 사용된다.
상기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와, 상기 한 쌍의 이어폰 헤드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이어폰 잭과 연결 시키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 헤드와 와이어의 연결 부분, 또는 플러그와 와이어의 연결 부분에서 단선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와이어가 꼬이거나 당겨졌을 때 와이어의 연결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고, 와이어가 구부려졌을 때 이어폰 헤드와 와이어의 연결 부분, 또는 플러그와 와이어의 연결 부분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전기 접속되는 이어폰 헤드의 일측에는 도면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헤드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원뿔대 형태로서 와이어가 끼워지는 와이어 홀딩 부재가 이중 사출 공법에 의해 이어폰 헤드에 장착되는데, 상기 기존의 와이어 홀딩 부재는 그 길이가 짧아 와이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와이어가 단선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홀딩 부재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이어폰 헤드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또, 현재 출시되고 있는 넥 밴드형 이어폰에는 이어폰 헤드를 넥 밴드 바깥으로 당겼을 때 넥 밴드 안에 감겨 진 와이어를 탄력적으로 풀어내고 버튼을 눌렀을 때 풀린 와이어를 넥 밴드 안으로 감아 넣는 리트랙터블 모듈(Retractable module)이 장착된다.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고정축, 상기 베이스판 위에 장착되면서 윗면에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PCB 패드가 갖추어진 PCB, 상기 고정축에 끼워진 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면에 와이어가 감기며 외부 둘레면에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와이어 토출구가 관통된 감김 부재, 상기 감김 부재의 밑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 토출구로 빠져나온 와이어의 일단이 전기 접속되고 하단이 PCB 패드와 맞닿아 PCB 패드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전기 신호를 와이어에 전달하는 브러쉬, 및 태엽 형태로 말아진 탄성체로서 상기 감김 부재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단이 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감김 부재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가 감김 부재로부터 풀릴 때 회전 반경이 좁아지면서 수축되고 감김 부재에 와이어가 되감길 때 회전 반경이 확장되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트랙터블 모듈은 감김 부재에 감긴 와이어가 완전히 풀려 도면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 형태로 펼쳐졌다가 감김 부재에 되감길 때 와이어 토출구와 맞닿는 와이어의 굽힘 반경이 좁아 반복적으로 동작 되었을 때 와이어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번호 "20-2012-0002984"호의 "이어폰 보호캡"이 출원되어 공개되었는데, 상기 이어폰 보호캡은 이어폰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를 감싸도록 플러그 지지 공간을 갖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선을 감싸는 코드선 지지 공간을 갖는 제2 몸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20-2012-0002984 (2012.05.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20-2014-0003052 (2014.05.27)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5-0069178 (2015.06.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폰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됨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트랙터블 모듈로부터 와이어가 완전히 풀렸을 때 와이어 토출구로부터 빠져나온 와이어의 끝단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리트랙터블 모듈에 의해 지속적으로 꺽이거나 펴져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됨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은 'C' 형태로 굽어져 목에 걸리는 넥 밴드와; 오디오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고 평상시 넥 밴드의 양끝에 고정되다가 소리를 듣기 위해 외이도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넥 밴드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의 일단이 전기 접속된 이어폰 헤드; 상기 넥 밴드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쉬(Push) 되었을 때 넥 밴드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를 다시 넥 밴드 안으로 말아 넣는 복귀 버튼; 및 상기 와이어가 이어폰 헤드를 따라 넥 밴드 바깥으로 당겨졌을 때 와이어가 당겨진 길이만큼 와이어를 풀어내며 복귀 버튼이 눌렸을 때 넥 밴드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를 넥 밴드 안으로 감아 넣는 리트랙터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은 넥 밴드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고 넥 밴드 내부의 고정축에 관통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부 둘레면을 관통한 와이어 토출구에 와이어의 일단이 끼워진 채 바깥 둘레 면에 와이어가 권취 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의 바깥 둘레 면으로부터 회전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고 측부 둘레 면에 각이 진 제동턱이 갖추어진 제동 날개, 상기 복귀 버튼과 연동 되어 복귀 버튼이 푸쉬(Push) 되지 않았을 때 제동턱에 걸려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복귀 버튼이 푸쉬(Push) 되었을 때 제동턱으로부터 빠져나와 회전 드럼이 되감기도록 하는 스톱퍼, 및 태엽 형태로 말아진 스프링으로서 선단이 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 드럼에 고정되어 회전 드럼에 권취 된 와이어가 풀릴 때 고정축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탄성력이 증대되었다가 복귀 버튼이 눌려 제동턱으로부터 스톱퍼가 빠져나왔을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회전 드럼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드럼의 외부 둘레 면에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하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태엽 스프링이 완전히 수축되어 더 이상 와이어가 넥 밴드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을 때 회전 드럼에 반 바퀴 이상 감기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토출구와 맞닿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가 손상됨을 억제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모듈에 장착된 태엽 스프링이 완전히 수축될 때까지 와이어를 당겼을 때 와이어가 회전 드럼 상에 반바퀴 이상 감겨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에 인서트를 부가 장착함과 더불어 와이어 홀딩 부재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와이어의 유동량을 증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모듈로부터 와이어가 완전히 풀렸을 때 와이어 토출구로부터 빠져나온 와이어의 끝단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리트랙터블 모듈에 의해 반복적으로 꺽이거나 펴져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 됨을 예방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면 2는 리트랙터블 모듈의 사시도,
도면 3은 리트랙터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면 4는 회전 드럼에 와이어가 되감겼을 때 태엽 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어 회전 반경이 넓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5는 회전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렸을 때 태엽 스프링이 수축되어 회전 반경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6은 본 발명은 와이어가 완전히 당겨졌을 때 회전 드럼 상에 반 바퀴 이상 감긴 상태가 되어 와이어 토출구와 맞닿는 와이어가 반복적으로 굽혀지거나 펴지지 않게 됨으로써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게 됨을 도시한 도면,
도면 7은 이어폰 헤드의 결합 사시도,
도면 8은 이어폰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면 9는 하부 바깥 케이스에 내부 케이스와 인서트가 결합 된 상태에서 하부 바깥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인서트, 및 와이어 홀딩 부재를 종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면 10은 마그네트와, 인서트, 내부 케이스, 및 하부 바깥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1은 스피커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 12와 도면 13은 오형 방수링을 도시한 도면,
도면 14는 넥 밴드와 맞닿는 이어폰 헤드의 밑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 15는 인서트가 없는 기존의 이어폰 헤드의 종단면도,
도면 16은 기존 리트랙터블 모듈의 와이어는 와이어 토출구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 다음 회전 드럼에 되감길 때 와이어 토출구와 맞닿는 와이어의 굽힘 반경이 작아 반복적으로 굽혀졌다 펴졌을 때 와이어가 손상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은 도면 1 내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형태로 굽어져 목에 걸리는 넥 밴드(1)와, 오디오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고 평상시 넥 밴드(1)의 양끝에 고정되다가 소리를 듣기 위해 외이도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넥 밴드(1)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3)의 일단이 전기 접속된 이어폰 헤드(5), 상기 넥 밴드(1)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쉬(Push) 되었을 때 넥 밴드(1)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3)를 다시 넥 밴드(1) 안으로 말아 넣는 복귀 버튼(7), 상기 와이어(3)가 이어폰 헤드(5)를 따라 넥 밴드(1) 바깥으로 당겨졌을 때 와이어(3)가 당겨진 길이만큼 와이어(3)를 풀어내며 복귀 버튼(7)이 눌렸을 때 넥 밴드(1)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3)를 넥 밴드(1) 안으로 감아 넣는 리트랙터블 모듈(9)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9)은 넥 밴드(1)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고 넥 밴드(1) 내부의 고정축(11)에 관통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부 둘레면을 관통한 와이어 토출구(13)에 와이어(3)의 일단이 끼워진 채 바깥 둘레 면에 와이어(3)가 권취 되는 회전 드럼(15)과, 상기 회전 드럼(15)의 바깥 둘레 면으로부터 회전 드럼(15)의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고 측부 둘레 면에 각이 진 제동턱(17)이 갖추어진 제동 날개(19), 상기 복귀 버튼(7)과 연동 되어 복귀 버튼(7)이 푸쉬(Push) 되지 않았을 때 제동턱(17)에 걸려 회전 드럼(15)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복귀 버튼(7)이 푸쉬(Push) 되었을 때 제동턱(17)으로부터 빠져나와 회전 드럼(15)이 되감기도록 하는 스톱퍼(21), 및 태엽 형태로 말아진 스프링으로서 선단이 고정축(11)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 드럼(15)에 고정되어 회전 드럼(15)에 권취 된 와이어(3)가 풀릴 때 고정축(11)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탄성력이 증대되었다가 복귀 버튼(7)이 눌려 제동턱(17)으로부터 스톱퍼(21)가 빠져나왔을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회전 드럼(15)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드럼(15)의 외부 둘레 면에 와이어(3)가 권취되도록 하는 태엽 스프링(23)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3)의 길이는 태엽 스프링(23)이 완전히 수축되어 더 이상 와이어(3)가 넥 밴드(1)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을 때 회전 드럼(15)에 반 바퀴 이상 감기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토출구(13)와 맞닿는 와이어(3)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3)가 손상됨을 억제한다.
상기 스톱퍼(21)의 후단에는 코일형 스프링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 버튼(7)이 푸쉬 되었을 때에는 복귀 버튼(7)에 의해 스톱퍼(21)가 후방으로 밀려 코일 형태의 스프링이 수축되는 반면 복귀 버튼(7)이 푸쉬 되지 않았을 때에는 코일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21)가 제동턱(17)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동턱(17)은 각이 지고 제동 날개(19)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와이어(3)가 넥 밴드(1) 바깥으로 당겨질 때에는 회전 드럼(1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톱퍼(21)가 원호 형상의 제동 날개(19)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반면, 당기던 와이어(3)를 놓게 되면 회전 드럼(15)이 태엽 스프링(23)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각이 진 제동턱(17)이 스톱퍼(21)와 맞물리게 되어 회전 드럼(15)이 정지된다.
상기 이어폰 헤드(5)는 도면 7 내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측부 둘레 면에 이어폰 헤드(5) 내부로 와이어(3)를 인입시키는 와이어 홀딩 부재(25)가 끼워지도록 제1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27)이 갖추어지고 내부 둘레 면에 고리 형태의 환형턱(29)이 갖추어진 하부 바깥 케이스(31)와,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끼워지고 일측에 와이어(3)가 통과되는 와이어 통과홀(33)이 관통된 원뿔대 형상의 와이어 홀딩 부재(25)가 장착된 내부 케이스(35),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내부 케이스(35)의 안쪽에 끼워지고 측부 둘레 면에 와이어 홀딩 부재(25)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제2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37)이 가공된 인서트(39), 상기 와이어 통과홀(33)을 통해 인서트(39) 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한쪽 끝이 매듭 지어진 와이어(3)가 와이어 홀딩 부재(25)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인서트(39) 안으로 인입된 와이어(3)에 끼워지는 와셔(41), 하단이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개방된 윗면을 통해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으로 인입된 다음 조립 결합 되고 상부에 외이도에 삽입되는 외이도 장착 스크류(43)가 갖추어지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제1 소리 통과홀(45)이 관통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의 하단과 맞닿는 외부 둘레 면에 원주 방향으로 환형 홈(47)이 가공된 상부 바깥 케이스(49), 상기 제1 소리 통과홀(45) 위에 덮어 씌워져 제1 소리 통과홀(45)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 부재(51), 'O' 형태의 고무링으로서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형턱(29)에 걸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바깥 케이스(49)의 하단과 환형턱(29) 사이에 압착되어 상·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오형 방수링(53), 상기 오형 방수링(53)에 끼움 고정되고 와이어(3)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55), 및 연질의 돔 형태로서 중앙에 제2 소리 통과홀(57)이 가공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외이도와 외이도 장착 스크류(43) 사이의 공간을 메꿈으로서 외이도로 전달되는 소리가 새어나옴을 방지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가 외이도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을 방지하는 이어젤(59)(Ear gel)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이도 장착 스크류(43)의 윗면에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소리 통과홀(45)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이 진 단턱(77)이 갖추어져 상기 이물질 차단 부재(51)의 가장자리가 단턱(77)에 걸쳐 고정된다.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내부 밑면에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자력을 이용하여 이어폰 헤드(5)를 넥 밴드(1) 양측 단에 고정 시키는 마그네트(61)가 설치되는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가 갖추어지고, 상기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를 마주보는 내부 케이스(35)의 밑면에는 마그네트(61)가 끼워지도록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이 관통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을 마주보는 인서트(39)의 밑면에는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이 관통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2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37)을 마주보는 일측이 개방되어 C 형상을 갖는 C형 돌출턱(69)이 형성되어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에 끼워진 마그네트(61)의 이탈을 막는다.
상기 상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과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 및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에는 마그네트(61)가 끼워진다.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밑면에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돌기(71)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 돌기(71)를 마주보는 내부 케이스(35)의 밑면에는 고정 돌기(71)가 통과되도록 제1 고정 돌기 통과홀(73)이 가공되며, 상기 고정 돌기(71)를 마주보는 인서트(39)의 밑면에는 고정 돌기(71)가 통과되도록 제2 고정 돌기 통과홀(75)이 가공된다.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내부 케이스(35)와 인서트(39)가 장착되었을 때 고정 돌기(71)가 제1 고정 돌기 통과홀(73)을 통해 제2 고정 돌기 통과홀(75)에 끼워져, 상기 인서트(39)가 내부 케이스(35)의 안쪽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55)는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서 스피커(55)의 바깥 둘레 면을 따라 단이 진 스피커 환형턱(79)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스피커(55)는 스피커 환형턱(79)을 기준으로 스피커 환형턱(79)의 상부에 오형 방수링(53)의 내부 지름보다 큰 스피커 상부 케이스(81)가 갖추어지고, 스피커 환형턱(79)의 하부에 지름이 오형 방수링(53)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스피커 하부 케이스(83)가 갖추어진다.
상기 스피커 환형턱(79)은 오형 방수링(53)에 걸쳐지고 상기 스피커 하부 케이스(83)는 오형 방수링(53)에 끼워진다.
상기 스피커 하부 케이스(83)의 양측 면에는 스피커 하부 케이스(83)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85)가 갖추어지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85) 사이에 배치된 스피커 환형턱(79)의 모서리에는 단이 진 이중 단턱(87)이 갖추어진다.
한편, 상기 오형 방수링(53)의 바깥 둘레면 하부 가장자리에는 도면 12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턱(29)에 걸치는 방수링 하부 단턱(89)이 갖추어지고, 상기 오형 방수링(53)의 바깥 둘레면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 바깥 케이스(49)의 하단이 걸치는 방수링 상부 단턱(91)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오형 방수링(53)의 내부 둘레면에는 이중 단턱(87)이 얹혀지는 방수링 내부 단턱(93)이 갖추어지고, 상기 방수링 내부 단턱(93)의 측단에는 어느 1개의 스토퍼(85)가 끼워지도록 사각홀(95)이 관통된다.
또, 상기 오형 방수링(53)의 내부 둘레 면에는 스피커(55)에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3)가 통과되도록 와이어 삽입홀(100)이 갖추어진다.
상기 넥 밴드(1)의 일단을 마주보는 이어폰 헤드(5)의 하부 바깥 케이스(31)에는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홈(97)이 가공되고, 상기 원형홈(97)에는 금속 재질의 쉬트(99)(Sheet)가 장착되어 넥 밴드(1)의 일단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이어폰 헤드(5)에 장착된 마그네트(61)가 금속 재질의 쉬트(99)를 통해 서로 잡아당기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모듈(9)에 장착된 태엽 스프링(23)이 완전히 수축될 때까지 와이어(3)를 당겼을 때 와이어(3)가 회전 드럼(15) 상에 반바퀴 이상 감겨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5)에 인서트(39)를 부가 장착함과 더불어 와이어 홀딩 부재(25)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와이어 홀딩 부재(25)상에서 와이어(3)의 유동량을 증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5)에 연결되는 와이어(3)의 일단이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 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모듈(9)로부터 와이어(3)가 완전히 풀렸을 때 와이어 토출구(13)로부터 빠져나온 와이어(3)의 끝단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리트랙터블 모듈(9)에 의해 반복적으로 꺽이거나 펴져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 됨을 예방할 수 있다.
1. 넥 밴드 3. 와이어
5. 이어폰 헤드 7. 복귀 버튼
9. 리트랙터블 모듈 11. 고정축
13. 와이어 토출구 15. 회전 드럼
17. 제동턱 19. 제동 날개
21. 스톱퍼 23. 태엽 스프링
25. 와이어 홀딩 부재 27. 제1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
29. 환형턱 31. 하부 바깥 케이스
33. 와이어 통과홀 35. 내부 케이스
37. 제2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 39. 인서트
41. 와셔 43. 장착 스크류
45. 제1 소리 통과홀 47. 환형 홈
49. 상부 바깥 케이스 51. 이물질 차단 부재
53. 오형 방수링 55. 스피커
57. 제2 소리 통과홀 59. 이어젤
61. 마그네트 63.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
65. 제1 마그네트 장착홀 67. 제2 마그네트 장착홀
69. C형 돌출턱 71. 고정 돌기
73. 제1 고정 돌기 통과홀 75. 제2 고정 돌기 통과홀
77. 단턱 79. 스피커 환형턱
81. 스피커 상부 케이스 83. 스피커 하부 케이스
85. 스토퍼 87. 이중 단턱
89. 방수링 하부 단턱 91. 방수링 상부 단턱
93. 방수링 내부 단턱 95. 사각홀
97. 원형홈 99. 쉬트
100. 와이어 삽입홀

Claims (4)

  1. 'C' 형태로 굽어져 목에 걸리는 넥 밴드(1)와;
    오디오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고 평상시 넥 밴드(1)의 양끝에 고정되다가 소리를 듣기 위해 외이도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넥 밴드(1)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며 오디오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3)의 일단이 전기 접속된 이어폰 헤드(5);
    상기 넥 밴드(1)의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쉬(Push) 되었을 때 넥 밴드(1)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3)를 다시 넥 밴드(1) 안으로 말아 넣는 복귀 버튼(7);
    상기 와이어(3)가 이어폰 헤드(5)를 따라 넥 밴드(1) 바깥으로 당겨졌을 때 와이어(3)가 당겨진 길이만큼 와이어(3)를 풀어내며 복귀 버튼(7)이 눌렸을 때 넥 밴드(1) 바깥으로 빠져나온 와이어(3)를 넥 밴드(1) 안으로 감아 넣는 리트랙터블 모듈(9)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9)은 넥 밴드(1)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고 넥 밴드(1) 내부의 고정축(11)에 관통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부 둘레면을 관통한 와이어 토출구(13)에 와이어(3)의 일단이 끼워진 채 바깥 둘레 면에 와이어(3)가 권취 되는 회전 드럼(15)과,
    상기 회전 드럼(15)의 바깥 둘레 면으로부터 회전 드럼(15)의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고 측부 둘레 면에 각이 진 제동턱(17)이 갖추어진 제동 날개(19),
    상기 복귀 버튼(7)과 연동 되어 복귀 버튼(7)이 푸쉬(Push) 되지 않았을 때 제동턱(17)에 걸려 회전 드럼(15)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복귀 버튼(7)이 푸쉬(Push) 되었을 때 제동턱(17)으로부터 빠져나와 회전 드럼(15)이 되감기도록 하는 스톱퍼(21),
    및 태엽 형태로 말아진 스프링으로서 선단이 고정축(11)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 드럼(15)에 고정되어 회전 드럼(15)에 권취 된 와이어(3)가 풀릴 때 고정축(11)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탄성력이 증대되었다가 복귀 버튼(7)이 눌려 제동턱(17)으로부터 스톱퍼(21)가 빠져나왔을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회전 드럼(15)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드럼(15)의 외부 둘레 면에 와이어(3)가 권취되도록 하는 태엽 스프링(23)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3)의 길이는 태엽 스프링(23)이 완전히 수축되어 더 이상 와이어(3)가 넥 밴드(1)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을 때 회전 드럼(15)에 반 바퀴 이상 감기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토출구(13)와 맞닿는 와이어(3)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3)가 손상됨을 억제하고,
    상기 이어폰 헤드(5)는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측부 둘레 면에 이어폰 헤드(5) 내부로 와이어(3)를 인입시키는 와이어 홀딩 부재(25)가 끼워지도록 제1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27)이 갖추어지고 내부 둘레 면에 고리 형태의 환형턱(29)이 갖추어진 하부 바깥 케이스(31)와,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끼워지고 일측에 와이어(3)가 통과되는 와이어 통과홀(33)이 관통된 원뿔대 형상의 와이어 홀딩 부재(25)가 장착된 내부 케이스(35),
    속이 비어 있고 윗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내부 케이스(35)의 안쪽에 끼워지고 측부 둘레 면에 와이어 홀딩 부재(25)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제2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37)이 가공된 인서트(39),
    상기 와이어 통과홀(33)을 통해 인서트(39) 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한쪽 끝이 매듭 지어진 와이어(3)가 와이어 홀딩 부재(25)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인서트(39) 안으로 인입된 와이어(3)에 끼워지는 와셔(41),
    하단이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개방된 윗면을 통해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으로 인입된 다음 조립 결합 되고 상부에 외이도에 삽입되는 외이도 장착 스크류(43)가 갖추어지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제1 소리 통과홀(45)이 관통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의 하단과 맞닿는 외부 둘레 면에 원주 방향으로 환형 홈(47)이 가공된 상부 바깥 케이스(49),
    상기 제1 소리 통과홀(45) 위에 덮어 씌워져 제1 소리 통과홀(45)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 부재(51),
    'O' 형태의 고무링으로서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형턱(29)에 걸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바깥 케이스(49)의 하단과 환형턱(29) 사이에 압착되어 상·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오형 방수링(53),
    상기 오형 방수링(53)에 끼움 고정되고 와이어(3)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55),
    및 연질의 돔 형태로서 중앙에 제2 소리 통과홀(57)이 가공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외이도와 외이도 장착 스크류(43) 사이의 공간을 메꿈으로서 외이도로 전달되는 소리가 새어나옴을 방지하고 외이도 장착 스크류(43)가 외이도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을 방지하는 이어젤(59)(Ear ge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내부 밑면에는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자력을 이용하여 이어폰 헤드(5)를 넥 밴드(1) 양측 단에 고정 시키는 마그네트(61)가 설치되는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가 갖추어지고,
    상기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를 마주보는 내부 케이스(35)의 밑면에는 마그네트(61)가 끼워지도록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이 관통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을 마주보는 인서트(39)의 밑면에는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이 관통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2 와이어 홀딩 부재 끼움 구멍(37)을 마주보는 일측이 개방되어 C 형상을 갖는 C형 돌출턱(69)이 형성되어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에 끼워진 마그네트(61)의 이탈을 막으며,
    상기 상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 장착홀(67)과 제1 마그네트 장착홀(65) 및 마그네트 설치 공간부(63)에는 마그네트(6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밑면에는 고정 돌기(71)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 돌기(71)를 마주보는 내부 케이스(35)의 밑면에는 고정 돌기(71)가 통과되도록 제1 고정 돌기 통과홀(73)이 가공되며,
    상기 고정 돌기(71)를 마주보는 인서트(39)의 밑면에는 인서트(39)가 통과되도록 제2 고정 돌기 통과홀(75)이 가공되어,
    상기 하부 바깥 케이스(31)의 안쪽에 내부 케이스(35)와 인서트(39)가 장착되었을 때 고정 돌기(71)가 제1 고정 돌기 통과홀(73)을 통해 제2 고정 돌기 통과홀(75)에 끼워져,
    상기 인서트(39)가 내부 케이스(35)의 안쪽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150186499A 2015-12-24 2015-12-24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KR10167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99A KR101673414B1 (ko) 2015-12-24 2015-12-24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99A KR101673414B1 (ko) 2015-12-24 2015-12-24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414B1 true KR101673414B1 (ko) 2016-11-07

Family

ID=5752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499A KR101673414B1 (ko) 2015-12-24 2015-12-24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43B1 (ko) * 2016-12-15 2018-02-09 에스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EP3340645A3 (en) * 2016-12-26 2018-08-22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CN109511026A (zh) * 2017-09-14 2019-03-22 深圳市乐迈科技有限公司 绕线器及应用其的蓝牙耳机
CN109788386A (zh) * 2019-01-05 2019-05-21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及其耳挂的制造方法
CN110212367A (zh) * 2019-06-19 2019-09-06 佛山闽雄机电科技有限公司 线护管结构、线端部结构、用电器引出电线的防断结构及其安装方法
US10448141B2 (en) 2016-12-26 2019-10-1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984U (ko) 2010-10-22 2012-05-03 박재홍 이어폰 보호캡
KR101289244B1 (ko) *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20140003052U (ko) 2012-11-15 2014-05-27 이강일 단선 방지겸용 이어폰 커버
KR101401906B1 (ko) *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20150069178A (ko) 2013-12-13 2015-06-23 안석찬 이어폰 단선 방지 장치
KR20150107094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984U (ko) 2010-10-22 2012-05-03 박재홍 이어폰 보호캡
KR20140003052U (ko) 2012-11-15 2014-05-27 이강일 단선 방지겸용 이어폰 커버
KR101289244B1 (ko) *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20150069178A (ko) 2013-12-13 2015-06-23 안석찬 이어폰 단선 방지 장치
KR20150107094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401906B1 (ko) *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43B1 (ko) * 2016-12-15 2018-02-09 에스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EP3340645A3 (en) * 2016-12-26 2018-08-22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US10433061B2 (en) 2016-12-26 2019-10-01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US10448141B2 (en) 2016-12-26 2019-10-1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CN109511026A (zh) * 2017-09-14 2019-03-22 深圳市乐迈科技有限公司 绕线器及应用其的蓝牙耳机
CN109788386A (zh) * 2019-01-05 2019-05-21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及其耳挂的制造方法
CN109788386B (zh) * 2019-01-05 2024-01-2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及其耳挂的制造方法
US11943577B2 (en) 2019-01-05 2024-03-26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CN110212367A (zh) * 2019-06-19 2019-09-06 佛山闽雄机电科技有限公司 线护管结构、线端部结构、用电器引出电线的防断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212367B (zh) * 2019-06-19 2024-03-26 佛山闽雄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电器引出电线的防断结构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414B1 (ko)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101471903B1 (ko)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US8290193B2 (en)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JP3541833B2 (ja) ヘッドセット
US20120300970A1 (en) Head Set
US20140079275A1 (en) Headphone Having Integrated Cord Storage
US9648408B2 (en) Ear hook with wire hook
KR101216318B1 (ko)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JP5747484B2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292337B1 (ko) 이어폰 보관 장치
KR20130092772A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512046B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235821Y1 (ko) 선이 고정되는 이어폰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KR200396764Y1 (ko) 이어폰
KR101489842B1 (ko) 전선 꼬임 방지장치
KR100655682B1 (ko)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200462974Y1 (ko) 이어폰용 줄감개
KR101507395B1 (ko) 슬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이어폰
CN205610886U (zh) 一种可收纳线的扩展式耳机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80067738A (ko) 목걸이형 이어폰
KR20120058236A (ko)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