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906B1 -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 Google Patents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906B1
KR101401906B1 KR1020140044012A KR20140044012A KR101401906B1 KR 101401906 B1 KR101401906 B1 KR 101401906B1 KR 1020140044012 A KR1020140044012 A KR 1020140044012A KR 20140044012 A KR20140044012 A KR 20140044012A KR 101401906 B1 KR101401906 B1 KR 10140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key
elastic member
retractable
sid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4004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돌기에 끼워진 채 고정 돌기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리트랙터블(Retractable) 모듈,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 돌기를 축으로 롤(Roll) 형태로 말려지면서 일단이 고정 돌기에 고정되며 타단이 리트랙터블 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연장됨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이 케이블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력이 증대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의 바깥 둘레 면에서 리트랙터블 모듈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이 갖추어진 모듈 키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가 삽입되고 모듈 키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 상기 모듈 키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이 연장되고 상기 확장편의 일 측면에는 모듈 키의 경사면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 상기 모듈 키 브라켓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과 모듈 키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사이드 푸쉬키와 모듈 키 브라켓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키가 제동 톱니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가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에 형성된 경사면이 모듈 키에 형성된 경사면을 눌러 모듈 키를 모듈 키 브라켓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와 맞물린 모듈 키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이 제 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긴다. 반면, 상기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에 갖추어진 경사면이 모듈 키에 갖추어진 경사면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가 제동 톱니와 맞물리게 된다.

Description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AUTOMATIC CABLE REWINDING MODULE HAVING SIDE PUSH KEY}
본 발명은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케이블이 자동 권선 감기 모듈 바깥으로 연장되거나 자동 권선 감기 모듈 안쪽으로 삽입될 때 자동 권선 감기 모듈로부터 발생 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때는 사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이어폰 등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음향이 출력되는 이어폰 출력부와, 이어폰 출력부와 기기를 연결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신호 출력을 이어폰 출력부에 공급하여 음향을 발생시켜주는 이어폰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어폰 케이블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길이에 여분을 두어 제작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 케이블이 엉키거나 꼬이게 되어 다음, 사용시 이어폰 케이블을 풀어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패 형태로 된 보조구를 마련하여 이어폰 케이블을 감거나, 필요한 경우 보조구에 감긴 이어폰 케이블을 풀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보조구에 이어폰 케이블을 감는 방법은 우선 보조구에 이어폰 케이블을 여러 번 감아야 하고, 반대로 이어폰 케이블을 이용할 때에는 보조구에 감긴 이어폰 케이블을 풀어내야 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구에 감겨진 이어폰 케이블을 원하는 길이만큼 당기기만 하면, 이어폰 케이블이 원하는 길이만큼 보조구로부터 연장되고, 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연장된 이어폰 케이블이 보조구에 감기는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이 개발되었는데, 상기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서 음성 케이블을 빼내거나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의 바깥으로 빠져나온 음성 케이블을 다시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의 안쪽으로 감아넣을 때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 갖추어진 톱니와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스위치가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 권선 감기 모듈에서 음성 케이블을 빼내거나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의 바깥으로 빠져나온 음성 케이블을 다시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의 안쪽으로 감아넣을 때 발생 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돌기에 끼워진 채 고정 돌기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리트랙터블(Retractable) 모듈,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 돌기를 축으로 롤(Roll) 형태로 말려지면서 일단이 고정 돌기에 고정되며 타단이 리트랙터블 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연장됨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이 케이블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력이 증대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의 바깥 둘레 면에서 리트랙터블 모듈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이 갖추어진 모듈 키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가 삽입되고 모듈 키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 상기 모듈 키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이 연장되고 상기 확장편의 일 측면에는 모듈 키의 경사면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 상기 모듈 키 브라켓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과 모듈 키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사이드 푸쉬키와 모듈 키 브라켓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가 제동 톱니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가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에 형성된 경사면이 모듈 키에 형성된 경사면을 눌러 모듈 키를 모듈 키 브라켓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와 맞물린 모듈 키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이 제 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긴다. 반면, 상기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에 갖추어진 경사면이 모듈 키에 갖추어진 경사면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가 제동 톱니와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키가 제동 톱니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가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이 정지된다.
한편,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에 형성된 경사면이 모듈 키에 형성된 경사면을 눌러 모듈 키를 모듈 키 브라켓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와 맞물린 모듈 키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이 제 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한다.
반면, 사이드 푸쉬키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에 갖추어진 경사면이 모듈 키에 갖추어진 경사면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가 제동 톱니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듈 키와 제 2 탄성 부재, 사이드 푸쉬키, 제동 톱니, 및 모듈 키 브라켓에는 윤활유가 도포 되어 모듈 키와 제 2 탄성 부재, 사이드 푸쉬키, 제동 톱니, 및 모듈 키 브라켓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사용자의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리트랙터블 모듈로부터 케이블을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이드 푸쉬키를 통해 리트랙터블 모듈의 내부로 케이블을 감아 넣기만 하면 되므로, 케이블을 별도 정리할 필요가 없고, 케이블이 엉킬 위험도 없으며, 엉킨 케이블을 풀어내는데, 별도 시간을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소음을 저감시켜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모듈 키 브라켓과, 모듈 키, 제 2 탄성 부재, 제 3 탄성 부재, 및 사이드 푸쉬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 5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제동 톱니의 어느 한 면이 둔각을 이루고 있음을 도시한 도면,
도면 6은 리트랙터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면 7은 탄성 부재 수용부와 감김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 8은 본 발명의 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도면 1 내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으로부터 베이스판(1)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3), 상기 고정 돌기(3)에 끼워진 채 고정 돌기(3)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리트랙터블(Retractable) 모듈(5),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 돌기(3)를 축으로 롤(Roll) 형태로 말려지면서 일단이 고정 돌기(3)에 고정되며 타단이 리트랙터블 모듈(5)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연장됨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5)이 케이블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력이 증대되는 제 1 탄성 부재(7), 및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의 바깥 둘레 면에서 리트랙터블 모듈(5)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9)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9)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A)이 갖추어진 모듈 키(11)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11)가 삽입되고 모듈 키(11)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13), 상기 모듈 키(1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11)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11)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15)이 연장되고 상기 확장편(15)의 일 측면에는 모듈 키(11)의 경사면(A)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B)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17),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13)과 모듈 키(11)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19), 및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21)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면 1 내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11)가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9)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정지된다.
한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15)에 형성된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형성된 경사면(A)을 눌러 모듈 키(11)를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9)와 맞물린 모듈 키(11)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한다.
반면,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내부 밑바닥을 마주보는 모듈 키(11)의 일측 면에는 도면 3 내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 부재(19)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 홀더(49)가 갖추어지고, 상기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의 끝에는 걸림 후크(51)가 갖추어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았을 때 걸림 후크(51)가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의 일단에 걸쳐 정지된다.
상기 사이드 푸쉬키(17)를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관통 구멍(53)이 갖추어져, 상기 관통 구멍(53)을 통해 확장편(15)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에는 사이드 푸쉬키(17)로부터 사이드 푸쉬키(17)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모듈 키 브라켓(13)을 마주보는 일측 면에 제 3 탄성 부재(21)의 일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55)가 갖추어지고, 상기 사이드 푸쉬키(17)를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제 3 탄성 부재(21)의 타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57)가 갖추어진다.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은 도면 6과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고정 돌기(3)가 끼워지도록 끼움 구멍(23)이 관통되어 고정 돌기(3)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감김 부재(25)와, 상기 감김 부재(25)와 일체로 결합 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탄성 부재(7)가 내부 설치되는 탄성 부재 수용부(27)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7)는 탄성 부재 수용부(27)에 내부 설치되고 끼움 구멍(23)을 통해 탄성 부재 수용부(27)로 인입된 고정 돌기(3)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탄성 부재 수용부(27)에 고정되어 감김 부재(25)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수축된다.
또한, 상기 제동 톱니(9)는 감김 부재(25)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블이 리트랙터블 모듈(5) 바깥으로 당겨져 감김 부재(25)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둘레 면이 모듈 키(11)를 올라타면서 회전되다가 케이블이 리트랙터블 모듈(5)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아 감김 부재(25)가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제동 톱니(9)에 갖추어진 각진 걸림 턱(28)이 모듈 키(11)에 걸쳐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 상기 감김 부재(25)의 상부에는 감김 부재(25)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 턱(29)이 갖추어져 감김 부재(25)에 감긴 케이블이 환형 턱(29)을 넘어서지 못하도록 한다.
또, 상기 제 1 탄성 부재(7)의 일단은 반원 형상으로 굽어진 반원형 끼움부(31)가 갖추어지고, 상기 고정 돌기(3)의 상단 면에는 일자 형태로 오목하게 파진 일자 홈(33)이 갖추어져 상기 반원형 끼움부(31)가 일자 홈(33)에 끼움 고정된다.
또, 상기 제 1 탄성 부재(7)의 타단은 사각 형상으로 굽어진 사각형 끼움부(35)가 갖추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27)의 외부 둘레 면에는 탄성 부재 수용부(27)의 외부 둘레 면을 절개한 2개의 절개부(37)가 갖추어진다.
또, 상기 절개부(37) 사이에는 고정 턱(39)이 돌출되고, 상기 사각형 끼움부(35)는 고정 턱(39)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27)의 상단 면에는 덮개(41)가 씌워지며, 상기 덮개(41)의 중앙에는 고정 돌기(3)가 통과되도록 끼움 구멍(43)이 갖추어지고, 상기 끼움 구멍(43)을 통해 덮개(41) 바깥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3)에는 고정 돌기(3)의 외부 둘레 면을 따라 고정 돌기(3)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환형 홈(45)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환형 홈(45)에는 'C' 형태의 C형 클립(47)이 끼워져 일체로 조립된 감김 부재(25)와 탄성 부재 수용부(27), 제 1 탄성 부재(7), 및 덮개(41)가 고정 돌기(3)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이 동작 되는 과정을 도면 1 내지 도면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동 톱니(9)에 갖추어진 호 형태의 경사면이 모듈 키(11)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케이블이 풀림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5) 내부에서 롤 형태로 말려진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된다.
또한, 사용자가 케이블을 원하는 길이만큼 당긴 다음, 당김을 멈추면,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 방향으로 밀리고, 상기 모듈 키(11)는 제동 톱니(9)의 걸림 턱(28)과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가 케이블을 다시 리트랙터블 모듈(5) 안으로 감아 넣기 위해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면, 제 3 탄성 부재(21)가 수축되면서,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게 되고, 모듈 키(11)는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동 톱니(9)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은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되고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5) 바깥으로 빠져나온 케이블은 리트랙터블 모듈(5)의 안으로 말려 들어가 정리된다.
또한, 상기 모듈 키(11)와 제 2 탄성 부재(19), 사이드 푸쉬키(17), 제동 톱니(9), 및 모듈 키 브라켓(13)에 도포 된 윤활유는 모듈 키(11)와 제 2 탄성 부재(19), 사이드 푸쉬키(17), 제동 톱니(9), 및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줄인다.
1. 베이스판 3. 고정 돌기
5. 리트랙터블 모듈 7. 제 1 탄성 부재
9. 제동 톱니 11. 모듈 키
13. 모듈 키 브라켓 15. 확장편
17. 사이드 푸쉬키 19. 제 2 탄성 부재
21. 제 3 탄성 부재 23. 끼움 구멍
25. 감김 부재 27. 탄성 부재 수용부
28. 걸림 턱 29. 환형 턱
31. 반원형 끼움부 33. 일자 홈
35. 사각형 끼움부 37. 절개부
39. 고정 턱 41. 덮개
43. 끼움 구멍 45. 환형 홈
47. C형 클립 49. 고정 홀더
51. 걸림 후크 53. 관통 구멍
55. 제 1 고정 부재 57. 제 2 고정 부재

Claims (5)

  1.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으로부터 베이스판(1)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3);
    상기 고정 돌기(3)에 끼워진 채 고정 돌기(3)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리트랙터블(Retractable) 모듈;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 돌기(3)를 축으로 롤(Roll) 형태로 말려지면서 일단이 고정 돌기(3)에 고정되며 타단이 리트랙터블 모듈(5)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연장됨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5)이 케이블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력이 증대되는 제 1 탄성 부재(7);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의 바깥 둘레 면에서 리트랙터블 모듈(5)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9);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9)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A)이 갖추어진 모듈 키(11);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11)가 삽입되고 모듈 키(11)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13);
    상기 모듈 키(1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11)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11)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15)이 연장되고 상기 확장편(15)의 일 측면에는 모듈 키(11)의 경사면(A)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B)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17);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13)과 모듈 키(11)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19);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21)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11)가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9)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정지되며,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15)에 형성된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형성된 경사면(A)을 눌러 모듈 키(11)를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9)와 맞물린 모듈 키(11)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고,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키(11)와 제 2 탄성 부재(19), 사이드 푸쉬키(17), 제동 톱니(9), 및 모듈 키 브라켓(13)에는 윤활유가 도포 되어 모듈 키(11)와 제 2 탄성 부재(19), 사이드 푸쉬키(17), 제동 톱니(9), 및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내부 밑바닥을 마주보는 모듈 키(11)의 일측 면에는 제 2 탄성 부재(19)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 홀더(49)가 갖추어지고,
    상기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의 끝에는 걸림 후크(51)가 갖추어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았을 때 걸림 후크(51)가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의 일단에 걸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관통 구멍(53)이 갖추어져, 상기 관통 구멍(53)을 통해 확장편(1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에는 사이드 푸쉬키(17)로부터 사이드 푸쉬키(17)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모듈 키 브라켓(13)을 마주보는 일측 면에 제 3 탄성 부재(21)의 일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55)가 갖추어지고,
    상기 사이드 푸쉬키(17)를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제 3 탄성 부재(21)의 타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57)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1020140044012A 2014-04-14 2014-04-14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10140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12A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4-14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12A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4-14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906B1 true KR101401906B1 (ko) 2014-06-02

Family

ID=5113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012A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4-14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90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4B1 (ko) *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471903B1 (ko) *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US9055364B1 (en) 2014-08-18 2015-06-09 Bulecom Co., Ltd.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KR101630636B1 (ko) * 2015-06-16 2016-06-15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WO2016148533A1 (ko) * 2015-03-18 2016-09-22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KR101673414B1 (ko) *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KR20160144539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CN106792319A (zh) * 2017-01-16 2017-05-3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装置和耳机
KR101783626B1 (ko) 2017-02-10 2017-10-10 주식회사 블루콤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1827443B1 (ko) * 2016-12-15 2018-02-09 에스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KR101896362B1 (ko) * 2017-10-10 2018-09-07 에스텍 주식회사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KR101916774B1 (ko) 2018-02-20 2018-11-08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그넷 척력을 이용한 이어폰 케이블 자동 권선장치
US10212833B2 (en) 2014-12-12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tt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437A (ja) 2005-02-21 2006-09-07 Harald Wegner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KR101108548B1 (ko) 2011-07-12 2012-01-30 김진철 이어폰 케이블 권취기구
KR101216318B1 (ko) 2012-05-24 2012-12-27 전복집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101292337B1 (ko) 2013-02-08 2013-08-01 권헌조 이어폰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437A (ja) 2005-02-21 2006-09-07 Harald Wegner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KR101108548B1 (ko) 2011-07-12 2012-01-30 김진철 이어폰 케이블 권취기구
KR101216318B1 (ko) 2012-05-24 2012-12-27 전복집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101292337B1 (ko) 2013-02-08 2013-08-01 권헌조 이어폰 보관 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3B1 (ko) *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US9055364B1 (en) 2014-08-18 2015-06-09 Bulecom Co., Ltd.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KR101471904B1 (ko) *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US10212833B2 (en) 2014-12-12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tt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WO2016148533A1 (ko) * 2015-03-18 2016-09-22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KR20160112218A (ko)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US20180072533A1 (en) * 2015-03-18 2018-03-15 Bse Co., Ltd. Locking module of wire auto-winding device
KR101681674B1 (ko) * 2015-03-18 2016-12-01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KR20160144539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705021B1 (ko) * 2015-06-08 2017-02-10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630636B1 (ko) * 2015-06-16 2016-06-15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673414B1 (ko) *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KR101827443B1 (ko) * 2016-12-15 2018-02-09 에스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CN106792319A (zh) * 2017-01-16 2017-05-3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装置和耳机
CN106792319B (zh) * 2017-01-16 2023-11-1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装置和耳机
KR101783626B1 (ko) 2017-02-10 2017-10-10 주식회사 블루콤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1896362B1 (ko) * 2017-10-10 2018-09-07 에스텍 주식회사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KR101916774B1 (ko) 2018-02-20 2018-11-08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그넷 척력을 이용한 이어폰 케이블 자동 권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906B1 (ko)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US5984224A (en) Cable-spooling casing for earphones
KR101471903B1 (ko)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TWI262032B (en) Headphones with cord take-up device
US20130208937A1 (en) Personal audio device including a case
US9055364B1 (en)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US20110130174A1 (en)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TWI280067B (en) Headphone with cord reel
ATE433615T1 (de) Kabelaufwickler für kopfhörer, insbesondere sprechgarnituren für mobiltelefone
JP5747484B2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
KR101321007B1 (ko) 이어폰 케이블 감김 장치 및 감는 방법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KR200235821Y1 (ko) 선이 고정되는 이어폰
WO2011149361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ble storage devices
CN104284270B (zh) 蓝牙耳机
RU2433565C1 (ru) Проводная гарнитура
KR101705021B1 (ko)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073097B1 (ko) 이어폰 정돈장치
KR200456648Y1 (ko)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CA2249769C (en) Cable-spooling casing for earphones
KR200207499Y1 (ko) 이어폰줄 케이스
JP2010195546A (ja) コード類巻取り用止め具、コード類巻取り具、およびコード巻取り具付き電機機器
JP5580161B2 (ja) 電線コード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