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26B1 -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 Google Patents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626B1
KR101783626B1 KR1020170018682A KR20170018682A KR101783626B1 KR 101783626 B1 KR101783626 B1 KR 101783626B1 KR 1020170018682 A KR1020170018682 A KR 1020170018682A KR 20170018682 A KR20170018682 A KR 20170018682A KR 101783626 B1 KR101783626 B1 KR 101783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key
housing
wind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영
어용철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7001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26B1/ko
Priority to US15/437,914 priority patent/US10149035B2/en
Priority to JP2017052460A priority patent/JP6304638B2/ja
Priority to CN201720269785.1U priority patent/CN206857858U/zh
Priority to CN201710165207.8A priority patent/CN10721571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쇼트 및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Button Type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using in Electrical Appliances}
본 발명은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쇼트 및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MP3,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사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상기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음향이 출력되는 이어폰 출력부와, 이어폰 출력부와 기기를 연결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신호 출력을 이어폰 출력부에 공급하는 이어폰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어폰 와이어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길이에 여분을 두어 제작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 와이어가 엉키거나 꼬이게 되어 다음, 사용시 이어폰 와이어를 풀어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나온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관통된 채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휠, 일단이 상기 휠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휠을 따라 휠의 둘레면에 감기는 와이어, 롤(Roll) 형태로 말려지고 일단이 고정축에 고정되며 타단이 휠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 상기 휠과 일체로 결합 된 상태에서 휠과 함께 회전되고 상부 케이스를 마주보는 면에 볼 트랙이 갖추어진 캡(Cap), 상기 캡 위에 씌워지고 볼이 끼워지도록 일자 홈이 갖추어진 상부 케이스, 상기 볼 트랙과 상부 케이스의 일자 홈 사이에 끼워져 휠과 일체로 결합 된 캡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일자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 트랙을 타고 회전하는 볼(Ball)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나온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관통된 채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휠, 일단이 상기 휠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휠을 따라 휠의 둘레면에 감기는 와이어, 롤(Roll) 형태로 말려지고 일단이 고정축에 고정되며 타단이 휠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 상기 휠과 일체로 결합 된 상태에서 휠과 함께 회전되고 케이스를 마주보는 면에 트랙이 갖추어진 캡, 상기 캡 위에 덮어 씌워지는 케이스, 및 상기 캡과 케이스 사이에 끼워지고 탄성을 지닌 채 원 호 형태로 굽어져 한쪽 끝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이 트랙에 끼워지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랙은 캡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외부 트랙과, 상기 외부 트랙의 반경 안쪽으로 형성되면서 캡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내부 트랙,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내부 트랙과 외부 트랙을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일자형 연결 트랙, 및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내부 트랙과 외부 트랙을 연결하고 '>' 형태로 굽어지면서 어느 한 개의 일자형 연결 트랙과 다른 한 개의 일자형 연결트랙 사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스톱(Stop) 연결 트랙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는 장기간 사용시, 회전으로 인해 내부의 부품들이 회전으로 인해 마모됨으로써, 회전축이 견고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회전축의 와해가 발생되어, 회전축이 변형되고, 이로 인해, 작동시 부품들이 제자리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이 발생되어, 쇼트 또는 단락이 발생하게 되고, 볼이 트랙에 끼이거나 트랙으로부터 이탈되어, 자동줄감기가 불가능해지는 등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CB패턴에 접촉되는 터미널 단자의 증가시, 예시적으로 4PIN 터미널 단자와 4PIN 터미널 단자용 PCB패턴을 적용할 시, 보다 정밀한 회전에 의한 상호접촉(PCB패턴-터미널 단자)이 필요하게 되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장기간 사용시, 회전으로 인해 부품들의 회전축이 뒤틀리거나, 회전축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쇼트 또는 단락이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1903호(2014. 12. 05.)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1904호(2014. 12. 0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쇼트 및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회전축의 뒤틀림으로 인한 줄감기 기능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견고한 회전이 필요한 4PIN 터미널 단자 및 4PIN 터미널 단자용 PCB패턴을 쇼트 또는 단락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식으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서,
원통형의 고정축(110)이 일측면의 중앙에, 일측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100)과 접촉되는 면의 타측면에 4PIN용PCB패턴(210)이 형성된 PCB기판(200)과;
일측면에 4PIN접촉단자(310)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4PIN접촉단자(310)가 상기 PCB기판(200)의 4PIN용PCB패턴(2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의 타측 중앙에 구성되되, 외주연에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권선보빈(420),
상기 권선보빈(420)의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권선보빈(420)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이 개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이 중앙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각각 천공형성되고, 천공형성된 중앙부의 내주연에 내마모성향상인서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선하우징(400)과;
롤링된 형태로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롤링탄성부재(500)와;
상기 고정축(1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 및 상기 롤링탄성부재(500)가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클립(600)과;
일측이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과 결합가능하도록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캡(7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및 상기 권선하우징(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롤링탄성부재(50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권선하우징(400)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감기도록 구성되는 버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쇼트 및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회전축의 뒤틀림으로 인한 줄감기 기능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견고한 회전이 필요한 4PIN 터미널 단자 및 4PIN 터미널 단자용 PCB패턴을 쇼트 또는 단락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식으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권선모듈과 버튼부의 일 결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선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권선모듈의 부분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권선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부분 결합된 권선모듈과 버튼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부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권선모듈의 부분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부분 결합된 권선모듈과 버튼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베이스하우징(100), PCB기판(200),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 권선하우징(400), 롤링탄성부재(500), 한 쌍의 마감클립(600), 캡(700), 버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서,
원통형의 고정축(110)이 일측면의 중앙에, 일측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100)과 접촉되는 면의 타측면에 4PIN용PCB패턴(210)이 형성된 PCB기판(200)과,
일측면에 4PIN접촉단자(310)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4PIN접촉단자(310)가 상기 PCB기판(200)의 4PIN용PCB패턴(2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의 타측 중앙에 구성되되, 외주연에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권선보빈(420),
상기 권선보빈(420)의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권선보빈(420)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이 개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이 중앙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각각 천공형성되고, 천공형성된 중앙부의 내주연에 내마모성향상인서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선하우징(400)과,
롤링된 형태로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롤링탄성부재(500)와,
상기 고정축(1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 및 상기 롤링탄성부재(500)가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클립(600)과,
일측이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과 결합가능하도록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캡(7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및 상기 권선하우징(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롤링탄성부재(50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권선하우징(400)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감기도록 구성되는 버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은, 플레이트형으로 구성되되, 일측면의 중앙에, 일측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CB기판(200)은,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PCB기판(200)은,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된다.
상기 PCB기판(200)은, 베이스하우징(100)과 접촉되는 면의 타측면에 4PIN용PCB패턴(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는, 일측면에 4PIN접촉단자(31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된다.
상기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축(110)과 결합시, 상기 4PIN접촉단자(310)가 상기 PCB기판(200)의 4PIN용PCB패턴(2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 권선보빈(420),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상기 고정축이 중앙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각각 천공형성된다.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천공형성된 중앙부의 내주연에 내마모성향상인서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마모성향상인서트(440)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덮개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은,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된다.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은, 상기 고정축(110)과 결합시, 상기 PCB기판(200) 및 상기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를 내부에 수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선보빈(420)은, 원통형으로서,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의 타측 중앙에 구성되되, 외주연에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선보빈(420)은, 상기 고정축(110)이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시,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된다.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은, 상기 권선보빈(420)의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권선보빈(420)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이 개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은, 상기 고정축(110)이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 및 상기 권선보빈(420)과 함께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된다.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은, 내부에 롤링탄성부재(500) 및 마감클립(600)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상기 권선보빈(420)을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이 외측을 향해 개구된 형태로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이 외측을 향해 개구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상기 권선하우징(400)의 바깥 둘레 면에서 권선하우징(400)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링탄성부재(500)는, 롤링된 형태로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링탄성부재(500)는, 상기 고정축(110)이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관통되며 결합된 이후에, 상기 고정축(110)의 상기 걸림체결홈(111)과 끼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롤링탄성부재(500)는, 롤링된 상태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축(110)과 결합하고, 외곽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권선하우징(400)이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권선하우징(400)이 반대방향으로 재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링탄성부재(500)는,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클립(600)은, 상기 고정축(110)의 끝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클립(600)은, 상기 권선하우징(400) 및 상기 롤링탄성부재(500)가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700)은, 일측이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과 결합가능하도록 덮개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700)은, 일측면의 중앙에 상기 걸림체결홈(111)의 끝단부가 인입되는 인입체결홈삽입부(711)가 요홈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80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9)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A)이 갖추어진 모듈 키(11)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11)가 삽입되고 모듈 키(11)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13)과, 상기 모듈 키(1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11)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11)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15)과, 상기 확장편(15)의 일 측면에 모듈 키(11)의 경사면(A)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B)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17)와,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13)과 모듈 키(11)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19)와,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11)가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9)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정지되며,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15)에 형성된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형성된 경사면(A)을 눌러 모듈 키(11)를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9)와 맞물린 모듈 키(11)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고,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내부 밑바닥을 마주보는 모듈 키(11)의 일측 면에는 제 2 탄성 부재(19)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 홀더(49)가 갖추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의 끝에는 걸림 후크(51)가 갖추어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았을 때 걸림 후크(51)가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의 일단에 걸쳐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관통 구멍(53)이 갖추어져, 상기 관통 구멍(53)을 통해 확장편(15)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에는 사이드 푸쉬키(17)로부터 사이드 푸쉬키(17)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모듈 키 브라켓(13)을 마주보는 일측 면에 제 3 탄성 부재(21)의 일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55)가 갖추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푸쉬키(17)를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제 3 탄성 부재(21)의 타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57)가 갖추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단자와 PCB패턴간의 이탈을 방지하여, 쇼트 및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회전축의 뒤틀림으로 인한 줄감기 기능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의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회전축을 유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견고한 회전이 필요한 4PIN 터미널 단자 및 4PIN 터미널 단자용 PCB패턴을 쇼트 또는 단락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식으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베이스하우징
200 : PCB기판
300 :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
400 : 권선하우징
500 : 롤링탄성부재
600 : 마감클립
700 : 캡
800 : 버튼부

Claims (6)

  1.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에 있어서,
    원통형의 고정축(110)이 일측면의 중앙에, 일측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100)과 접촉되는 면의 타측면에 4PIN용PCB패턴(210)이 형성된 PCB기판(200)과;
    일측면에 4PIN접촉단자(310)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110)이 중앙부를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4PIN접촉단자(310)가 상기 PCB기판(200)의 4PIN용PCB패턴(2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접촉단자결합플레이트(300)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의 타측 중앙에 구성되되, 외주연에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권선보빈(420),
    상기 권선보빈(420)의 타측에 구성되되, 상기 권선보빈(420)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베이스하부하우징(410)이 개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축이 중앙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며 결합가능하도록 중앙부가 각각 천공형성되고, 천공형성된 중앙부의 내주연에 내마모성향상인서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선하우징(400)과;
    롤링된 형태로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롤링탄성부재(500)와;
    상기 고정축(1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선하우징(400) 및 상기 롤링탄성부재(500)가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클립(600)과;
    일측이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서브베이스상부하우징(430)과 결합가능하도록 덮개형으로 구성되는 캡(7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및 상기 권선하우징(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롤링탄성부재(50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권선하우징(400)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상기 권선하우징(400)에 감기도록 구성되는 버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하우징(400)은, 상기 권선하우징(400)의 바깥 둘레 면에서 권선하우징(400)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80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동 톱니(9)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A)이 갖추어진 모듈 키(11)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11)가 삽입되고 모듈 키(11)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13)과,
    상기 모듈 키(1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11)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11)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15)과,
    상기 확장편(15)의 일 측면에 모듈 키(11)의 경사면(A)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B)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17)와,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13)과 모듈 키(11)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19)와,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모듈 키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11)가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9)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정지되며,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15)에 형성된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형성된 경사면(A)을 눌러 모듈 키(11)를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9)와 맞물린 모듈 키(11)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고,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내부 밑바닥을 마주보는 모듈 키(11)의 일측 면에는 제 2 탄성 부재(19)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 홀더(49)가 갖추어지고,
    상기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의 끝에는 걸림 후크(51)가 갖추어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았을 때 걸림 후크(51)가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의 일단에 걸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관통 구멍(53)이 갖추어져, 상기 관통 구멍(53)을 통해 확장편(1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에는 사이드 푸쉬키(17)로부터 사이드 푸쉬키(17)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모듈 키 브라켓(13)을 마주보는 일측 면에 제 3 탄성 부재(21)의 일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재(55)가 갖추어지고,
    상기 사이드 푸쉬키(17)를 마주보는 모듈 키 브라켓(13)의 일측 면에는 제 3 탄성 부재(21)의 타단을 붙들어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재(57)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20170018682A 2016-08-31 2017-02-10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178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82A KR101783626B1 (ko) 2017-02-10 2017-02-10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US15/437,914 US10149035B2 (en) 2016-08-31 2017-02-21 Automatic winding module of wire for bluetooth headset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function of rotation axis
JP2017052460A JP6304638B2 (ja) 2016-08-31 2017-03-17 ブルートゥースヘッドセットのワイヤ自動捲線モジュール
CN201720269785.1U CN206857858U (zh) 2016-08-31 2017-03-20 带有旋转轴的耐磨功能的蓝牙耳麦的自动卷绕模块
CN201710165207.8A CN107215711B (zh) 2016-08-31 2017-03-20 带有旋转轴的耐磨功能的蓝牙耳麦的自动卷绕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82A KR101783626B1 (ko) 2017-02-10 2017-02-10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626B1 true KR101783626B1 (ko) 2017-10-10

Family

ID=6019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682A KR101783626B1 (ko) 2016-08-31 2017-02-10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79B1 (ko) * 2019-02-25 2020-07-31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줄 감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101538300B1 (ko) 2014-09-16 2015-07-21 주식회사 동신 줄의 자동감김 장치
KR101630636B1 (ko) 2015-06-16 2016-06-15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06B1 (ko)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KR101538300B1 (ko) 2014-09-16 2015-07-21 주식회사 동신 줄의 자동감김 장치
KR101630636B1 (ko) 2015-06-16 2016-06-15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79B1 (ko) * 2019-02-25 2020-07-31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줄 감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491B1 (en) Wire winding box
US6808138B2 (en)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US6059213A (en) Reel device
US6416355B1 (en) Wire-winding box having multiple transmission function
US6937725B2 (en) Short wire length wire-winding box
US10149035B2 (en) Automatic winding module of wire for bluetooth headset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function of rotation axis
US6474585B2 (en) Wire winding box with increasing usable area
US6315231B1 (en) Micro-type communication wire winder
EP1930989A1 (en) Connector
US6199674B1 (en) Structure of a wire winding box
US6371398B1 (en) Positioning device of a wire groove in a wire winding box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KR101748174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WO1999022427A1 (en) Cable housing device
US20040052067A1 (en) Computer light with extensible electric conductive wire
KR101783626B1 (ko)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1783604B1 (ko)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US6415898B1 (en) Winding box with an auxiliary receptacle
JP2530820B2 (ja) 電話受話器等に適した回転コネクタ
KR10137434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이어폰 수납장치
KR200423708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권취장치
US6257382B1 (en) Cable winding apparatus
KR101893375B1 (ko) 볼단자를 포함하는 권선모듈
KR101630636B1 (ko)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786740B1 (ko) 스토퍼볼의 트랙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