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21B1 -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21B1
KR101705021B1 KR1020150080587A KR20150080587A KR101705021B1 KR 101705021 B1 KR101705021 B1 KR 101705021B1 KR 1020150080587 A KR1020150080587 A KR 1020150080587A KR 20150080587 A KR20150080587 A KR 20150080587A KR 101705021 B1 KR101705021 B1 KR 10170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obbin
push key
push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539A (ko
Inventor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5008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감김 장치에서 사이드 푸쉬 키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 일 측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권선하는 보빈, 보빈 및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케이스의 타 측에 설치되어 보빈과 접촉하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스토퍼를 보빈 측으로 밀어주는 제1 푸쉬 스프링, 스토퍼와 접촉하여 스토퍼를 보빈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푸쉬 키 및 푸쉬 키를 스토퍼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푸쉬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AUTOMATIC WINDING DEVICE HAVING SIDE PUSH KEY}
본 발명은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 마우스 등의 전선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의 전선을 자동으로 권선하기 위한 자동 감김 장치로 와이어를 권선하기 위해 누르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를 말한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스마트폰으로 음악 및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중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 감상, 영화 감상, UCC 감상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이어폰의 전선은 꼬이거나 가방 안에서 다른 소지품과 엉키면서 단선되는 일이 잦았다. 이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자동 권선 기능이 있는 이어폰 또는 헤드셋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140190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으로부터 베이스판(1)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3), 상기 고정 돌기(3)에 끼워진 채 고정 돌기(3)를 축으로 회전되고 외부 둘레 면에 케이블이 감기는 리트랙터블(Retractable) 모듈(5),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 돌기(3)를 축으로 롤(Roll) 형태로 말려지면서 일단이 고정 돌기(3)에 고정되며 타단이 리트랙터블 모듈(5)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연장됨과 동시에 리트랙터블 모듈(5)이 케이블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탄성력이 증대되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리트랙터블 모듈(5)의 바깥 둘레 면에서 리트랙터블 모듈(5)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고 어느 한쪽 면에는 호 형태의 경사면이 갖추어지고 다른 한쪽 면에는 어느 한쪽 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제동 톱니(9)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동 톱니(9)와 맞물리고 일측 면에 경사면(A)이 갖추어진 모듈 키(11)와,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써 상기 모듈 키(11)가 삽입되고 모듈 키(11)가 출입 되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모듈 키 브라켓(13), 상기 모듈 키(11)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모듈 키(11)를 마주보는 어느 한쪽 면에 모듈 키(11)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편(15)이 연장되고 상기 확장편(15)의 일 측면에는 모듈 키(11)의 경사면(A)과 마주 접하는 경사면(B)이 갖추어진 사이드 푸쉬키(17),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안쪽에서 모듈 키 브라켓(13)과 모듈 키(11) 사이에 끼워진 제 2 탄성 부재(19), 및 상기 사이드 푸쉬키(17)와 모듈키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21)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권선 감기 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제 1 탄성 부재(7)가 수축됨과 동시에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를 올라타면서 리트랙터블 모듈(5)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모듈 키(11)가 제 2 탄성 부재(19)에 의해 밀려나옴에 따라 제동 톱니(9)와 맞물려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정지된다.
한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게 되면, 확장편(15)에 형성된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형성된 경사면(A)을 눌러 모듈 키(11)를 모듈 키 브라켓(13)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동 톱니(9)와 맞물린 모듈 키(11)를 상호 분리하여 리트랙터블 모듈(5)이 제 1 탄성 부재(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감기도록 한다.
반면,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으면, 제 3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이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을 누르지 않게 되면서 모듈 키(11)가 제동 톱니(9)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모듈 키 브라켓(13)의 내부 밑바닥을 마주보는 모듈 키(11)의 일측 면에는 도면 3 내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 부재(19)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 홀더(49)가 갖추어지고, 상기 확장편(15)에 갖추어진 경사면(B)의 끝에는 걸림 후크(51)가 갖추어져 사이드 푸쉬키(17)를 누르지 않았을 때 걸림 후크(51)가 모듈 키(11)에 갖추어진 경사면(A)의 일단에 걸쳐 정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푸쉬 버튼은 눌렀을 때 감김부에서 이탈해야 하므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하기 어려웠다. 그에 따라 종래의 사이드 푸쉬 버튼은 리트렉터블 모듈과 별도로 제작된 모듈 형태이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10-1289244 대한민국 특허 10-0544410
본 발명은 자동 감김 장치에서 사이드 푸쉬 키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 일 측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권선하는 보빈, 보빈 및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케이스의 타 측에 설치되어 보빈과 접촉하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스토퍼를 보빈 측으로 밀어주는 제1 푸쉬 스프링, 스토퍼와 접촉하여 스토퍼를 보빈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푸쉬 키 및 푸쉬 키를 스토퍼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푸쉬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토퍼는 하부 케이싱 내에 삽입되어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이탈 방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 및 걸림부에 형성되며 푸시 키의 일 단이 삽입되는 푸쉬 키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이탈 방지부의 선형 이동은 허용하되, 이탈은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1 푸쉬 스프링은 하부 케이스의 이탈방지부 수용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푸쉬 키는 푸쉬 키 삽입홈내에 삽입되는 스토퍼 접촉부,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 및 푸쉬 키가 하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접촉부와 버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푸쉬 키를 스토퍼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제2 푸쉬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푸쉬 스프링 지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스토퍼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제1 푸쉬 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1 푸쉬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탄성 부재 및 보빈이 설치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스토퍼 및 푸쉬 키가 설치되는 제2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1 설치 공간은 탄성 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는,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선부와 별도로 제조되지 않고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제조 비용 및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에 핀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과 상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푸쉬 키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조립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이어폰 와이어를 정리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와이어가 풀려날 때 변형되며 복원 시에 와이어를 되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00), 탄성 부재(2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300), 보빈(300)의 일 측에서 보빈(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410), 스토퍼(410)를 보빈(300) 측으로 밀어주는 제1 푸쉬 스프링(420), 스토퍼(410)를 보빈(3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푸쉬 키(430) 및 푸쉬 키(430)를 스토퍼(41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푸쉬 스프링(440), 와이어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빈(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핀 터미널(510, 520), 핀 터미널(510, 520)과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핀 터미널(510, 520)로 전달하는 브러쉬(610, 62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케이스(110)는 탄성 부재(200)가 설치되는 제1 설치 공간(111)과 스토퍼(410) 및 푸쉬 버튼(430)이 설치되는 제2 설치 공간(113)을 구비한다. 제1 설치 공간(111)과 제2 설치 공간(113)은 한 쌍의 격벽(114)에 의해 구획되며, 격벽(114) 사이에는 간격(115)이 존재한다. 간격(115)을 스토퍼(410)가 관통하며 보빈(300)에 접촉하게 된다. 즉, 스토퍼(410)는 격벽(114)에 의해 가이드되어 보빈에 접촉한다.
제1 설치 공간(111)의 중앙에는 탄성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2)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200)는 띠(strip)가 나선형으로 성형된 태엽 스프링이다. 그에 따라 고정부(112)는 띠 형상의 탄성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해 원통형의 축 가운데에 탄성 부재(2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형태이다. 이때 탄성 부재(200)의 나선의 내측 단부(210)가 고정부(1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탄성 부재(20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한편, 탄성 부재(200)의 나선의 외측 단부(220)는 후술할 보빈(300)에 고정된다.
한편, 제2 설치 공간(113)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토퍼(410), 제1 푸쉬 스프링(420), 푸쉬 키(430) 및 제2 푸쉬 스프링(440)이 설치되며, 푸쉬 키(430)의 일단은 하부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하부 케이스(110)에는 푸쉬 키(430)의 일단을 노출시키기 위해 홀(116)이 형성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110)는 제1 설치 공간(111) 측에는 이어폰 와이어가 보빈(300)에 권선되기 위해 이어폰 와이어가 통과하는 홀(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과 핀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의 단면도이다.
보빈(300)은 실제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부(320)의 하단에는 탄성 부재(200;도 3 참조)를 덮는 커버(310)가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부(330)의 상단에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3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310) 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된 탄성 부재(200; 도 3 참조)를 상부에서 덮어준다. 한편, 탄성 부재(200; 도 3 참조)의 타단(220; 도 3 참조)이 커버(310)의 탄정부재 고정부(314)와 고정됨으로써, 보빈(300)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려 나갈 때 보빈(300)의 회전하면 탄성 부재(200; 도 3 참조)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커버(310)의 외주(312)의 형태는 래칫 형태로, 스토퍼(410)가 제1 푸쉬 스프링(420)에 의해 가압되어 커버(310)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된다.
원통부(320)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가 횡으로 관통하는 관통홀(322)이 형성된다. 또한 원통부(320)에는 후술할 핀 터미널(510, 520)의 고정부와 와이어를 납땜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노출시켜주는 납땜홈(324)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322)을 관통한 와이어가 납땜홈(324) 측으로 끌어와 고정부와 납땜할 수 있도록 관통홀(322)과 납땜홈(324)은 서로 붙어있거나, 격벽을 제거하여 서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랜지부(330)에는 한 쌍의 핀 터미널(510, 52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터미널(510, 520)은 중앙에 설치되는 내측 핀 터미널(510)과, 내측 핀 터미널(510)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외측 핀 터미널(520)을 포함한다. 핀 터미널(510, 520)은 플랜지부(33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접촉면(512, 522)과 고정을 위해 보빈(300) 내로 삽입되는, 즉 원통부(320)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516, 526)와 납땜부(514, 524)를 구비한다. 납땜부(514, 524)는 납땜홈(324)을 통해 노출되어, 와이어와 납땜된다. 보빈(300)에는 고정부(516, 526)가 삽입되는 삽입홈(332)과 납땜부(514, 524)가 삽입되는 삽입홈(334)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에 핀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핀 터미널(510, 5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되는 내측 핀 터미널(510)과 내측 핀 터미널(51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외측 핀 터미널(520)을 포함한다. 각각의 핀 터미널(510, 520)은 플랜지부(33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접촉부(512, 522), 원통부(320) 측으로 삽입되어 핀 터미널을 고정하는 고정부(516, 526) 및 납땜홈(324)을 통해 노출되어 와이어와 납땜되는 납땜부(514, 524)를 포함한다. 내측 핀 터미널(510)과 외측 핀 터미널(520)을 모두 납땜홈(324)을 통해 와이어와 납땜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핀 터미널(520)의 납땜부(524)는 내측 핀 터미널(510)의 납땜부(514)보다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핀 터미널(510, 520)은 보빈(300)에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납땜부(514, 524)와 고정부(516, 526)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이탈방지 돌기(514a, 524a, 516a, 526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 방지 돌기(514a, 524a, 516a, 526a)는 삽입홈(332, 334)보다 어느 일방으로 더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삽입홈(332, 334)의 길이 방향에 이탈 방지 돌기(514a, 524a, 516a, 526a)가 형성되었으나, 삽입홈(332, 334)의 두께 방향에 이탈 방지 돌기(514a, 524a, 516a, 526a)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보빈과 상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케이스(12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핀 터미널(510, 520)과 접촉하여 핀 터미널(510, 520)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브러쉬(610, 620)가 설치된다. 브러쉬(610, 620)는 탄성을 가지도록 수회 절곡되어 보빈(300)의 회전하여도 핀 터미널(510, 520)과 안정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보빈(300)의 플랜지(330)는 외주에 트랙(336)을 구비하고, 트랙(336)에는 둘 이상의 볼(700)이 설치되어 베어링의 역할을 해줌으로써, 브러쉬(610, 620)와 핀 터미널(510, 520) 간의 마찰력에 의한 회전 진동을 억제하고, 보빈(300)과 상부 케이스(120)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김 장치의 스토퍼(410)는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전체적으로 T형상으로, 하부 케이싱(110)에 삽입되어 스토퍼(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411)와, 이탈 방지부(411)의 중앙에 이탈 방지부(4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412)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부(411)에는 스토퍼(410)를 보빈(300) 측으로 가압하는 제1 푸쉬 스프링(420)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13)이 형성된다. 걸림부(412)는 제1 푸쉬 스프링(420)에 의해 보빈(300)의 커버(310)에 접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310)의 외주(312)는 래칫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걸림부(412)가 래칫 형상의 외주(312)를 가지는 커버(310)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보빈(300)이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걸림부(412)의 일 측에는 푸시 키(430)의 일 단이 삽입되는 푸쉬 키 삽입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푸쉬 키 삽입홈(414)은 스토퍼(410)가 보빈(300)과 접촉하도록 전진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후진할 수 있도록 전후방 경사가 진 형태이다. 여기서 전방은 스토퍼(410)가 보빈(300)과 접촉하도록 움직이는 방향, 후방은 스토퍼(410)가 보빈(300)과 접촉하지 않도록 후퇴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전방은 제1 푸쉬 스프링(420)의 복원 방향, 후방은 제1 푸쉬 스프링(420)의 압축 방향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푸쉬 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푸쉬 키(430)는 스토퍼(410)의 푸쉬 키 삽입홈(414) 내로 삽입되며 스토퍼(4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토퍼 접촉부(431)와, 하부 케이스(110)의 홀(11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부(433) 및 푸쉬 키(430)가 하부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432)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 키 삽입홈(414)에는 경사가 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부(433)를 누르면, 스토퍼 접촉부(431)가 경사면을 삽입될수록 스토퍼(41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410)와 보빈(300)의 접촉이 해제된다. 스토퍼(410)와 보빈(300)의 접촉이 해제되면, 보빈(300)은 역방향 회전이 허용되고, 탄성 부재(20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어폰의 와이어가 다시 보빈(300)의 원통부(320)에 감기게 된다.
한편, 스토퍼 접촉부(431)에는 제2 푸쉬 스프링(440)이 설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부(433)를 누르면 제2 푸쉬 스프링(440)이 압축되며 스토퍼 접촉부(431)가 스토퍼(4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버튼부(433)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2 푸쉬 스프링(440)이 복원되며 스토퍼 접촉부(431)가 푸쉬 키 삽입홈(414)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스토퍼(41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빈(300)과 접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부품의 조립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상부 케이스(120; 도 2 참조)는 도시되지 않았다.
하부 케이스(110)는 제2 설치 공간(113)에 스토퍼(410)의 이탈방지부(411)를 수용하는 이탈방지부 수용홈(117)을 포함한다. 이탈방지부 수용홈(117)은 스토퍼(410)의 전후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411)보다 전후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2 푸쉬 스프링(44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푸쉬 스프링 지지턱(118)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제2 푸쉬 스프링(440)의 양 단은 제2 푸쉬 스프링 지지턱(118)과 이탈 방지턱(432; 도 9 참조)에 각각 지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하부 케이스(100)는, 이탈방지부 수용홈(117)의 후방에, 제1 푸쉬 스프링(420)과 결합되는 돌기(117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11: 제1 설치공간 112: 고정부
113: 제2 설치공간 114: 격벽
115: 간격 116: 홀
117: 이탈방지부 수용홈 118: 제2 푸쉬 스프링 지지턱
200: 탄성 부재 300: 보빈
310: 커버 312: 외주
314: 탄정부재 고정부 320: 원통부
322: 관통홀 324: 납땜홈
330: 플랜지부 332: 고정부 삽입홈
334: 납땜부 삽입홈 336: 트랙
410: 스토퍼 420: 제1 푸쉬 스프링
430: 푸쉬 키 440: 제2 푸쉬 스프링
510: 내측 핀 터미널 520: 외측 핀 터미널
512, 522: 접촉부 514, 524: 납땜부
516, 526: 고정부 610, 620: 브러쉬
700: 볼

Claims (10)

  1.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 일 측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권선하는 보빈;
    보빈 및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케이스의 타 측에 설치되어 보빈과 접촉하며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스토퍼를 보빈 측으로 밀어주는 제1 푸쉬 스프링;
    스토퍼와 접촉하여 스토퍼를 보빈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푸쉬 키; 및
    푸쉬 키를 스토퍼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푸쉬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토퍼는, 하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이탈 방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 및 걸림부에 형성되며 푸시 키의 일 단이 삽입되는 푸쉬 키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이탈 방지부의 선형 이동은 허용하되, 이탈은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푸쉬 스프링은 하부 케이스의 이탈방지부 수용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푸쉬 키는 푸쉬 키 삽입홈내에 삽입되는 스토퍼 접촉부,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 및 푸쉬 키가 하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접촉부와 버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푸쉬 키를 스토퍼 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제2 푸쉬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푸쉬 스프링 지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스토퍼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제1 푸쉬 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1 푸쉬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탄성 부재 및 보빈이 설치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스토퍼 및 푸쉬 키가 설치되는 제2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설치 공간은 탄성 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20150080587A 2015-06-08 2015-06-08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70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587A KR101705021B1 (ko) 2015-06-08 2015-06-08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587A KR101705021B1 (ko) 2015-06-08 2015-06-08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39A KR20160144539A (ko) 2016-12-19
KR101705021B1 true KR101705021B1 (ko) 2017-02-10

Family

ID=577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587A KR101705021B1 (ko) 2015-06-08 2015-06-08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167B1 (ko) * 2017-07-27 2019-04-03 주식회사 이엠텍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898651B1 (ko) * 2017-08-07 2018-09-13 주식회사 블루콤 끊김 및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용 자동 감김 장치의 나선형 스프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568Y1 (ko) * 2004-07-28 2004-10-15 권혁우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KR101401906B1 (ko) *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410B1 (ko) 2000-07-31 2006-01-24 강효동 회전제어 기능과 코-드권취드럼의 구성.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568Y1 (ko) * 2004-07-28 2004-10-15 권혁우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KR101401906B1 (ko) * 2014-04-14 2014-06-02 주식회사 블루콤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39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138B2 (en)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KR101159143B1 (ko)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코드 권치 장치 및 코드 권취 방법
US6199674B1 (en) Structure of a wire winding box
KR101538300B1 (ko) 줄의 자동감김 장치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US7109594B2 (en) Cord reel box with recharging unit
US20080064262A1 (en) Cable winder
US20100270413A1 (en) Rotation-type single-pull retraction mechanism
KR101401906B1 (ko) 사이드 푸쉬키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킨 자동 권선 감기 모듈
US6937725B2 (en) Short wire length wire-winding box
KR101748174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KR101705021B1 (ko)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17707B1 (ko)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630636B1 (ko)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20190059180A (ko) 자동 줄 감김 장치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100842667B1 (ko) 휴대용 전선 테이핑장치
KR101674072B1 (ko) 핀 터미널을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TWI501907B (zh) 容置裝置
US20110299714A1 (en) Earphone for replaceable cables
GB2280168A (en) Rewinder for earphone leads
US10123105B2 (en)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including abrasion-resistant rotation axis
KR101327494B1 (ko) 전선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멀티 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