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167B1 - 줄 자동 감김장치 - Google Patents

줄 자동 감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167B1
KR101936167B1 KR1020170095472A KR20170095472A KR101936167B1 KR 101936167 B1 KR101936167 B1 KR 101936167B1 KR 1020170095472 A KR1020170095472 A KR 1020170095472A KR 20170095472 A KR20170095472 A KR 20170095472A KR 101936167 B1 KR101936167 B1 KR 10193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ll
wire
cas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일
김대현
심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7009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릴 샤프트가 마련된 제1 케이스,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릴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 일단은 상기 릴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가진 회로기판, 와이어의 일측 선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돌기를 갖되, 상기 와이어가 상기 휠에 결합시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휠과 상기 회로기판이 접하는 면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 및 상기 휠에 권취되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줄을 포함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줄 자동 감김장치 {AUTOMATIC REWIDING APPARATUS FOR A LINE}
본 발명은 줄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유선 이어폰에 포함된 줄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줄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은 오디오 등의 전자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음향을 청취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리시버(receiver)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이어폰은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원리에 따라 크리스털 타입과 마그네틱 타입으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다. 크리스털 타입은 크리스털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고, 마그네틱 타입은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어폰은 외관 구조의 형태에 따라 직접 귓구멍에 꽂는 타입, 머리에 걸치는 타입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헤드폰(headphone)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어폰은 휴대가 가능한 개인적인 음향기기, 예컨대 휴대폰,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기술개발과 함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이어폰은 단지 음향 청취의 기능에서 벗어나 통화가 가능한 기능성을 보유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한편, 이어폰은 와이어(wire) 혹은 코드(cord)라고도 불리는 줄을 포함한다.
유선 이어폰의 경우에는 줄의 양단 각각에 플러그와 스피커가 마련되며,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경우에는 일단에만 스피커가 연결되고 타단은 이어폰 본체에 결합된다.
이어폰에 적용되는 줄은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일정한 길이, 예컨대 수 십 센티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데, 꼬이지 않게 잘 관리되어야 손상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이어폰에 적용되는 줄은 가늘고 얇아서 단락 혹은 단선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잘 관리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을 가방이나 주머니 내에 아무렇게나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서 줄이 쉽게 꼬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어폰을 실제 사용하고자 할 때, 꼬인 줄일 일일이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특히, 줄이 심하게 꼬인 경우에는 마찰 등에 의해 줄의 피복이 벗겨지면서 손상, 즉 단락 또는 단선될 소지가 높기 때문에 이어폰을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줄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이어폰 등에 적용되는 줄의 관리를 위해, 즉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줄을 자동으로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471903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471904호(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289244호(이하, "선행기술 3"이라 칭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특히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줄을 자동으로 감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성과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으며, 특히 얇은 판 형태의 브러시(brush)를 사용한 전기 접촉구조를 적용하고 있어서 부품의 신뢰성과 양산성에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제시가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16년 2월 22일에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6-0020856호에서 "줄 자동 감김장치"(이하, "선행기술 4"라 칭함)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 4의 줄 자동 감김장치는, 종래 적용되어 왔던 얇은 판 형태의 브러시를 사용한 전기 접촉구조 대신에 핀 타입(pin type)의 전기 접촉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신뢰성과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핀 타입의 전기 접촉 부재의 자체 길이의 한계로 인해 줄 자동 감김장치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줄 자동 감김장치를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471903 B1 KR 1471904 B1 KR 1289244 B1
본 발명은, 줄 자동 감김장치를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줄 자동 감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릴 샤프트가 마련된 제1 케이스,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릴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 일단은 상기 릴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가진 회로기판, 와이어의 일측 선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돌기를 갖되, 상기 와이어가 상기 휠에 결합시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휠과 상기 회로기판이 접하는 면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 및 상기 휠에 권취되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줄을 포함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타측 선단부에 U자로 절곡 형성된 U자형걸쇠를 갖고, 상기 휠은 상면에 상기 U자형걸쇠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끼움홈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갖되,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U자형걸쇠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걸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은, 상기 휠의 중심축에 끼워진 릴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에 삽설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의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휠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U자형걸쇠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접촐돌기를 향해 연장 형성된 연장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와이어는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기판결합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는 상기 기판결합구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의 접촉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절취된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휠은, 상기 릴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보스를 중앙에 갖고, 외측면에 상기 줄을 권취하는 휠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줄은, 상기 휠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줄 통과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휠은, 상면에 매듭수용홈을 갖고, 상기 휠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줄 통과구를 통과하여 상기 매듭수용홈에 인입된 줄은, 상기 매듭수용홈 내에 매듭지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릴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슬릿에 끼움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휠 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된 록킹블록에 걸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휠과 결합되어 상기 휠과 함께 회전되되, 일면에 볼 트랙이 함몰형성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 트랙은, 외부 트랙, 상기 외부 트랙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트랙, 상기 외부 트랙과 상기 내부 트랙을 연결하는 연결 트랙 및 상기 연결 트랙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 트랙과 분리되는 스톱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줄이 권취되거나 권출될때 상기 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볼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볼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 이동 가이드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면에서 일자형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캡이 회전할 때, 상기 외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볼이 상기 제2 케이스 상에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볼이 안착되는 볼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 고정홀은 상기 볼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보다 부품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장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핀 타입(pin type)의 전기 접촉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절곡된 와이어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초박형의 줄 자동 감김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캡에 형성된 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볼을 포함하여, 휠의 회전 감도 향상 및 휠의 회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2개의 와이어스프링이 각각 회로기판(PCB)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과정에서 2개의 볼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균등하게 지지대 역할을 하여 접촉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는, 휠의 외측면으로부터 줄 통과구를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줄이 매듭지어지고, 휠에 매듭지어진 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짐으로써, 줄이 당겨지더라도 줄의 매듭이 줄 통과구에 걸쳐져 줄과 와이어스프링 간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줄 자동 감김장치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1 케이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거하면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과 이에 장착되는 와이어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스프링이 장착된 휠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에 형성된 끼움홈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샤프트와 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과 캡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줄 자동 감김장치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1 케이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거하면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100)는, 릴 샤프트(111)가 마련된 제1 케이스(110)와, 릴 샤프트(111)에 끼워져 릴 샤프트(111)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140)과, 양단이 각각 릴 샤프트(111)와 휠(14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60)와, 릴 샤프트(111)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를 가진 회로기판(120)과, 휠(140)에 결합되되 일측 선단부는 휠(140)의 일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도록 절곡된 접촉돌기를 가져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와, 휠(140)에 권취되되 일단이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줄(130)을 포함함으로써, 종래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져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래 핀 타입(pin type)의 전기 접촉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절곡된 와이어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초박형의 줄 자동 감김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80)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호간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80) 사이에는 회로기판(120), 줄(130), 휠(140), 탄성부재(160), 캡(170) 등이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위 구성요소들의 위치별 결합 상태는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만,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케이스(110)는 제2 케이스(180)와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다수의 부품들이 위치별로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80) 간의 결합을 위해, 제2 케이스(18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제1 케이스(110)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케이스 브릿지(183)가 형성되고, 제1 케이스(110)에는 케이스 브릿지(183)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결합공(113)이 형성된다.
케이스 브릿지(183)는 제2 케이스(180)의 각 코너에 하나씩 마련되는데, 케이스 브릿지(183)의 단부에는 결합공(113)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조립용 돌기(183a)가 형성된다. 케이스 브릿지(183)의 둘레와 조립용 돌기(183a)의 둘레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제2 케이스(180)에 결합된 제1 케이스(110)를 지탱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1 케이스(110)에 다수의 케이스 브릿지(183)와 조립용 돌기(18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공(113)이 제2 케이스(18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110)는 회로기판(120)의 돌출판부(125)에 마련된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 중 어느 한 모서리의 일부분을 회로기판(120)의 돌출판부(125)에 대응하도록 절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110)의 내면 중심부에는 릴 샤프트(111)가 입설(入設)될 수 있다. 릴 샤프트(111)는 줄(130)을 당기거나 풀 때 회전한는 휠(140)의 회전축심을 이루며, 이러한 릴 샤프트(111)는 제1 케이스(110)의 내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제1 케이스(110)의 내면 중심부에 착탈 가능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후자의 경우가 유리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제1 케이스(110)에는 릴 샤프트(111)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 착탈 결합홀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착탈 결합홀에 결합되는 릴 샤프트(111)의 일 단부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에 소정 깊이만큼 움푹패인 샤프트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샤프트 착탈 결합홀의 내주면 양측에는 샤프트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샤프트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제1 케이스(110)에 결합된 릴 샤프트(111)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 샤프트(111)의 타 단부에는 일자형의 탄성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슬릿(1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슬릿(111a)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0)의 중심에 위치한 일단부(161)가 끼워지면서 릴 샤프트(111)와 탄성부재(16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제1 케이스(110)의 내면에 배치되어, 회로기판(120)의 돌출판부(125)가 제1 케이스(110)의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갖되, 회로기판(120)의 중앙에는 기판 결합구(123)를 가져, 회로기판(120)이 릴 샤프트(11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회로기판(120)은 도 10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판부(121)와, 원형판부(121)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판부(121)의 중심부에는 기판 결합구(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 결합구(123)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가 동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넛과 같은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돌출판부(125)에는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 각각은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가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에는 전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이어폰으로 전달할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의 단자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음향 신호는 제1 및 제2 출력단자(125a, 125b)와,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와,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과, 제1 및 제2 전선을 가진 줄(130)로 순차 전달되어 줄(130)의 단부에 연결된 스피커(speaker)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줄(130)은 예컨대 이어폰 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줄(130)은 참고로 와이어(wire) 혹은 코드(cord)라고도 불릴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줄(130)의 일단부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을 통해 회로기판(120)의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20)의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로부터 전기적인 신호, 예컨대 음향 신호가 스피커로 전달될 수 있도록 줄(130)은 제1 및 제2 전선을 내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선은 통상 피복재에 덮여 있기 때문에 피복재를 탈피하지 않는 이상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줄(130)은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통상 수십 센티미터(㎝)의 길이를 가지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줄(130)을 감아 그 길이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줄(130)을 자동으로 감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100)는 휠(140)과, 탄성부재(160)와, 캡(170)을 포함할 수 있다.
휠(140)은 케이스(110, 180) 내에서 회로기판(120)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휠(140)의 외측면에는 줄(130)이 권취되어, 줄(1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릴 샤프트(111)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줄(130)이 당겨지면 당기는 힘에 의해 휠(140)에 감겨 있던 줄(130)이 권출되고, 줄(130)을 살짝 당겼다 놓으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줄(130)이 휠(140)에 자동으로 감길 수 있다.
이러한 휠(140)은, 도 12 내지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130)이 감기는 줄 감김부(143)가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휠 바디(141)를 포함할 수 있다.
휠 바디(141)는 오목한 측면을 가진 줄 감김부(143)를 포함한 대략 원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윗면에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을 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홈과,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벽부를 저면에 마련한 제1 보울부(141a)를 포함할 수 있고, 아랫면에는 내부에 탄성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는 제2 보울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울부(141a)와 제2 보울부(141b) 사이에는 잘록한 줄 감김부(143)가 형성되어, 줄(130)을 권취할 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줄 감김부(143)의 일측면 오목한 부분에는 줄 통과구(144)가 형성되되, 줄 통과구(144)는 휠(140)의 내부를 거쳐 제1 보울부(141a)의 저면까지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130)은 줄 통과구(144)를 통해 휠(14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보울부(141a)까지 지나게 되며, 줄 통과구(144)를 통과하여 제1 보울부(141a)로 인입된 줄은 매듭지어져, 매듭진 줄이 줄 통과구(144)에 걸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 줄이 당겨지더라도 줄의 매듭이 줄 통과구(144)에 걸쳐져 줄과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 간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줄의 매듭은 휠(140), 구체적으로 휠 바디(141)의 윗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매듭수용홈(144a)에 수용되도록 하여, 줄이 매듭지어지더라도 조립된 줄 자동 감기장치(10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휠 바디(141) 중앙의 축 영역에는 샤프트보스(142)가 형성된다. 샤프트보스(142)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릴 샤프트(111)는 샤프트보스(142)의 내부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휠(140)의 회전축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릴 샤프트(111)의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 슬릿(111a)이 제2 보울부(141b) 내의 부품수용공간(S) 중앙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부품수용공간(S) 내 배치된 탄성부재(160)의 일단부(161)가 결합 슬릿(111a)에 끼워지도록 한다.
휠 바디(141)의 일단부, 구체적으로 제2 보울부(141b)의 외주에는 록킹블록(145)이 형성된다. 록킹블록(145)에는 탄성부재(160)의 타단부가 걸려, 휠 바디(141)와 탄성부재(160)는 결합될 수 있다.
록킹블록(145)은 제2 보울부(141b)의 외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인입되어 위치하여, 제2 보울부(141b)와 캡(170)이 결합하였을 때 록킹블록(145)은 물론 이에 결합된 탄성부재(16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탄성부재(160)에 주입된 오일이나 그리스가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170)은 제2 보울부(141b)를 향한 외주부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돌기(176)를 포함할 수 있고, 맞물림돌기(176)에 대응하여 제2 보울부(141b)는 맞물림홈(org)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줄(130)의 자동 감김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100)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줄(130)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태엽의 일종으로서, 휠 바디(141) 내의 부품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그 일단부(161)가 샤프트보스(142)를 통과한 릴 샤프트(111)의 탄성부재 결합용 슬릿(111a)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타단부는 록킹블록(145)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60)의 타단부가 록킹블록(145)에 결합되기 위해 탄성부재(160)의 타단부에는 휠(140)의 록킹블록(145)에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16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60)가 휠(140)에 마련되기 때문에 당겼던 줄(130)을 놓으면 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줄(130)이 휠(140)의 줄 감김부(143)에 되감길 수 있다.
도 5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0)의 상하면에는 탄성부재(160)의 탄성작용을 가이드하는 박판 형태의 가이드 플레이트(P1, P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P1, P2)는 탄성부재(160)의 날카로운 단부가 주변 구조물을 마모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탄성부재(160)의 탄성작용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탄성부재(160)에는 원활한 탄성력을 위해 오일(oil, 그리스)이 주입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 플레이트(P1, P2)는 오일의 누출을 저지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의 사용을 위해 줄(130)을 잡아당기면 당기는 힘에 의해 휠(140)에 감겨 있던 줄(130)이 풀리면서 고정되어야 하고, 또한 풀었던 줄(130)을 살짝 당겼다 놓으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줄(130)이 휠(140)의 줄 감김부(143)에 자동으로 되감겨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100)는 캡(170)과 제1 볼(178)을 포함할 수 있다.
캡(170)과 제1 볼(178)은 휠(140) 및 탄성부재(160)와 함께 줄(130)이 잘 풀리거나 잘 되감기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줄(130)이 원하는 길이에서 감기지 않고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캡(170)은 휠(140)과 결합되어 휠(140)과 함께 회전하되, 캡(170)의 일면(휠(140)을 향하지 않은 배면)에는 제1 볼(178)이 이동되는 볼 트랙(171)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볼 트랙(171)은 외부 트랙(172)과, 외부 트랙(172)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트랙(173)과, 외부 트랙(172) 및 내부 트랙(173)을 연결하는 연결 트랙(174)과, 연결 트랙(174)의 일측에 배치되되 제1 볼(178)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트랙(175)을 포함한다.
줄(130)을 당겨 풀면 제1 볼(178)은 외부 트랙(172)을 따라 이동하고, 줄(130)이 감기면 제1 볼(178)은 내부 트랙(173)을 따라 이동되며, 줄(130)이 감기지 않고 정지될 때는 제1 볼(178)이 연결 트랙(174)을 경유하여 스톱 트랙(175)에 스토핑될 수 있다.
휠(140)의 제2 보울부(141b)와 캡(170)의 상부는 대향하여 결합되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140)의 제2 보울부(141b)는 외주에 부품수용공간(S)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내륜벽부(ir)와 외륜벽부(or)를 포함할 수 있다. 내륜벽부(ir)는 외륜벽부(or)의 내주면에 접하여 형성되되, 내륜벽부(ir)의 돌출높이는 외륜벽부(or)의 돌출높이보다 높아, 휠(140)과 캡(170)의 결합시 캡(170)의 상부에서 외주를 둘러싸도록 돌출 형성된 외주벽부(r)가 제2 보울부(141b)의 내륜벽부(ir)와 외접하여 결합함으로써, 캡(170)은 휠(140)의 제2 보울부(141b)를 둘러싸는 형태로 휠(140)에 결합될 수 있다.
캡(170)의 외주벽부(r)에는 제2 보울부(141b)와 결합시 록킹블록(145)을 감싸는 맞물림돌기(176)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 외주벽부(r)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76a~176c)가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돌기(176)는 제2 보울부(141b)의 외륜벽부(or) 일부에 형성된 록킹블록커버구(org)를 덮고, 복수의 결합 돌기(176a~176c)는 제2 보울부(141b)의 외륜벽부(or)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캡결합구(ora~orc)에 끼움 결합되어, 캡(170)이 휠(140)의 제2 보울부(141b)를 둘러싸도록 결합하여 부품수용공간(S)에 주유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캡(170)의 하부 중앙에는 제2 케이스(180)에 형성되는 캡 결합홀(185)에 삽입되는 홀 삽입부(177)가 형성된다. 일측이 휠(140)의 제2 보울부(141b)에 결합된 캡(170)은 홀 삽입부(177)가 제2 케이스(180)의 캡 결합홀(185)에 삽입됨으로써, 제2 케이스(180) 내에서 이탈 없이 회전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제1 볼(178)은 줄(130)을 당기거나 풀 때 캡(170)의 볼 트랙(171)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1 볼(17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2 케이스(180)의 내벽에는 볼 이동 가이드 홀(181)이 형성된다.
볼 이동 가이드 홀(181)은 제2 케이스(180)의 내측면에서 일자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줄(1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제1 볼(178)은 볼 이동 가이드(181)를 왕복 운동하면서 볼 트랙(17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볼 트랙(171)을 따라 이동하는 볼이 한 개인 경우, 휠(140)과 캡(170) 간의 압착시 볼의 높이로 인해 좌우측 간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휠(14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거나 휠(140)의 회전 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100)는, 캡(170)이 회전할 때 외부 트랙(172)만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볼(1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트랙(172) 상의 일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2 케이스(180) 상에는 제2 볼(179)이 안착되는 볼 고정홀(182)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휠(140) 회전시 제2 볼(179)은 제2 케이스(180) 상에서는 볼 고정홀(182)에만 위치하고 이동하지 않으나, 외부 트랙(172)을 따라서만 이동하게 된다.
결국 제2 볼(179)은 캡(170) 회전시 외부 트랙(172)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휠(140)과 캡(170) 간의 압착시 제1 볼(178)과 제2 볼(179)은 좌우측 간에 높이 균형을 이루어, 볼이 한개일 때보다 휠(140)의 회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휠(140)의 회전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2개의 와이어스프링(151, 152)이 각각 회로기판(PCB)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과정에서 2개의 볼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균등하게 지지대 역할을 하여 접촉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178) 및 제2 볼(179)에 의한 좌우측 간에 높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 볼 고정홀(182)은 외부 트랙(172) 상의 일 위치에 대응하되 일자형의 볼 이동 가이드 홀(181)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두 개의 볼(178, 179)이 캡(170) 상에서 캡(17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은 휠(140)의 상면, 즉 제1 보울부(141a)에 결합되되, 일선단부는 줄(130)에 내장된 제1 및 제2 전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선단부는 회로기판(120)의 제1 및 제2 연결단자(121a, 121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와이어 타입(wire type)의 전기 연결부재이다(도 4 및 1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은, 접촉돌기(151a, 152a)와, U자형걸쇠(151b, 152b)와, 줄 접속단자(151c, 152c)와, 연장와이어(151d, 15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이 휠(140)의 제1 보울부(141)에 장착되었을 때,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일부가 휠(140)에 회로기판(120)이 접하는 면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은 일측 선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돌기(151a, 1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151a, 152a)는 상향으로 기울어진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선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선단부를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은 일부에 U자로 절곡 형성된 U자형걸쇠(151b, 152b)를 가져, U자형걸쇠(151b, 152b)가 휠(140)의 상면, 즉 제1 보울부(141a)에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돌기(146a, 147a)를 가져, U자형걸쇠(151b, 152b)가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에 끼워졌을 때 U자 부분이 이탈방지돌기(146a, 147a)에 걸려져 U자형걸쇠(151b, 152b)가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탈방지돌기(146a, 146b)는 상부면이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삽입 방향(하향)을 따라 점점 넓어지도록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인 하부면은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이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지 않고 단턱부를 가져,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조립성은 향상시키고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은 U자형걸쇠(151b, 152b)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접촉돌기(151a, 152a)를 향해 연장 형성된 연장와이어(151d, 152d)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와이어(151d, 152d)는 수평하지 않고 상향, 즉 회로기판(12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져,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형상에 의한 소재 강성으로 접촉돌기(151a, 152a)가 회로기판(120)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 각각의 말단부는 제1 보울부(141a)의 줄 통과구(144)를 통해 인입된 줄(130)에 내장된 제1 및 제2 전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 각각의 말단부에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줄 접속단자(151c, 151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휠(140)의 상면, 즉 제1 보울부(141)에는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 이외에 휠(14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148, 149)가 제1 보울부(14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은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U자형걸쇠(151b, 152b)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휠(140)의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이탈방지돌기(146a, 146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140)의 중앙부에 위치한 샤프트보스(142)에서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되, 샤프트보스(14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에 따라 제1 및 제2 끼움홈(146, 147) 사이에 줄(130)의 매듭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매듭수용홈(144a)이 휠(140)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제1 와이어스프링(151)의 접촉돌기(151a)는 회로기판(120)의 외륜에 형성된 제2 연결단자(121b)에 접하고, 제2 와이어스프링(152)의 접촉돌기(152a)는 회로기판(120)의 내륜에 형성된 제1 연결단자(121a)에 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148, 149)는 U자형걸쇠(151b, 152b)로부터 접촉돌기(151a, 152a)를 향해 연장형성된 연장와이어(151d, 152d)의 양측에 위치하여, 휠(140)이 회전할 때 연장와이어(151d, 152d)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148, 149)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연장와이어(151d, 152d) 양측에 배치되되 연장와이어(151d, 152d)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어, 휠(140)의 회전시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148, 149)에 대한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151, 152)의 지지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 자동 감김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이어폰 사용을 위해 줄(130)을 잡아당기면 휠(140)의 줄 감김부(143)에 감겨져 있던 줄(130)이 풀리면서 탄성부재(160)는 수축된다. 이때, 제1 볼(178)은 일자형 함몰홈(116) 상에서 볼 트랙(171)의 내부 트랙(173)과 연결 트랙(174)을 거쳐 외부 트랙(172)을 따라 이동된다.
잡아당기고 있던 줄(130)을 놓으면 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캡(170)과 함께 휠(14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 볼(178)이 연결 트랙(174)을 통해 스톱 트랙(175)에 안착됨에 따라 휠(140)과 캡(17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줄(130)은 당겨진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사용이 완료되어 줄(130)을 휠(140)의 줄 감김부(143)에 감으려면 줄(130)을 다시 한 번 잡아당겼다 놓는다.
그러면 스톱 트랙(175)에 안착되었던 제1 볼(178)이 스톱 트랙(175)으로부터 빠져나온 다음, 연결 트랙(174)을 거쳐 내부 트랙(173)을 따라 회전되고, 이어 휠(140)과 캡(170)은 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줄(130)은 휠(140)의 줄 감김부(143)에 되감길 수 있다.
캡(170) 회전시 제1 볼(178)과 무관하게 제2 볼(179)은 제2 케이스(180) 상에서는 볼 고정홀(182)에만 위치하되 외부 트랙(172)만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휠(140)과 캡(170) 사이에서 제2 볼(179)은 제1 볼(178)과 좌우측 간 높이 균형을 이뤄, 휠(14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2개의 와이어스프링(151, 152)이 각각 회로기판(PCB)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과정에서 2개의 볼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균등하게 지지대 역할을 하여 접촉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와이어 자동 감김장치 110: 제1 케이스
111: 릴 샤프트 111a: 결합 슬릿
112: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 113: 결합공
120: 회로기판 121: 원형판부
121a, 121b: 제1 및 제2 연결단자 123: 기판결합구
125: 돌출판부 125a, 125b: 제1 및 제2 출력단자
128: 전기 커넥터 130: 줄
131: 매듭 140: 휠
141: 휠 바디 142: 샤프트보스
143: 줄 감김부 144: 줄 통과구
144a: 매듭수용홈 145: 록킹블록
146: 제1 끼움홈 146a: 제1 이탈방지돌기
147: 제2 끼움홈 147a: 제2 이탈방지돌기
148: 제1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 149: 제2 와이어스프링가이드부
151: 제1 와이어스프링 152: 제2 와이어스프링
151a, 152a: 접촉돌기 151b, 152b: U자형걸쇠
151c, 152c: 줄 접속단자 151d, 152d: 연장와이어
160: 탄성부재 161: 일단부
162: 블록 결합부 170: 캡
171: 볼 트랙 172: 외부 트랙
173: 내부 트랙 174: 연결 트랙
175: 스톱 트랙 176: 맞물림돌기
177: 홀 삽입부 178: 제1 볼
179: 제2 볼 180: 제2 케이스
181: 볼 이동 가이드 홀 182: 볼 고정홀
183: 케이스 브릿지 183a: 조립용 돌기
185: 캡 결합홀 S: 부품수용공간
176a~176c: 결합 돌기 or: 외륜벽부
ora~orc: 캡결합구 org: 록킹블록커버구
ir: 내륜벽부 r: 외주벽부

Claims (19)

  1. 릴 샤프트가 마련된 제1 케이스;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릴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
    일단은 상기 릴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가진 회로기판;
    와이어의 일측 선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돌기를 갖되, 상기 와이어가 상기 휠에 결합시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휠과 상기 회로기판이 접하는 면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 및
    상기 휠에 권취되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타측 선단부에 U자로 절곡 형성된 U자형걸쇠를 갖고,
    상기 휠은 상면에 상기 U자형걸쇠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끼움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갖되,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U자형걸쇠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은, 상기 휠의 중심축에 끼워진 릴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에 삽설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의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휠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U자형걸쇠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돌기를 향해 연장 형성된 연장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와이어는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기판결합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는 상기 기판결합구를 중심으로 동심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의 접촉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절취된 출력단자 노출용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9. 삭제
  10. 릴 샤프트가 마련된 제1 케이스;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릴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휠;
    일단은 상기 릴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릴 샤프트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가진 회로기판;
    와이어의 일측 선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돌기를 갖되, 상기 와이어가 상기 휠에 결합시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휠과 상기 회로기판이 접하는 면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및
    상기 휠에 권취되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줄;을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릴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보스를 중앙에 갖고, 외측면에 상기 줄을 권취하는 휠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줄은, 상기 휠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줄 통과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휠은, 상면에 매듭수용홈을 갖고,
    상기 휠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줄 통과구를 통과하여 상기 매듭수용홈에 인입된 줄은, 상기 매듭수용홈 내에 매듭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릴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된 결합슬릿에 끼움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휠의 일단부에 형성된 록킹블록에 걸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과 결합되어 상기 휠과 함께 회전되되, 일면에 볼 트랙이 함몰형성된 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트랙은,
    외부 트랙;
    상기 외부 트랙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트랙;
    상기 외부 트랙과 상기 내부 트랙을 연결하는 연결 트랙; 및
    상기 연결 트랙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 트랙과 분리되는 스톱 트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이 권취되거나 권출될때 상기 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케이스;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볼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볼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동 가이드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면에서 일자형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회전할 때, 상기 외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케이스;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볼이 상기 제2 케이스 상에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볼이 안착되는 볼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이 권취되거나 권출될때 상기 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볼;
    상기 캡이 회전할 때, 상기 외부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볼;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케이스;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볼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면에서 일자형으로 함몰 형성된 볼 이동 가이드홀과, 상기 제2 볼이 상기 제2 케이스 상에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볼이 안착되는 볼 고정홀을 포함하되,
    상기 볼 고정홀은 상기 볼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자동 감김장치.
KR1020170095472A 2017-07-27 2017-07-27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93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472A KR101936167B1 (ko) 2017-07-27 2017-07-27 줄 자동 감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472A KR101936167B1 (ko) 2017-07-27 2017-07-27 줄 자동 감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167B1 true KR101936167B1 (ko) 2019-04-03

Family

ID=6616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472A KR101936167B1 (ko) 2017-07-27 2017-07-27 줄 자동 감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1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101471904B1 (ko)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471903B1 (ko)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20160144539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744166B1 (ko) * 2016-02-22 2017-06-08 (주)썬텔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752771B1 (ko) * 2016-04-06 2017-06-30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101471903B1 (ko)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471904B1 (ko)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20160144539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이엠텍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744166B1 (ko) * 2016-02-22 2017-06-08 (주)썬텔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752771B1 (ko) * 2016-04-06 2017-06-30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509B2 (en) Headphone, electronic device, cord winding device, and cord winding method
US20050058316A1 (en) Headphone with cord winder devices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KR101936167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JP7006615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8059854B2 (en) Earphone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10137434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이어폰 수납장치
KR100490353B1 (ko) 이어폰 권취 장치
US20180063623A1 (en) Automatic rewinding apparatus including abrasion-resistant rotation axis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JP6595370B2 (ja) ヘッドバンド付きイヤホン
KR20150110302A (ko) 무선음향기기
KR101861102B1 (ko) 이어셋의 이어폰 케이블 감김장치
KR20170098653A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JP3655573B2 (ja) イヤフォン整理具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303872Y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세트
KR100536399B1 (ko)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JPH09187092A (ja) 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KR200185633Y1 (ko) 휴대폰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용 이어폰/마이크로폰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