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031B1 -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031B1
KR100652031B1 KR1019990060410A KR19990060410A KR100652031B1 KR 100652031 B1 KR100652031 B1 KR 100652031B1 KR 1019990060410 A KR1019990060410 A KR 1019990060410A KR 19990060410 A KR19990060410 A KR 19990060410A KR 100652031 B1 KR100652031 B1 KR 10065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ok means
device body
termi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348A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0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의 수신 또는 송신이 가능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걸이수단 및 이에 내장되는 송수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본체를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수단, 일부가 상기 걸이수단에 내장되는 메인 와이어와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선과 상기 지선 상에 장착되는 수화기 및 송화기를 갖는 송수화수단, 상기 걸이수단의 양측 끝단에 돌출 형성된 인서트 핀을 갖는 플러그부와, 그리고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 핀과 대응되는 핀 삽입홈을 갖는 리셉터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는 상기 걸이수단을 상기 기기본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송수화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목걸이형, 전자기기

Description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Sound generating-type electronic device}
도 1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키패드 방향이 제 1 실시예와 반대로 된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표시수단이 단말기 하부에 구비된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표시수단이 단말기 상부측 경사면 상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 내부에 안테나가 내장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제 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이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 제 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착탈식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 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 에 이어폰의 메인 와이어가 내장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 9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이어폰의 메인 와이어 및 안테나가 내장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 10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스테레오 타입 이어폰의 메인 와이어가 내장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는 걸이수단을 단말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a는 고정수단이 나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고정수단이 스냅피팅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c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11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내장된 안테나가 단말기에 대해 착탈가능한 타입으로 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제 12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내장된 안테나 및 이어폰이 단말기에 대해 착탈가능한 타입으로 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 13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내장된 안테나 및 이어폰이 단말기에 대해 착탈가능한 타입이면서 이어폰이 스테레오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 1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 단 외부로 노출된 이어폰 지선을 걸이수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 1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 외부로 노출된 이어폰 지선을 걸이수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제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 외측면에 이어폰의 스피커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a 내지 도 16g는 본 발명 제 11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는 걸이수단을 단말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예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로서,
도 16a는 고정수단이 나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b는 고정수단이 스냅피팅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c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d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e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f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g는 고정수단이 고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제 1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정면도로서, 걸이수단 자체에 구비되는 분리수단의 요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 1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도로서, 걸이수단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의 요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단말기 1a:키 패드
1b:벨/진동 선택 수단 1c:서치 키
1d:콜러(caller) 식별용 수신램프 1e:마이크
1f:스피커 1g.1h : 접속단자소켓
2:걸이수단 3:이어폰
3a:메인 와이어 3b:지선
3c:스피커 3d:마이크
3e:전기접속단자 4. 4a:안테나
4b:전기접속단자 5a:부착수단
5b:수용체 6a:녹음 버튼
6b:선택 버튼 7a:부착수단
8:표시수단 9:착탈식 스피커
13:플러그부 14:리셉터클부
15:코킹부재
본 발명은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에 걸 수 있고 목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 음향을 수신하거나 음향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Pendant or Necklace-type electronic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을 발생시키고 이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는, 음악 또는 뉴스등을 청취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휴대용 미니 카셋트 플레이어와,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CD플레이어와, 최근에 차세대 음향 기기로서 주목받고 있는 MP 플레이어와, 음성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휴대용 전화기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들은, 취급시, 손에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고 다니다가 필요할 경우 꺼내어 사용하게 되므로 인해 불편함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는 별도의 걸이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나 가방 등에 넣어 소지하고 다니다가 분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몸에 항상 결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스피커 및 마이크를 모두 내장하고 있으므로 무게 및 크기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중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끝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취급시 불편하고, 안테나 길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단말기를 호주머니 또는 가방등에 넣고 다니다가 링 신호가 울리면 그때서야 꺼내서 수신을 하므로 수신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휴대용 전화기 사용 방법은 단말기를 귀에 밀착시켜 사용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압박으로 인한 귀의 통증이 유발되고, 이동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노출되므로 건강에 해롭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는 손으로 잡고 사용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팔의 피로가 초래된다.
특히, 운전중일 경우,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게 되어 한손으로만 핸들을 조작하게 되므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수단에 내장되는 송수화수단이 기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분리형이 되도록 하므로써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걸이수단을 구비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에는 송수화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송수화수단의 기기와의 접속부는 기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목걸이장치의 각 실시예에 대해,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가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들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SEND 버튼(SND), 종료 버튼(END), 메뉴 버튼(MENU), OK 버튼(OK), 숫자 및 문자 버튼(0-9, *, #) 그리고 업/다운 버튼을 구비한 키 패드(1a)와, 벨/진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1b)과, 서치(SEARCH)를 위한 서치 키(1c)를 구비하고 고성능 마이크(1e) 및 스피커(1f)와, 단말기 전면 상단부 구비되어 각종 정보 및 메세지를 보여주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1)와, 상기 단말기 본체(1)의 상측 중앙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수단(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단말기에는 적어도 두 개의 콜러 식별용 수신램프(1d)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경우, 특정 전화번호로 신호가 수신되면 그 번호와 매칭(matching)되는 콜러 식별용 수신램프(1d)가 점등 또는 점멸되 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전화 번호를 가진 경우, 사용자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따라 콜러 식별용 수신램프(1d)들중 어느 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되는지를 통해 전화를 건 상대방에 대한 식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는 걸이수단(2) 양 끝에 각각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1)의 상면 양단에는 각각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걸이수단(2)을 상기 단말기 본체(1)의 양단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키 패드(1a)에 기록된 숫자 및 문자는 상기 걸이수단(2)이 상향된 상태에서 단말기를 바라 볼 때 뒤집어진 상태로 보이도록 한다.
이는, 단말기 본체(1)를 목에 건 상태에서 통화를 위해 단말기를 잡고 위로 올릴 때, 뒤집어진 상태인 문자가 바로 보이도록 조작하면 걸이수단(4)과 단말기와의 간섭 및 사용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손쉽게 단말기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통화를 위해 단말기를 들어 올렸을 때, 단말기 본체(1)와 걸이수단(4)과의 연결부위가 지면을 향하게 되므로, 걸이수단과 단말기와의 간섭 및 걸이수단과 사용자와의 간섭을 최소화되므로써 키 패드등의 조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키패드(1a)에 기록된 숫자 또는 문자 방향이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단말기 본체(1)를 목에 건 상태에서 바르게 보이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단말기 조작시 손목을 틀지 않고 곧바로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 2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를 파지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손동작이 보다 편하고 자유스러워지는 장점이 있다.
도 1c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이경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각종 정보 및 메세지를 보여주는 표시수단(8)이 단말기 전면 하단부에 구비된 구성이 다른 경우로서,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에 의해 뒤집어진 숫자가 바로 보이도록 된 상태에서 표시수단(8)이 단말기 본체(1)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발명 제 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표시수단(8)이 단말기 본체(1) 상단부의 경사면상에 구비된 것이다.
즉, 단말기 본체(1)의 상면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표시수단(8)을 설치함과 더불어 표시수단(8)이 설치된 경사면에 걸이수단(2)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제 4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를 목에 건 상태에서 고개만 숙여 표시수단에 나타나는 정보 및 메시지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 본체(1) 상면에 아무런 경사를 두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상면에 표시수단(8)을 추 가적으로 구성하여도 단말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단말기의 조작없이 고개만 숙여 표시수단에 나타나는 정보 및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걸이수단 내부에 플렉시블 타입의 안테나(4)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플렉시블 타입의 안테나(4)가 걸이수단(2) 내부에 내장되므로 인해 안테나의 길이를 연장하여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안테나를 기기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전화기의 외관을 심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말기에 폴 타입(pole type)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단말기의 사이즈 때문에 안테나 길이가 제약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안테나의 송수신 감도가 저하되는데,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폴 타입(pole type) 안테나가 설치된 경우, 외부로 안테나가 노출되기 때문에 호주머니에 단말기를 넣거나 꺼낼 때, 돌출된 안테나가 호주머니에 걸려 넣거나 꺼낼 때 불편함을 겪게 되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이 경우는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걸이수단 내부에 플렉시블 타입의 안테나(4)가 내장되는 구성은 동일하나, 별도의 송수화기인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앞서 기술한 제 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가 지니는 효과와 더불어, 이어폰 착용시 목에 걸린 단말기를 늘어뜨린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 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송수화기인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에 구비된 전기접속단자(3e)인 잭을 접속단자소켓(1g)인 잭홀로부터 뽑아 이어폰을 단말기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단말기 본체(1)를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통화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c는 본 발명 제 7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 본체에는 수화기인 스피커를 두지 않는 대신, 스피커(1f)가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의 유니트화한 점에서 전술한 각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와 차별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 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어폰(3)의 지선(3b)상에 구비된 마이크(3d)로 통화를 하거나,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착탈식 스피커 유니트(9)를 단말기 본체(1)에 결합시킨 후에 단말기를 직접 파지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제 7 실시예는,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주로 휴대폰을 목에 건 상태에서,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고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을 이용하여 통화할 경우가 많아, 단말기 본체(1)를 구성하는 부품중 비교적 중량이 큰 스피커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시므로써 단말기 본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그 대신, 본 발명 제 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의 고장이나 분실시, 단말기에 수화기인 스피커가 없어 상대방의 음성을 들 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의 유니트화한 착탈식 스피커(6)로써 상기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 방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폭을 넓혀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 제 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이다.
본 발명 제 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앞서 기술한 본 발명 제 5,6,7 실시예와는 다르게 이어폰(3)은 걸이수단(2)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하는 대신, 안테나는 기존 구조의 안테나(4a)가 단말기 본체(1)에 별도로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 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이어폰이 걸이수단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인해, 별도로 이어폰을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마이크가 없는 이어폰(3) 대신 이어폰의 지선상에 마이크가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 9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이다.
본 발명 제 9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단말기 본체(1) 전면에 구비된 스피커(1f) 외에, 걸이수단(2)에 내장되어 단말기 본체(1)와 연결되는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이 구비되도록 함과 더불어 플렉시블 안테나(4)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의 메인 와이어(3a)는 상기 걸이수단(2)에 내장되고, 이어폰의 지선(3b)은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걸이수단(2)에 메인 와이어(3a)가 내장되고, 상기 메인 와이어(3a)와 연결된 지선(3b)이 상기 걸이수단(2)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지선(3b)의 종단에는 스피커(3c)가 장착된다.
이 경우 역시, 상기한 안테나 길이 연장에 의한 송수신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통화 방식의 선택 폭을 넓혀 줄 수 있으며, 장시간 통화하는 사용자의 경우 손의 피로를 덜어주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목걸이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본 발명 제 10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걸이수단(2)에 안테나(4) 뿐만 아니라 2개의 스피커(3c)와 하나의 마이크(3d)를 갖는 이어폰(3)을 내장한 것이다.
즉, 송수신시 양쪽 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수단(2)의 양측에 지선(3b)을 2개 구비하고 각 지선(3b)의 끝단에 각각 스피커(3c)를 설치하였으며, 하나의 지선(3b)에 마이크(3d)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단말기에 FM 라디오를 내장할 경우 FM 라디오 방송 수신시 스테레오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의 목걸이형 단말기의 경우,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하므로써 전자파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상기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의 목걸이형 단말기의 경우, 걸이수단에 설치되는 송수화기에 SEND/END 또는 녹 음 등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버튼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마이크(3d) 부분에 녹음용 버튼을 설치하여 녹음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만 녹음이 되도록 하거나, 스피커(3c) 부분에 SEND/END 기능 버튼을 설치하여 SEND/END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FM 라디오가 내장되는 경우 라디오/전화모드 선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설치하여 선택된 모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에서 걸이수단을 단말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고정수단이 나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고정수단이 스냅피팅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이 나사식인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의 상단에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리셉터클부(receptacle portion)(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의 끝단에 상기 리셉터클부(14)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부(14)에는 단말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핀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13)에는 인서트 핀(130)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은 플러그부(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돌려 리셉터 클부(14)에 플러그부(13)가 체결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러그부(13)에 구비된 인서트 핀(130)이 단말기 내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고정수단이 스냅피팅식인 경우에 대해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기 본체(1)의 상단에는 외벽의 축방향을 따라 ㄴ자형의 체결홈(141)이 형성된 리셉터클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의 끝단에는 상기 리셉터클부(14)의 체결홈(141)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31)가 형성된 플러그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ㄴ자형의 체결홈(141) 끝단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리셉터클부(14)에 플러그부(13)를 결합시, 상기 플러그부(13)의 결합돌기(131)가 리셉터클부(14)의 체결홈(141) 끝단으로 이동시 상기 돌출부를 지남에 따라 플러그부(13)가 리셉터클부(14)에 스냅피팅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러그부(13)를 파지하여 상호 형합하도록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14)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부를 돌려 상기 플러그부(13)의 결합돌기(131)가 리셉터클부(14)의 체결홈(141) 끝단으로 이동하도록 하므로써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 스냅피팅시키며, 이에 따라 플러그부(13)에 구비된 인서트 핀(130)이 핀 삽입홈(140)에 삽입되므로써 단말기 내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에 있어서는, 단말기의 상단에 외벽상에 후크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 단(2)의 끝단에 상기 리셉터클부(14)의 후크홈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후크홈 내측의 걸림턱(141)에 걸려 록킹되는 후크편(131)이 형성된 플러그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편(131)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잠금 해제시 상기 후크편(131)이 후크홈의 걸림턱(141)을 벗어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은 플러그부(13)를 리셉터클부(14)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플러그부의 후크편(131)이 리셉터클부의 후크홈에 구비된 걸림턱(141)에 걸려 고정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부(13)에 구비된 인서트 핀(130)이 핀 삽입홈(140)내에 삽입되므로써 단말 단말기 내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 제 11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안테나(4)가 걸이수단(2)에 내장되어 있으면서도 그 접속부는 단말기 본체(1)에 대해 착탈가능한 분리형으로 된 경우이다.
즉, 본 발명 제 11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단말기 본체(1)를 목에 걸었을 때, 실질적으로 단말기의 무게를 감당하게 되는 걸이수단(2) 외부로 안테나(4)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노출된 안테나(4) 하단부에는 전기접속단자(4b)인 잭이 구비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단말기 상면에 접속단자소켓(1h)인 잭홀이 구비되도록 하므로써, 안테나(4)를 단말기 본체(1)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걸이수단(2) 외부로 노출되는 안테나 하단부의 길이는, 전기접속단자(4b)인 잭을 단말기 본체(1)의 잭홀에 꽂았을 때 안테나에 대해 아무런 장력 이 인가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소켓(1h)은 걸이수단(2)과 단말기 본체(1)와의 결합부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플렉시블 안테나(4)의 걸이수단 외측으로 노출된 안테나선과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 제 12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본 발명 제 12 실시예는 걸이수단(2)에 안테나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4)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의 접속부가 모두 단말기 본체(1)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걸이수단(2) 외부로 노출된 안테나의 하단부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의 하단부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단말기와의 접속시 힘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화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1)를 파지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목에 걸었을 때, 상기 안테나(4)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에 전혀 단말기 본체(1)의 무게가 실리지 않아 안테나 및 마이크 장착형 이이폰과 단말기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제 13 실시예의 목걸이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걸이수단에 내장된 안테나(4)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이 단말기 본체(1)에 대해 분리가능한 타입이면서 이어폰이 스테레오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전술한 본 발명 제 1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화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1)를 파지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고, 단말기를 목에 걸었을 때 상기 안테나(4) 및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에 전혀 단말기의 무게가 실리 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FM 라디오를 내장된 경우 FM 라디오 방송 수신시 스테레오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소켓(1g)(1h)이 걸이수단(2)과 단말기 본체(1)와의 결합부 직 후방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전방에서 볼 때 송수화기인 이어폰(3)의 메인와이어(3a)가 걸이수단(2)에 가려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접속부가 분리형으로 된 다른 실시예에서도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 1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 제 14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송수화기 부착수단(5a)으로 지선(3b)과 걸이수단(2)의 상호 대향면에 벨크로(velcro)(도면상 500a 및 500b로 구성됨)를 부가하여, 지선(3b)과 걸이수단(2)을 서로 밀착시킴에 따라 벨크로의 상호 부착력에 의해 지선(3b)이 걸이수단(2)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 제 1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 제 15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송수화기 부착수단(7a)으로 지선(3b) 또는 걸이수단(2)중 어느 하나에 영구자석(700a)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의 인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700b)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걸이수단(2)과 지선(3b)에 공통적으로 영구자석을 설치하되, 상호 반 대 극성을 이루도록 하여 이들을 근접시켰을 때 상호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 내지 제 15 실시예의 목걸이형 단말기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인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3)에 SEND/END 또는 녹음 등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버튼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마이크(3d) 부분에 녹음용 버튼(6a)을 설치하여 녹음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만 녹음이 되도록 하거나, 스피커(3c) 부분에 SEND/END 기능 버튼(6b)을 설치하여 SEND/END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FM 라디오가 내장되는 경우 라디오/전화모드 선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설치하여 선택된 모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 제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로서, 본 발명 제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이어폰의 스피커(3c)를 부착시킬 수 있는 수용체(5b)를 걸이수단(2)에 설치한 것이다. 즉, 수용체(5b)를 상기 이어폰 스피커(3c)의 모양을 갖는 연질의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이어폰 스피커(3c)가 수용체(5b)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1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어, 상기 걸이수단(2)을 단말기 본체(1)에 고정시키게 되는 고정수단의 각 실시예를 도 16a 내지 16g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a는 고정수단이 나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b는 고정수단이 스냅피팅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c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 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d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이며, 도 16e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16f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16g는 고정수단이 고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6a의 고정 수단은 나사식으로 걸이수단(2)과 단말기 본체(1)를 고정한 것이다.
즉, 단말기 본체(1)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리셉터클부(receptacle portion)(14)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의 끝단에는 상기 리셉터클부(14)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부(13)가 구비된다.
또한, 도 16b의 고정수단은 스냅피팅식으로 걸이수단(2)과 단말기 본체(1)를 고정한 것이다.
즉, 단말기 본체(1)의 상단에는 외벽의 축방향을 따라 ㄴ자형의 체결홈(141)이 형성된 리셉터클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의 끝단에는 상기 리셉터클부(9)의 체결홈(141)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31)가 형성된 플러그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ㄴ자형의 체결홈(141) 끝단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리셉터클부(14)에 플러그부(13)를 결합시, 상기 플러그부(13)의 결합돌기(131)가 상기 돌출부를 지나 쳬결홈(141) 끝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체결홈(141) 끝단에 스냅피팅된다.
한편, 도 16c의 고정수단은 후크식으로 걸이수단(2)과 단말기 본체(1)를 고정한 것이다.
즉, 단말기 본체(1)의 상단에는 외벽상에 후크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2)의 끝단에는 상기 리셉터클부(14)의 후크홈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후크홈 내측의 걸림턱(141)에 걸려 록킹되는 후크편(131)이 형성된 후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편(131)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잠금 해제시 상기 후크편(131)이 후크홈의 걸림턱(141)을 벗어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16d는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단말기의 상단에는 외벽상에 후크홈(100a)이 형성된 리셉터클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끝단에는 상기 리셉터클부(14)의 후크홈(100a)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후크홈(100a) 내측의 양단의 걸림턱에 걸려 록킹되는 후크(200a)가 구비된다.
이 경우, 해제시에는 후크(200a)의 양측면을 안쪽으로 눌러 후크편이 후크홈(100a) 내에 형성된 양측 걸림턱을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후크를 위로 빼내면 된다.
도 16e의 고정 수단은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걸이수단(2)의 양단에 구비된 ㄷ자형의 후크(200b)와, 단말기 본체(1) 상에 설치되며 후크가 삽입되었을 때 후크 양측의 후크편(210)이 걸리도록 걸림홈(110)을 가지는 리셉터클(100b)로 구성되며, 이 때 리셉터클(100b)이 단말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경우이다.
한편, 상기한 경우와 반대로 걸이수단에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단말기에 후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후크(200b)는 전술한 고정수단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리셉터클에 끼우거나 빼낼 때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변형이 허용되는 재질로 되며, 후크(200b)의 가운데 부분에는 리셉터클(100b)과의 착탈 동작시 동작의 정확선을 기하기 위해 중앙에 가이드(211)가 추가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6f의 고정 수단은 고정수단이 후크식인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걸이수단(2)의 양종단에 구비된 후크 하우징(230)에 회동가능하게 탄력설치되는 탄력돌기(200c)와, 상기 탄력돌기(200c)가 록킹되도록 단말기 본체(1) 상에 형성된 후크홈(100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력돌기(200c)는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20)에 의해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어, 후크홈(100c)내로 삽입시 후크홈 상단부의 걸림턱(200f)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탄력돌기(200c) 상단부의 조작놉(200d)을 누를 경우 걸림턱(200f)을 벗어나게 된다.
도 16g는 고정수단이 고리식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경우에는 걸이수단(2)의 양종단에 조작놉(23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측이 개방되는 루프(200e)가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1) 상에는 루프에 끼워지는 걸이부(100e)가 구비된다.
이 경우 역시, 전술한 바와 반대로 단말기에 루프를 설치하고, 걸이수단에 걸이부를 두어도 됨은 물론이다.
한편, 걸이수단을 단말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실시예로서는 상기한 실시예 외에 리벳팅, 용접등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며,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능적 훼손없이 여러 가지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발명 제 1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 17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걸이수단(2)을 2부분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하고 각 부분을 후크 등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분할된 걸이수단(2)의 일측에 후크(250)가 구비되도록 하고, 걸이수단의 타측에는 걸림턱(260)을 갖는 후크홈이 구비되도록 하여 걸이수단의 일정 부위에서 걸이수단의 분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걸이수단(2)의 일부분이 마모등에 의해 손상된 경우 손상된 부위만을 새것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가미된 형태이다.
도 18은 본 발명 제 1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사시도이다.
본 발명 제 18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는 걸이수단(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걸이수단(2)을 2개로 분리하여 한쪽의 끝에는 걸림돌기(270)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양쪽 결합시 상기 걸림돌기가 형합되는 걸림홈(290)을 다수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작놉(271)을 눌러 걸림돌기(270)가 힌지축(28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홈(290)을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걸림돌기(270)가 걸림홈(290)의 원하는 홈부위에 걸리도록 하면, 걸이수단(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제 11 내지 16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모두 걸이수단과 상기 걸이수단에 내장된 이어폰 또는 안테나가 분리된 2중 구조이므로, 걸이수단과 안테나 또는 걸이수단과 이어폰의 지선(3b)이 나뉘어 지는 분기지점에 각각 코킹부재(15)를 설치하여 걸이수단이 갈라짐을 방지하는 한편, 안테나 또는 이어폰의 전선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코킹부재(15)가 없을 경우, 안테나(4) 또는 이어폰(3)의 선이 이동하게 되어 걸이수단 외부로 인출된 안테나 또는 이어폰의 노출부위의 길이가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테나 또는 이어폰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유동할 경우, 걸이수단의 전선 인출부위가 확장 또는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제 11 내지 16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4)의 상기 걸이수단(2)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만나는 지점 및, 이어폰(3)의 상기 걸이수단(2)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코킹부재(15)를 설치하므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미니 카셋트 플레이어나 CD플레이어, MP플레이어등 각종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이수단 내에 내장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송수화수단의 예를 송화기인 마이크가 분리된 마이크 분리형 또는 송화기인 마이크가 일체로 장착된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어폰이 아닌 마이크 분리형 또는 마이크 장착형 헤드폰등의 송화기 및 수화기를 갖춘 송수화기기의 경우는 모두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장치가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에 적용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7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는 종래의 전자기기와는 달리 기기 본체를 주머니에 넣거나 손에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중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이 구비된 경우에는 기기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향의 청취 및 송신이 가능하므로 장시간 청취시 매우 편리하며, 특히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는 통화시 매우 편리하다.
즉,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장시간 통화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단말기를 귀에 대고 통화하지 않아도 되므로 팔의 피로를 덜 수 있으며, 단말기와의 밀착에 의해 귀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여 장시간 통화후에 귀에 초래되는 통증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 장착형 이어폰이 구비된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단 걸이수단에 설치된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부에 설치된 단말기 사용시 보다 전자파 노출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피커를 착탈식으로 구성할 경우, 전자기기 본체에 스피커를 내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자기기의 무게 및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목걸이 장치가 제 1 실시예 내지 제 17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경우에는 단말기를 목에 건 상태로 사용하므로써 이어폰 및 마이크의 코드를 구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송수신 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 안테나가 걸이수단에 내장된 경우에는, 안테나가 길이의 제한을 거의 받지 않게 되므로 전자기기에 있어, 음향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안테나가 플렉시블 타입이어서 주머니등에 구겨 넣어 안테나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휴대 및 보관시 편리하다.
여섯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눈으로 내려다 볼 수 있도록 경사진 면에 설치되므로 단말기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표시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실시예중 걸이수단이 상향되도록 한 상태에서 단말기 전면에서 바라 볼 때 키 패드의 숫자 또는 문자가 거꾸로 보이도록 된 경우에는, 전화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고개를 숙여 볼 때 숫자 또는 문자가 바르게 보이므로 목에 건 상태에서 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실시예중 스테레오 타입의 이어폰이 구비된 경우에 있어서는, 전자기기에 FM 라디오가 내장된 경우 스테레오 방식으로 FM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본체를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수단;
    일부가 상기 걸이수단에 내장되는 메인 와이어와,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선과, 상기 지선 상에 장착되는 수화기 및 송화기를 갖는 송수화수단;
    상기 걸이수단의 양측 끝단에 돌출 형성된 인서트 핀을 갖는 플러그부와; 그리고,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 핀과 대응되는 핀 삽입홈을 갖는 리셉터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는 상기 걸이수단을 상기 기기본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송수화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4. 삭제
  5.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본체를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수단;
    일부가 상기 걸이수단에 내장되는 메인 와이어와,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걸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선과, 상기 지선 상에 장착되는 수화기 및 송화기를 갖는 송수화수단;
    상기 걸이수단을 상기 기기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그리고,
    상기 지선이 상기 걸이수단의 외측면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걸이수단 및 지선상에 각각 구비되어 밀착시 결합력을 갖는 벨크로(velcro)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걸이수단 및 지선상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인력을 가지게 되는 영구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8.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에 상기 수화기를 피팅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수화기 수용체(receiver)를 더 포함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이수단의 내부에 내장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1.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와이어 및 지선의 길이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선과 걸이수단의 연결지점에 구비되는 코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와 상기 플러그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와 상기 플러그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편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와 상기 플러그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길이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걸이수단으로 돌출된 부위에 구비되는 코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하부는 상기 걸이수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의 하단부는 상기 기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걸이수단의 양측 끝단에 설치되는 탄력돌기와 상기 탄력돌기에 대응되며 상기 기기본체에 구비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걸이수단의 양측 끝단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루프와 상기 루프와 대응되며 상기 기기본체에 구비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1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두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음향발생형 전자기기.
KR1019990060410A 1999-12-22 1999-12-22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KR10065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10A KR100652031B1 (ko) 1999-12-22 1999-12-22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10A KR100652031B1 (ko) 1999-12-22 1999-12-22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348A KR20010063348A (ko) 2001-07-09
KR100652031B1 true KR100652031B1 (ko) 2006-11-30

Family

ID=196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410A KR100652031B1 (ko) 1999-12-22 1999-12-22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07B1 (ko) * 2002-09-19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60A (ko) * 1994-08-23 1996-03-22 손을 쓸 필요가 없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KR19990033831A (ko) * 1997-10-27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KR19990033831U (ko) * 1999-05-31 1999-08-16 한경우 휴대폰용목걸이이어폰
KR19990078773A (ko) * 1999-08-05 1999-11-05 이규상 이어폰내장형 목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60A (ko) * 1994-08-23 1996-03-22 손을 쓸 필요가 없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KR19990033831A (ko) * 1997-10-27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KR19990033831U (ko) * 1999-05-31 1999-08-16 한경우 휴대폰용목걸이이어폰
KR19990078773A (ko) * 1999-08-05 1999-11-05 이규상 이어폰내장형 목걸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09460
1019990078773
20199900338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348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06B1 (ko)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US6795718B2 (en)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EP1211872A1 (en) A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6760459B2 (en) Method for securing a headset
US8005252B2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US20100022281A1 (en) Wireless phone headset
US20020181728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EP1223682A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a mobile radio station
CN114095822A (zh) 挂耳式耳机
KR200411968Y1 (ko)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KR100373974B1 (ko) 이어폰 세트
KR200315210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10161Y1 (ko) 이어폰 세트
JP3098360U (ja) 携帯電話用ハンズフリーストラップ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JP4576920B2 (ja) コードレスイヤホン及びコード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装置
JP3048283U (ja) 携帯通受信装置用の付帯用具
KR100606693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JPH11289370A (ja) 電話装置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30330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이어폰 고정홀더
JP3075767U (ja) 携帯電話用イヤホーン
JP3029608U (ja) 移動体電話用イヤホンマイク
KR200175326Y1 (ko) 헤어밴드 겸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