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07B1 -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07B1
KR100878807B1 KR1020020057384A KR20020057384A KR100878807B1 KR 100878807 B1 KR100878807 B1 KR 100878807B1 KR 1020020057384 A KR1020020057384 A KR 1020020057384A KR 20020057384 A KR20020057384 A KR 20020057384A KR 100878807 B1 KR100878807 B1 KR 10087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ixing knob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detacha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421A (ko
Inventor
오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장식용 목걸이를 단말기 본체에 장착 및 탈착하여 단말기의 외형을 남과 다르게 자신의 개성에 맞게 표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착탈편, 끼움공, 끼움돌기, 체결홈, 고정노브, 장착부

Description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portable device of mobile phone}
도 1 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와 목걸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단말기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 3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환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 본체 20 : 장착부 30 : 착탈편 40 : 고정노브 50 : 줄
본 발명은 단말기의 휴대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장신구로서 사용이 가능하여 남들과는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신세대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모든 통화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전화선이 연결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사용되는 장점이 있어 근래 들어 폭발적인 사용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상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므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말기 본체(1)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공(2)으로 목걸이 줄(3)을 걸어 사용한다.
상기 목걸이 줄(3)의 길이가 긴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줄(3)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줄(3)의 길이가 짧은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줄을 손목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줄(3)은 단지 단말기를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단말기 휴대에는 적합하나, 단순히 단말기 휴대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남들과는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신세대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단말기의 휴대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장신구로서 사용이 가능하여 남들과는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신세대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정 길이의 줄과; 외주연부의 상단 및 하단에 환상형의 상단차부 및 하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차부 및 하단차부 사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요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줄의 양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노브와; 상기 고정 노브가 결합된 줄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줄의 양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부와 탈착을 위한 끼움 돌기가 구비된 착탈편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부에 상기 고정 노브의 요환부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끼움공 및 상기 착탈편의 끼움 돌기와 결합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공 및 끼움홈을 통해 상기 고정 노브가 결합된 착탈편을 상기 본체의 좌우측부에 탈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를 첨부되는 도 2, 3,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단말기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 3,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길이의 줄(50)과, 상기 줄(50)의 양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노브(40)와, 상기 고정노브(40)가 결합된상태에서 줄(50)의 양단이 결합되며 단말기의 본체(10)에 탈착되는 착탈편(30)과, 상기 착탈편(30)이 안착되도록 단말기의 본체(10)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는 장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노브(40)는 외주연부에 환상형의 상단차부(40a) 및 하단차부(40c)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요환부(40b)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편(30)은 상단부에 고정 노브(40)의 상단차부(40a)보다 적은 직경으로 된 걸림공(31)을 형성하고, 그 선단에 체결용 끼움돌기(32a)와 하단에 체결용 끼움 돌기(32b)를 돌설한다.
또한, 착탈편(30)은 단말기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 재질 로 형성하며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을 채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20)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의 착탈편(30)이 단말기 본체(1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단말기 본체(10)의 상단 양측부에 평면(20a)과 그에 연이어서 양측면이 볼록면(20b)으로 형성된 홈형태로 형성하되, 평면(20a)의 중심에는 고정 노브(40)의 요환부(40b)가 삽입되는 절개구(23)에 연이어 상단차부(40a)의 직경보다 적은 직경으로 된 끼움공(21)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하단차부(40c)가 삽입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20a)의 상단과 볼록면(20b)의 하단에는 착탈편(30)의 끼움돌기(32a),(32b)가 결합되는 끼움홈(25a),(25b)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노브(40)는 열가역성 수지재질로 줄(50)의 양단을 착탈편의 걸림공(31)에 일정길이 삽입한 후, 삽입된 줄(50)의 양단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금형으로 사출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노브(40)는 줄(50)의 양단에 융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 2, 3,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줄(50)의 양단을 착탈편(30)의 걸림공(31)에 일정길이 삽입한 후, 삽입된 줄(50)의 양단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노브(40)을 금형(미도시)으로 사출형성한다.
따라서 줄(50)의 양단에 고정노브(40)가 융착되며, 줄(50)과 착탈편(30)은 고정노브(40)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노브(40)를 평면(20a)의 삽입공(22)으로 삽입 설치하는데, 고정 노브(40)의 하단차부(40c)는 단말기 본체의 삽입공(22)으로 삽입시키고 요환부(40b)는 절개구(23)로 삽입시켜 고정노브(40)가 끼움공(21)에 고정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착탈편(30)을 단말기 본체(10)의 좌우측에 형성한 장착부(20)에 장착한다.
즉, 착탈편(30)의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32a,b)를 평면(20a)의 상단과 볼록면(20b)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25a,b)에 끼워넣으므로써, 착탈편(30)을 단말기 본체(1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줄(50)을 잡아당기면 고정 노브(40)의 상단차부(40a)가 착탈편(30)의 걸림공(31)의 내측면에 걸리고 하단차부(40c)가 끼움공(21)의 하측면에 걸려져 줄(50)에 작용되는 외력이 단말기 본체(10)에 작용되며, 그 외력이 착탈편(30)에 작용됨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10)에서 착탈편(30)이 이탈됨이 방지된다
이후, 단말기 본체(10)의 장착부(20)에 결합된 착탈편(30)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술한 결합방법의 반대로, 먼저 착탈편(30)을 단말기 본체(10)의 장착부(20)에서 분리한 후, 고정노브(40)를 끼움공(21)에서 탈거하므로써, 상기 착탈편(30)과 고정노브(40) 및 줄(50)을 단말기 본체(10)에서 완전 분리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착탈편(30)이 단말기 본체(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고, 단말기 본체에 장,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단말기 사용자가 각기 다른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를 구비한 경 우 원하는 형태 및 색상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치장하는 탈착편을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것을 간단히 장착 및 탈착하므로써, 단말기의 외형을 남들과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에 충족시킬 수 있는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 길이의 줄;
    외주연부의 상단 및 하단에 환상형의 상단차부 및 하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차부 및 하단차부 사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요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줄의 양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노브;
    상기 고정 노브가 결합된 줄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줄의 양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부와 탈착을 위한 끼움 돌기가 구비된 착탈편;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부에 상기 고정 노브의 요환부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끼움공 및 상기 착탈편의 끼움 돌기와 결합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공 및 끼움홈을 통해 상기 고정 노브가 결합된 착탈편을 상기 본체의 좌우측부에 탈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편은 상단부에 상기 고정 노브의 상단차부보다 적은 직경으로 된 걸림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단말기 본체의 상단 양측부에 평면 및 상기 평면과 연이어서 양측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홈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평면의 중심에는 상기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 하측에는 상기 고정 노브의 하단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의 상단과 상기 볼록면의 하단에는 상기 착탈편의 끼움돌기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브는 열가역성 수지재질로 줄의 양단을 착탈편의 걸림공에 일정길이 삽입한 후, 삽입된 줄의 양단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금형으로 사출형성하여 상기 줄의 양단에 융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편은 단말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며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이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목걸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20057384A 2002-09-19 2002-09-19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384A KR100878807B1 (ko) 2002-09-19 2002-09-19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384A KR100878807B1 (ko) 2002-09-19 2002-09-19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421A KR20040025421A (ko) 2004-03-24
KR100878807B1 true KR100878807B1 (ko) 2009-01-14

Family

ID=3732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384A KR100878807B1 (ko) 2002-09-19 2002-09-19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348A (ko) * 1999-12-22 2001-07-09 서평원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의 목걸이장치
KR20010097400A (ko) * 2000-04-22 2001-11-08 서평원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JP2002009919A (ja) * 2000-06-16 2002-01-11 Hideo Maeda 身体装着品
KR20020032207A (ko) * 2000-10-26 2002-05-03 윤종용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20035307A (ko) * 2000-11-06 2002-05-11 라호주 휴대폰 걸이용 목걸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348A (ko) * 1999-12-22 2001-07-09 서평원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의 목걸이장치
KR20010097400A (ko) * 2000-04-22 2001-11-08 서평원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JP2002009919A (ja) * 2000-06-16 2002-01-11 Hideo Maeda 身体装着品
KR20020032207A (ko) * 2000-10-26 2002-05-03 윤종용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20035307A (ko) * 2000-11-06 2002-05-11 라호주 휴대폰 걸이용 목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421A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807B1 (ko)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4335Y1 (ko) 휴대폰 장신구
JP3061774U (ja) 携帯電話機型キ―ホルダ―
KR200304455Y1 (ko) 핸드폰의 의류부착구조
KR200437709Y1 (ko) 렌즈와 몰드가 일체로 성형된 악세사리
JP3111015U (ja) 携帯ストラップ
KR200407502Y1 (ko)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JP3082226U (ja) リンク部材
KR2002545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구
KR200289388Y1 (ko)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KR200334360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JP3010531B1 (ja) ワンタッチ紐孔カバ―及び紐孔カバ―。
ITTO960969A1 (it) Impugnatura a laccio
JP3087783U (ja) 携帯電話機用アクセサリー具
KR200212062Y1 (ko) 장탈착형 넥타이
KR200237406Y1 (ko) 물안경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KR200234565Y1 (ko) 장식구 분리형 액세서리 구조
KR20024502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세트
KR19990022090U (ko) 탈착이가능한휴대폰목걸이
KR200210212Y1 (ko) 휴대기기 및 장신구용 줄
KR200343977Y1 (ko) 체인상의 금속줄을 이용한 핸드폰 손잡이 줄
JP2004243076A (ja) 着脱自在の装飾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