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502Y1 -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502Y1
KR200407502Y1 KR2020050031275U KR20050031275U KR200407502Y1 KR 200407502 Y1 KR200407502 Y1 KR 200407502Y1 KR 2020050031275 U KR2020050031275 U KR 2020050031275U KR 20050031275 U KR20050031275 U KR 20050031275U KR 200407502 Y1 KR200407502 Y1 KR 200407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corative body
body portion
presen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주현
Original Assignee
안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주현 filed Critical 안주현
Priority to KR2020050031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 줄을 단말기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망하는 장식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단말기에 단말기 줄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소망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장식몸체부와, 상기 장식몸체부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개소에 형성된 착탈공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끼움편와, 상기 장식몸체부로부터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의 걸림공에 탄착되는 걸림편과, 상기 장식몸체부의 외표면에 통상의 단말기 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을 갖는 1개 이상의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핸드폰, 게임폰, DMB폰

Description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A connecting accessory for terminal str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다른 형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32: 장식몸체부
34: 끼움편
36: 걸림편
38: 고리
38a: 연결공
본 고안은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줄을 단말기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망하는 장식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휴대폰), 게임폰, DMB폰이라 불리는 통신용 단말기는 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줄의 형태를 바꾸려면 일일히 고리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풀고 다시 끼워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때 단말기 고리 부분도 대부분 동일 유사한 구조로서 악세사리 효과를 얻기는 힘들다.
현대와 같이 개인의 개성이 강한 시대에서는 같은 단말기라도 좀더 차이나는 스타일과 장식 욕구를 가질수 밖에 없다. 따라서 어떤 매니아의 경우 단말기를 부분적으로 개조하여 여러가지 특징이 나타나도록 노력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단말기 줄을 단말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하여 교체가 용이 간단하고, 더불어 착탈가능하게 하는 수단의 몸체에 다양한 장식형태를 갖게 하여 사용자의 개성에 맞는 줄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단말기에 단말기 줄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소망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장식몸체부와, 상기 장식몸체부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개소에 형성된 착탈공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끼움편와, 상기 장식몸체부로부터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의 걸림공에 탄착되는 걸림편과, 상기 장식몸체부의 외표면에 통상의 단말기 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을 갖는 1개 이상의 고리가 구비되어서 달성된다.
상기의 수단에 따르면, 단말기 줄이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라는 매개를 통하여 단말기에 쉽게 착탈가능하므로 교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형태나 모양 및 칼라가 다른 다양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임의대로 교체할 수 있어 단말기의 장식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다른 형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서와 같이 단말기(10)에 단말기 줄(100)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신구(30)를 제공한다.
상기 장신구(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사출 제작된다.
상기 장신구(30)는 소망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장식몸체부(32)와, 상기 장식 몸체부(32)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단말기(10)의 일개소에 형성된 착탈공(1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끼움편(34)과, 상기 장식몸체부(34)로부터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10)의 걸림공(12)에 탄착되는 걸림편(36)과, 상기 장식몸체부(32)의 외표면에 통상의 단말기 줄(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38a)을 갖는 1개 이상의 고리(3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식몸체부(32)는 본 실시예에서 단순한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형태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동물 캐릭터나 인형, 식물 그 밖의 다양한 물건을 본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물론 장식몸체부(32)는 크기나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편(36)이 단말기(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공(12)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단말기(10)의 이러한 구조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걸림편(26)은 장식몸체부(32) 자체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어, 장식몸체부(32)의 탄력적 움직임으로 단말기(10)의 걸림공(12)에 끼움 및 이탈 가능하게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0)의 착탈공(11)과 걸림공(12)을 상부 측면 모서리에 구성하였으나 상부 배면 모서리 등의 다양한 위치에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30)는 도 1과 같이 분리상태에서 단말기(10)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30)의 몸체부(32)를 잡고 착탈공(11)에 끼움시 키면, 도 2와 같이 끼움편(34)이 착탈공(11)의 내부로 삽입되고 걸림편(36)이 걸림공(12)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걸림편(36)이 걸림공(12)에서 강제적으로 이탈하지 않는 한 단말기 줄(100)은 장신구(30)를 매개로 단말기(10)에 연결된다.
이같이 단말기 줄(100)은 장신구(30)를 매개로 단말기(10)에 연결되므로서, 장신구(30)의 착탈에 따른 단말기 줄(100)의 교체가 간단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여러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모양을 갖는 장신구(30)를 소유하게 되면, 자기 개성과 취향 또는 기분에 맞는 것을 수시로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에 따르면, 단말기 줄이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라는 매개를 통하여 단말기에 쉽게 착탈가능하므로 교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의 형태나 모양 및 칼라가 다른 다양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개성에 맞게 임의대로 교체할 수 있어 단말기의 장식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Claims (3)

  1. 단말기(10)에 단말기 줄(20)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신구(30)에 있어서,
    소망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장식몸체부(32)와, 상기 장식몸체부(32)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단말기(10)의 일개소에 형성된 착탈공(1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끼움편(34)와, 상기 장식몸체부(34)로부터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10)의 걸림공(12)에 탄착되는 걸림편(36)과, 상기 장식몸체부(32)의 외표면에 통상의 단말기 줄(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38a)을 갖는 1개 이상의 고리(3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몸체부(32)는 동·식물 캐릭터 또는 인형의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태일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30)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KR2020050031275U 2005-11-04 2005-11-04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KR200407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75U KR200407502Y1 (ko) 2005-11-04 2005-11-04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75U KR200407502Y1 (ko) 2005-11-04 2005-11-04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502Y1 true KR200407502Y1 (ko) 2006-01-31

Family

ID=4929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75U KR200407502Y1 (ko) 2005-11-04 2005-11-04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5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4419A1 (en) Sports cap
US8671595B2 (en) Ornamentation for a footwear upper
KR200407502Y1 (ko)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US20080099035A1 (en) Hair accessory
KR200304455Y1 (ko) 핸드폰의 의류부착구조
KR200192228Y1 (ko) 반지 완구
KR200374335Y1 (ko) 휴대폰 장신구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KR200431311Y1 (ko) 장식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신발
KR200201501Y1 (ko) 장식구가 구비되는 모자
CN213188445U (zh) 一种榫卯连接式的黄金吊坠饰品
KR200416179Y1 (ko) 장신구용 가변 조립형 인물 캐릭터
KR200201897Y1 (ko) 목걸이 열쇠고리
JP2006175063A (ja) 装飾部材を緩嵌合可能とされる装飾具及び装飾具用装飾部材
JP3148372U (ja) 靴飾り保持プレート
KR100878807B1 (ko) 장식용 목걸이 어셈불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5052Y1 (ko)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200182014Y1 (ko) 착탈식 넥타이
JP3059596U (ja) 靴ひも通し穴用の化粧アタッチメント
JP3183197U (ja) デコレーション鼻緒
KR200257727Y1 (ko) 완구인형
KR200361988Y1 (ko) 이니셜 표현이 가능한 액세서리
KR101250072B1 (ko) 악세사리 체결장치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KR200289388Y1 (ko)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