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014Y1 - 착탈식 넥타이 - Google Patents

착탈식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014Y1
KR200182014Y1 KR2019990026903U KR19990026903U KR200182014Y1 KR 200182014 Y1 KR200182014 Y1 KR 200182014Y1 KR 2019990026903 U KR2019990026903 U KR 2019990026903U KR 19990026903 U KR19990026903 U KR 19990026903U KR 200182014 Y1 KR200182014 Y1 KR 200182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attachment
pin
knot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철 filed Critical 신호철
Priority to KR2019990026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 A41D25/12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attachable to the collar or stu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를 착용시 매듭을 만들지 않고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착탈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매듭부가 형성된 넥타이의 매듭부(2) 양측에 탄성재로된 부착구를 설치하여 이에 요함부내에 장식물을 삽입부착한 장식구를 결합하되, 부착구의 후측 전면부와 장식구의 후측면에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착용시마다 매듭을 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결합수단인 장식구의 장식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식 넥타이{A detachable 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를 착용시 매듭을 만들지 않고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착탈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츠의 깃에 넥타이의 부착구를 결합시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보석등의 장식물이 구비된 장식구를 셔츠깃의 외측면에서 부착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넥타이를 보다 손쉽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장식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착탈식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넥타이는 주로 성인이 사용하는 필수적인 의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 전면에 각종 무늬를 배하여 매듭을 지어 착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넥타이에 형성된 무늬는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기 쉬우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넥타이핀 등의 넥타이용 장식구가 고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넥타이핀 등과 같은 장식구는 사람이나 물건과 접촉이 많은 넥타이의 하측부위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분실의 우려가 크고, 조끼나 외투등을 입을시에는 이에 가려져 장식구의 본래 기능인 장식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번 착용시마다 풀어져 있는 넥타이를 다시 매듭을 지어 착용하여야 하므로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넥타이를 매듭이 지어진 상태로 형성하고, 그 매듭부의 양측에 부착구를 설치하여 셔츠깃과 부착구를 장식구로 결합되게 구성하므로서, 착용시마다 매듭을 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결합수단인 장식구의 장식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착탈식 넥타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리사시도, b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리사시도, b는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넥타이 2 : 매듭부
3 : 부착구 4 : 결합수단
5 : 장식구 5a : 장식물
5b : 함체 5c : 삽입공
6 : 압축편 7 : 핀
8 : 셔츠깃 9 : 나사부
10,10' : 벨크로테이프 11 : 원통체
12 : 판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상단에 매듭부(2)가 형성된 넥타이(1)의 매듭부(2) 양측에 탄성재로된 부착구(3)를 설치하여 이에 요함부내에 장식물(5a)을 삽입부착한 장식구(5)를 결합하되, 부착구(3)의 후측 전면부와 장식구(5)의 후측면에 결합수단(4)을 설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수단(4) 으로는 부착구(3)양측에 핀(7)을 부착하고, 장식구(5)의 함체(5b) 후측면에 탄성체의 압축편(6)을 대향 설치하여 그 압축편(6)사이에 핀(7)이 압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장식구(5) 함체(5b)의 중앙부에 나사부(9)가 형성된 삽입공(5c)을 형성하고, 부착구(3)에 설치된 핀(7)의 외주면에 나사부(9)를 형성하여 서로 나삽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부착구(3)의 전면부에 벨크로테이프(10)를 부착하고, 이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10')의 전면부에 핀(7)을 설치하여 장식구(5)의 함체(5b)에 형성된 결합수단(4)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부착구(3)의 선단부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양측벽에 판스프링(12)을 설치하여 다수의 원통체(11)를 내입하고, 장식구(5)의 함체(5b) 후측면에 핀(7)을 설치하여 원통체(11) 사이에 압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셔츠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 넥타이(1)를 착용시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와이셔츠의 셔츠깃(8) 사이에 부착구(3)를 삽입한 후 장식구(5)와 부착구(3)에 설치된 결합수단(4)를 사용하여 넥타이(1)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용한 넥타이는 셔츠깃(8)의 전면 양측에 장식구(5)가 부착되므로 장식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매번 착용시마다 매듭을 지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부착수단(4)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 도 1 내지 도 2의 도시와 같이 핀(7)과 압축편(6)을 구성한 경우에는, 부착구(3)에 설치된 핀(7)이 셔츠깃(8)을 관통하여 이를 장식구(5) 함체(5b)의 후측에 설치된 압축편(6) 사이에 압입되도록 하므로서 장식구(5)의 삽탈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도 3의 도시와 같이 장식구(5) 함체(5b)의 나사부(9)가 형성된 삽입공(5c)내에 외주면에 나사부(9)가 형성된 핀(7)을 나삽하므로서 장식구(5)와 부착구(3)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결합수단을 벨크로테이프(10)(10')로 구성한 경우에는 벨크로테이프(10)(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셔츠깃(8)내에 부착구(3)를 삽입하여 전기한 바와 같은 결합수단(4)으로 결합하는 것인데, 이는 장식구(5)가 셔츠깃(8)에 부착되어진 상태에서 부착구(3)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0)를 떼어 부착위치를 변경하므로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구성된 결합수단은 부착구(3) 내의 공간부에 판스프링(12)에 의해 탄설된 다수의 원통체(11) 사이에 장식구(5)의 핀(7)이 압입되는 구성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부착구(3)를 셔츠깃(8)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식구(5)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셔츠깃(8)의 전면 양측에 장식구(5)가 부착되므로 장식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매번 착용시마다 매듭을 지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넥타이를 매듭이 지어진 상태로 형성하고, 그 매듭부의 양측에 부착구를 설치하여 셔츠깃과 부착구를 장식구로 결합되게 구성하므로서, 착용시마다 매듭을 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결합수단인 장식구의 장식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단에 매듭부(2)가 형성된 넥타이(1)의 매듭부(2) 양측에 탄성재로된 부착구(3)를 설치하여 이에 요함부내에 장식물(5a)을 삽입부착한 장식구(5)를 결합하되, 부착구(3)의 후측 전면부와 장식구(5)의 후측면에 결합수단(4)을 설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넥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3)양측에 핀(7)을 부착하고, 장식구(5)의 함체(5b) 후측면에 탄성체의 압축편(6)을 대향 설치하여 그 압축편(6)사이에 핀(7)이 압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넥타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구(5) 함체(5b)의 중앙부에 나사부(9)가 형성된 삽입공(5c)을 형성하고, 부착구(3)에 설치된 핀(7)의 외주면에 나사부(9)를 형성하여 서로 나삽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넥타이.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3)의 전면부에 벨크로테이프(10)를 부착하고, 이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10')의 전면부에 핀(7)을 설치하여 장식구(5)의 함체(5b)에 형성된 결합수단(4)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넥타이.
  5.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구(3)의 선단부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양측벽에 판스프링(12)을 설치하여 다수의 원통체(11)를 내입하고, 장식구(5)의 함체(5b) 후측면에 핀(7)을 설치하여 원통체(11) 사이에 압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넥타이.
KR2019990026903U 1999-12-02 1999-12-02 착탈식 넥타이 KR200182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03U KR200182014Y1 (ko) 1999-12-02 1999-12-02 착탈식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03U KR200182014Y1 (ko) 1999-12-02 1999-12-02 착탈식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014Y1 true KR200182014Y1 (ko) 2000-05-15

Family

ID=1959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903U KR200182014Y1 (ko) 1999-12-02 1999-12-02 착탈식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0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45A (ko) * 2013-09-30 2015-04-08 홍성권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45A (ko) * 2013-09-30 2015-04-08 홍성권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KR101586826B1 (ko) 2013-09-30 2016-01-19 홍성권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56296S1 (en) Bangle
KR200182014Y1 (ko) 착탈식 넥타이
KR200286053Y1 (ko) 넥타이 착용구
USD482845S1 (en) Combined collar and placket for a shirt
USD445147S1 (en) Paddleball game paddle having slots
CA105538S (en) Espresso maker
WO2019187310A1 (ja) 衣服と衣服用留め具との組み合わせ
KR200231526Y1 (ko) 단추커버
KR200179953Y1 (ko) 넥타이용 장식구
KR200380796Y1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
KR200230438Y1 (ko) 악세사리 겸용 의복 고정구
KR200315953Y1 (ko) 넥타이 착용구
USD452888S1 (en) Doll
USD463897S1 (en) Surface pattern for a portion of a knitted garment
KR200192228Y1 (ko) 반지 완구
KR200291900Y1 (ko) 장식용 옷핀
KR101859544B1 (ko) 스프링 결합식 단추커버
KR200260775Y1 (ko) 단추 장식용 장식구
JP3034937U (ja) 髪飾り兼用人形飾り
KR200220261Y1 (ko) 인조손톱의 결착이 용이한 손톱 링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251878Y1 (ko) 손톱 장신구
KR200208041Y1 (ko) 넥타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