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52Y1 -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52Y1
KR200405052Y1 KR2020050029348U KR20050029348U KR200405052Y1 KR 200405052 Y1 KR200405052 Y1 KR 200405052Y1 KR 2020050029348 U KR2020050029348 U KR 2020050029348U KR 20050029348 U KR20050029348 U KR 20050029348U KR 200405052 Y1 KR200405052 Y1 KR 200405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body
extension
mobile phone
accessor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빈
Original Assignee
임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빈 filed Critical 임희빈
Priority to KR2020050029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는 일단부에는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이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소품이 걸리는 일부가 개방된 소품고리가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게 걸림턱이 형성된 장식구본체와, 상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상에서 이동되며 장식구본체의 소품고리를 개폐하는 개폐캡으로 구성되어, 핸드폰상에 다수의 장식용 소품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핸드폰을 원하는 바에 따라 장식할 수 있으면서도 소품을 대단히 용이하게 착탈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장식용 소품의 분리나 교환도 대단히 용이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 push button type fixture}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의 분해사시도
도3a,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의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정끈 2. 소품고리
3. 연장부 4,4' 걸림턱
5. 장식구본체 6. 스프링
7. 개폐캡
본 고안은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다른 핸드폰장식구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상에는 핸드폰을 장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품들이 핸드폰상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드폰상에 고정되는 소품들은 핸드폰상에 형성된 협소한 고정공상에 고정되므로 하나의 핸드폰을 장식하기 위한 소품이 고정되게 되면 다른 소품을 핸드폰의 고정공상에 고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협소하므로 다른 소품을 핸드폰상에 고정시키기는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폰상에 다수의 장식용 소품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핸드폰을 원하는 바에 따라 장식할 수 있으면서도 소품을 대단히 용이하게 착탈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장식용 소품의 분리나 교환도 대단히 용이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일단부에는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이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소품이 걸리는 일부가 개방된 소품고리가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게 걸림턱이 형성된 장식구본체와, 상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상에서 이동되며 장식구본체의 소품고리를 개폐하는 개폐캡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는,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1)이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소품이 걸리는 일부가 개방된 소품고리(2)가 형성된 연장부(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에 인접하게 걸림턱(4)(4')이 형성된 장식구본체(5)와, 상기 장식구본체(5)의 연장부(3)에 삽입되는 스프링(6)과, 상기 연장부(3)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6)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며 장식구본체(5)의 연장부(3)상에서 이동되며 장식구본체(5)의 소품고리(2)를 개폐하는 개폐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끈(1)에는 고정구(11)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11)는 상기 장식구본체(5)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봉(51)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고정홈(12) 및 관통공(13)이 형성된 부착구(14)의 고정홈(12)내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고정끈(1)이 부착구(14)의 관통공(13)을 통과하고 고정끈(1)을 잡아당기면 고정끈(1)은 관통공(13)을 통과하면서 고정구(11)가 관통공(13)을 빠져나올 수 없어 부착구(14)상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장식구본체(5)의 직선상의 연장부(3)에 스프링(6)을 삽입시키고 개폐캡(7)을 삽입시키고, 2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를 구부려 일부에 개방구(21)가 형성된 소품고리(2)를 형성시켜 스프링(6)과 개폐캡(7)을 장식구본체(5)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개폐캡(7)의 일단부는 상기 소품고리(2)의 개방구(21)를 폐쇄하도록 밀착고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를 구부려 소품고리(2)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소품고리(2)가 형성된 연장부(3)가 장식구본체(5)에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장식구본체(5)상에 개폐캡(7)을 고정시킨 후, 고정끈(1)이 고정된 부착구(14)의 고정홈(12)이 장식구본체(5)의 돌출봉(51)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고정정되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의 제조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끈(1)에 의하여 핸드폰(도시않함)상에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A)가 고정되고, 핸드폰상에 다른 장식용 소품(도시않함)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개폐캡(7)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개폐캡(7)의 일단부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의 소품고리(2)의 개방구(21)가 개방되게 되고, 개방된 개방구(21)를 통하여 소품을 소품고리(2)상에 걸고 개폐캡(7)을 놓게 되면 개폐캡(7)은 스프링(6)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소품고리(2)의 개방구(21)를 폐쇄시키므로 간단하게 소품을 핸드폰상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여러종류의 소품을 핸드폰상에 대단히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은 핸드폰상에 고정된 소품의 분리시에도 동일하게 작동되므로서 대단히 간단하게 소품을 핸드폰상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는 일단부에는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이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소품이 걸리는 일부가 개방된 소품고리가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게 걸림턱이 형성된 장식구본체와, 상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상에서 이동되며 장식구본체의 소품고리를 개폐하는 개폐캡으로 구성되어, 핸드폰상에 다수의 장식용 소품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핸드폰을 원하는 바에 따라 장식할 수 있으면서도 소품을 대단히 용이하게 착탈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장식용 소품의 분리나 교환도 대단히 용이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3)

  1. 일단부에는 핸드폰에 고정되는 고정끈이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소품이 걸리는 일부가 개방된 소품고리가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게 걸림턱이 형성된 장식구본체와, 상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며 장식구본체의 연장부상에서 이동되며 장식구본체의 소품고리를 개폐하는 개폐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본체의 타단부에는 돌출봉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끈에는 고정구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장식구본체의 상기 돌출봉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고정홈 및 관통공이 형성된 부착구의 고정홈내에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품고리는 상기 장식구본체의 상기 연장부를 구부려 일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2020050029348U 2005-10-14 2005-10-14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200405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48U KR200405052Y1 (ko) 2005-10-14 2005-10-14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48U KR200405052Y1 (ko) 2005-10-14 2005-10-14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52Y1 true KR200405052Y1 (ko) 2006-01-10

Family

ID=4175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48U KR200405052Y1 (ko) 2005-10-14 2005-10-14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34B1 (ko) * 2008-01-30 2010-09-06 주식회사 메닉스 휴대용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34B1 (ko) * 2008-01-30 2010-09-06 주식회사 메닉스 휴대용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760B2 (en) Body jewelry
KR200405052Y1 (ko)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101785973B1 (ko)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CN211268921U (zh) 一种新型吊坠
JP3112368U (ja) 引輪金具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CN217791760U (zh) 一种用于遮挡绳结的珠宝配件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KR200425197Y1 (ko) 필기구
JP3145052U (ja) 装身具用引き輪
KR200293074Y1 (ko)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200357798Y1 (ko) 실용성이 부가된 핸드폰 악세서리
KR200326452Y1 (ko)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KR200224143Y1 (ko)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200210251Y1 (ko) 목걸이
KR100512974B1 (ko) 버클장치의 잠금 구조
KR200242694Y1 (ko) 보석 파지부가 노출되지 않는 보석 반지
KR200383600Y1 (ko) 휴대기기 스트랩
JP3111015U (ja) 携帯ストラップ
JP3199186U (ja) 装身具の吊下げ構造
KR100667107B1 (ko) 휴대폰용 무선 핸즈프리
KR200407502Y1 (ko) 단말기 줄 연결용 장신구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JP2004243076A (ja) 着脱自在の装飾具
KR200319724Y1 (ko) 휴대폰 줄과 결합되는 팬던트를 구비한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