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43Y1 -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 Google Patents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43Y1
KR200224143Y1 KR2020000031281U KR20000031281U KR200224143Y1 KR 200224143 Y1 KR200224143 Y1 KR 200224143Y1 KR 2020000031281 U KR2020000031281 U KR 2020000031281U KR 20000031281 U KR20000031281 U KR 20000031281U KR 200224143 Y1 KR200224143 Y1 KR 200224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utton
ball
ring bod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이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우 filed Critical 이원우
Priority to KR2020000031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4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한 버튼용 볼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삽설된 고리본체가 슬라이딩(sliding)됨으로써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케이스본체와 고리본체 및 고리본체가 케이스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용 볼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The chain coupling for ornament}
본 고안은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한 버튼용 볼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삽설된 고리본체가 슬라이딩(sliding)됨으로써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는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구(101)의 링(ring) 안에 스프링을 삽설하고 잠금장치(102)를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손가락의 검지나 엄지를 돌출부(103)에 고정하고 손가락의 엄지나 검지로 노브(104)를 작동하여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는 돌출부(103) 및 노브(104)가 작아서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고 또한 잠금장치(102)를 오픈(open) 상태로 고정해 주는 걸림턱이 없어 사용자가 장신용 체인소자를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연결할 때 한번에 연결하지 못하고 여러번 연결을 시도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짜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종종 있었다.
또한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는 아니지만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와 구성이 유사한 고안이 실용신안등록출원되어 1998-55938호 및 2000-18402호로 공개된 것이 있으나 이 고안은 열쇠고리나 혁대 또는 가방 끈 등에 걸어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제 1도의 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리본체(2)에 부착된 버튼(8)과 버튼(8)이 안착되는 케이스본체(1)의 버튼공(3)의 크기가 엄지나 검지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야 이 고안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구조와 다소 차이가 있고, 기능이 완전 상이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열쇠고리의 구조를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열쇠고리 사시도 a,b
제 2도는 종래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내부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고리본체의 측면도
제 6도는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1:케이스본체, 2:고리본체, 3:스프링, 4:버튼, 5:버튼용 볼, 6:볼 커버, 7:경사면, 8:고정턱, 9:슬라이드공, 10:볼공, 11:고리, 12:고리링, 13:고리공, 14:장전턱, 15:요홈부, 16:표면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구성은 크게 케이스본체(1)와 고리본체(2) 및 고리본체(2)가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으로 구성된다.
특히 케이스본체(1)는 고리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버튼(4)을 누르기 위한 버튼용 볼(5)과 버튼용 볼(5)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 커버(6)가 케이스본체(1)의 전면 중앙에 구성된다. 또한 고리본체(2)에는 고리본체(2)의 슬라이딩과 버튼용 볼(5)의 장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본체(1)의 전면 좌측 하부에는 스프링(3)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 고정턱(8)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리본체(2)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드공(9)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볼 커버(6)에는 버튼용 볼(4)의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는 볼공(10)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고리본체(2)의 상부에는 장신용 체인소자를 삽입할 수 있는 훅(Hook)형상의 고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리본체(2)가 슬라이딩 될 때 케이스본체(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리링(12)이 장착될 수 있는 고리공(13)이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는 스프링(3)이 장전될 수 있는 장전턱(14)이 형성된다.
특히 고리본체(2)의 슬라이딩과 버튼용 볼(6)의 장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5도의 본 고안의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고리본체의 측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리본체(2)의 중간부분이 '' 형상의 요홈부(15)로 형성되고, 요홈부(15)로 형성된 내부에는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이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의 상부는 고리본체(2)의 표면(16)보다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의 작동관계를 제 6도의 사용상태도에서 살펴보면, 연결코자 할 때에는 케이스본체(1)를 잡고 고리본체(2)를 누르면 버튼용 볼(5)과 버튼(4)의 경사면(7)을 따라 장전턱(14)에 구속된 스프링(3)을 압축하면서 부드럽게 진행되다가 버튼(4)의 상단부에 이르게 되면 버튼(4)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고리본체(2)의 고리(11)가 케이스본체(1)에 견고히 연결되는 상태가 되고, 분리코자 할 때에는 버튼용 볼(5)을 누르면 케이스본체(1)로부터 연결되어 있던 고리본체(2)의 고리(11)가 장전턱(7)에 압박된 스프링(3)의 장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리본체(2)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고리공(12)에 끼워진 고리링(13)이 케이스본체(1)의 하부에 부딪치면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게되므로 고리본체(2)는 케이스본체로(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는 종래의 장신용 체인소자의 문제점 즉, 사용자가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에 장신용 체인소자를 연결할 때 한번에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짜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케이스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한 버튼용 볼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삽설된 고리본체가 슬라이딩(sliding)됨으로써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스본체(1)와 고리본체(2) 및 고리본체(2)가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는 고리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버튼(4)을 누르기 위한 버튼용 볼(5)과 버튼용 볼(5)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 커버(6)가 케이스본체(1)의 전면 중앙에 구성되고, 케이스본체(1)의 전면 좌측 하부에는 스프링(3)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턱(8)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리본체(2)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드공(9)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볼 커버(6)에는 버튼용 볼(4)의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는 볼공(10)이 천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고리본체(2)는 고리본체(2)의 슬라이딩과 버튼용 볼(5)의 장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이 구성되고, 고리본체(2)의 상부에는 장신용 체인소자를 삽입할 수 있는 훅(hook)형상의 고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리본체(2)가 슬라이딩 될 때 케이스본체(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고리링(12)이 장착될 수 있는 고리공(13)이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는 스프링(3)이 장전될 수 있는 장전턱(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고리본체(2)는 고리본체(2)의 슬라이딩과 버튼용 볼(6)의 장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본체(2)의 중간부분이 '' 형상의 요홈부(15)로 형성되고, 요홈부(15)로 형성된 내부에는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이 구성되며, 경사면(7)을 가진 버튼(4)은 고리본체(2)의 표면(16)보다 다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2020000031281U 2000-11-08 2000-11-08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200224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81U KR200224143Y1 (ko) 2000-11-08 2000-11-08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81U KR200224143Y1 (ko) 2000-11-08 2000-11-08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43Y1 true KR200224143Y1 (ko) 2001-05-15

Family

ID=7306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81U KR200224143Y1 (ko) 2000-11-08 2000-11-08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40B1 (ko) * 2007-08-31 2009-05-07 박수현 장식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40B1 (ko) * 2007-08-31 2009-05-07 박수현 장식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4562A (en) Jewelry clasp
US6247483B1 (en) Automatic locking and release device for a beach umbrella
WO2002032249A3 (en) Bracelet connector
CA2470283A1 (en) Shift lever device
US20100269541A1 (en) Body jewelry
KR200224143Y1 (ko)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US20040178237A1 (en) Baton holder
US5701639A (en) Securing device for footwear
KR200400762Y1 (ko) 그린포크
US7020934B2 (en) Push type fittings
JP3790687B2 (ja) ピアス
KR100340600B1 (ko) 회전버클
KR200342411Y1 (ko) 허리벨트
CN213281662U (zh) 一种可单手操作的制服肩章扣
JPH0540735Y2 (ko)
KR200379044Y1 (ko) 필기구 부착이 가능한 원형 줄자
GB2239790A (en) Key-ring holder
KR19980055938U (ko) 열쇠고리
KR200405052Y1 (ko)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100456609B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CN106174942B (zh) 自动伞
KR200164091Y1 (ko) 가방끈연결구조
KR200319724Y1 (ko) 휴대폰 줄과 결합되는 팬던트를 구비한 목걸이
KR200183276Y1 (ko) 버클
KR200174877Y1 (ko) 휴대폰의 목걸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