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2Y1 - 그린포크 - Google Patents

그린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2Y1
KR200400762Y1 KR20-2005-0022727U KR20050022727U KR200400762Y1 KR 200400762 Y1 KR200400762 Y1 KR 200400762Y1 KR 20050022727 U KR20050022727 U KR 20050022727U KR 200400762 Y1 KR200400762 Y1 KR 20040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pring
green
groov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춘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Priority to KR20-2005-0022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50Golfing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ourse mainten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린포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으로 되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인접한 두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날 부분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와; 상기 몸체의 하판에서 수용부와 개방된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이 스프링홈 내에서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용부의 중심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포크가 펼쳐졌을 때의 후단부에 접촉되도록 되고, 일단이 몸체의 개방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 스프링과;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략 일치하는 지름과 그보다 작은 지름이 연속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포크 부분의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린포크{green fork}
본 고안은 골프중에 그린에 떨어진 골프공 자국을 제거하여 그린을 평탄하게 만드는 그린포크(green for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그린포크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게임중에는 그린(green)위에 골프공이 떨어지면서 공자국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공자국은 그린에서의 퍼팅시 정상적인 퍼팅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골프 중에는 그린의 공자국을 밑에서 위로 들어올려 그린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그린의 평탄작업을 위한 것이 그린포크이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린포크는 금속의 판형으로 되는 몸체의 일측으로 갈라진 두 개의 포크가 형성되어 있는 단순한 형태의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그린포크는 골프 경기중에 골프 공, 골프 티 등과 함께 항상 휴대하게 되는데, 그 휴대가 번거로워서 게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예리한 포크 부분은 휴대시 불안감을 조성하면서 주머니에 넣을 경우 주머니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었고,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그린포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 볼 마커의 부착이 가능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으며, 외면에 주름을 형성하여 사용시 미끄럼을 방지토록 된 그린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판과 하판으로 되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인접한 두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날 부분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와; 상기 몸체의 하판에서 수용부와 개방된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이 스프링홈 내에서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용부의 중심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포크가 펼쳐졌을 때의 후단부에 접촉되도록 되고, 일단이 몸체의 개방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 스프링과;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략 일치하는 지름과 그보다 작은 지름이 연속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핀의 외주연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몸체에 대하여 포크가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함으로써 포크의 인출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몸체의 개방된 측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과 밑면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사용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몸체의 외면에 볼 마커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의 중앙에 자석이 매입되어 있어서 볼 마커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몸체(1)와 포크(2)와 버튼(3) 및 판 스프링(4)으로 대별된다.
상판(5)과 하판(6)으로 이루어진 몸체(1)의 내부는 인접한 두 측면이 개방된 수용부(8)로 이루어져 있고, 이 수용부(8)의 일단에 2단으로 갈라진 포크(2)의 후단부가 핀(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포크(2)는 몸체(1)의 수용부(8)에 수용되면서 개방된 측면을 통해 회전하여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핀(9)은 일측으로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어서 여기에 나사(10)를 결합함으로써 몸체(1)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포크(2)를 조립하고 있고, 핀(9)의 헤드면과 나사(10)의 헤드면은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그린포크의 사용시 엄지 손가락이 이 곡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크(2)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핀(9)의 외측으로 토션스프링(11)이 설치되어 토션스프링(11)의 일단은 상판(5)의 일단에 고정하고, 토션스프링(11)의 다른 쪽 단부는 포크(2)의 일단에 고정함으로써 포크(2)가 몸체(1)에 대하여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토션스프링(11)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상판(5)의 내부에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포크(2)의 내측 일단에는 훅크 형상의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크(2)가 수용부(8)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3)이 위치하는 몸체(1)의 대응 위치에는 버튼(3)이 수직으로 조립되어 있는데, 이 버튼(3)은 하측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5)에 의해 몸체(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이 버튼(3)의 설치를 위해 상판(5)과 하판(6)에는 마주하는 수용홈(17,18)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5)의 수용홈(17,18)에는 버튼(3)의 상단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19)이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6)의 수용홈(17,18)에는 압축스프링(15)이 위치하여 버튼(3)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며, 버튼(3)의 상단 측면에는 버튼(3)이 완전히 몸체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5)의 구멍(19)에 걸리는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의 중간 부분의 지름은 상기 포크(2)의 걸림홈(13)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13)과 대략 일치하는 직경의 단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23)은 버튼(3)이 압축스프링(15)에 지지된 평상시의 상태에서 수용부(8)에 노출된 상태로 되며, 버튼(3)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하판(6)의 수용홈(17,18)에 인입되어 수용부(8)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2)를 몸체(1)의 내부로 회전하여 인입시키면, 포크(2)의 걸림홈(13)이 버튼(3)의 단턱(23)에 걸리게 되어 인입된 접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몸체(1)의 외면에는 볼 마커(25)를 부착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판(5)의 외면 일단에 볼 마커(2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26)의 중앙에 자석(27)이 매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볼 마커(25)를 상기 안착홈(26)에 수납하면 자석(27)에 의해 볼 마커(25)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5)과 하판(6)의 외면에는 주름부(29)를 형성하고, 몸체(1)의 개방 측면은 파형으로 형성하여 사용시 손으로 몸체를 쥐었을 때 일체감을 주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8)에 접하는 하판(6)의 내면에는 스프링홈(31)이 형성되어 이 스프링홈(31)에 도 5에서 일례로 도시한 바와 같은 판 스프링(4)이 설치되는데, 이 판 스프링(4)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기 알맞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스프링(4)의 일측 단부 즉, 고정단(33)이 스프링홈(31)의 후단부에서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판 스프링(4)의 다른 쪽 단부 즉, 자유단(35)은 수용부(8)의 중간에 이르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의 설치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스프링(4)의 자유단은 포크(2)가 몸체(1)의 외측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포크(2)의 후단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4)의 일단은 몸체(1)의 개방된 수용부(8)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누름부(37)로 사용되고, 이 누름부(37)를 누르게 되면, 판 스프링(4)이 상기 스프링홈(31)에 완전히 인입되어 포크(2)의 후단부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9'는 고리를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는 고리부이다.
도 8은 포크가 접혀진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9는 그 측면도로서 이렇게 포크(2)가 접혀져서 몸체(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포크(2)의 걸림홈(13)이 버튼(3)의 단턱(23)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이며, 판 스프링(4)은 포크(2)의 밑면에 눌려져서 스프링홈(31)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압축스프링(15)의 탄성에 저항하여 버튼(3)을 누르면 버튼(3)의 단턱(23)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포크(2)와 버튼(3)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토션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포크(2)는 핀(9)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인출되며,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판 스프링(4)과의 면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판 스프링(4)의 자유단(35)이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딸깍 소리와 함께 포크(2)의 후단 측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포크(2)의 후단 측면과 판 스프링(4)의 자유단(35)은 일정 폭 만큼의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포크(2)는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로의 유동이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포크(2)는 판 스프링(4)에 지지되어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판 스프링(4)의 누름부(37)를 눌러서 판 스프링(4)의 자유단(35)을 스프링홈(31)에 인입하여 포크(2)와의 접촉을 해제한 다음, 포크(2)를 회전시켜서 몸체(1)의 수용부(8)로 인입시키게 되며,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포크(2)의 걸림홈(13)이 버튼(3)의 단턱(23)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원 그린포크를 사용할 때에는 몸체(1)를 쥐고 그린의 평탄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몸체(1)의 일측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형성된 주름부(29) 등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상기 고리부(39)에 고리나 줄 등을 연결하여 열쇠고리 등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며, 볼 마커(25)를 안착홈(26)에 부착하여 함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그린포크는 접혀진 상태에서 휴대하게 되므로 포크의 날 부분으로 인한 불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보다 적은 부피로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원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몸체나 포크 또는 판 스프링 등의 형상이나 조립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그린포크는 볼 마커의 부착이 가능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으며, 몸체의 외면에 주름이 형성되고 측면이 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정적인 골프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포크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 스프링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 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판 스프링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접었을 때의 본원 그린포크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접었을 때의 본원 그린포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포크
3 ; 버튼 4 ; 판 스프링
5 ; 상판 6 ; 하판
8 ; 수용부 9 ; 핀
11 ; 토션스프링 13 ; 걸림홈
15 ; 압축스프링 17,18 ; 수용홈
23 ; 단턱 25 ; 볼 마커
27 ; 자석 31 ; 스프링홈
37 ; 누름부 39 ; 고리부

Claims (4)

  1. 상판과 하판으로 되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인접한 두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날 부분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와;
    상기 몸체의 하판에서 수용부와 개방된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이 스프링홈 내에서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용부의 중심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포크가 펼쳐졌을 때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포크가 유동됨이 없이 고정토록 되고, 일단이 몸체의 개방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 스프링과;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략 일치하는 지름과 그보다 작은 지름이 연속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포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외주연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몸체에 대하여 포크가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함으로써 포크의 인출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포크.
  3.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의 개방된 측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과 밑면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사용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포크.
  4.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의 외면에 볼 마커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의 중앙에 자석이 매입되어 있어서 볼 마커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포크.
KR20-2005-0022727U 2005-08-05 2005-08-05 그린포크 KR200400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27U KR200400762Y1 (ko) 2005-08-05 2005-08-05 그린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27U KR200400762Y1 (ko) 2005-08-05 2005-08-05 그린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Y1 true KR200400762Y1 (ko) 2005-11-09

Family

ID=4370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727U KR200400762Y1 (ko) 2005-08-05 2005-08-05 그린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97Y1 (ko) 2008-04-14 2010-11-24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그린보수기
KR200474264Y1 (ko) 2013-03-29 2014-09-05 (주) 민성정밀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KR101572679B1 (ko) 2013-12-31 2015-11-27 김호준 절첩식 그린 보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97Y1 (ko) 2008-04-14 2010-11-24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그린보수기
KR200474264Y1 (ko) 2013-03-29 2014-09-05 (주) 민성정밀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KR101572679B1 (ko) 2013-12-31 2015-11-27 김호준 절첩식 그린 보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59Y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US7281542B2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umbrella runner
US7051626B1 (en) Screwdriver having release mechanism
US7083354B2 (en) Cosmetics case having receipt drawing toilet set
US7011319B2 (en) Folding device of a scooter
JP2004118191A5 (ko)
CN104393740B (zh) 电源适配器
KR200400762Y1 (ko) 그린포크
US7093329B1 (en) Elastic snapping device
US7120980B1 (en) Pipe disassembling tool
USD551066S1 (en) Cord end stopper
US20070267036A1 (en) Mechanical eyelash curler
KR20190106512A (ko)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CA2901594A1 (en) Quick release implement
KR101230108B1 (ko) 골프공의 라인 마킹장치
CN201000964Y (zh) 可弹出插头的插座
KR200453491Y1 (ko) 콘센트 안전덮개
KR101255844B1 (ko) 우산
KR200451097Y1 (ko) 그린보수기
US20120291292A1 (en) Folding knife with safety switch
US7216586B1 (en) Portable stamp assembly
USD527038S1 (en) Retractable musician's cord
KR200248238Y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부착된 콘센트
USD506907S1 (en) Grounding tool with locking mechanism for removing spark plug boot
CN212650713U (zh) 一种折叠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