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12A -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12A
KR20190106512A KR1020180028096A KR20180028096A KR20190106512A KR 20190106512 A KR20190106512 A KR 20190106512A KR 1020180028096 A KR1020180028096 A KR 1020180028096A KR 20180028096 A KR20180028096 A KR 20180028096A KR 20190106512 A KR20190106512 A KR 2019010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guide
base
portable termina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102018002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512A/ko
Publication of KR2019010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후면이 휴대단말기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면 측 중앙에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복귀토록 구속 설치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Multi function hold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람들의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었으며,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커짐에 따라 휴대단말기 자체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일반 전화로서의 기능은 물론 동영상이나 음악재생, 촬영, 인터넷검색, 메모 등이 다양한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이 부가되면서,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보행 중에도 사용할 정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휴대단말기를 손에서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파지하여 휴대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휴대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의 배면이나 스마트폰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된 고리홀더를 부착하여, 손가락으로 이 고리홀더를 파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리홀더를 거치대로 적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도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는 휴대단말기를 필수품처럼 휴대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이나 여건에서 사용되는 것에 비해 그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행거의 기능이나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홀더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0783호 2013.06.25.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0007175호 2013.12.13.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33435호 2017.04.28.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이 휴대단말기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면 측 중앙에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복귀토록 구속 설치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는 후면에 부착 패드가 밀착설치되고 전면에 양측에 외측 가이드가 돌출형성되면서 중앙에 인출안내 홈이 형성되며, 인출안내 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상부구속가이드와 하부구속가이드가 구비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상측을 통해 상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하고, 하부구속가이드 하측을 통해 하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토록 인출안내 홈 내에 배치되며,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의 상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끼워 스트랩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도록 조작하는 고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트랩은 외측 가이드의 하단에 걸림지지되는 하단걸림돌부가 하단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며, 하단걸림돌부의 상면에서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한편, 베이스는 인출안내 홈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하부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트랩이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될 수 있도록 스트랩은 하부경사부에 대하여 경사안내부 내에 밀착시 억지끼움을 통해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하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하단고정돌기가 하부경사부에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에는 스트랩의 하강완료시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상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상단고정돌기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인출안내 홈은 상부구속가이드와 하부구속가이드 사이의 표면에 무늬부가 더 형성되는 한편, 무늬부는 인쇄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고리는 스트랩의 상단에 연결되되 스트랩의 상단 일정길이가 링 타입으로 밴딩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구속 연결되며, 링 형상으로서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개방 루프 타입으로 제공되는 개방고리와, 개방고리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며, 개방고리에 대하여 폐쇄 루프 타입을 이루되 일단이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 측 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개방 루프 타입이 되도록 하는 하네스와, 하네스의 일단에 대하여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 측에 회전가능토록 연결하는 힌지 및 하네스의 일단과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의 축 방향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네스를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개방고리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는 스트랩에 대하여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트랩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하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가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랩에 대하여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트랩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상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가 더 돌출형성되는 한편, 스트랩의 하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을 위한 작동시 작동돌기가 하향 이동안내되도록 베이스는 상부구속가이드가 분할되면서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절개되어 작동돌기를 승강 안내하는 절개안내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면이 휴대단말기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면 측 중앙에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복귀토록 구속 설치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작동상태를 작동과정별로 나타낸 작동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사용상태로서,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후면에 부착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다른 사용상태로서,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유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후면에 부착설치한 후에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작동상태를 작동과정별로 나타낸 작동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사용상태로서,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후면에 부착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다른 사용상태로서,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유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후면에 부착설치한 후에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후면이 휴대단말기(10)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20)의 배면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의 안전한 파지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홀더이다.
이러한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크게 분류하면, 베이스(110), 스트랩(120) 및 고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후면에 부착 패드(110a)가 밀착설치되고 전면에 양측에 외측 가이드(111)가 돌출형성되면서 중앙에 인출안내 홈(112)이 형성되며, 인출안내 홈(1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110)는 특히, 배면에 부착 패드(110a)의 일면이 밀착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부착 패드(110a)의 점착제가 도포된 타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착 패드(110a)의 타면에는 이형지(110b)가 부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상기와 같은 부착 패드(110a)와 이형지(110b)가 제공됨으로써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의 최초 사용시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0)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20)의 배면에 이형지(110b)를 제거한 후에 부착패드(110a)의 타면이 부착되도록 한 후에 홀더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트랩(120)은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 상측을 통해 상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함과 동시에, 하부구속가이드(117) 하측을 통해 하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토록 일정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스트랩(120)은 특히, 인출안내 홈(112) 내에 배치되며, 베이스(110)의 인출안내 홈(112)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리(130)는 스트랩(1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끼워 스트랩(120)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도록 조작하는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에서, 특히 스트랩(120)은 외측 가이드(111)의 하단에 걸림지지되는 하단걸림돌부(121)가 하단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단걸림돌부(121)를 통하여 스트랩(120)의 상향 이동 고정시 스트랩(120)의 하단부분이 베이스(110)의 인출안내 홈(112)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스트랩(120)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만 상향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스트랩(120)은 하단걸림돌부(121)의 상면에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베이스(110)는 인출안내 홈(112)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하부경사부(122)와 대응되는 경사안내부(1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하부경사부(122)와 경사안내부(113)가 제공됨으로써 스트랩(120)에 대한 상향 이동시 하단부의 이동이 일정길이만큼 이동한 후에 더욱 안정적으로 저지되면서 멈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스트랩(120)이 베이스(110)의 인출안내 홈(112)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트랩(120)은 하부경사부(122)에 대하여 경사안내부(113) 내에 밀착시 억지끼움을 통해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하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하단고정돌기(123)가 하부경사부(122)에 외향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하단고정돌기(123)를 통하여, 스트랩(120)이 상향 일정거리 이동한 후에 억지끼움을 통해 일정 하중 이상을 하향 제공하지 않는 이상에는 상향 이동된 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스트랩(120)의 상단부 양측에는 스트랩(120)의 하강완료시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상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상단고정돌기(126)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상단고정돌기(126)를 통하여, 스트랩(120)이 하향 일정거리 이동한 후에 억지끼움을 통해 일정 하중 이상을 상향 제공하지 않는 이상에는 하향 이동된 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에서의 베이스(11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 사이의 인출안내 홈(112) 표면에 무늬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늬부(미도시)는 인쇄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무늬부(미도시)는 예컨대 광고를 위한 문자, 감정을 표현하는 기호화된 이모티콘, 도안 등의 다양한 무늬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무늬부(미도시)가 더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의 사용시, 스트랩(120)이 만곡 라운드 지게 조작되는 경우 인출안내 홈(112)의 표면에 특정 무늬가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휴대단말기(10)에 대하여 가방이나 옷 등에 구비된 걸림수단(미도시) 상에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리(130)는 크게 개방고리(131)와, 하네스(132)와, 힌지(133) 및 비틀림 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개방고리(131)는 스트랩(120)의 상단에 연결되되 스트랩(120)의 상단 일정길이가 링 타입으로 밴딩되어 고정부재(120a)를 통해 구속 연결되며, 링 형상으로서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개방 루프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하네스(132)는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며, 개방고리(131)에 대하여 폐쇄 루프 타입을 이루되 일단이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개방 루프 타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133)는 하네스(132)의 일단에 대하여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가능토록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34)은 하네스(132)의 일단과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133)의 축방향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네스(132)를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개방고리(131)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방고리(131)와, 하네스(132)와, 힌지(133) 및 비틀림 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고리(130)가 제공됨으로써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에 대하여, 하네스(132)의 단부를 개방, 복귀되도록 하면서 걸림수단(미도시)에 고리(130)가 걸리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휴대단말기(10)에 대하여 가방이나 옷 등에 구비된 걸림수단(미도시) 상에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의 작용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베이스(110) 후면에 구비된 부착패드(110a) 표면상의 이형지(110b)를 제거하여 휴대단말기(10)의 배면이나 휴대단말기(10)를 감싸도록 장착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20)의 배면 중앙부분에 베이스(110)가 부착고정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부착고정 이후의 사용상태는 먼저, 휴대단말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리(130)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단말기(10)의 이탈이나 분실 등의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리(130)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스트랩(120)이 반복 승강하도록 조작하면서 반복 승강을 통한 유희구로써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리(130)에 손가락을 건 후 스트랩(120)의 하단이 상승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고리(130)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스트랩(120)이 만곡 라운드지게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 사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10)를 책상 등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고리(130)의 하네스(132)의 단부를 개방, 복귀되도록 하면서 가방이나 옷 등에 구비된 걸림수단(미도시)에 고리(130)가 걸리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휴대단말기(10)를 가방이나 옷 등에 구비된 걸림수단(미도시) 상에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휴대단말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리(130)에 손가락을 걸어 스트랩(120)을 상승 이동시켜 상단고정돌기(126)를 통해 임시 고정하거나, 스트랩(120)을 하강 이동시켜 하단고정돌기(123)를 통해 임시 고정시켜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리(130)에 손가락을 걸어 스트랩(120)을 상승 이동시킨 상태, 즉 스트랩(120)이 상승 이동하여 스트랩(120)의 하단이 하단고정돌기(123)을 통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고리(130)를 하향 이동시켜 스트랩(130)의 중앙부분 일정길이만큼이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 사이 공간을 통해 만곡 라운드 지게 돌출시켜 거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작을 통해 휴대단말기(10)를 거치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랩(130)이 만곡 라운드 지게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 사이 공간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스트랩(120)을 통해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고리(130)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스트랩(120)을 통한 스탠드로서의 거치 기능에 대하여 고리(130)에 의한 보조적인 거치의 기능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스트랩(130)의 중앙부분 일정길이만큼이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와 하부구속가이드(117) 사이 공간을 통해 만곡 라운드 지게 돌출시킨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거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걸어서 사용하는 홀더로서의 기능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에 의해, 후면이 휴대단말기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면 측 중앙에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복귀토록 구속 설치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이나 일정거리 이동을 반복하도록 조작하는 유희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작동돌기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므로, 도 1 내지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는 특히, 스트랩(120)에 대하여 표면 파지시 미끄러짐이 없이 상기 베이스(110)의 인출안내 홈(112)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트랩(120)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 하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129)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동돌기(129)는 별도의 금속 징 타입으로 스트랩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작동돌기(129)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스트랩(120) 표면 상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토록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돌기(129)가 더 적용됨으로써 스트랩(120)의 표면을 파지하여 스트랩(120)을 승강 조작하는 경우에, 스트랩(120)에 대한 안정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작동돌기 및 절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므로, 도 1 내지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는 특히, 스트랩(120)에 대하여 표면 파지시 미끄러짐이 없이 베이스(110)의 인출안내 홈(112)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스트랩(120)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110)의 상부구속가이드(115) 상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129)가 더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스트랩(120)의 하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을 위한 작동시 작동돌기(129)가 하향 이동안내되도록 베이스(110)는 상부구속가이드(114)가 분할되면서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절개되어 작동돌기(129)를 승강 안내하는 절개안내부(115a)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에서, 특히 작동돌기(129)는 별도의 금속 징 타입으로 스트랩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작동돌기(129)는 사출성형을 통해 스트랩(120) 표면 상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토록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크게 베이스(110), 스트랩(120) 및 고리(130)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10)는 후면에 부착 패드(미도시)가 밀착설치되고 부착 패드(미도시)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노출되는 표면에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스트랩(120)은 베이스(11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일정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고리(13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고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에서의 고리(130)는 스트랩(120)의 상단 일정길이가 링 타입으로 밴딩되면서 고정부재(120a)를 통해 구속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리(130)는 특히 개방고리(131)와, 하네스(132)와, 힌지(133) 및 비틀림 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개방고리(131)는 스트랩(120)의 상단에 연결되되 스트랩(120)의 상단 일정길이가 링 타입으로 밴딩되어 고정부재(120a)를 통해 구속 연결되며, 링 형상으로서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개방 루프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하네스(132)는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며, 개방고리(131)에 대하여 폐쇄 루프 타입을 이루되 일단이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개방 루프 타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133)는 하네스(132)의 일단에 대하여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가능토록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34)은 하네스(132)의 일단과 개방고리(131)의 개방된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133)의 축방향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네스(132)를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개방고리(131)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방고리(131)와, 하네스(132)와, 힌지(133) 및 비틀림 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고리(130)가 제공됨으로써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에 대하여, 하네스(132)의 단부를 개방, 복귀되도록 하면서 걸림수단(미도시)에 고리(130)가 걸리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휴대단말기(10)에 대하여 가방이나 옷 등에 구비된 걸림수단(미도시) 상에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크게 베이스(110), 스트랩(120) 및 고리(130)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10)는 후면에 부착 패드(미도시)가 밀착설치되고 부착 패드(미도시)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노출되는 표면에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스트랩(120)은 베이스(11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일정 폭의 양단이 하향 일정길이 슬리팅 처리되면서 베이스(110)로부터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리(130)는 스트랩(120)의 상단에 판 형상의 링 타입으로 스트랩(120)과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100)는 베이스(110)와 스트랩(120) 및 고리(13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휴대단말기 20: 보호케이스
100: 홀더 110: 베이스
110a: 부착 패드 111: 외측 가이드
112: 인출안내 홈 113: 경사안내부
115: 상부구속가이드 115a: 절개안내부
117: 하부구속가이드 120: 스트랩
121: 하단걸림돌부 122: 하부경사부
123: 하단고정돌기 126: 상단고정돌기
129: 작동돌기 120a: 고정부재
130: 고리 131: 개방고리
132: 하네스 133: 힌지
134: 비틀림 스프링

Claims (7)

  1. 후면에 부착 패드가 밀착설치되고 전면 양측에 외측 가이드가 돌출형성되면서 중앙에 인출안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안내 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상부구속가이드와 하부구속가이드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상측을 통해 상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하고, 상기 하부구속가이드 하측을 통해 하단이 일정길이 인출가능토록 상기 인출안내 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는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끼워 상기 스트랩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되도록 조작하는 고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외측 가이드의 하단에 걸림지지되는 하단걸림돌부가 하단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단걸림돌부의 상면에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안내 홈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하부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이 상기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이동 고정 또는 복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하부경사부에 대하여 상기 경사안내부 내에 밀착시 억지끼움을 통해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하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하단고정돌기가 상기 하부경사부에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스트랩의 하강완료시 일정 하중 이상을 통해서만 상향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상단고정돌기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안내 홈은 상기 상부구속가이드와 하부구속가이드 사이의 표면에 무늬부가 더 형성되는 한편 상기 무늬부는 인쇄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기 스트랩)의 상단 일정길이가 링 타입으로 밴딩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구속 연결되며 링 형상으로서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개방 루프 타입으로 제공되는 개방고리와, 상기 개방고리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고리에 대하여 폐쇄 루프 타입을 이루되 일단이 상기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개방 루프 타입이 되도록 하는 하네스와, 상기 하네스의 일단에 대하여 상기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가능토록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하네스의 일단과 상기 개방고리의 개방된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힌지의 축방향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네스를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고리의 내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하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의 인출안내 홈 내에서 상하로 일정길이 승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은 상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구속가이드 상측 표면에 반구 형상을 가지는 작동돌기가 더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트랩의 하향 일정거리 이동 고정을 위한 작동시 상기 작동돌기가 하향 이동안내되도록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구속가이드가 분할되면서 중앙에 일정 폭을 가지고 절개되어 상기 작동돌기를 승강 안내하는 절개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KR1020180028096A 2018-03-09 2018-03-09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KR20190106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96A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8-03-09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96A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8-03-09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12A true KR20190106512A (ko) 2019-09-18

Family

ID=6807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96A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8-03-09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5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540B1 (ko) 2020-01-07 2020-05-15 여창기 휴대폰용 홀더
KR102292509B1 (ko) 2020-12-29 2021-08-23 (주) 우성인터내셔날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CN117212078A (zh) * 2023-11-09 2023-12-12 山西迎润新能源有限公司 一种对风机实时监控的信息集成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733435B1 (ko) 2016-04-04 2017-05-24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20190007175A (ko) 2017-07-12 2019-01-22 최갑천 유해 콘텐츠 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733435B1 (ko) 2016-04-04 2017-05-24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20190007175A (ko) 2017-07-12 2019-01-22 최갑천 유해 콘텐츠 탐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540B1 (ko) 2020-01-07 2020-05-15 여창기 휴대폰용 홀더
KR102292509B1 (ko) 2020-12-29 2021-08-23 (주) 우성인터내셔날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CN117212078A (zh) * 2023-11-09 2023-12-12 山西迎润新能源有限公司 一种对风机实时监控的信息集成平台
CN117212078B (zh) * 2023-11-09 2024-01-23 山西迎润新能源有限公司 一种对风机实时监控的信息集成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512A (ko)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AU2011235267B2 (en) Cases and covers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768272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atched battery cover
US20050156088A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734536B2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ケース
TWM260061U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CN104353239A (zh) 具有可拆卸电子设备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JP2009285129A (ja) ハンガー、及びハンガーが備えた脱落防止具
KR200277539Y1 (ko) 호스릴
JP6692387B2 (ja) スーツケース
US11976785B2 (en) Expandable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JP3093933U (ja) 携帯物品の支持装置
US11839277B1 (en) Card storage device
KR101794915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00040544A (ko) 휴대 단말기의 커버 록킹장치
KR200468175Y1 (ko) 사무용품 거치대
KR200214729Y1 (ko) 휴대전화 걸이구
KR102532654B1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CN212935968U (zh) 一种可折叠手机支架
KR200338918Y1 (ko) 자석식홀더
JP2013207458A (ja) 多機能携帯電話のカバーおよび多機能携帯電話の滑止部材
KR200362412Y1 (ko) 소리음 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