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40B1 - 휴대폰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40B1
KR102090540B1 KR1020200002094A KR20200002094A KR102090540B1 KR 102090540 B1 KR102090540 B1 KR 102090540B1 KR 1020200002094 A KR1020200002094 A KR 1020200002094A KR 20200002094 A KR20200002094 A KR 20200002094A KR 102090540 B1 KR102090540 B1 KR 10209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obile phone
central portion
holder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102020000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40B1/ko
Priority to US16/803,573 priority patent/US111409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용 홀더의 구성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는 끝단부분은 중앙부분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양쪽이 상호 대칭이 되게 형성되고, 양쪽 끝단부분의 측면에는 각각 걸림부가 외향 돌출 형성된 스트랩; 중앙 부분에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사각의 스트랩 인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스트랩 인출구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스트랩의 끝단부분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트랩 수용부가 배면 측에 홈의 형태로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마감 플레이트;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고정 플레이트의 스트랩 인출구를 통해 돌출하게 되면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는 가동 플레이트; 및 마감 플레이트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마감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부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홀더{Holder for portable device}
이 발명은 휴대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하여 휴대폰을 보다 안정되게 잡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휴대폰에 부착하여 휴대폰을 보다 안정되게 잡거나 다른 물건에 부착 또는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액세서리의 공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 액세서리 제품의 대표적인 예들로는 휴대폰의 액정과 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 휴대폰에 부착하여 휴대폰을 안정되게 쥘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폰 홀더, 휴대폰을 차량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거치대 등이 있다. 또한, 위에서 예로 든 휴대폰 케이스의 기능, 휴대폰 홀더의 기능 또는 휴대폰 거치대의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품들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 발명의 출원인 또한 소비자들에게 보다 좋은 휴대폰 액세서리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서 수 년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35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979629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29434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512호 등에 개시된 휴대폰 액세서리 제품들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시중에는 출원인이 개발하여 공급한 제품들 이외에도 휴대폰을 안정되게 잡을 수 있게 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휴대폰 액세서리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새로운 휴대폰이 출시되는 기간이 점차 짧아지고, 유행에 매우 민감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시장의 특성 상 보다 새로운 구조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 제품의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을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5267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2008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705819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939354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979629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9-0106512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하여 휴대폰을 보다 안정되게 잡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하되 양쪽 끝단부분을 밀게 되면 중앙 부분이 돌출되는 스트랩의 중앙 부분에는 홍보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판촉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트랩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양쪽의 끝단부분은 중앙부분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양쪽이 상호 대칭이 되게 형성되고, 양쪽 끝단부분의 측면에는 각각 걸림부가 외향 돌출 형성된 스트랩; 중앙 부분에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사각의 스트랩 인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스트랩 인출구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스트랩의 끝단부분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트랩 수용부가 배면 측에 홈의 형태로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스트랩 인출구와 스트랩 수용부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는 마감 플레이트; 스트랩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며 스트랩의 끝단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고정 플레이트의 스트랩 인출구를 통해 돌출하게 되면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는 가동 플레이트; 및 마감 플레이트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마감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부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에서 스트랩의 중앙부분의 폭은 일정구간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과 끝단부분 사이의 작동부분은 중앙부분과 끝단부분의 폭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에서 스트랩의 작동부분의 양측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스트랩의 끝단부분의 끝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에서 고정 플레이트의 스트랩 인출부의 경계에 대응하는 스트랩의 구간에는 각각 굴절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에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스트랩의 센터를 안내하기 위한 센터 돌기가 트랩의 중앙부분 상에 형성되는 한편 센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 플레이트에는 센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에서 가동 플레이트는 스트랩의 중앙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개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면서도 사용할 때에는 스트랩이 굴절되면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가동 플레이트의 위치가 변동되면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보다 안정적으로 쥘 수 있게 하거나 거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에는 홍보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판촉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분해 상태를 보인 도면.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분해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스트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 및 도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스트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9 내지 도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출원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구성과 사용 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작동상태 사시도이며,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분해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분해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는 도1 내지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며 양쪽에 위치된 끝단부분(114)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중앙부분(112)이 굴절되면서 전면을 향해 돌출이 되게 작동하는 스트랩(110), 스트랩(110)을 수용하며 사용자가 스트랩(110)의 양쪽 끝단부분(114)이 상호 가까워지도록 가압하게 되면 중앙부분(112)이 전면을 향해 굴절되면서 돌출이 되게 안내하기 위한 스트랩 인출구(122)가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한편 스트랩 인출구(122)의 양쪽에 스트랩 수용부(124)가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120), 고정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스트랩 인출구(122)와 스트랩 수용부(124)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는 하여 스트랩(110)의 양쪽 끝단부분(114)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이 전방을 향해 굴절되게 유도하는 마감 플레이트(130),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에 장착되는 스트랩(110)의 중앙부분이 전방을 향해 돌출될 때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는 가동 플레이트(140) 및 마감 플레이트(130)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마감 플레이트(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부착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스트랩(11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양쪽의 끝단부분(114)은 중앙부분(120)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양쪽이 상호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또한, 양쪽 끝단부분(114)의 측면에는 각각 외향 돌출된 구조의 걸림돌기(114a)가 형성된다. 특히,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의 폭은 일정구간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112)과 끝단부분(114) 사이의 작동부분(116)은 중앙부분(112)과 끝단부분(114)의 폭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스트랩(110)의 작동부분(116) 양측 단부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스트랩(110)의 끝단부분(114)이 안쪽으로 모이도록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보다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게 그 끝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 상에는 가동 플레이트(140와의 조립을 위한 힌지구멍(11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스트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과 끝단부분(114)의 사이, 즉 고정 플레이트(120)의 스트랩 인출부(122)의 경계에 대응하는 구간에는 각각 굴절 안내부(11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굴절 안내부(116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트랩(110)의 양쪽 끝단부분(114)에 손가락을 댄 상태에서 손가락 사이를 오므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굴절 안내부(116a)가 형성된 해당 부분에 의해서 보다 스트랩(110)의 굴절이 이루어지는 한편 사용자가 가동 플레이트(140)를 눌러 스트랩(110)이 바르게 펼쳐지는 과정에서 굴절 안내부(116a)가 형성된 해당 부분이 스트랩 인출부(122)에 걸리게 되면서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한 스트랩(110)의 위치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스트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 양쪽에는 각각 센터 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10)의 센터 돌기(112a)는 고정 플레이트(120)와의 관계에서 스트랩(110)의 센터 위치를 안내해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센터 돌기(112a)에 대응하는 고정 플레이트(120)의 위치에는 센터 돌기(112a)에 대응하는 형태의 센터 홈(122a)이 형성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고정 플레이트(120)와 마감 플레이트(130)는 스트랩(110)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이 되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와 마감 플레이트가 별도의 구분없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형태를 보인 예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고정 플레이트(120)는 중앙 부분에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사각의 스트랩 인출구(122)가 관통 형성되고, 스트랩 인출구(122)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스트랩(110)의 끝단부분(114)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트랩 수용부(124)가 배면 측에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스트랩(110)의 걸림돌기(114a)에 대응하는 스트랩 수용부(124)의 위치에는 걸림홈(124a)이 형성된다. 걸림돌기(114a)와 걸림홈(124a)은 사용자가 스트랩(110)의 양쪽 끝단부분에 일정 수준의 힘을 가하거나 가동 플레이트(140)가 일정 수준의 힘으로 눌려질 때 걸림홈(124a)에 대하여 걸림돌기(114a)가 끼워진 상태가 되거나 이탈된 상태가 될 정도의 관계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된 마감 플레이트(130)가 고정 플레이트(120)의 배면 측에 부착됨으로써 스트랩 인출구(122)와 스트랩 수용부(124)의 개방된 후방을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막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고정 플레이트(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 플레이트(120)는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에서 가동 플레이트(140)는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 상에 장착되며, 스트랩(110)의 끝단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이 고정 플레이트(120)의 스트랩 인출구(122)를 통해 돌출 작동하게 되면서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게 된다.
가동 플레이트(140)의 배면 중앙에는 스트랩(11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142)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가동 플레이트(110)에는 홍보 또는 광고 등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14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응하는 형태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동 플레이트(140)의 지름은 고정 플레이트(120)의 지름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140)는 스트랩(110)의 중앙부분(1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도8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0)의 스트랩 수용부(124) 상에는 가이드 핀(160)이 형성되고, 가이드 핀(160)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트랩(110) 상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16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에, 스트랩(1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2)이 고정 형성된 가이드 핀(16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스트랩(110)이 보다 일정한 방향과 일정한 스트로크로 굴절되거나 펼쳐지는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9 및 도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는 부착수단(150)을 통해서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된다. 부착수단(150)은 마감 플레이트(130)의 배면 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거나 점착제가 도포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스트랩(110)의 양쪽 끝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트랩(110)의 중앙부분이 스트랩 인출구(122)를 통해 돌출하게 되면서 가동 플레이트(140)는 고정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이격되는 간격은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 정도인 10~30mm 간격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고정 플레이트(120)와 가동 플레이트(140) 사이에 위치된 스트랩(110)을 사이에 두고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잡게 되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휴대폰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휴대폰(200)을 책상 등에 세워둘 수 있게 된다.
도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홀더(100)의 사용을 맞춘 후 사용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을 맞춘 후에는 가동 플레이트(140)를 가압하면 스트랩(110)의 끝단부분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트랩(110)이 펼쳐지면서 가동 플레이트(140)는 고정 플레이트(120)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부피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휴대폰을 호주머니 등에 보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휴대폰용 홀더(100)에 대하여 몇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휴대폰용 홀더 110 : 스트랩
112 : 중앙부분 114 : 끝단부분
114a : 걸림돌기 116 : 작동부분
120 : 고정 플레이트 122 : 스트랩 인출구
124 : 스트랩 수용부 124a : 걸림홈
130 : 마감 플레이트 140 : 가동 플레이트
142 : 힌지 150 : 부착수단
160 : 가이드 핀 162 : 가이드 레일
200 : 휴대폰

Claims (7)

  1.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양쪽의 끝단부분은 중앙부분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양쪽이 상호 대칭이 되게 형성되고, 상기 양쪽 끝단부분의 측면에는 각각 걸림부가 외향 돌출 형성된 스트랩;
    중앙 부분에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사각의 스트랩 인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인출구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분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트랩 수용부가 홈의 형태로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랩 인출구와 스트랩 수용부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스트랩 인출구를 통해 돌출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는 가동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부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의 폭은 일정구간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과 상기 끝단부분 사이의 작동부분은 상기 중앙부분과 상기 끝단부분의 폭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작동부분의 양측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분의 끝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스트랩 인출구의 경계에 대응하는 스트랩의 구간에는 각각 굴절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스트랩의 센터를 안내하기 위한 센터 돌기가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 상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센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센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는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7.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분 양쪽에는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스트랩;
    중앙 부분에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사각의 스트랩 인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인출구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분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트랩 수용부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이 고정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랩 인출구와 스트랩 수용부의 개방된 후방을 폐쇄하는 마감 플레이트;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기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스트랩 인출구를 통해 돌출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이 되게 동작하는 가동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플레이트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부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홀더.
KR1020200002094A 2020-01-07 2020-01-07 휴대폰용 홀더 KR10209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94A KR102090540B1 (ko) 2020-01-07 2020-01-07 휴대폰용 홀더
US16/803,573 US11140970B2 (en) 2020-01-07 2020-02-27 Portable devic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94A KR102090540B1 (ko) 2020-01-07 2020-01-07 휴대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540B1 true KR102090540B1 (ko) 2020-05-15

Family

ID=7067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94A KR102090540B1 (ko) 2020-01-07 2020-01-07 휴대폰용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40970B2 (ko)
KR (1) KR1020905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KR20230001441U (ko) 2022-07-07 2023-07-14 주식회사 에즈워즈 휴대폰 그립퍼
WO2023163242A1 (ko) * 2022-02-23 2023-08-31 윤여신 휴대 단말기용 홀더
KR20230161846A (ko) 2022-05-19 2023-11-28 유현우 휴대형 단말기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6717B (zh) * 2021-06-04 2022-06-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手持裝置之配件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67U (ko) 2011-01-11 2012-07-19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JP2013214855A (ja) * 2012-04-02 2013-10-17 Satoshi Takei 携帯機器の補助装置
KR200472008Y1 (ko)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101705819B1 (ko)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101765766B1 (ko) *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80096056A (ko) * 2017-02-20 2018-08-29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JP3218326U (ja) * 2018-07-24 2018-10-04 株式会社ナイス企画 支持具
KR101979629B1 (ko) 2018-12-19 2019-05-17 여창기 다용도 홀더
JP2019125370A (ja) * 2018-01-17 2019-07-25 憲 塚田 携帯電子機器保持具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763A (en) * 1986-04-29 1988-08-16 B.D.S., Luggage Corporation Convertible carrying handle and shoulder strap for an attache case
US7286803B2 (en) * 2002-10-21 2007-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lm-size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with finger-insertion hooking portion
US20060201594A1 (en) * 2004-10-15 2006-09-14 Sandra Carmichael Apparatus for carrying items
US20090270050A1 (en) * 2008-04-24 2009-10-29 Scott Brown Accessor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374657B2 (en) * 2009-02-27 2013-02-12 Rich Interdonato Finger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units
US20110309117A1 (en) * 2010-06-16 2011-12-22 Kyle Roberts Hold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2714130A1 (en) * 2010-08-31 2012-02-29 Ervis Hyseni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KR101097649B1 (ko) * 2011-05-06 2011-12-22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8950638B2 (en) * 2012-09-25 2015-02-10 Loopy Cases Llc Finger loo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D738872S1 (en) * 2013-12-31 2015-09-15 My Kidenza Inc. Electronic device cover with detachable strap
US9362968B1 (en) * 2015-06-24 2016-06-07 American Covers, Inc. Adhesive pocket with a finger tether strap for a cellular phone
US9762278B2 (en) * 2015-08-26 2017-09-12 Apple Inc. Accessory device having a retaining feature
US10001243B2 (en) * 2016-05-13 2018-06-19 Mauricio D. Cavalcante Flexible kickstand an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793941B1 (en) * 2016-05-31 2017-10-17 Allen Hirsch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US10355734B1 (en) * 2018-02-08 2019-07-16 Telecom Lifestyle Fashion B.V.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10568410B2 (en) * 2018-06-21 2020-02-25 Grip Cur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gripping devic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D894167S1 (en) * 2019-01-29 2020-08-25 Nlu Products, L.L.C. Transparent case with adjustable strap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94889S1 (en) * 2019-01-29 2020-09-01 Nlu Products, L.L.C. Case with adjustable strap for an electronic device
USD905040S1 (en) * 2019-08-22 2020-12-15 Catalyst Medium Four, Inc.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67U (ko) 2011-01-11 2012-07-19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JP2013214855A (ja) * 2012-04-02 2013-10-17 Satoshi Takei 携帯機器の補助装置
KR200472008Y1 (ko)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101705819B1 (ko)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101765766B1 (ko) *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80096056A (ko) * 2017-02-20 2018-08-29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939354B1 (ko) 2017-02-20 2019-01-16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19125370A (ja) * 2018-01-17 2019-07-25 憲 塚田 携帯電子機器保持具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JP3218326U (ja) * 2018-07-24 2018-10-04 株式会社ナイス企画 支持具
KR101979629B1 (ko) 2018-12-19 2019-05-17 여창기 다용도 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242A1 (ko) * 2022-02-23 2023-08-31 윤여신 휴대 단말기용 홀더
KR20230161846A (ko) 2022-05-19 2023-11-28 유현우 휴대형 단말기 홀더
KR20230001441U (ko) 2022-07-07 2023-07-14 주식회사 에즈워즈 휴대폰 그립퍼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4681A1 (en) 2021-07-08
US11140970B2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540B1 (ko) 휴대폰용 홀더
US9031623B2 (en) Cellular phone case
US20210231970A1 (en) Clip-on glasses system and carry case for same
JP4098360B2 (ja) 日用品及び/又は消耗品用カード形収納ケース
US9277038B1 (en) Attachable kickstand with multiple positions for cellular phone
US8205776B2 (en)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US6594865B2 (en) Retaining clip
WO2019210222A1 (en) Foldable eyeglasses and case
WO20120550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10068245A1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one-piece display easel
CN112005500A (zh) 与便携式电子设备一起使用的手持装置及使用方法
WO2020049453A1 (en) Suppor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the like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2021000701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US20050135603A1 (en) No rub latch for an electronic device cradle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20110053659A1 (en) Integral mobile device storage compartment
KR20190030925A (ko)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JPH11207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CN114697431A (zh) 电子设备
US20020124355A1 (e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a clip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20080076520A (ko) 휴대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폰
KR102532654B1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CN217695498U (zh) 一种首饰收纳盒
KR102226682B1 (ko) 슬라이딩 변위형 스트립 타입 폰 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