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138A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138A
KR20170133138A KR1020160064197A KR20160064197A KR20170133138A KR 20170133138 A KR20170133138 A KR 20170133138A KR 1020160064197 A KR1020160064197 A KR 1020160064197A KR 20160064197 A KR20160064197 A KR 20160064197A KR 20170133138 A KR20170133138 A KR 2017013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ortable device
grip member
curved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박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우 filed Critical 박종우
Priority to KR102016006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138A/ko
Publication of KR2017013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가 휴대기기(1)의 배면에 고정되어 휴대기기(1)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며, 내측에는 띠 형상의 절개공(11)이 형성된 탄성밴드(10); 및 띠 형상이며 중간부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탄성밴드(10)의 절개공(11)의 내벽에 결합되고,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휴대기기(1)쪽으로 돌출되게 만곡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양단부가 휴대기기(1)쪽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그립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되게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와 휴대기기(1)의 배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3)이 끼워질 수 있는 폐루프의 끼움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A both supporter 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 등에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뉴스 등의 기사를 보거나 SNS를 하며, 게임, 동영상 시청 등 여러 기능을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자체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휴대폰을 파지하고 통화할 경우 파지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손이 작기 때문에 사이즈가 큰 휴대폰을 파지하기가 더 쉽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을 떨어뜨려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링체를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링체는 휴대폰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다.
한편, 휴대폰의 여러 기능을 사용할 때 휴대폰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위치가 다양하게 바뀌게 된다. 즉, 셀카촬영버튼은 휴대폰의 하단에 위치되고 인터넷창을 끄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상단을 터치해야 하는 등 휴대폰을 터치하는 손가락은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파지하는 손가락의 위치도 함께 바뀌게 된다.
그런데 종래 링체는 휴대폰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휴대폰의 여러 기능을 사용할 때마다 손가락의 위치를 바꿀 수 없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때, 손가락을 링체에서 뺀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의 파지가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링체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경사지게 거치시키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 링체를 금속으로 제작하므로, 휴대폰을 가방 등에 휴대시 다른 물품들에 충돌로 인해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68949호와 같이 링체가 휴대폰에서 상당히 돌출될 경우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고 분리보관할 경우 사용할 때마다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링체는 사람들의 손가락의 굵기가 제각각인 것을 감안하면 특히 손가락이 얇은 사람의 경우에는 손가락 사이가 많이 벌어지게 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94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이하, 휴대기기라 통침함)를 한 손으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의 크기 및 사용용도에 따라 휴대기기의 다양한 위치를 터치할 수 있도록 파지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여러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기기에서 많이 돌출되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하며 연질수지로 이루어져서 타물품과의 충돌로 인해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양단부가 휴대기기(1)의 배면에 고정되어 휴대기기(1)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며, 내측에는 띠 형상의 절개공(11)이 형성된 탄성밴드(10); 및 띠 형상이며 중간부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탄성밴드(10)의 절개공(11)의 내벽에 결합되고,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휴대기기(1)쪽으로 돌출되게 만곡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양단부가 휴대기기(1)쪽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그립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되게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와 휴대기기(1)의 배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3)이 끼워질 수 있는 폐루프의 끼움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밴드(10)의 양단부를 이격되게 연결하되 탄성그립부재(20)의 만곡진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배면에는 휴대기기(1)에 부착되는 접착부(31)가 형성된 베이스시트(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그립부재(2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심재(21)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심재(21)를 감싸며 폭방향 양단부가 탄성밴드(10)에 일체로 결합된 외피(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기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면서도 휴대기기(1)의 여러 기능에 맞는 터치부위의 변화에 따라 손가락(3)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기기(1)의 여러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기기(1)를 테이블 등에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도 있어 편리하다. 즉, 손가락(3)이 끼워지도록 탄성그립부재(20)를 C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탄성밴드(10)의 탄성변형에 의해 탄성그립부재(20)가 휴대기기(1)의 배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그립부재(20)에 의해 휴대기기(1)를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그립부재(20)와 베이스시트(30) 또는 탄성그립부재(20)와 휴대기기(1)의 배면에 의해 폐루프 형상의 끼움공(23)이 형성되어, 종래와 달리 손가락(3)이 빠질 염려가 없으므로 휴대기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3)이 위치 이동되더라도 끼움공(23)이 유지되므로 휴대기기(1)의 파지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탄성그립부재(20)의 양단부는 탄성밴드(10)에 의해 휴대기기(1)의 배면 또는 베이스시트(30)에 가압밀착되므로, 종래와 달리 끼움공(23)의 일부분이 외력에 의해 개구될 염려가 없어 손가락(3)이 끼움공(23)에 끼워진 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휴대기기(1)의 파지안정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이때, 베이스시트(30)에 C형상으로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의 단부가 걸려지는 미끄럼방지홈(32)이 형성되므로, 탄성그립부재(20)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C형상이 펼쳐지도록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끼움공(23)이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끼움공(23)은 탄성그립부재(20)의 탄성변형에 의해 사이즈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3)의 굵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어 종래 링 형상의 파지구에 비해 손가락(3) 사이가 강제적으로 벌어져서 불편한 문제가 해소된다.
그리고 한편, 휴대기기(1)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탄성밴드(10)와 탄성그립부재(20)가 실리콘 등 연질로 이루어져서 타물품과에 충돌로 인한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베이스시트(30)와 탄성그립부재(20) 및 탄성밴드(10)가 납작한 형상이며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종래 링체에 비해 휴대기기(1)에서 많이 돌출되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하고 기업체 로고 등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파지구의 A-A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5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40)는 휴대기기(1)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시트(30)와,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시트(30)의 양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탄성밴드(10)와, 중간부의 폭방향 좌우 양단이 상기 탄성밴드(10)에 일체로 결합된 탄성그립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시트(30)는 휴대기기(1)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접착부(31)가 형성되며 이 접착부(31)에는 도시안된 이형지가 부착되어 이형지를 제거한 후 휴대기기(1)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베이스시트(30)는 금속도 가능하나 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시트(3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한편, 베이스시트(30)의 타면에는 상기 탄성그립부재(20)의 단부가 걸려져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홈(32)이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탄성밴드(1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양 단부가 베이스시트(3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베이스시트(30)에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러한 탄성밴드(10)는 탄성소재 즉,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시트(30)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탄성밴드(10)의 내측에는 띠 형상의 절개공(1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그립부재(20)는 탄성밴드(10)의 절개공(11)에 배치될 수 있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2와 같이 심재(21)와 외피(22)로 구성된다. 심재(21)는 띠 형상이며 탄성재질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폭방향 단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베이스시트(30)에 근접되도록 만곡 형성된다. 외피(22)는 심재(21)를 감싸며 길이방향 중간부가 탄성밴드(10)의 절개공(11)의 대향되는 양측 내벽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외피(22)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밴드(10)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탄성그립부재(20)는 볼록한 만곡면의 중간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3과 같이 탄성그립부재(20)의 양단부가 베이스시트(30)쪽으로 만곡되고 중간부가 베이스시트(30)에서 이격되도록 C형상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탄성밴드(10)가 베이스시트(30)에서 이격되도록 잡아당겨지게 되므로, 탄성그립부재(20)의 양단부는 탄성밴드(10)의 복원력에 의해 베이스시트(30)에 가압밀착된다. 이에 따라, C형상으로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와 베이스시트(30)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폐루프의 끼움공(23)이 형성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탄성그립부재(20)의 양단부가 베이스시트(30)의 미끄럼방지홈(32)에 걸려지므로, 탄성그립부재(20)에 외력이 가해져서 탄성그립부재(2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방지되어 끼움공(23)의 형상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탄성그립부재(20)가 탄성밴드(10)에 의해 베이스시트(30)쪽으로 가압되므로 탄성그립부재(20)의 양단부가 미끄럼방지홈(32)에 더욱 견고하게 걸려져서 끼움공(23)의 형상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끼움공(23)에 손가락(3)을 끼워서 파지함으로써, 휴대기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그립부재가 휴대기기의 외측으로 만곡되는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탄성그립부재(20)가 내측 즉, 휴대기기(1)를 향해 C형상으로 만곡되므로, 이와 같이 만곡된 탄성그립부재(20)가 휴대기기(1)의 배면과 함께 폐루프의 끼움공(23)이 형성되므로, 종래에 비해 손가락(3)이 끼움공(23)에서 빠질 염려가 없어 휴대기기(1)의 파지가 보다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특히, 누워서 휴대기기(1)를 사용할 경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휴대폰이 손가락에서 빠져서 사용자의 얼굴에 떨어질 수 있어 위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해소된다.
한편, 휴대기기(1)의 사용용도에 따라 휴대기기(1)를 파지하는 손가락(3) 및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손가락(3)의 위치가 변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40)의 탄성그립부재(20)의 위치가 터치하는 손가락(3)의 위치에 따라 위치 변경될 수 있다. 즉, 양단부가 고정된 탄성밴드(10)가 도 6과 같이 탄성그립부재(20)를 중심으로 상측을 신장시키고 하측을 축소시키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상측을 다시 축소시키고 하측을 신장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로 탄성변형될 수 있으므로, 중간부가 탄성밴드(10)에 결합된 탄성그립부재(20) 역시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어 손가락(3)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뉴스기사 검색, 동영상 시청, SNS 등을 할 경우에는 휴대기기(1)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손가락이 중간에 위치되므로, 도 5와 같이 탄성그립부재(20)가 베이스시트(1)의 중간부로 위치 이동된다.
그리고 셀카촬영의 경우에는 대부분 촬영버튼이 휴대기기(1)의 하단에 위치되므로, 도 6과 같이 터치하는 손가락이 하측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성그립부재(20)가 베이스시트(30)의 중간부에서 하단부쪽으로 위치 이동된다.
한편, 휴대기기(1)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용도 등에 따라 탄성그립부재(20)와 베이스시트(30)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공(23)에 끼워지는 손가락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는 휴대기기(1)의 충전단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탄성그립부재(20)가 C형상으로 탄성변형됨에 따라 도 7과 같이 휴대기기(1)를 테이블 등에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겸용 파지구(40)는 상기와 같이 휴대기기(1)를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베이스시트(30)가 구비되지 않고 탄성밴드(10)의 양단부가 휴대기기(1)에 서로 이격되게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밴드(10)의 양단부에는 휴대기기(1)에 밀착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단부에 접착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공(23)은 C형상으로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와 휴대기기(1)의 배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휴대기기 3 : 손가락
10 : 탄성밴드 11 : 절개공
20 : 탄성그립부재 30 : 베이스시트

Claims (4)

  1. 양단부가 휴대기기(1)의 배면에 고정되어 휴대기기(1)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며, 내측에는 띠 형상의 절개공(11)이 형성된 탄성밴드(10); 및
    띠 형상이며 중간부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탄성밴드(10)의 절개공(11)의 내벽에 결합되고,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휴대기기(1)쪽으로 돌출되게 만곡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양단부가 휴대기기(1)쪽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그립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되게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와 휴대기기(1)의 배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3)이 끼워질 수 있는 폐루프의 끼움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10)의 양단부를 이격되게 연결하되 탄성그립부재(20)의 만곡진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배면에는 휴대기기(1)에 부착되는 접착부(31)가 형성된 베이스시트(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30)의 전면에는 상기 만곡되게 탄성변형된 탄성그립부재(20)의 단부가 걸려지는 미끄럼방지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그립부재(2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심재(21)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심재(21)를 감싸며 폭방향 양단부가 탄성밴드(10)에 일체로 결합된 외피(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1020160064197A 2016-05-25 2016-05-25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20170133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97A KR20170133138A (ko) 2016-05-25 2016-05-25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97A KR20170133138A (ko) 2016-05-25 2016-05-25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38A true KR20170133138A (ko) 2017-12-05

Family

ID=6092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197A KR20170133138A (ko) 2016-05-25 2016-05-25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1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0042778A (ko) * 2018-10-16 2020-04-24 유현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135207B1 (ko) * 2020-02-11 2020-07-17 (주)모란카노코리아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CN114815973A (zh) * 2021-01-29 2022-07-29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携带式计算机及把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0042778A (ko) * 2018-10-16 2020-04-24 유현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135207B1 (ko) * 2020-02-11 2020-07-17 (주)모란카노코리아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CN114815973A (zh) * 2021-01-29 2022-07-29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携带式计算机及把手
CN114815973B (zh) * 2021-01-29 2024-03-19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携带式计算机及把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9640B2 (en) Mobile accessory system
US10610004B1 (en) Multipurpose holder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US9004333B2 (en) Cases and cover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989372B2 (en) Cover for mobile terminal
US20030000976A1 (en) Holder for a cellular telephone in combination with a clip adapted to be secured to clothing articles and clothing accessories
TWM514711U (zh) 保護套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WO201406684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ring-holder
US20160127526A1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939354B1 (ko)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029844A (ko)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2151793B1 (ko) 보조배터리 고정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473092Y1 (ko)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JP3093933U (ja) 携帯物品の支持装置
KR20160114955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JP2017194888A (ja) 携帯電子製品用のホルダー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CN210930010U (zh) 一种保护套
KR102532654B1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