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07B1 -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 Google Patents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07B1
KR102135207B1 KR1020200016222A KR20200016222A KR102135207B1 KR 102135207 B1 KR102135207 B1 KR 102135207B1 KR 1020200016222 A KR1020200016222 A KR 1020200016222A KR 20200016222 A KR20200016222 A KR 20200016222A KR 102135207 B1 KR102135207 B1 KR 10213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base
pad
slits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모란카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란카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모란카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1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슬릿 구조로 인하여 슬릿을 중심으로 슬릿 틈의 확장에 따라 인접한 밴드가 벌어지면서 손가락 투입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할 수 있는,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은 폰 또는 보호케이스 부착부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상하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는 양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고 좌우 어느 일측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하나의 슬릿, 또는 인접배열된 좌우 각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두 슬릿을 하나의 요소로 하는 신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TRANSFORMABLE HANDLE FOR MOBILE}
본 발명은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슬릿 구조로 인하여 슬릿을 중심으로 슬릿 틈의 확장에 따라 인접한 밴드가 벌어지면서 손가락 투입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베이스나 패드에 슬릿 타입 신축부를 도입하여 패드가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신축부가 변형되어 늘어나서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 손가락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폰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잡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패드의 뒤집힘 변형까지 가능하여 패드를 책상 등에 거치하여 폰을 잡지 않고 영상 등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용 핸들,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또는 밴드) 타입 핸들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60676호(등록일자 2012년05월23일) [휴대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휴대폰을 용이하게 파지(把指)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에 탈착되는 커버의 배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띠 형상의 고정밴드를 다양한 형상으로 접착하는 것으로, 커버의 배면에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직물재질의 고정밴드를 접착하여 사용자가 고정밴드 사이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함으로 인해 고가의 휴대폰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떨어뜨려 파손되는 위험을 방지하여 고가의 휴대폰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464283호(등록일자 2012년12월14일)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휴대폰 케이스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고도 사용 중인 휴대폰 케이스의 후면에 손가락 거치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휴대폰을 책상 등에 올려놓고 동영상 등을 감상할 때 지지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거치구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717074호(등록일자 2017년03월10일)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TV, 영화, 동영상 등을 시청하거나 네비게이터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휴대폰의 배면 측에 간단하게 부착하는 방법으로도 휴대폰을 이용하여 TV, 영화,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20-0487851호(등록일자 2018년11월06일) [휴대폰 거치장치]에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휴대폰의 배면 또는 상기 휴대폰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의 배면을 포함하는 설치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는,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기구 바디;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를 상기 설치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한쌍의 기구 바디 사이에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에서 펼쳐질 때 상기 손가락이 걸려 거치되게 하는 접철식 탄성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스트립(또는 밴드) 타입 핸들이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늘어나거나 고리 등에 여유 있게 결합된 스트립이 슬라이딩 변위되면서 손가락 투입 공간이 생성되는 것이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그만큼 단가 상승 요인이 되어 소비자가 부담없이 구매하기 어렵고, 더 나아가 가격 경쟁력에 민감한 판촉물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또 일정 사용 기간 경과에 따라 탄성이 회복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슬릿 구조로 인하여 슬릿을 중심으로 슬릿 틈의 확장에 따라 인접한 밴드가 벌어지면서 손가락 투입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베이스나 패드에 슬릿 타입 신축부를 도입하여 패드가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신축부가 변형되어 늘어나서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 손가락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폰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잡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패드의 뒤집힘 변형까지 가능하여 패드를 책상 등에 거치하여 폰을 잡지 않고 영상 등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1~3개의 슬릿으로 구성된 신축부의 요소가 베이스나 패드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어 1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 공간의 확장성을 최대화함은 물론, 패드의 뒤집힘이 보장되어 2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책상 등에 핸즈프리 비치가 가능하도록 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신축부의 요소가 베이스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 편리성과, 단순한 외관 특성이 확보되도록 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트립 슬릿의 개구부 반대측 말단이 파손방지 라운드부 구조를 가져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타입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은
폰 또는 보호케이스 부착부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상하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는 양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고 좌우 어느 일측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하나의 슬릿, 또는 인접배열된 좌우 각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두 슬릿, 또는 인접배열된 좌우좌 각 방향의 개구부를 구비한 세 슬릿을 하나의 요소로 하는 신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에서
상기 신축부 요소는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 요소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은 개구부의 반대측 말단에 파손방지 라운드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은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베이스나 패드에 슬릿 타입 신축부를 도입하여 패드가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신축부가 변형되어 늘어나서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 손가락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폰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잡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패드의 뒤집힘 변형까지 가능하여 패드를 책상 등에 거치하여 폰을 잡지 않고 영상 등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1~3개의 슬릿으로 구성된 신축부의 요소가 베이스나 패드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어 1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 공간의 확장성을 최대화함은 물론, 패드의 뒤집힘이 보장되어 2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책상 등에 핸즈프리 비치가 가능하고, 나아가 신축부의 요소가 베이스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 편리성과, 단순한 외관 특성이 확보되고, 아울러 스트립 슬릿의 개구부 반대측 말단이 파손방지 라운드부 구조를 가져 내구성이 향상되어, 결국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슬릿 구조로 인하여 슬릿을 중심으로 슬릿 틈의 확장되고 또 슬릿 사이에 밴드가 형성되는 경우 슬릿에 인접한 밴드가 변형되어 슬릿을 중심으로 벌어지면서 손가락 투입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여 1차 손가락 거치 및 2차 핸즈프리(hans-free) 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의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에 변형 트랜스폼 핸들의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에 변형 트랜스폼 핸들의 장착 상태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폼 핸들(H)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 [B] 및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P) 또는 보호케이스(P1) 배면에 핸들(H)을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고 손가락을 베이스(10)와 패드(20) 사이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폰을 세로로 세워 관찰하는 점을 고려하여,
베이스(10) 양측의 결합부(13)를 상부(도 1 [B]에서 좌측) 및 하부(도 1 [B]에서 우측)로 정하고,
도 1 [B]에서 상부를 우측, 하부를 좌측으로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A] 및 [B]의 베이스(10)측 관찰 사시도 및 저면도, 도 1 [C]의 패드(20)측 관찰 사시도,
도 2 [A]의 다른 형태(도 1과 달리 슬릿(31)이 확장부(37)를 갖지 않는다)의 핸들(H),
도 2 [B]의 폰(P)에 핸들(H)을 부착한 사용 상태도,
도 3 [A]의 보호케이스(P1)에 핸들(H)을 부착한 사용 상태 사진,
도 3 [B] 및 [C]의 보호케이스(P1)에 핸들(H)을 부착한 상태에서 패드(20) 뒤집어 핸즈프리(hans-free) 거치 상태를 도시한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H)은 베이스(10), 패드(20), 슬릿(31)으로 구성된 신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는 폰(P) 또는 보호케이스(P1)용(결합용) 부착부(11)를 구비하고, 패드(20)와의 연결을 위한 상하 양측 결합부(13)를 갖는다.
또 패드(20)는 상기 베이스와 상하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신축부(30)는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양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며 좌우 어느 일측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하나의 슬릿, 또는 인접배열된 좌우 각 방향의 개구부(33)를 갖는 두 슬릿(31)을 하나의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인접배열된 좌우 각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두 슬릿(31)을 갖는 구조이며,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신축부(30) 요소는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의 양측에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대칭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부(30) 요소를 이루는 슬릿은 1 또는 2 개이며, 신축부를 구성하는 슬릿은 필요에 따라 신축부 요소의 조합에 따라 3~십수개, 또는 그 이상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폰"은 스마트폰이거나 기타 피처폰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전화, 그 외 태블릿PC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를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그런 의미에서 모바일 기기용 트랜스폼 핸들(H)은 그 소재나 강도, 슬릿(31) 사이에 형성되는 밴드(B30)의 수 및 강도를 고려하고, 최대 사람의 손바닥 2개, 바람직하기로는 손바닥 1개가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 삽입되는 정도이면 충분하므로, 슬릿의 수는 20개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개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신축부(30) 요소를 이루는 슬릿 1 및 슬릿 2의 조합으로 세 슬릿으로 구성된 신축부가 구성되는 경우
인접배열된 좌우좌 각 방향의 개구부를 구비한 세 슬릿으로 구성되어 인접 슬릿의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밴드는 2개 형성된다.
넷 이상의 슬릿이 구성되는 경우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30) 요소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있어 단순한 외관 특성을 확보하고 옷이나 가방 등이 슬릿에 걸려 핸들(20)이나 모바일 기기가 파손되거나 걸린 물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폼 핸들(H)은 상기 신축부(30)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31)이 개구부(33)의 반대측 말단에 파손방지 라운드부(3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라운드부(35)는 도 1과 같이 개구부(33)측으로 더 넓어진 확장부(37)를 가져 슬릿(31)의 확대 특성을 더 확보하고 라운드부(35)와 함께 파손방지 기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폼 핸들(H)은 베이스(10), 패드(20), 부착부(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염가로 구매할 수 있으며 질김 특성을 갖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나 기타 공지의 합성수지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패드, 부착부는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일부 또는 전체가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소비자가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고 가격 경쟁력에 민감한 판촉물 시장에 진입하기에 적합한 대량 생산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착부(11)가 양측 신축부 요소 사이에 형성되며, 특히 부착부(11)용 리세스(11A)가 함몰 형성되어 있어(도 1 [A] 참조), 부착부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 등을 도입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폼 핸들(H)은 1~3개의 슬릿(31)으로 구성된 신축부(30)의 요소가 베이스(10)나 패드(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어 1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사용자의 손가락 투입 공간의 확장성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 경우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는 결합부(13) 등으로 인하여 갭(G)이 형성되어 있어 초기 손 끝 투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3개의 슬릿(31)으로 구성된 신축부(30)의 요소인 경우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밴드(B30)는 슬릿의 확장 변형과 함께 밴드(B30)의 뒤틀림 변형까지 이루어져
결국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슬릿 구조로 인하여 슬릿을 중심으로 슬릿 틈의 확장되고(신축부(30)의 요소가 1~3개의 슬릿인 경우),
또 슬릿 사이에 밴드가 형성되는 경우 슬릿에 인접한 밴드가 변형되어 슬릿을 중심으로 벌어지면서(신축부(30)의 요소가 2, 3개의 슬릿인 경우)
손가락 투입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트랜스폼 핸들을 제공하여 1차 손가락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3 [B] 및 [C]와 같이,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착부(11)가 고정된 상태에서 각 신축부 요소의 슬릿(31)이 벌어지고 밴드(B30)가 뒤틀리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패드(20)의 뒤집힘이 보장되어 2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한 책상 등에 핸즈프리 비치, 즉 핸즈프리(hans-free) 거치까지 가능하여 폰을 잡지 않고 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폼 핸들(H)은 모바일 기기의 크기나 가로, 세로 비율, 사용자의 습관이나 편의에 따라 모바일 기기나 보호케이스에 부착되는 위치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핸들 및 부착부의 제원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핸들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스마트폰 P1: 보호케이스
H: 핸들 10: 베이스
11: 부착부 13: 결합부
20: 패드 30: 신축부
31: 슬릿 33: 개구부
B30: 밴드 35: 라운드부

Claims (4)

  1. 폰 또는 보호케이스 부착부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상하 양측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또는 패드, 또는 이 둘 모두는 양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고 좌우 어느 일측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하나의 슬릿이거나, 인접배열된 좌우 각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두 슬릿을 하나의 요소로 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부 요소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각 신축부 요소를 이루는 슬릿은 2 개이고, 각 슬릿의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하나의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두 슬릿 사이에는 하나의 밴드가 형성되어 있거나,
    각 신축부 요소를 이루는 슬릿은 3 개이고, 각 슬릿의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하나의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인접 슬릿 사이에는 하나의 밴드가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신축부 요소에는 두 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폰 또는 보호케이스 결합용으로 양측 신축부 요소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착부가 구비되고,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착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각 신축부 요소의 슬릿이 벌어지고 밴드가 뒤틀리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패드의 뒤집힘을 통한 2차 트랜스폼(변형)에 의하여 핸즈프리(hans-free) 거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폼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패드 사이에는 결합부로 인하여 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 요소를 구성하는 슬릿은 개구부의 반대측 말단에 파손방지 라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폼 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는 개구부측으로 더 넓어진 확장부를 가져 슬릿의 확대 특성을 더 확보하고 라운드부와 함께 파손방지 기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폼 핸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부착부용 리세스가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폼 핸들.
KR1020200016222A 2020-02-11 2020-02-11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KR10213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22A KR102135207B1 (ko) 2020-02-11 2020-02-11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22A KR102135207B1 (ko) 2020-02-11 2020-02-11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207B1 true KR102135207B1 (ko) 2020-07-17

Family

ID=7183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22A KR102135207B1 (ko) 2020-02-11 2020-02-11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55A (ko) * 2015-03-25 2016-10-06 김남윤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70133138A (ko) * 2016-05-25 2017-12-05 박종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55A (ko) * 2015-03-25 2016-10-06 김남윤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70133138A (ko) * 2016-05-25 2017-12-05 박종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8827234B2 (en) One-handed, back-based support for a hand-held object
US20120211377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9671057B2 (en) Support plate
US20130270980A1 (en) Protective sheath
US20140145055A1 (en) Protective cover
KR102037673B1 (ko) 사용자 기기의 외장 커버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US8939283B2 (en) Protective bag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GB2500315A (en) A protective cover having an internal suppor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10784915B2 (en) Compression sleeve carrying syste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010069646A (ko)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11375056B2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US9370229B2 (en) Protective bag with support element
CN204120423U (zh) 一种设有腕带的新型保护套
US9816664B2 (e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0242596Y1 (ko)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