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509B1 -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509B1
KR102292509B1 KR1020200185997A KR20200185997A KR102292509B1 KR 102292509 B1 KR102292509 B1 KR 102292509B1 KR 1020200185997 A KR1020200185997 A KR 1020200185997A KR 20200185997 A KR20200185997 A KR 20200185997A KR 102292509 B1 KR102292509 B1 KR 10229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late
holder
middle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주) 우성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성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 우성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0018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스트랩과 스트랩 가이드를 갖는 중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은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게 되는데, 스트랩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부위이므로 중판의 스트랩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홀더는 상판과 중판과 하판을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홀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Description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Multipurpose hol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냉장고나 벽면 등에 부착하여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의 기능과 골프 가방에 부착하는 네임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욕구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람들의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었으며,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커짐에 따라 휴대단말기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일반 전화로서의 기능은 물론 동영상이나 음악재생, 촬영, 인터넷검색, 메모 등 다양한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이 부가되면서, 사용자가 책상 등에 거치하거나 이동 중에도 사용할 정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중 사용시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휴대단말기를 손에서 떨어 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파지하여 휴대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을 뿐아니라, 책상등에 거치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구조로서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휴대단말기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된 고리 홀더를 부착하여 손가락으로 이 고리 홀더를 파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고리 홀더를 거치대로 적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바닥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휴대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고리 홀드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고리 홀더는 휴대단말기를 필수품처럼 휴대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거에 비해 그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스트랩과 스트랩 상단에 설치되는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휴대단말기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를 출원한 바 있으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아니라 주 소재가 가죽이나 인조 가죽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와 거치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행거나 네임텍의 추가 기능들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 재질로 인하여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추고, 다양한 용도로 인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다용도 홀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512호(2019.09.18.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의 접착으로 이루어지며, 스트랩 가이드의 내부 공간에 대한 스트랩의 이동만으로 스트랩에 의한 구부러지게 만들어진 공간을 활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와 네임텍의 기능 등 보다 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의 재질의 변경을 통하여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의 제조시에 단순 프레스 절단이 가능하고 이후 이들을 접착제에 의한 접합으로 다용도 홀더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다용도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홀더는, 상판과 스트랩과 스트랩 가이드를 갖는 중판과 하판의 접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트랩은 스트랩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움직이며, 상판에는 스트랩 끼움홈이 형성되어 스트랩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스트랩의 일단이 스트랩 끼움홈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스트랩의 일단이 상기 스트랩 가이드에 고정되며, 상판에는 스트랩 인출홀이 형성되어 스트랩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져 스트랩 인출홀을 통해서 상판 위로 도출하게 된다.
상판과 하판은 경질의 아스테이지 또는 단순 철판 또는 자성을 갖는 자성판중에서 선택적으로 중판은 연질의 TPU(Themoplastic polyurethane)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단순 프레스 작업에 의해서 다양한 모양과 크기에 맞도록 제조된 후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접합 공정을 거치면 완성된 다용도 홀더가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파지나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하는 거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방, 옷, 문손잡이 등에 걸어 사용하는 행거와 네임텍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판과 하판은 경질의 아스테이지 또는 단순 철판 또는 자성을 갖는 자성판을 사용하고 변형이 필요한 중판은 연질의 TPU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스 절단이 가능하고 이후 이들을 접착제에 의한 단순 접합만으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작업 공정을 간단히 하거나 다양한 형상의 다용도 홀더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부착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다용도 홀더에 부착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1의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사용예이다.
도 4는 도1의 다용도 홀더의 벽면 부착 사용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다용도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5의 다용도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5의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사용예이다.
도 8은 다용도 홀더의 중판이 휴대폰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일부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부착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1의 다용도 홀더에 부착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1의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사용예이고, 도 4는 도 1의 다용도 홀더의 벽면 부착 사용예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홀더(10)는 도시되지 않은 접착부재를 통하여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20)의 후면에 접착되게 된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일면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접착되고 타면은 다용도 홀더의 하판에 접착됨으로써 다용도 홀더를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와 접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용도 홀더를 냉장고 등과 같은 철재 제품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일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자석을 하판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하판 자체를 자성을 갖는 자성판으로 하여 냉장고 등의 절재 제품에 바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네임텍과 같이 다용도 홀더의 하면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하면이 부착될 필요가 없이, 스트랩의 구부러져 형성된 공간 부위를 이용하여 다용도 홀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용도 홀더는 상판(100)과 스트랩(210)과 스트랩 가이드(220)를 갖는 중판(200)과 하판(30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은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게 되는데, 스트랩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부위이므로 중판의 스트랩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이 부분에서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스트랩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스트랩은 하부의 양쪽으로 스트랩 단(211)이 형성되고 상부의 일정 부위의 양단으로 스트랩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 가이드(220)는 중앙부위에 스트랩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스트랩 하단 보다 폭과 같거나 조금 크게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스트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트랩 하부의 스트랩 단의 폭보다 작은 개폐부위(221)를 가지고 있어, 스트랩 단이 상기 개폐부위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스트랩의 완전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스트랩은 스트랩 가이드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스트랩 하단의 스트랩 단과 스트랩 가이드 상단의 개폐부위와 맞닿게 되면 스트랩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렇게 스트랩이 스트랩 가이드를 따라 움직여 도출되게 된 후 스트랩을 구부려 스트랩 상부를 상판의 스트랩 끼움홈(110)에 끼우면 스트랩 상부의 홈과 스트랩 끼움홈의 결합에 의해서 스트랩이 고정되면서 구부러진 스트랩이 고리 모양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도3과 같이 손가락을 걸고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쥘 수 있게 되므로,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안정되게 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스트랩이 구부려진 상태에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옆으로 두게 되면 스트랩이 형성한 고리 모양 공간의 옆면이 지면과 닿게 되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4와 같이 이러한 다용도 홀더를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부착하는 대신 씽크대 위의 벽면이나 냉장고 및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랩이 고리 모양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고리에 각종 주방용품이나 옷 등을 걸어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외에도 고리를 활용하여 다용도 홀더를 부착함으로써 각종 네임텍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다용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용도 홀더는 상판(100)과 스트랩(210)과 스트랩 가이드(220)를 갖는 중판(200)과 하판(30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은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게 되는데, 스트랩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부위이므로 중판의 스트랩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서 접착제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별도의 양면 테이프나 자석과 같은 부착부재가 하판에 별도로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나 벽면 등 필요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하판 자체를 얇은 철판이나 자성을 갖는 자성판으로 만들어 자동차 스마트폰 자석 거치대나 냉장고와 같은 철재 제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스트랩이 스트랩 가이드보다 길이가 길어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이 접착되어 결합될 때 스트랩의 일부가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벗어나게 되며,
스트랩의 일단은 스트랩 가이드 일측에 고정되며, 스트랩의 타단은 스트랩의 폭보다 넓게 단이 형성되고, 중판의 스트랩 가이드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스트랩의 타단이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스트랩 타단에 대응되는 깊이와 넓이를 가지고 확장된 스트랩 가이드 홈(22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트랩이 구부려진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스트랩의 타단을 스트랩의 일단이 고정된 방향으로 밀게 되면, 스트랩의 중간부위가 상판의 스트랩 인출홀(120)을 통하여 인출되면서 도 7의 다용도 홀더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사용예와 같이 중간 부위가 구부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처럼 중간 부위가 구부려져 공간이 형성된 곳을 활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도 있고, 다용도 홀더를 벽면에 부착한 경우에는 여기에 옷걸이 등을 걸 수도 있으므로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용도 홀더의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은 기존 가죽 이나 플라스틱 재질 대신 상판과 하판은 경질의 아스테이지 재질을 주로 사용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히 얇은 철판이나 자성을 갖는 자성판을 사용하게 되며 중판의 경우에는 스트랩이 구부려져야 하므로 연질의 TPU 재질을 사용하고, 상판과 하판의 경우는 변형이 되지 않는 범위의 최소 두께에 가까운 3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나 중판의 경위에는 상판과 하판보다는 얇은 두께인 1 mm 내외으 두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판과 하판 및 중판의 전체적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변경에 적합한 금형 또는 도무송 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프레스 작업으로 만들게 되면, 기존 가죽 재질 사용시의 박음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사용시의 사출성형보다도 제조 비용과 공정이 훨씬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의 제품을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별도로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게 되면 다용도 홀더는 완성되게 되며 기본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완성된 다용도 홀더의 하판의 하부에 별도의 접착부재를 더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곳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다용도 홀더를 휴대폰에 사용할 때에는 도 1, 도3 및 도7과 같이 별도의 다용도 홀더를 휴대폰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도 있지만, 도8과 같이 휴대폰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다용도 홀더의 중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두께를 더욱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다용도 홀더
2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0 상판
110 스트랩 끼움홈 120 스트랩 인출홈
200 중판
210 스트랩 211 스트랩 단
212 스트랩 홈
220 스트랩 가이드 221 개폐부위
223 스트랩 가이드 홈
300 하판

Claims (7)

  1. 삭제
  2. 상판과 스트랩과 스트랩 가이드을 갖는 중판과 하판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가이드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움직이며,
    상기 상판에는 스트랩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홀더
  3. 상판과 스트랩과 스트랩 가이드을 갖는 중판과 하판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이 상기 스트랩 가이드에 고정되며, 스트랩의 타단은 스트랩의 폭보다 넓게 단이 형성되며,
    상기 중판의 스트랩 가이드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스트랩의 타단이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스트랩 타단에 대응되는 깊이와 넓이를 가지고 확장된 스트랩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는 스트랩 인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홀더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은 경질의 아스테이지 또는 단순 철판 또는 자성을 갖는 자성판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중판은 연질의 TP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홀더
  6. 제2항 또는 제3항의 구성을 가진 상판과 중판과 하판을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 제조된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홀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의 스트랩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홀더 제조방법
KR1020200185997A 2020-12-29 2020-12-29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29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97A KR102292509B1 (ko) 2020-12-29 2020-12-29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97A KR102292509B1 (ko) 2020-12-29 2020-12-29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09B1 true KR102292509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997A KR102292509B1 (ko) 2020-12-29 2020-12-29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963517B1 (ko) *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963517B1 (ko) *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784B2 (en) Folding handheld device holding system
US9004333B2 (en) Cases and cover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U2018210691B2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887970B2 (en) Portable electronic module having a holder
US9748999B2 (en)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JP6238894B2 (ja) 表示画面及びレンズの掃除用具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US20120074006A1 (en) Cases and Covers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KR102292509B1 (ko)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US20110031289A1 (en) Wrist worn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US20180234768A1 (en) Speaker System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1591Y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US20180367181A1 (en) Portable product lanyard
CN215222277U (zh) 带支架与磁吸功能的手机壳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CN208158698U (zh) 一种带拉环支架的手机壳
KR20120000423U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용 케이스
US20240041192A1 (en) One-piece phone case grip holder
KR102130640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CN214799578U (zh) 带支架的MFi磁吸手机壳
CN215681832U (zh) 一种耳机充电盒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