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640B1 -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640B1
KR102130640B1 KR1020200029450A KR20200029450A KR102130640B1 KR 102130640 B1 KR102130640 B1 KR 102130640B1 KR 1020200029450 A KR1020200029450 A KR 1020200029450A KR 20200029450 A KR20200029450 A KR 20200029450A KR 102130640 B1 KR102130640 B1 KR 10213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ccessory
cover plate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20002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위치한 어떠한 주변 환경이나 조건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잡거나 거치할 수 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액세서리 미사용시에도 액세서리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10); 소정의 길이를 가진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고리(20);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0); 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20)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21) 및 제2연결부(22)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모바일 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Accessorie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스트랩 기능, 모바일 기기를 벽이나 차량에 고정하거나 바닥에 세우는 등의 일련의 거치 기능 및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인류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 일 예로 원거리에서 서로 통화할 수 있는 무선 전화기를 들 수 있다.
무선 전화기는 한정된 장소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종래의 유선 전화기와 달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편리성으로 인해 쉽게 대중화되었으며, 더욱이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가 갖는 단순 통화 기능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여 음악, TV, 영화 등의 멀티미디어 감상, 무선 인터넷 접속에 의한 정보 검색, 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는 현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다수의 사람이 소유하고, 또한 항시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를 휴대할 때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각종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37340호에서는 일면이 단말기의 일면에 맞닿아 탈부착되고,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결합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오랜 기간 사용함에도 고정력이 유지되고, 단말기의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손목과 같은 신체에 연결하여 분실 및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특허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거치부가 경질 소재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시 통증을 유발하고, 거치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항시 단말기의 배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상 불편함이 상존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부가함에 있어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37340호 등록특허공보 (2018.3.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위치한 어떠한 주변 환경이나 조건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잡거나 거치할 수 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액세서리 미사용시에도 액세서리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세서리는,
모바일 기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
소정의 길이를 가진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고리;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굴절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모바일 기기 사이에 개재된 양면부착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고리를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 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메탈 플레이트가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굴절 각도는 9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의 일측에 소정 형상을 가진 마스코트가 연결되고, 상기 마스코트의 일측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자석이 금속 소재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 또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마스코트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IC칩이 내입되어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못과 같은 걸이구에 걸어서 고정하거나 손가락을 끼워서 잡거나 마스코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거치하거나 또는 자력이 있는 거치대에 고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위치한 어떠한 주변 환경이나 조건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잡거나 거치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액세서리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액세서리를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정면 관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배면 관측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일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일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정면 관측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정면 관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배면 관측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일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세서리는, 커버 플레이트(10), 고리(20) 및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모바일 기기(S)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그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모바일 기기(S)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측에서 굴절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S)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리(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와이어 형태로서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고리(20)의 양측 단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2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반대로 신축성이 없이 유연성만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리(20)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21) 및 제2연결부(22)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도 4와 같이 고리(20)가 손가락을 끼우는 스트랩 용도로 사용할 경우 손가락을 넣고 빼기에 유용할 뿐 아니라 손가락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유리하고, 또한 도 5와 같이 고리(20)를 못과 같은 걸이구(P)에 걸어서 모바일 기기(S)를 거치할 때 모바일 기기(S)의 수평을 잡는데 더 유리하므로 액세서리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를 상기 모바일 기기(S)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모바일 기기(S) 사이에 개재된 양면부착테이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고정수단(40)은 양면부착테이프 외에 접착제 또는 흡착판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21) 및 제2연결부(22)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2)에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측면 플레이트(12)의 일측에 상기 고리(20)를 걸어서 고정하도록 돌출된 고정구(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평상시, 즉 고리(20)를 사용하지 않을 때 고리(20)를 고정구(23)에 걸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S)의 사용시 고리(20)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0) 자체가 금속 소재이면 커버 플레이트(10)를 자석이 설치된 차량용 무선 거치대 등에 부착하여 모바일 기기(S)를 고정할 수 있고, 만약 커버 플레이트(10)가 합성수지이면,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면 측에 형성된 안착홈(13)에 메탈 플레이트(30)를 내입하여 커버 플레이트(10)를 자석이 설치된 타 물품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메탈 플레이트(30)의 두께가 상기 안착홈(13)의 깊이와 동일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면에서 메탈 플레이트(30)가 함몰되거나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수단(40)의 고정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12)는 소정 각도로 굴절됨으로써 각각 모바일 기기(S)의 후면과 측면을 커버하는데, 모바일 기기(S)의 후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나 원호의 크기가 기종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12)의 굴절 각도(A)는 90°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고, 더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2°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 기기에 대해 커버 플레이트(10)를 더 쉽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굴절 각도(A)의 외부 면이 둔각을 이루게 되어 그립 감을 해치지 않게 되어 유리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일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10)의 일측에는 소정 형상을 가진 인형 등의 마스코트(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코트(50)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유행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스코트(50)를 연결고리(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리(20)에 연결하면 고리(20)를 스트랩 용도로 사용(도 4 참조)하거나, 걸이구(P)에 걸이서 사용(도 5 참조)하거나, 고정구(23)에 걸어서 임시 고정(도 7 참조)하는 경우에도 마스코트(5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마스코트(50)를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코트(50)의 일측에 자석(51)이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8과 같이 상기 자석(51)을 금속 소재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11) 또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30)에 부착하면, 상기 마스코트(50)를 상기 모바일 기기(S)의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어, 바닥이나 책상 위에 모바일 기기(50)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정면 관측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칩(60)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칩(60)은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에 내입된 IC칩,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또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ID 무선 인식수단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 자체가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 기능을 가지거나 신분증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커버 플레이트
11...베이스 플레이트
12...측면 플레이트
13...안착홈
20...고리
21...제1연결부
22...제2연결부
23...고정구
24...연결고리
30...메탈플레이트
40...고정수단
50...마스코트
51...자석
60...메모리칩

Claims (8)

  1. 모바일 기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 소정의 길이를 가진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고리;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굴절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고리를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모바일 기기 사이에 개재된 양면부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 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메탈 플레이트가 내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굴절 각도는 9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일측에 소정 형상을 가진 마스코트가 연결되고, 상기 마스코트의 일측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자석이 금속 소재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 또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마스코트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메모리칩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20200029450A 2020-03-10 2020-03-10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213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0A KR102130640B1 (ko) 2020-03-10 2020-03-10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0A KR102130640B1 (ko) 2020-03-10 2020-03-10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640B1 true KR102130640B1 (ko) 2020-07-06

Family

ID=7157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50A KR102130640B1 (ko) 2020-03-10 2020-03-10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205A (ko) * 2010-04-30 2011-11-07 세훈 고 휴대용 단말기 커버
KR20130007270U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344048B1 (ko) * 2013-05-29 2013-12-24 변병운 발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커버
KR20170002875A (ko) * 2015-06-30 2017-01-09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170086996A (ko) * 2016-01-19 2017-07-27 이정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37340B1 (ko) 2017-02-09 2018-03-12 김태권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CN208112724U (zh) * 2018-03-26 2018-11-16 成都刺蜂科技有限公司 具有防摔功能的手机外壳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205A (ko) * 2010-04-30 2011-11-07 세훈 고 휴대용 단말기 커버
KR20130007270U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344048B1 (ko) * 2013-05-29 2013-12-24 변병운 발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커버
KR20170002875A (ko) * 2015-06-30 2017-01-09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170086996A (ko) * 2016-01-19 2017-07-27 이정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37340B1 (ko) 2017-02-09 2018-03-12 김태권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CN208112724U (zh) * 2018-03-26 2018-11-16 成都刺蜂科技有限公司 具有防摔功能的手机外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9748999B2 (en)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KR101705819B1 (ko) 매직 푸시
JP4882863B2 (ja) 吊下げ装置
US20080083797A1 (en) Stick-on security ring for a hand held device
EP2438829A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8403135B2 (en) Universal ear-bud holder
US201000356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34071A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0478010Y1 (ko) 휴대폰용 카드지갑
KR102130640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US10182278B2 (en) Portable compact bluetooth speaker
KR20180008148A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US20120014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US7433724B2 (en) Mobile phone with a fastener capable of bidirection movement
KR102292509B1 (ko) 다용도 홀더와 이의 제조 방법
US20210378391A1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0482498Y1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CN214799578U (zh) 带支架的MFi磁吸手机壳
KR10220086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