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148A -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 Google Patents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148A
KR20180008148A KR1020160090077A KR20160090077A KR20180008148A KR 20180008148 A KR20180008148 A KR 20180008148A KR 1020160090077 A KR1020160090077 A KR 1020160090077A KR 20160090077 A KR20160090077 A KR 20160090077A KR 20180008148 A KR20180008148 A KR 2018000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ard
ring
card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292B1 (ko
Inventor
박문성
Original Assignee
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성 filed Critical 박문성
Priority to KR102016009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떨어트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끼워지거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다양한 각도로 세울 수 있는 스탠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고리가 일체로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와 결합되어 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강판이 개재된 전면부를 포함하는 카드 케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손가락이나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The ring is provided integrally Card Case for smart device}
본 발명은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떨어트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끼워지거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다양한 각도로 세울 수 있는 스탠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고리가 일체로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휴대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전화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최근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디지털 음원이나 동영상의 재생 및 실시간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어 단순한 전화의 기능만이 아닌 휴대용 스마트 기기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거의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현금을 소지하고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보다 대중교통은 물론 일반적인 소비생활에 있어서 간편한 결제가 가능하고, 편리하게 휴대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23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 뒷면에 부착되어 카드가 수납될 수 있는 카드 케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디지털 음원이나 동영상의 재생 및 실시간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어 전화의 기능만이 아닌 휴대용 스마트 기기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동 중 손에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차량이나 집 등의 실내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동 중 손으로 파지하고 이동할 경우 손에서 미끄러져 추락되면 고가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수리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06255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 뒷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워 추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탁상이나 바닥 등에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수단(거치링)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도가 높아지고 사용 시간이 증가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카드 케이스 또는 거치링과 같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액세서리의 사용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함께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천이나 가죽 등의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카드 케이스에 금속 재질로 제작된 거치링을 결합하는 경우에 카드 케이스가 스마트 디바이스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또한 거치링을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바닥에 거치할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해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선행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5236, 카드 수납 파우치를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스킨) 선행문헌 2(한국등록특허 10-1062557,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파지할 때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거나 또는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리를 카드 케이스에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카드 케이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와 결합되어 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강판이 개재된 전면부를 포함하는 카드 케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손가락이나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전면부의 외피 바깥쪽에 놓이고 바닥면에는 상기 외피와 보강판의 두께를 수직 관통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전면부의 내피 안쪽에 놓이며 상기 외피와 보강판에 관통 결합된 고정핀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핀의 끝부분에 리벳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전면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 측면에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탄성 측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 아래쪽에는 일정구간 절개된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드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요홈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둘레 전체에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탄성 측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한쪽 끝은 상기 후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자유단을 이루면서 상기 전면부의 상부를 덮어서 수납된 카드가 빠지지 않게 해주는 잠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12)의 베이스부재(12b)에는 전자파 차폐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3)은 카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납공간(13)은 카드(C)가 카드 케이스(10)의 측면에서 끼워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카드 케이스에 카드를 수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휴대함과 동시에 카드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동영상이나 DMB 등을 시청할 때 탁상이나 바닥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한 상태로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마트 디바이스를 휴대하면서 이동중 사용할 때 고리를 손가락에 끼워 스마트 디바이스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카드 수납과 고리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가 동시에 가능함과 동시에 카드 케이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변형되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차단하여, 교통카드 같은 IC카드의 사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고리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고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카드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손가락으로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바닥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수납공간이 다단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수납공간이 측면에서 카드가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케이스(10)와, 손가락에 끼워 스마트 디바이스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를 바닥에 세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고리부(20)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드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부(12)와, 스마트 디바이스 외측 방향으로 놓이며 후면부(12)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을 조성해주는 전면부(11)로 이루어진다. 전면부(11)는 후면부(1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면서 카드 케이스 상부에서 후면부보다 낮은 위치에 놓인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드를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양측에는 다수의 카드(C)가 수납되더라도 카드 케이스(10)가 파손되지 않게 지지하고, 수납공간(13)에 수납된 카드(C)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측면 탄성부(14)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측면 탄성부(14)는 카드(C)가 수납 및 인출되는 카드 케이스(10)의 상부를 제외한 전면부와 후면부의 둘레 전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탄성부(14)는 한쪽 옆이 전면부(11)의 외피(11a)와 보강판(11b) 사이 혹은 보강판(11b)과 내피(11c)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 결합되고, 다른쪽 옆이 후면부의 베이스부재(12b)와 점착판(12c)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측면 탄성부(14)는 부착 결합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전면부(11) 전체면을 덮는 형태로도 후면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박음질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카드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수납된 카드(C)가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15)가 구비된다. 잠금부(15)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한쪽 끝 부분이 후면부(12) 중앙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 결합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자유단을 이루면서 카드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연장되어 전면부(11)의 상단 외측에 놓인다.
이에 따라 잠금부(15)를 위로 들어 올려서 카드(C)를 수납공간(13) 내부로 넣은 후에 들어올린 잠금부(15)를 놓게 되면 잠금부(15)의 끝부분이 전면부(11) 외측에 놓이면서 수납된 카드가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때, 상기 잠금부(15)는 자유단을 이루는 끝부분에 체결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통가죽이나 두꺼운 천 등을 이용하여 그 강도에 의해 손으로 개방하지 않으면 카드가 빠지지 않게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단추나 자석, 또는 지퍼를 이용하여 카드(C)가 빠지지 않게 잠금 유지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전면부(11)의 아래쪽에는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태로 절개되어 카드 케이스(10)에서 카드(C)를 쉽게 뺄 수 있도록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요홈(11d)이 형성된다. 이때, 요홈(11d)이 형성된 부분의 전면부(11)와 후면부(12) 사이에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탄성부(14)는 요홈(11d)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좌우 양 측면과 바닥면 둘레 전체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전면부(11)는 스마트 디바이스 외측으로 놓이는 외피(11a)와, 후면부(12) 쪽에 놓이면서 외피와 서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내피(11c)와, 얇은 판 형태로 외피(11 a)와 내피(11c) 사이에 놓이는(insert) 보강판(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11a)와 내피(11c)는 두께가 얇은 인조 또는 천연 가죽,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며, 보강판(11b)은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금속 등의 강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피(11a)와 내피(11c)는 보강판(11b) 전면과 후면에 접착된다.
이때, 외피(11a)와 보강판(11b)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22)의 고정핀(22a)이 관통되며 끼워지는 관통구멍(H)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보강판(11b)은 고리부(20)를 카드 케이스(10)에 결합함에 있어 카드 케이스(10)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고리부(20)를 지지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의 무게를 견딜 수 있으며, 또한 결합된 고리부(20)를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강판(11b)을 통한 전면부(11)와 고리부(20)의 결합관계는 이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12)는 카드(C)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3)의 내측을 이루는 커버(12a)와, 상기 카드 케이스(10)에서 커버(12a)가 구비된 바깥쪽에 구비되어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는 점착판(12c)과, 상기 커버(12a)와 점착판(12c) 사이에 구비되어 커버(12a)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이스 부재(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2b)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필름 혹은 원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을 차단하여, 교통카드와 같은 IC칩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점착판(12c)의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와 부착되는 면에는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하기 전 점착판(12c)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필름(12d)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12d)이 부착된 상태에서 카드(C)를 카드 케이스(10)에 휴대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할 때는 상기 보호필름(12d)을 띠어낸 후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착판(12c)의 점착제는 점착력이 우수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탈부착시 스마트 디바이스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점착제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카드(C)나 신분증 등을 다수로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카드(C)나 신분증이 카드 케이스(10)에서 빠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리부(20)는 손가락을 끼우거나 바닥을 지지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세울 수 있는 고리(21)와, 상기 고리(21)를 상기 카드 케이스(10)의 전면부(11)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 지지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고리(21)를 상기 연결부재(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23) 및 상기 연결부재(22)가 상기 전면부(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2)에는 상기 전면부(11)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부(11)의 뒤쪽에서 상기 지지부재(24)에 리벳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핀(2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20)를 카드 케이스(10)의 전면부(11)에 결합할 때, 고정핀(22a)이 전면부(11)의 외피(11a)와 보강판(11b)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멍(H)을 관통하며 끼워지고 고정핀(22a)이 끼워진 반대쪽, 즉 외피(11a)가 보강판(11b)에 부착되는 반대쪽(내피(11c)가 부착되는 쪽)에서 중앙이 관통된 와셔 형태의 지지부재(24)가 상기 고정핀(22a)의 외주연을 둘러싼 형태로 보강판(11b)과 접하게 끼워진다.
이후 상기 고정핀(22a)의 끝부분을 리벳팅으로 눌러주어 고정핀(22a)이 전면부(11)에서 빠지지 않고 지지부재(24)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카드 케이스(10)에 고리부(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카드 케이스(10)의 전면부(11)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24)와 고정핀(22a)의 끝부분을 덮어주는 형태로 내피(11c)를 부착하여 상기 고정핀(22a)과 지지부재(24)가 카드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내피(11c)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카드 케이스(10)에 카드(C)를 수납함에 있어서 카드(C)가 고정핀(22a)이나 지지부재(24)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납공간(13)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고리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힌지핀(23)에 의해 결합된 고리(21)가 힌지핀(23)을 축으로 회동된다.
이때, 고리(21)는 힌지핀(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카드 케이스의 전면부(11) 바깥쪽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 용도에 맞게 간편하게 고리(21)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고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핀(22a)을 축으로 360도 회전된다.
이로 인해 고리(21)에 끼워서 사용하는 손가락과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에 카드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카드(C)를 수납할 때 양쪽 옆에 구비된 측면 탄성부(14)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면서 카드가 빠지지 않게 잡아준다. 이때 측면 탄성부(14)는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등의 신축성을 가지며,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카드 케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속적인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여러장의 카드(C)를 수납하더라도 측면 탄성부(14)가 늘어나면서 안정적으로 카드(C)를 수납하여 빠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손가락으로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 케이스에 부착하여 이를 휴대하여 이동중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고리(21)에 손가락을 끼워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리는 힌지핀(23)을 축으로 180도 회동됨과 동시에 고정핀(22a)이 전면부(11)에 결합된 상태로 360도 회전 가능하여 손의 크기나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각도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바닥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탁상이나 바닥 등에 고리(21)를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세워지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이동 중이 아닌 자동차나 집 등의 실내에서 손으로 거치하지 않더라도 고리(21)를 이용해 탁상이나 바닥 등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하여 동영상이나 DMB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수납공간이 다단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케이스(10)의 수납공간(13)은 하나의 수납공간(13)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수납공간(13)을 카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구비하여 여러 장의 카드(C)를 다단으로 수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의 수납공간이 측면에서 카드가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드 케이스(10)의 수납공간(13)은 측면에서 카드를 수납할 수 있게 카드 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카드 케이스 11 : 전면부
11a : 외피 11b : 보강판
11c : 내피 11d : 요홈
12 : 후면부 12a : 커버
12b : 베이스 부재 12c : 점착판
12d : 보호필름 13 : 수납공간
14 : 측면 탄성부 15 : 잠금부
20 : 고리부 21 : 고리
22 : 연결부재 22a : 고정핀
23 : 힌지핀 24 : 지지부재
C : 카드 H : 관통구멍

Claims (9)

  1. 스마트 디바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부(12)와 상기 후면부(12)와 결합되어 카드(C)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3)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외피(11a)와 내피(11c) 사이에 보강판(11b)이 개재된 전면부(11)를 포함하는 카드 케이스(10);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손가락이나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면부(11)에 결합되는 고리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0)는 상기 전면부(11)의 외피(11a) 바깥쪽에 놓이고 바닥면에는 상기 외피(11a)와 보강판(11b)의 두께를 수직 관통하는 고정핀(22a)이 구비된 고정부재(22)와, 상기 전면부(11)의 내피(11c) 안쪽에 놓이며 상기 외피(11a)와 보강판(11b)에 관통 결합된 고정핀(22a)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핀(22a)의 끝부분에 리벳 결합되는 지지부재(24)와,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전면부(11)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22)에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고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양 측면에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탄성 측면부(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 아래쪽에는 일정구간 절개된 요홈(1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드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요홈(11d)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둘레 전체에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탄성 측면부(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한쪽 끝은 상기 후면부(12)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자유단을 이루면서 상기 전면부(11)의 상부를 덮어서 수납된 카드(C)가 빠지지 않게 해주는 잠금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12)의 베이스부재(12b)에는 전자파 차폐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3)은 카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3)은 카드(C)가 카드 케이스(10)의 측면에서 끼워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KR1020160090077A 2016-07-15 2016-07-15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KR10185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77A KR101851292B1 (ko) 2016-07-15 2016-07-15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77A KR101851292B1 (ko) 2016-07-15 2016-07-15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48A true KR20180008148A (ko) 2018-01-24
KR101851292B1 KR101851292B1 (ko) 2018-04-23

Family

ID=6102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077A KR101851292B1 (ko) 2016-07-15 2016-07-15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1174A (zh) * 2018-03-16 2019-04-02 约书亚·戴维·夏尔斯 一种用于手机的一体式卡包套及其制作方法
KR102022340B1 (ko) *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37B1 (ko) *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200497668Y1 (ko) * 2022-08-04 2024-01-23 주식회사 신지모루 휴대폰용 카드지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533714B1 (ko) * 2014-04-09 2015-07-08 김동진 슬라이드식 카드 인출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8010Y1 (ko) * 2015-02-25 2015-08-17 박진우 휴대폰용 카드지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1174A (zh) * 2018-03-16 2019-04-02 约书亚·戴维·夏尔斯 一种用于手机的一体式卡包套及其制作方法
CN109561174B (zh) * 2018-03-16 2021-02-09 约书亚·戴维·夏尔斯 一种用于手机的一体式卡包套及其制作方法
KR102022337B1 (ko) *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40B1 (ko) *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200497668Y1 (ko) * 2022-08-04 2024-01-23 주식회사 신지모루 휴대폰용 카드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92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851292B1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US9345310B2 (en) Multifunctional strap system fo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90030111A (ko)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US20140319190A1 (en) Protective case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JP6090302B2 (ja) 保護ケース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11013308B2 (en) Apparatu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
US20150318888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US20220061483A1 (en) Dual phone case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21811Y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 케이스
CN207802073U (zh) 手机保护壳
KR10141785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용 2개 바디 결합 구조의 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