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388Y1 -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 Google Patents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388Y1
KR200289388Y1 KR2020020017190U KR20020017190U KR200289388Y1 KR 200289388 Y1 KR200289388 Y1 KR 200289388Y1 KR 2020020017190 U KR2020020017190 U KR 2020020017190U KR 20020017190 U KR20020017190 U KR 20020017190U KR 200289388 Y1 KR200289388 Y1 KR 200289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pendant
free
hands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
Priority to KR2020020017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38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장식적 효과를 부가함과 동시에, 장식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즈프리의 기능의 장점과 세련된 멋을 한꺼번에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이다.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줄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팬던트 본체와, 상기 홀에 탈착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식부로 이루어진 장식구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에 대한 고안으로, 팬던트에서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여 종래의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기능을 그대로 가질 뿐 아니라, 장식적인 기능과 다양한 선택성을 가진 목걸이로서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Description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the pendant of the necklace with the function of hands free}
본 고안은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장식적 효과를 부가함과 동시에, 장식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즈프리의 기능의 장점과 세련된 멋을 한꺼번에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이다.
핸드폰은 손으로 받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운전중이라던가 손으로 핸드폰을 장기간동안 들고 있기 어려움 등의 사정으로 핸즈프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와 함께 현재 간편한 핸즈프리로서 목걸이형태의 핸즈프리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디자인이 어색하고 패션감각에서 뒤지는바, 젊은이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그 사용을 꺼려하는 것이 사실이다. 단순히 편리함만을 위해서는 손으로 들고 다니면서 전화를 받는 것이 차라리 더 좋다는 생각에서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나오고 있는 휴대폰의 형태는 종래의 핸드폰과 비교하여 소형화, 디자인의 고급화가 이루어져서 휴대폰을 고를 때 휴대폰이 더 잘 터지는 것을 고르거나, 통화음질이 더 좋은 것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의 디자인에 많이 좌우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핸드폰과 함께 쓰이는 목걸이만이 어색한 디자인을 고집한다는 것은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쓰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현재 나오고 있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에도 디자인이 간단히 들어있거나, 제품의 상표 등이 들어있는 팬던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팬던트는 고정되어 변화가 불가능하므로, 사람들이 새로운 디자인의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를 사용하려면 같은 값을 주고 다른 목걸이를 사야한다. 그러나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종류도 다양하지 않은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보면,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경우는 자신이 사용하던 목걸이가 끊어지거나 이어폰 부분의 고장 등 사용할 수 없게 된 때에만 바꾸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로서의 기본적인 장점은 그대로 살리면서,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사용을 유도하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팬던트에 대한 고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에 있어서, 목걸이줄과 연결된 펜던트 본체의 중심부에 홀을 두고 장식구에 홀에 상응하는 삽입부를 두어 장식구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7a, 도 7b, 도 7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펜던트 11:본체
12:끼움홈 13:홀
20:장식구 21:장식부
22:삽입부 23:걸림돌기
30:목걸이줄 연결부 31:핸드폰 결합부의 연결부
32:이어폰전선 통과부
40:핸드폰 41:목걸이줄
42:핸드폰 결합부 43:전선
이하 본 출원에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7a, 도 7b, 도 7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도 7a는 배구공모양이고, 도 7b는 농구공모양, 도 7c는 야구공모양의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10)는 본체(11)와 장식구(20)로 이루어진다.
팬던트 본체(11)는 본체의 중앙부에 장식구(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팬던트 본체(11)의 상부에 목걸이줄 연결부(30), 팬던트 본체(11)의 하부에 핸드폰 결합부의 연결부(31)가 형성되며, 팬던트 본체(11)의 우측 하단부에 이어폰전선 통과부(32)가 형성된다.
장식구(20)는 팬던트 본체(1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로 된 삽입부(22)와 삽입부 상부에 위치한 장식부(21)로 이루어진다.
먼저 팬던트 본체(11)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의 팬던트 본체(11) 중앙부의 홀(13)은 장식구(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홀(13)의 내주면에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목걸이줄 연결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던트 본체(11)와목걸이줄(41)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의 핸드폰 결합부의 연결부(31)는 핸드폰 결합부(4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여러 가지의 핸드폰 결합부와 연결이 가능하다.
즉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결합부는 간단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로 형성되어 핸드폰상의 줄 연결부와 결합하는 방식부터, 핸드폰의 줄 연결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복잡한 방식 등이 있다.
상기의 이어폰전선 통과부(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목걸이에 부착되어있는 이어폰과 마이크를 핸드폰에 이어주는 잭의 전선(43)이 통과해서 나가는 부분이다.
장식구(20)에 대해서 살펴보면;
장식구의 삽입부(22)는 그 하단부의 형태가 원주형태로 되어 있으며, 원주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2)의 상단에 위치하는 장식부(21)는 장식구의 장식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축구공모양 이외에도 도 7a, 도 7b,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구공모양, 농구공모양, 야구공모양 등이 있다.
팬던트 본체(11)와 장식구(2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팬던트 본체(11) 중앙부의 홀(13)에 장식구(20)의 삽입부(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팬던트 본체(11) 중앙부의 홀(13)의 내주면에 있는 끼움홈(12)과 장식구(20)의 삽입부(22)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걸림돌기(23)가 팬던트 본체(11)와 장식구(20)의 요동이나 분리를 방지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팬던트 본체(11)에서 장식구(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장식부의 뒷면을 눌러줌으로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과 걸림돌기의 위치가 바뀌어서 팬던트 본체의 홀(13)의 내주면에 걸림돌기(23)가 형성되고, 장식구의 삽입부(22) 외주면에 끼움홈(12)이 형성되는 것도 이와 동일하다 할 것이며,도 6a, 도 6b에서 도시하고 있는 끼움홈(12)과 걸림돌기(23) 방식이외에 다른 탈착 수단도 있다.
본 실시예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팬던트 본체(11)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 장식부만을 탈착하도록 한 고안도 이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는 목걸이 스타일의 핸즈프리에 사용되는 팬던트로서, 목걸이줄과 연결된 팬던트에서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의 기능을 그대로 가질 뿐 아니라, 장식적인 기능과 다양한 선택성을 가진 목걸이로서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핸드폰에 부가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 목걸이의 줄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팬던트 본체와,
    상기 홀에 탈착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부로 이루어진 장식구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이 팬던트 중앙부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과 장식구의 삽입부 외주면에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이 팬던트 중앙부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장식구의 삽입부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움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KR2020020017190U 2002-06-04 2002-06-04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KR200289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90U KR200289388Y1 (ko) 2002-06-04 2002-06-04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90U KR200289388Y1 (ko) 2002-06-04 2002-06-04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388Y1 true KR200289388Y1 (ko) 2002-09-16

Family

ID=7312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90U KR200289388Y1 (ko) 2002-06-04 2002-06-04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90Y1 (ko) 2011-03-11 2013-03-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90Y1 (ko) 2011-03-11 2013-03-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5509S1 (en) Jewelry precious stone arrangement
US20020090104A1 (en) Earphone
USD569800S1 (en) Cable connector having interchangeable color bands
KR200289388Y1 (ko) 핸드폰 핸즈프리 목걸이용 팬던트
US20040209576A1 (en) Decorative headset for a cellular phon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228427Y1 (ko) 휴대폰의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
JP3171345U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の軸部
US20130000353A1 (en) Colored accessory
USD499399S1 (en) Combined hands free phone device and ear piece
KR200168349Y1 (ko) 셀룰러폰용 식별 부재
CN220694569U (zh) 具有楔钉榫结构的手镯连接组件
KR200374335Y1 (ko) 휴대폰 장신구
USD465781S1 (en) Hands free accessory for wireless telephones
KR200357994Y1 (ko) 휴대폰 줄
JP3171491U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ホルダー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KR200368742Y1 (ko) 장신구가 구성된 손목시계
KR200209072Y1 (ko) 이동전화의 안테나겸용 발광램프
KR200243644Y1 (ko) 핸드폰 장신구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310410Y1 (ko) 이어폰
KR200327973Y1 (ko) 휴대폰용 안테나 홀더
JP3170868U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