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31A -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31A
KR19990033831A KR1019970055265A KR19970055265A KR19990033831A KR 19990033831 A KR19990033831 A KR 19990033831A KR 1019970055265 A KR1019970055265 A KR 1019970055265A KR 19970055265 A KR19970055265 A KR 19970055265A KR 19990033831 A KR19990033831 A KR 1999003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eadlamp
head lamp
batter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31A/ko
Publication of KR1999003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31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의 헤드램프 자동 점멸장치는 주차시 차량의 점화스위치 즉, 차량의 시동을 끄게 되면 자동으로 헤드램프가 소등되도록 하여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배터리와 헤드램프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B+단자와 연결되어 차량의 점화를 위한 스위치신호를 제공하는 점화스위치와; 일단자는 배터리와 연결하고, 다른단자는 상기 점화스위치와 연결시키며 고정접점은 상기 헤드램프스위치에 연결하여 헤드램프의 구동을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직접 구동하거나 또는 점화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와; 헤드램프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릴레이로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시 헤드램프의 자동점멸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로 자동차의 전면일측에 장착된 헤드램프(전조등)는 야간에 안잔한 주행을 위하여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로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일정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조건은 야간에 전방을 조명할 때에 일정거리의 대상물을 식별할 수가 있어야 하고, 어느 정도의 빛확산으로 주위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행시나 주행시에 적정한 광도 및 조사각을 가져야 하고, 승차인원이나 탑재하중에 의해 광축이나 조명효과가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주행시나 교행시에 광도 및 조사각도가 다르다. 즉, 주행시는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하여 다소 원거리까지 조사하여야 하고, 자동차가 서로 교행시에는 상대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하여 조사광도가 작고 조사각도도 하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헤드램프의 벌브내에 구성된 필라멘트의 구성은 주행용 필라멘트와 교행용 필라멘트가 벌브내에 같이 구성되어 있고, 운전자가 전조등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작시에 주행용 필라멘트 및 교행용 필라멘트는 각각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원으로 점등된다.
즉, 주행시에는 주행용 필라멘트에 전류가 흘러 점등되고, 교행시에는 교행용 필라멘트에 전류가 흘러 점등된다. 이는 필라멘트의 크기에 따라 전력소비량과 효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헤드램프는 필라멘트 광도위치로 상향 및 하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헤드램프내의 반사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와, 배터리(10)의 B+단자와 연결되어 헤드램프(13)를 점멸하기 위해 스위칭되는 헤드램프 스위치(11)와, 헤드램프스위치의 일단자와 연결되어 헤드램프스위치(11)의 온/오프에 따라 온/오프 구동되어 헤드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릴레이(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야간운전시에 운전자가 헤드램프스위치(11)를 온시키면 배터리(10)에서 공급되는 전원(B+)이 헤드램프스위치(11)를 통해 릴레이(12)의 코일부에 인가된다. 따라서, 코일부가 여자되어 릴레이(12)의 스위칭부가 온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12)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이 헤드램프(13)에 공급되어 헤드램프가 점등되는 것이다.
헤드램프(13)의 소등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헤드램프스위치(11)를 오프시키면, 배터리(10)에서 공급되는 전원(B+)이 헤드램프스위치(11)의 오프에 의해 릴레이(12)로의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릴레이(12)의 구동이 오프됨에 따라 헤드램프(13)가 소등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헤드램프(13)가 배터리(10)의 B+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램프스위치(11)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온/오프시켜 헤드램프(13)를 점소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램프의 점소등장치는 헤드램프가 배터리의 B+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일일이 헤드램프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헤드램프스위치를 잘못 조작하여 주간에도 헤드램프를 켜놓고 운전을 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보운전자의 경우 헤드램프스위치의 조작부주의로 시동을 끄고 헤드램프를 켜놓은 상태로 차량에서 이탈하게 되는 경우 헤드램프의 점등으로 인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후의 정상적인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시 차량의 점화스위치 즉, 차량의 시동을 끄게 되면 자동으로 헤드램프가 소등되도록하여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배터리 21 : 점화스위치
22 : 선택스위치 23 : 헤드램프스위치
24 : 릴레이 25 : 헤드램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자동 점멸장치의 특징은 배터리와 헤드램프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B+단자와 연결되어 차량의 점화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점화스위치와; 일단자는 배터리와 연결하고, 다른단자는 상기 점화스위치와 연결시키며 고정접점은 상기 헤드램프스위치에 연결하여 헤드램프의 구동을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직접 구동하거나 또는 점화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와; 헤드램프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릴레이로 구성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헤드램프는 점화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라 자동으로 소등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대한 회로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와, 배터리(20)의 B+단자와 연결되어 차량의 점화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점화스위치(21)와, 헤드램프(25)의 구동을 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직접 구동하거나 또는 점화스위치(21)의 구동에 따라 헤드램프(25)를 구동될 수 있도록 일 구동단자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22)와, 헤드램프(25)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헤드램프스위치(23)와, 헤드램프스위치(23)의 온/오프에 따라 헤드램프(25)를 구동하는 릴레이(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야간주행시에 운전자가 선택스위치(22)를 a단자로 선택하게 되면 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B+)은 점화스위치(21)를 통해 헤드램프스위치(23)로 공급된다. 이때, 운전자가 헤드램프스위치(23)를 온시키게 되면 전원은 릴레이(24)에 공급되어 릴레이(24)가 구동됨과 동시에 헤드램프(25)가 점등된다. 이때에는 점화스위치(21)가 온된 상태이다.
이와같이 야간주행을 마치고 차량을 주차한후, 점화스위치(21)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선택스위치(22)가 a단자에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20)의 전원이 차단되어 헤드램프(25)는 자동으로 소등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주간운전시의 동작도 역시 상기와 같은 야간운전시와 그 동작이 동일하다. 그러나 이때에는 운전중에 헤드램프(25)를 점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헤드램프스위치(23)를 오프시킴으로서, 헤드램프(25)를 소등시키는 것이다.
한편, 선택스위치(22)를 단자 b로 선택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와 동일하게 헤드램프(25)가 구동된다.
결국, 본 발명은 헤드램프회로를 점화회로에 연결하고, 선택스위치(22)를 장착함으로써, 야간이나 주간 주행중에 헤드램프가 켜져 있더라도, 점화스위치(21)가 오프되게 되면 자동으로 헤드램프(25)를 소등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자동 점멸장치는 헤드램프회로를 점화회로에 연결하고, 선택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야간이나 주간 주행중에 헤드램프가 켜져 있더라도, 점화스위치가 오프되게 되면 자동으로 헤드램프를 소등되도록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배터리와 헤드램프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의 헤드램프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B+단자와 연결되어 차량의 점화를 위한 스위치신호를 제공하는 점화스위치와;
    일단자는 배터리와 연결하고, 다른단자는 상기 점화스위치와 연결시키며 고정접점은 상기 헤드램프스위치에 연결하여 헤드램프의 구동을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직접 구동하거나 또는 점화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와;
    헤드램프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릴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KR1019970055265A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KR1999003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65A KR19990033831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65A KR19990033831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31A true KR19990033831A (ko) 1999-05-15

Family

ID=6604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265A KR19990033831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031B1 (ko) * 1999-12-22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031B1 (ko) * 1999-12-22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9473B2 (ja) 白熱ランプ
JPH0585258A (ja) 電動車両用灯火装置
US5170097A (en) Intermittent windshield wiper and headlight control
KR19990033831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US6515425B1 (en) Headlight anti-glare system
KR970004732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회로
KR910007754Y1 (ko) 자동차의 데이타임 런닝 라이트 시스템
US5900698A (en) Full beam discharge headlight with two power levels
KR0117527Y1 (ko) 버스의 정차시 헤드램프 자동 점멸장치
KR20025294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0116398Y1 (ko) 자동차의 안개등
KR970006282Y1 (ko) 자동차의 후진램프 및 그의 회로
KR200286511Y1 (ko) 자동차용 미등 및 방향지시등
KR200273373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자동소등장치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JPH06227313A (ja) 車両ヘッドランプの自動点滅及び自動点燈減光装置
KR100503302B1 (ko)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100204294B1 (ko) 차량용 안개등의 온 오프를 위한 시스템의 동작방법
JP2004284371A (ja) 自動車における前照灯の減光装置
KR19980034817U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자동 점멸장치
KR19980054151U (ko) 자동차용 하향전조등 겸용 안개등
KR19980054572U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 제어장치
KR19980034245U (ko) 차량의 헤드램프 자동 소등장치
KR19980036319U (ko) 자동차 등화장치의 차폭등 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