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302B1 -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302B1
KR100503302B1 KR10-2003-0022646A KR20030022646A KR100503302B1 KR 100503302 B1 KR100503302 B1 KR 100503302B1 KR 20030022646 A KR20030022646 A KR 20030022646A KR 100503302 B1 KR100503302 B1 KR 10050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vehicle
unit
battery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77A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3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구비된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할 경우 램프의 점등여부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는, 밧데리;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램프;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램프를 온/오프하는 램프점등 스위치부;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시동키;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와 상기 시동키사이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오프시 가지상에 흐르는 소정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일측면에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축을 갖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구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확인표시부재;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LAMP LIGHTING CONFIRM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구비된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할 경우 램프의 점등여부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기장치에는 엔진의 작동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엔진용 전기장치와 상기 엔진 이외의 차량 각 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체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엔진용 전기장치라 함은 기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 등을 말하며, 상기 차체 전기장치라 함은 조명장치, 보안장치, 부속장치 등을 말한다.
차량의 조명장치에는 야간에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조등, 후미등, 계기등 외에 주차등, 미등, 번호등, 실내등, 후퇴등 등 많은 조명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향지시등, 제동등 등과 같이 보안 신호용으로 조명장치를 겸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이나 상기 미등은 특히 어두운 곳을 주행할 때, 운전자나 대향 차량의 안내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램프중의 하나로서, 그 조작은 운전자의 수동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 중 전조등 및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회로도로서, 밧데리(1)와; 차량의 전방 좌/우측에 고정되어 야간 주행시 점등시키는 전조등(2)과; 야간 주행시 차량간의 간격과 차량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미등(3)과; 밧데리(1)와 전조등(2) 및 미등(3)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시 전조등(2) 및 미등(3)을 보호하는 퓨즈부(4)와; 밧데리(1)와 퓨즈부(4)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조등(2) 및 미등(3)을 온/오프(ON/OFF)하는 램프점등 스위치부(5)와; 밧데리(1)와 램프점등 스위치부(5)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램프점등 스위치부(5),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6)에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시동키(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램프 중 전조등(2) 및 미등(3)을 점등시키는 회로에서는 시동키(6)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전조등(2) 또는 미등(3)은 점등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개가 낀 아침이나 초저녁에 운행하는 운전자들은 전조등(2) 또는 미등(3) 등의 조명장치들을 점등하고 운전을 하게 되는데, 날이 밝게 되면 램프점등 스위치부(5)를 오프(OFF)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하차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부주의로 전조등(2) 또는 미등(3)을 점등한 상태에서 주간에 주행 시 밧데리(1), 전조등(2) 및 미등(3)의 수명단축은 물론, 맞은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게되며, 또한 전조등(2) 또는 미등(3)을 점등해 놓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램프점등 스위치부(5)를 오프(OFF)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하차하게 되면, 밧데리(1)의 성능이 저하되고 밧데리(1)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밧데리(1)가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구비된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할 경우 램프의 점등여부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는, 밧데리;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램프;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램프를 온/오프하는 램프점등 스위치부;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시동키;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와 상기 시동키사이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오프시 가지상에 흐르는 소정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일측면에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축을 갖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구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확인표시부재;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시동키는 온단자 및 오프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단자는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와 상기 점화 및 시동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오프단자는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류감지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표시부재는, 차량의 운전석 옆에 구비된 도어의 열림 손잡이부 근처에 상/하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의 솔레노이드부 및 확인표시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는, 밧데리(100)와; 차량의 전방 좌/우측에 고정되어 야간주행 시 점등시키는 전조등(150)과; 야간주행 시 차량간의 간격과 차량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미등(200)과; 밧데리(100)와 전조등(150) 및 미등(200)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시 전조등(150) 및 미등(200)을 보호하는 퓨즈부(250)와; 밧데리(100)와 퓨즈부(250)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조등(150) 및 미등(200)을 온/오프(ON/OFF)하는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와; 밧데리(100)와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램프점등 스위치부(300),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355)에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시동키(350)와;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와 시동키(350)사이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시동키(350)의 오프(OFF)시 가지(Branch)상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400)와; 차량의 도어(Door)(700)의 내부 적소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축(455)을 갖는 솔레노이드부(450)와; 솔레노이드부(450)의 구동축(455)에 고정결합되고, 구동축(455)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확인표시부재(500)와; 솔레노이드부(450)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550)와; 전류감지부(400)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솔레노이드구동부(5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시동키(350)의 내부에는 온(ON)단자(351)와 오프(OFF)단자(352)로 이루어지는 바, 온(ON)단자(351)는 밧데리(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와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355)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오프(OFF)단자(352)는 엔진의 시동을 오프(OFF)시킴과 동시에 전류감지부(4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부(450)는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미도시된 코일, 보빈 및 구동축(455) 등을 구비하여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구동축(455)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인표시부재(500)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 중 전조등(150) 또는 미등(200)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키(350)를 오프(OFF)할 경우, 전조등(150) 또는 미등(200)의 점등여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석 옆에 구비된 도어(700)의 열림 손잡이부(710)의 상측으로 즉, 윈도우(720)가 인출 및 인입되는 도어(700)의 상단면(730)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전조등(150) 또는 미등(200)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시동키(350)를 오프(OFF)시키고 하차할 경우, 솔레노이드부(450)에 의해 확인표시부재(500)가 도어(700)의 상단면(730)에 상방향으로 인출되어 운전자가 도어(700)의 열림 손잡이부(710)를 열고 나갈 때 한번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도어키(미도시)를 잠글 때 한번 더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0)는 통상의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차량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이와 별도로 마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에서는 전류감지부(400)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솔레노이드구동부(550)에 상향이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부(450)의 구동축(455)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확인표시부재(500)가 도어(700)의 상단면(7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600)에서는 전류감지부(400)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지 못할 경우, 솔레노이드구동부(550)에 하향이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부(450)의 구동축(455)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확인표시부재(500)가 도어(700)의 상단면(73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가 전조등(150) 또는 미등(200)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시동키(350)의 스위치가 오프(OFF)단자(352)에 연결되면, 차량의 시동은 꺼지게 되나, 밧데리(1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전류감지부(400),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의 온(ON)된 해당 스위치 및 퓨즈부(250)를 거쳐 해당 램프까지 폐회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전류감지부(400)에서는 소정의 전류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600)에서는 전류감지부(400)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솔레노이드구동부(550)에 상향이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부(450)의 구동축(455)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455)에 고정결합된 확인표시부재(500)는 도어(700)의 상단면(7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된다.
한편, 시동키(350)가 온(ON)단자(351)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나 또는 시동키(350)가 오프(OFF)단자(352)에 연결되어 있고, 램프점등 스위치부(300)의 스위치들이 모두 오프(OFF)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전류감지부(400)가 연결된 가지(Branch) 상에는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제어부(600)에서는 솔레노이드구동부(550)에 하향이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부(450)의 구동축(455)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455)에 고정결합된 확인표시부재(500)는 도어(700)의 상단면(73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는 운전자에게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것을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밧데리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가 실수로 방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확인표시부재(500)의 상/하이동을 솔레노이드부(450)에 의해 구현시켰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모터 및 복수개의 감속기어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모터 및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져 구현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된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할 경우 램프의 점등여부를 차량의 운전석 옆에 구비된 도어의 상단면에 확인표시부재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밧데리가 실수로 방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 중 전조등 및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의 솔레노이드부 및 확인표시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밧데리(Battery), 150 : 전조등,
200 : 미등, 250 : 퓨즈부,
300 : 램프점등 스위치부, 350 : 시동키,
351 : 온(ON)단자, 352 : 오프(OFF)단자,
355 :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 400 : 전류감지부,
450 : 솔레노이드부, 455 : 구동축,
500 : 확인표시부재, 550 : 솔레노이드구동부,
600 : 제어부, 700 : 도어(Door),
710 : 열림 손잡이부, 720 : 윈도우(Window),
730 : 상단면

Claims (3)

  1. 밧데리;
    차량에 장착된 복수개의 램프;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램프를 온/오프하는 램프점등 스위치부;
    상기 밧데리와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 점화회로 및 시동회로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시동키;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와 상기 시동키사이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오프시 가지상에 흐르는 소정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일측면에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축을 갖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구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확인표시부재;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구동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로부터 전류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키는 온단자 및 오프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단자는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점등 스위치부와 상기 점화 및 시동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오프단자는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류감지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표시부재는, 차량의 운전석 옆에 구비된 도어의 열림 손잡이부 근처에 상/하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KR10-2003-0022646A 2003-04-10 2003-04-10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KR10050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46A KR100503302B1 (ko) 2003-04-10 2003-04-10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46A KR100503302B1 (ko) 2003-04-10 2003-04-10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77A KR20040088677A (ko) 2004-10-20
KR100503302B1 true KR100503302B1 (ko) 2005-07-25

Family

ID=373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646A KR100503302B1 (ko) 2003-04-10 2003-04-10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3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77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371B1 (en) Vehicle-mounted load controller, vehicle-mounted headlight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light device
KR100503302B1 (ko)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JP4465817B2 (ja) 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200187065Y1 (ko) 주변광 적응형 라이트가 구비된 차량
KR950009014Y1 (ko) Drl장치의 조명장치 제어회로
KR200314317Y1 (ko) 자동차의 미등, 헤드라이트 자동점등장치
KR910006817Y1 (ko) 동력 경운기에서의 표시등 제어장치
JP3987836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減光点灯装置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JPS5924595Y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自動保持装置
KR20000020673U (ko) 자동차용 점등 장치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20025294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JP2005271830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減光点灯装置
KR19980022880U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KR0138387B1 (ko) 주변조명에 의한 인테리어 램프 점등장치
KR0125298Y1 (ko) 자동차의 주간등 장치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JPH0332946A (ja) 自動車のドアインサイドハンドル照明装置
KR20100011757U (ko) 차량용 커티시 램프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19990033831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점멸장치
KR20040088235A (ko) 차량의 램프 지시장치
KR19980054572U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 제어장치
KR19980023663A (ko)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