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880U -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880U
KR19980022880U KR2019960036244U KR19960036244U KR19980022880U KR 19980022880 U KR19980022880 U KR 19980022880U KR 2019960036244 U KR2019960036244 U KR 2019960036244U KR 19960036244 U KR19960036244 U KR 19960036244U KR 19980022880 U KR19980022880 U KR 199800228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urned
switch
display lamp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인종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36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880U/ko
Publication of KR19980022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88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가 온되면 소정의 라이트가 점등되고 그 라이트에 대응되는 라이트표시등이 점등되는 라이트표시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라이트표시램프를 설치하여 미등이 점등되면 미등표시램프가 점등되고, 전조등이 점등되면 전조등표시램프가 점등되므로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하차하여 발생되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운행시 라이트표시램프로 인하여 라이트의 조정이 한결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표시하는 라이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라이트표시램프를 설치하여 미등이 점등되면 미등표시램프가 점등되고, 전조등이 점등되면 전조등표시램프가 점등되어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어 라이트의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라이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라이트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운전자가 라이트스위치의 위치(1;오프위치, 3;미등위치, 5;전조등위치)를 눈으로 직접 확인함으로서 라이트가 오프 상태(1)인지 또는 미등 상태(3)인지 또는 전조등 상태(5)인지를 알 수 있지만, 자동차 실내가 어두우면 라이트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즉, 외부 기후와 교통상황에 따라 운전자는 라이트의 상태를 빈번하게 조정하는 데, 그때마다 운전자가 라이트스위치의 위치 또는 라이트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고 조정하여야 했다.
종래에는 라이트가 오프 상태인지 또는 미등 상태인지 또는 전조등 상태인지를 쉽게 알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했는 데, 그 중 낮동안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정도로 비가 많이 오거나 또는 안개가 짙게 깔렸을 경우에 안전운행을 위하여 미등을 켜고 주행하다가 운전자의 조그만 부주의로 인해 미등등의 전기장치를 오프시키지 않고 하차하여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는 경우가 있고, 또한 야간에 교통량의 폭증으로 인해 좁은 간격으로 운행하거나 차량이 신호대기상태에서 좁은 간격으로 일시정지해 있을 때 전방에 정지되어 있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조등을 일시소등시키고 또한 출발시에는 전조등을 다시 점등시키는데 도심지에서의 잦은 라이트 변경으로 인해 운전자도 라이트가 미등 상태인지 전조등 상태인지를 확실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몇 번씩 라이트를 조작하여 라이트를 셋팅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쉽게 알 수가 있는 장치가 없어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는 경우가 있었고, 또한 교통체증시와 신호대기시에 라이트의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여 조작해야 하는 등의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라이트표시램프를 설치하여 미등이 점등되면 미등표시램프가 점등되고 전조등이 점등되면 전조등표시램프가 점등되어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쉽게 알 수 있고 라이트의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가 온되면 소정의 라이트가 점등되고 그 라이트에 대응되는 라이트표시등이 점등되는 라이트표시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라이트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라이트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상기 도 2 의 자동차 라이트스위치의 위치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12 : 제 1 스위치
14,21 : 미등표시램프 16 : 제 2 스위치
18,23 : 전조등표시램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라이트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운전자가 라이트스위치를 오프위치(1) 또는 미등위치(3) 또는 전조등위치(5)로 돌리면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의 소정의 부분에 각 위치(미등위치, 전조등위치)에 대응되는 램프(14,18 또는 21,23)가 점등되어 라이트스위치의 현 위치를 램프의 점등으로 알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라이트 점등 표시램프(14,18 또는 21,23)는 동도면과 같이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소정의 위치와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조등과 미등의 점등 상태를 구별하기 위하여 미등표시램프와 전조등표시램프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라이트가 소등될 시에는 라이트표시램프도 소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상기 도 2 의 자동차 라이트스위치의 위치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배터리(10)와, 제 1 스위치(12)와, 미등표시램프(14)와, 제 2 스위치(16), 및 전조등표시램프(18)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10)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 1 스위치(12)는 상기 배터리(1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미등표시램프(14)는 상기 제 1 스위치(12)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스위치(12)가 닫히면 미등과 같이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 2 스위치(14)는 상기 제 1 스위치(12)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제 1 스위치(12)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전조등표시램프(18)는 상기 제 2 스위치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스위치가 닫히면 전조등과 같이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라이트 점등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미등 및 전조등표시램프(14,18 또는 21,23)를 자동차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설치하여 미등이 점등되면 미등표시램프(14 또는 21)도 점등되고, 전조등이 점등되면 전조등표시램프(18 또는 23)도 점등되므로서, 운전자는 어두운 차 실내에서도 라이트표시램프만 얼핏 보고서도 현재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기후 또는 교통체증에 관계없이 라이트 조정이 양호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라이트스위치 손잡이에 라이트표시램프를 설치하여 미등이 점등되면 미등표시램프가 점등되고, 전조등이 점등되면 전조등표시램프가 점등되므로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하차하여 발생되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운행시 라이트표시램프로 인하여 라이트의 조정이 한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가 온되면 소정의 라이트가 점등되고 그 라이트에 대응되는 라이트표시등이 점등되는 라이트표시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표시램프는 미등표시램프 또는 전조등표시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 장치.
KR2019960036244U 1996-10-29 1996-10-29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KR199800228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244U KR19980022880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244U KR19980022880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80U true KR19980022880U (ko) 1998-07-25

Family

ID=5398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244U KR19980022880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8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2880U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KR200145177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안개등 온/오프 장치
KR200141654Y1 (ko) 차량의 측면조명용 램프장치
KR200257166Y1 (ko) 차량용 램프의 단선감지장치
KR950009014Y1 (ko) Drl장치의 조명장치 제어회로
KR100260148B1 (ko) 비상 점멸장치
KR100427233B1 (ko) 차량위치 인식램프 제어장치
KR970006282Y1 (ko) 자동차의 후진램프 및 그의 회로
KR100503302B1 (ko)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KR100224215B1 (ko) 차량 검문용 스위치장치
KR200145162Y1 (ko) 헤드램프 표시등
KR200314317Y1 (ko) 자동차의 미등, 헤드라이트 자동점등장치
JP3112580B2 (ja) 安全性向上ランプ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KR100187153B1 (ko) 후미등 겸용 브레이크등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0123289Y1 (ko) 자동차의 상.하향 전조등 제어장치
KR0166286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점등제어장치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9980036319U (ko) 자동차 등화장치의 차폭등 점멸장치
KR19980013498U (ko) 상,하향 전조등 자동 절환장치
KR19980048231A (ko) 자동차의 라이트 전원장치
KR20040088235A (ko) 차량의 램프 지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