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615A - 미등 자동점등 장치 - Google Patents

미등 자동점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615A
KR19990047615A KR1019970066097A KR19970066097A KR19990047615A KR 19990047615 A KR19990047615 A KR 19990047615A KR 1019970066097 A KR1019970066097 A KR 1019970066097A KR 19970066097 A KR19970066097 A KR 19970066097A KR 19990047615 A KR19990047615 A KR 1999004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light
output terminal
lighting device
fuse
tail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일
이재홍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상용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상용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101997006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615A/ko
Publication of KR1999004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개시된 미등 자동점등 장치는 광센서에 의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여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미등 자동점등 장치는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와, 퓨즈와 연결되고 미등을 온-오프시키는 미등 스위치와, 미등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고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광센서와, 광센서의 출력단자와 퓨즈의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와, 미등 스위치 및 릴레이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는 미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주변이 어두워질 때에 수동으로 미등을 켜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자동으로 미등이 켜짐으로서 추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미등 자동점등 장치
본 발명은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센서에 의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여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미등은 주차시에 밝혀주는 주차등 또는 후방의 차렝에 대해 전반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는 차폭등으로 사용되어 추돌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터널을 통과할 때나 해질무렵 같이 주변이 어두워질 때에는 미등을 켜지 않으며 후방의 상대방 차량과 추돌사고와 같은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미등은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함으로 주행중일 때에는 미등을 켜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많고, 주행중에 미등 조작에 신경을 쓰다가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즉,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시점에서 운전자의 실수로 미등을 켜지 않았을 경우에 후방 차량의 추돌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많았다.
도 1은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에 관한 블록구성도이다.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와, 과부하(과전류 및 과전압)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FUSE)(12)와, 퓨즈(12)와 연결되고 미등을 온-오프(ON-OFF)시키는 미등 스위치(13)와, 차량의 후미는 밝혀주는 미등(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미등 스위치(13)를 온(ON)함으로서 전원부(11)의 전원을 공급받아 미등(14)이 밝아져서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하는 미등 수동점등 장치는 주행중일 때에는 미등을 켜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고, 주행중에 미등을 조작하다가 추돌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에 관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등 자동점등 장치와 종래 수동점등 장치와 병렬로 연결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점등 장치로만 연결된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관한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원부22 : 퓨즈(FUSE)
23 : 미등 스위치24 : 미등
25 : 광센서26 : 릴레이(RELA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등 자동점등 장치는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와, 퓨즈와 연결되고 미등을 온-오프시키는 미등 스위치와, 미등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고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광센서와, 광센서의 출력단자와 퓨즈의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와, 미등 스위치 및 릴레이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는 미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등 자동점등 장치와 종래 수동점등 장치와 병렬로 연결된 블록구성도이다.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1)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22)와,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미등 스위치(23)와, 미등 스위치(23)와 병렬로 연결되고 전원부(21)의 전원을 공급받는 광센서(25)와, 광센서(252)의 출력단자와 퓨즈(22)의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24)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26)와, 차량의 후미는 밝혀주는 미등(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은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미등 자동점등 장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자동 혹은 수동기능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를 개선한 발명이다.
즉,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추가적으로 병렬로 설치하여 자동 및 수동으로 겸용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점등 장치로만 연결된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관한 블록구성도이다.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32)와 퓨즈(32)의 출력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은 광센서(33)와, 광센서(33)의 출력단자와 퓨즈(32)의 출려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24)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34)와, 릴레이(34)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는 미등(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은 종래의 미등 수동점등 장치의 미등 스위치를 제거하고, 리레이 스위치로 대체함으로서 미등의 자동점등 기능을 갖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등 자동점등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작동시에 스위치 기능을 갖는 릴레이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며, 상기 광센서는 민감도가 조정되도록 하고 원하는 밝기가 되면 스위치 기능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먼저, 터널을 통과할 때나 해질무렵과 같이 주변이 어두워지면 광센서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어둡다고 판단이 되면 스위치 기능을 갖게되어 전원부의 전원이 광센서 내부로 공급된다.
즉, 광센서의 내부로 공급된 전원을 광센서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릴레이로 전원이 공급되어 릴레이의 코일에 의해서 릴레이를 구동시킨다. 릴레이가 구동되면 릴레이의 접점을 통하여 미등에 전원이 공급되어 미등이 켜진다.
상기의 작동 원리에 따라 터널 통과시에 일시적으로 어두워지는 경우에 터널로 들어갈 때에는 미등이 켜지고, 터널을 탈출하면서 릴레이의 접점이 떨어져 미등이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미등 자동점등 장치는 시동키의 주변장치(Accessdary) 온(ON) 동작이나 이그니션(Ignition) 온(ON)동작일 때 배터리의 전원이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공급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주변이 어두워질 때에 수동으로 미등을 켜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자동으로 미등이 켜짐으로서 추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차량의 미등을 운전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미등 수동점등 장치에 있어서,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
    퓨즈와 연결되고 미등을 온-오프시키는 미등 스위치;
    미등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고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광센서;
    광센서의 출력단자와 퓨즈의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 및
    미등 스위치 및 릴레이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는 미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
  2. 차량의 미등을 운전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미등 수동점등 장치에 있어서,
    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
    퓨즈의 출력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광센서;
    광센서의 출력단자와 퓨즈의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 하고, 출력단자는 미등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는 릴레이; 및
    릴레이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후미를 밝혀주는 미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민감도가 조정되도록 하고, 소정의 밝기가 되면 스위치 기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미등 자동점등 장치는 자동차 시동키의 주변장치(Accessary) 온(ON) 동작이나 이그니션(Ignition) 온(ON)동작일 때 배터리의 전원이 미등 자동점등 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019970066097A 1997-12-05 1997-12-05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9990047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097A KR19990047615A (ko) 1997-12-05 1997-12-05 미등 자동점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097A KR19990047615A (ko) 1997-12-05 1997-12-05 미등 자동점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615A true KR19990047615A (ko) 1999-07-05

Family

ID=6608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097A KR19990047615A (ko) 1997-12-05 1997-12-05 미등 자동점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84B1 (ko) * 2006-11-13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84B1 (ko) * 2006-11-13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광센서의 입사광량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200151815Y1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KR100427233B1 (ko) 차량위치 인식램프 제어장치
KR970004737B1 (ko) 차량의 미등 자동점멸회로
KR0135518Y1 (ko) 빛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켜지는 등화 시스템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0121417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20020055628A (ko) 와이퍼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동 점등 장치
KR0133753B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차폭등 자동 오프 장치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200394799Y1 (ko) 안개등 자동점멸장치
KR200167153Y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0137997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자동 소등 장치
KR970006296Y1 (ko) 차량의 후진등 제어회로
KR0121416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19980023651A (ko)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KR19990000512U (ko) 펄스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되는 전원 차단 장치
KR20010073942A (ko) 자동차의차폭등자동점소등장치
KR19980058559U (ko) 차폭등 제어장치
KR19980022153U (ko) 자동차의 차폭등 자동 제어장치
KR19980026034A (ko) 차폭등 소등 경보장치
KR19980022880U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KR19980022669A (ko) 자동차의 전조등 및 미등 자동소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