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651A -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651A
KR19980023651A KR1019960043149A KR19960043149A KR19980023651A KR 19980023651 A KR19980023651 A KR 19980023651A KR 1019960043149 A KR1019960043149 A KR 1019960043149A KR 19960043149 A KR19960043149 A KR 19960043149A KR 19980023651 A KR19980023651 A KR 1998002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ehicle
taillights
control re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환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651A/ko
Publication of KR1998002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51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터널을 통과할 때, 일출전, 일몰후 또는 안개가 낀 날 등 주변의 밝기가 일정기준 범위 이하일 경우 차량의 미등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비교기와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어 상기 빛 감지기의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릴레이를 작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의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미등을 이중 제어하는 제어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미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때 미등을 점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미등을 소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본 발명은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터널을 통과할 때, 일출전, 일몰후 또는 안개가 낀 날 등 주변의 밝기가 일정기준 범위 이하일 경우 차량의 미등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미등은 차량의 계기판 부분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해 차량 내부의 각종 계기판 및 제어스위치가 잘 보이도록 하는 기능과, 전방 차량과의 충돌 및 후방 차량과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방 차량에 대하여 자기차량의 위치를 알리고 경고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미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종등(전조등, 방향지시등, 번호판등, 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콤비네이션 스위치(11)를 1단 이상의 위치에 놓으므로써 콤비네이션 스위치(11)의 신호가 미등구동 릴레이에 인가되어 미등 구동릴레이(12)(12)에 의하여 콤비네이션 스위치(11)의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었다.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오프, 1단, 2단으로 구성되어 1단의 위치에서는 미등이 점등되고, 2단의 위치에서는 미등과 전조등이 점등되며, 오프 위치에서 미등과 전조등이 모두 오프되도록 접점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변의 밝기를 인지하고 적절히 판단하여 내부 계기판이 보이지 않거나 전방의 차량이 보이지 않으면 콤비네이션 스위치(11)를 조작하여 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상기와 같이 콤비네이션 스위치(11)에 의하여 미등을 각 상황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은 운전자가 각 상황을 판단해야하고 콤비네이션 스위치(11)를 수동으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은 전적으로 운전자의 판단에 의존해야 하므로 갑자기 어두워지는 등의 경우에는 미등의 점등 필요성을 느낄 수 있으나, 서서히 어두워지거나 터널의 가로등이 밝아서 미등의 점등 필요성이 있는 지의 판단이 애매한 경우 또는 안개가 낀 날에는 운전자가 미처 미등을 점등하지 않고 운행함으로써 이로 인하여 전후방 차량과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점등된 미등을 주위가 밝아진 후에도 운전자의 미등이 점등된 사실을 잊고 계속 소등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고, 차량의 운행을 정지한 후에도 미등이 점등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 운전자에게 곤란한 경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미등이 주위의 밝기에 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 되도록 콤비네이션 스위치(11)와 결합되어 미등을 이중 제어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미등 점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콤비네이션 스위치12 : 미등구동릴레이
13 : 전조등구동릴레이14 : 미등
15 : 전조등
21 : 빛 감지기22 : 제어부
23 : 구동기24 : 제어릴레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빛 감지기(21)와, 비교기와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어 상기 빛 감지기(21)의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릴레이를 작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릴레이(24)를 구동하는 구동기(23)와, 상기 구동기(23)의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콤비네이션 스위치(11)와 직렬로 연결되어 미등을 이중 제어하는 제어릴레이(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의 미등의 이중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미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하기 위하여 빛 감지기(21)로서 포토 다이오드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로 변화하는 다이오드로서 PN접합면에 빛을 받으면 전자가 궤도를 이탈하여 저항이 감소되므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빛의 양이 변화하면 흐르는 전류의 양은 빛의 양에 비례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포토 트랜지스터는 PN접합부분에 빛을 쪼이면 빛의 에너지에 의하여 전자와 전공이 발생되고 역전류가 증가하여 입사광에 대응하는 출력전류가 흐른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에서 발생된 전류는 이에 상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전압은 제어부(22)에 인가된다. 제어부(22)는 비교기와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어 빛 감지기로부터 인가된 신호와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즉 미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기준값에 대하여 인가된 신호를 비교하여 인가된 신호가 기준값보다 크면 주변의 밝기가 기준되는 값보다 밝은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릴레이(24)를 오프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인가된 신호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는 주변의 밝기가 기준 밝기보다 어두운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릴레이(24)를 온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슈미트트리거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온 오프 신호에 의한 제어가 기준값과 근접된 값이 반복하여 입력되어 온 오프 출력신호가 짧은 시간 내에서 수회 반복되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릴레이(24)를 구동하는 구동기(23)는 통상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어부(22)의 제어신호는 구동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베이스에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콜렉터가 도통되고 에미터와 콜렉터간에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는 제어 릴레이에도 흐른다. 구동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제어 릴레이의 코일부분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하여 릴레이의 접점이 닫힌다. 릴레이의 접점은 콤비네이션 스위치(11)와 직렬로 연결되어 콤비네이션 스위치(11)가 1단 또는 2단의 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어릴레이(24)의 접점이 닫히면 미등이 점등하게 된다. 역으로 콤비네이션 스위치(11)가 1단 또는 2단의 위치에 있지 않고 오프위치에 있거나 제어 릴레이의 접점이 열려 있으면 미등은 소등된다.
본 발명은 차량이 터널을 통과할 때, 일출전, 일몰후 또는 안개가 낀 날 등 주변의 밝기가 일정기준 범위 이하일 경우 차량의 미등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차량미등을 이중 제어하여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미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때 미등을 점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미등을 소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미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때 미등을 점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미등을 소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Claims (1)

  1. 차량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비교기와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어 상기 빛 감지기의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릴레이를 작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의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미등을 이중 제어하는 제어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KR1019960043149A 1996-09-30 1996-09-30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KR19980023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49A KR19980023651A (ko) 1996-09-30 1996-09-30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49A KR19980023651A (ko) 1996-09-30 1996-09-30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51A true KR19980023651A (ko) 1998-07-06

Family

ID=6632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149A KR19980023651A (ko) 1996-09-30 1996-09-30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433B1 (ko) * 2000-12-21 2006-01-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433B1 (ko) * 2000-12-21 2006-01-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2604A (en)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energizing and deenergizing lights
KR19980023651A (ko) 차량미등의 자동점등장치
KR20021421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KR0139693Y1 (ko) 자동차용 스몰라이트 자동 점등장치
KR100195490B1 (ko) 차량의 미등자동점소등장치
KR0121054Y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장치
KR200167153Y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960002863B1 (ko) 차량의 광량감지 후미 경고등 자동 점등장치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KR0115711Y1 (ko) 광도 감지에 의한 전조등의 자동 온/오프장치
KR013848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전환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19980022195A (ko) 자동차의 후미등과 안개등 점등 장치
KR910010208B1 (ko) 자동차의 전조등자동점멸장치
KR200314317Y1 (ko) 자동차의 미등, 헤드라이트 자동점등장치
KR0151334B1 (ko) 자동차의 주간 헤드램프 점등시 자동 멜로디 경고음 장치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9980023616U (ko) 광도전 셀을 이용한 보조 램프 작동시스템
KR19990030462U (ko) 차량의 주간 헤드램프 온 방지장치
KR19980039773U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도 조절장치
KR19980044090A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 장치
KR19980049730A (ko) 제동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