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143B1 -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코드 권치 장치 및 코드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코드 권치 장치 및 코드 권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9143B1 KR101159143B1 KR1020067001397A KR20067001397A KR101159143B1 KR 101159143 B1 KR101159143 B1 KR 101159143B1 KR 1020067001397 A KR1020067001397 A KR 1020067001397A KR 20067001397 A KR20067001397 A KR 20067001397A KR 101159143 B1 KR101159143 B1 KR 101159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d
- reel
- headphone
- inpu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헤드폰 장치나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입력 코드를 릴 등의 권취 장치에 권취하고, 브리지 코드를 통해 다른 쪽의 D/U에 중계하는 정류자(整流子) 기구의 장착 시에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한다.
좌우 헤드폰 하우징 내 릴의 하부 플랜지 측에 금속 집전(集電) 링을 가지는 단자 기판을 설치하고, 이 단자 기판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우징(2) 측에 접점(브러시)을 배치한다.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입력 코드, 릴, 접점.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드를 헤드폰 하우징 또는 전자 기기의 상자체 내에 배치한 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한 릴 권취 장치 및 릴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드 권취 장치 내의 접점(接点)과 금속 집전(集電)링을 가지는 정류자(整流子) 기구의 설치 위치를 개량한 헤드폰 장치 및 전자 기기 및 코드 권취 장치와 코드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용 라디오 등의 전자 기기나 헤드폰 장치에 있어서, 헤드폰의 입력 코드나 브리지 코드를 권취하는 권취 수단을 내장한 것이 있고, 이들 코드는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의 힘으로 내부를 향해 권취되도록 가압되고, 권취 시에만 걸기 위한 걸림 수단이 있으며,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사용 시에는 이 걸림 수단에 저항하여 코드를 필요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수납할 때는 이 걸림 수단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을 누르면,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코드가 권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코드 권취 수단이 일본국 특개 2002-10369호 공보(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헤 드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도 9는 도 8의 A-A 단면 화살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형의 전방 하우징(2a)과 후방 하우징(2b)으로 상자체를 구성하고, 전방 하우징(2a)에는 전기-음향 변환 소자인 스피커 등의 드라이브 유닛(이하 D/U 라고 함)(3)이 장착되고, 전방 하우징(2a)의 앞면에는 이 D/U로부터 발생하는 음압(音壓)을 방사하는 음공(音孔)(1a)이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2a)의 앞면에는 이어 패드(4)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헤드폰 장치는 좌우의 귀에 장착되므로, 도 8과 같이 전자 기기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8a)를 가지는 입력 플러그(8)로부터 입력 코드(9)가 한쪽의 상자체, 예를 들면, 좌측 헤드폰 하우징(1L) 내로 끌어 들여져, 좌측 헤드폰 하우징(1L) 내의 D/U(3)에 접속된다. 리드선(10)은 브리지 코드로 우측 헤드폰 하우징(1R) 내로 끌어 들여져, 우측 헤드폰 하우징(1R) 내의 D/U(3)에 접속된다. 이 브리지 코드(10)에는 묶어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길이를 조절하는 슬라이더(1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에는 유지 수단을 구성하는 돌출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c)에는 입력 플러그(8)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2d)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 코드(9)를 권취할 때 입력 플러그(8)는 유지 수단을 구성하는 돌출부(2c)의 삽입구(2d)에 유지시키면, 후술하는 권취 수단이 입력 코드(9)를 좌측 헤드폰 하우징(1L) 내부에 권취하도록 가압하고 있는 것을 저지하도록 걸고 있는 걸림 수단을 해제하여, 입력 코드(9)는 권취 수단에 권취되지만, 입력 플러그(8)가 미리 유지 수단의 돌출부(2c)에 유지되고 있으므로, 입력 플러그(8)가 입력 코드(9)에 끌려서 인입(引入)되지 않고, 권취 시에 입력 플러그가 인체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후술하지만 4는 이어 패드, 5는 지지부, 7은 귀걸이이다.
다음에, 도 9 및 도 10 및 도 11에 의해,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권취 수단을 내장하는 헤드폰 하우징 부분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코드 권취 수단의 내부 구조를 본 평면도이다.
이하, 헤드폰 장치로서의 내부 구성을 도 9에서 설명하면, 후방 하우징(2b)의 주변에는 쌍의 지지축부(5)가 형성되고(도 8 및 도 9 참조), 이 지지축부(5)의 안쪽으로부터 지지축(5a)이 돌출되고, 이 지지축(5a)에 권취 스프링(6)이 걸리고, 지지축(5a)은 주축부(5)의 축 구멍에 끼워 맞추어 회동 가능하게 한 귀걸이(7)의 선단(7a)이 항상 전방 하우징(2a) 측으로 가압되도록, 권취 스프링(6)으로 가압되어 있다. 귀걸이(7)는 지지축(5a)에 대하여 선단(7a)의 반대 측은 가압부(7b)로 되어 있고, 여기에 미끄럼 방지부(7c)를 설치하고, 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가압함으로써 귀걸이(7)의 선단(7a)이 전방 하우징(2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인다.
권취 수단은 입력 코드(9)가 끌어 들여지는 좌측 헤드폰 하우징(1L)의 전방 하우징(2a)에 금속 등의 기판(12)이 복수개의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기판(12)의 중심에는 추축이 되는 회전축(13)의 일단이 세워져 설치되고, 회전축(13)에는 릴(1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릴(14)과 회전축(13)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이 릴(14)의 오목한 곳(14a)에 수납되고, 이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은 가압판(16)에 의해 튀어 나오지 않도록 가압되고, 회전축(13)의 타단에서 가압판(16)의 위로부터 C링(13a)으로 이탈 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릴(14)의 하부 플랜지(14d)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2b)가 형성되어, 릴(14)이 회전할 때 기판(12)과 점접촉함으로써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9 및 도 9의 B부 확대도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2)과 릴(14)의 허브 사이에 형성한 보링부(14b)에는, 릴(14)에 권취된 입력 코드(9)의 코드인 L 채널의 리드선(9a), 그라운드(G)의 공통 리드선(9b), R 채널의 리드선(9c) 단부(端部)가 각각 전기적으로 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에 접속되고, 이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은 보링부(14b)에 동심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기판(12)에 장착된 단자 기판(17)에는,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에 대응하는 금속 집전(集電)링(19a, 19b, 19c)이 설치되고, 그 접점(18a, 18b, 18c)이 가압 접촉되도록 정류자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릴(14)이 회전해도, 입력 코드(9)를 경유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는 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과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의 접촉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단자 기판(17)에 전달되며, 단자 기판(17)으로부터 리드선(17a, 17b)을 통해 단자판(3a)의 단자(3b, 3c)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코드(9)의 각 리드선 중 다른 쪽의 우측 헤드폰 하우징(1R)에는, 공통 리드선(9b) 및 R 채널의 리드선(9c)이 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드선(17c, 17d)을 통해, 이것을 묶는 브리지 코드(10)를 경유하여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걸림 수단은 릴(14)의 2개의 플랜지 중 기판(12) 측의 하부 플랜지(14d) 외주를 톱니형으로 요철이 반복되도록 원주를 n 분할하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클릭부(14c)를 구성하고 있다. 기판(12)의 돌출편(12c)에는 축(20)이 심어 세워지고, 이 축(20)에는 대략 T 자형의 걸림편(21)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걸림편(21)은 입력 플러그(8)의 접속 단자(8a) 선단이 맞닿아야 할 작동부(21a)가 돌출하고, 또 걸림부(21b)가 릴(14)의 하부 플랜지(14d) 외주의 클릭부(14c)에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걸림부(21c)로부터 기판(12)의 걸림부(12d)에 건 스프링(22)에 의해 도 11에서, 반시계 방향 C로 가압되고, 걸림편(21b)이 하부 플랜지(14d)의 외주에 형성한 클릭부(14c)에 항상 가압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유지 수단으로서는, 후방 하우징(2b)의 돌출부(2c)에 삽입구(2d)를 형성하고, 이곳으로부터 입력 플러그(8)의 접속 단자(8a)가 삽입되어, 그 선단 근방의 소경부가 유지 스프링판(23)의 돌출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과 금속 집전링(19a, 19b, 19c)으로 이루어지는 정류자 기구에서의 도통(導通)은 반복의 동작에 의한 내구력이 구해지는 회전 운동에 대하여 불균일 없이 도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브러시형 접점(18a, 18b, 18c)의 조립을 정확하게 행할 필요가 있지만, 전술한 구성에서는 구조적으로 제조상의 곤란성이 있었다. 즉, 도 10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 도 12 (A)~12 (C)와 같이, 릴(14)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입력 코드(9)를 권취하여 수납하기 위해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을 배치하는 사용 가능한 보링부(14b)의 스페이스는 극히 한정된 것으로 이루어져, 릴(14)의 허브 하단에 형성한 작은 면적의 보링부(14b)의 두께 T나 직경 D를 모두 최소한의 값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도 12 (A)~12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14)의 두께를 극한까지 얇게 하고, 보링부(14b) 내에 용착(溶着)하는 브러시형 접점(18a, 18b, 18c)의 단자 시트(臺座)(25)의 간격 D1(도 12 (B) 참조)도 근소한 면적만 취하게 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릴(14)의 허브 하단에 형성한 보링부(14b)에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을 고정하고, 전후 하우징(2a 또는 2b)에 고정된 기판(12)의 단자 기판(17) 측에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을 설치하도록 한 구조에서는, 도 12 (A)~12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면적의 보링부(14b)에, 도 12 (A)와 같이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에 형성한 투시공 내에 단자 시트(seat)(25)에 세워 설치한 용착핀(26)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27)나 용착핀(26)에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을 용착하기 위한 지그(27a)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의 단자 시트(25)에 금속의 브러시형 접점(18a, 18b, 18c)을 열(熱)용착하는 데는 전용의 지그(27)를 사용해도 조정에 시간이 걸리거나 약간의 조립 면적의 사소한 불균일이 제조 불량의 원인이 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브러시형의 접점 장착 각도도 안정되고, 얇은 두께의 릴에 브러시형의 접점을 용착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쉽고, 지그, 공구가 불필요하여 불량품의 저감, 조립 설비 투자의 저감을 행할 수 있어, 염가로 소형의 우량품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헤드폰 장치 및 전자 기기 및 코드 권취 장치와 코드 권취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코드 권취 수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코드 권취 수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A), 도 4 (B)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A), 도 5 (B)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외관 정면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나타낸 2개의 코드를 동시에 권취하는 경우에 연선 도선(連線導線)을 사용한 납땜 위치를 설명하는 배선도이다.
도 7 (A), 도 7 (B)는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1형태의 예의 코드 권취 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헤드폰 장치의 코드 권취 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 다.
도 10은 종래의 헤드폰 장치를 나타낸 도 9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헤드폰 장치의 코드 권취 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A)~도 12 (C)는 종래의 헤드폰 장치의 코드 권취 수단의 정류자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1형태의 예의 코드 권취 부분을 나타내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A), 도 4 (B)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1형태의 예의 코드 권취 부분을 나타낸 주요부의 측단면도 및 걸림 수단 설명용의 평면도, 도 5 (A), 도 5 (B)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2종류의 코드를 동시에 1개의 권취 수단에 권취하도록 한 배선도, 도 7 (A), 도 7 (B)는 본 발명의 권취 수단을 전자 기기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 앞서, 도 4 (A), 도 4 (B) 및 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의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헤드폰 장치와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 (A) 및 도 5 (B)는 좌우 헤드폰 장치 중 한쪽의 좌측 헤드폰 하우징 (1L)을 나타낸 것이지만,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는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한쌍의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구조는 동일하므로, 먼저, 도 5 (A), 도 5 (B)에 따라 좌측 헤드폰 하우징(1L)만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5 (A) 및 도 5 (B)는 본 발명의 귀걸이형 헤드폰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며, 좌측 헤드폰 하우징(1L)은 대략 쉘형으로 구성한 하우징(2)에 이어 패드(4)를 장착하고, 하우징(2)의 외주부에 성형한 지지축부(5)에 대략 C 자형으로 합성 수지로 성형한 귀걸이(7)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에 입력 플러그(8)를 접속한 입력 코드(9)와 브리지 코드(10)를 하우징(2) 내에 배치한 권취 수단에 의해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주변부에 형성한 노치형의 개구부(30)로부터 입력 플러그(8)가 장착된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가 도출되어 있다. 도 5 (B)의 구성에서는 1개의 개구부(30)로부터 2개의 코드를 도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입력 코드(9)와 브리지 코드(10)를 별개로 도출하고, 릴(14)의 상이한 플랜지 사이에 권취하도록 하여 2개의 코드가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5 (A) 및 도 5 (B)에서, 31은 후술하지만 가압 조작에 의해, 걸림편(21)과 클릭부(14c)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걸림을 해제하여, 권취 수단 내에 권취한 2개의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를 해제하는 걸림 해제 버튼이다.
도 4 (A)는 도 5 (A)의 B-B 단면 화살표 도면이다. 도 4 (A)에서, 헤드폰 하우징(1L)은 대략 원형의 기판(34) 전후의 주변에 원형의 리브(40)를 설치한 하부 공간(33) 및 상부 공간부(32)가 형성된 하우징(2)이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전술한 하우징(2) 앞부분의 리브(40)로 둘러싸인 하부 공간(33) 내에는 스피커 등의 D/U(3)가 설치되고, 이 D/U(3)의 앞면에는 복수개의 음공(1a)이 뚫린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한 방음판(35)이 앞부분 리브 내주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앞부분의 리브(40) 외주에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등으로 링형으로 형성한 이어 패드(4)가 장착되어 있다.
링형의 후방 리브(40)로 둘러싸인 상부 공간부(32) 내에는, 그 중심부에 하우징(2)의 기판(34)의 베어링(36)으로부터 추축으로 되는 회전축(13)이 세워 설치되고,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의 패터닝된 단자 기판(17)이 릴(14)의 허브 하단에 형성한 보링부(14b)에 끼워 장착되고, 릴(14)에 권취한 입력 코드(9) 및/또는 브리지 코드(10)의 일단이 금속 집전링(19a, 19b, 19c)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2)의 기판(34)에는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이 고정되어 있다.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를 권취 수납하는 릴(14)은 회전축(1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릴(13)의 하부 플랜지(14d)의 원주에는 캠(37)을 형성한 클릭부(14c)로 이루어져 있다.
릴(14) 내에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한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이 설치되고, 릴(14)의 하면에는 도 4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릭부(14c)에 설치된 캠(37)에 거는 래칫 기구를 구성하는 걸림편(21)이 설치되고, 이 캠(37)과 걸림편(21)으로 걸림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 해제 버튼(31)을 손 등으로 가압하면, 캠(37)과 걸림편(2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의 권취력에 의해 릴(14)의 허브 상하에 형성한 상하 플랜지(14d, 14e) 사이에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가 동시에 권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4 (A)에서 39는 상부 공간부(32)를 덮도록 돔형으로 합성 수지로 성형한 하우징 캡이다.
도 4 (B)에서, 릴(14)의 하부 플랜지(14d) 주변에 형성한 캠(37)에 대하여, 하우징(2)의 링형 리브(40) 내의 상부 공간(32)에는 대략 L 자형으로 형성한 걸림편(21)이 축(2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걸림편(21)의 일단은 클릭부(14c)의 캠(37)에 따라 접촉 가능하게 편의용(偏倚用)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치우쳐져 있다.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된 걸림편(21)의 타단에는 걸림 해제 버튼(31)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 걸림 해제 버튼(31)을 화살표 D 방향으로 가압하면 캠(37)의 단부(段部)로부터 걸림편(21)의 선단이 벗어남으로써 릴(14)에 내장되어 있는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의 기능에 의해 2개의 입력 플러그(8)가 장착된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릴(14)이 회전하여 권취 수납된다.
이와 같이 릴(14)의 허브 상하에 형성한 상하 플랜지(14d, 14e) 사이의 공간부에 권취 수납된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를 꺼내려면, 이들 2개의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를 도 4 (A)에서, 손 등으로 꺼내면 걸림편(21)은 도 4 (B)에서 릴(14)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F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캠(37) 을 타고 넘으면서 간헐적으로 꺼낼 수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본 발명의 정류자 기구를 상세히 기록한다. 본 발명의 정류자 기구는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과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이 형성된 단자 기판(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의 코드 권취 부분의 집전 기구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서, 하우징(2)의 기판(34) 상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세워 설치한 베어링(36) 상에는 릴(14)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는 회전축(13)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브러시형의 인(燐) 청동이나 베릴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형(角形)의 금속 접점(18a, 18b, 18c)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를 3등분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금속 접점(18a, 18b, 18c)의 하우징(2)의 기판(34)으로의 장착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34)에 형성한 금속 접점 단자(44)를 삽입 가능한 투시공(45) 내에 삽입 고정하는 것만으로 되며, 금속 접점(18a, 18b, 18c)의 접점은 기판(34)에 형성한 가압편(46)에 의해 단자 기판(17)의 금속 집전링(19a, 19b, 19c)에 항상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금속 접점(18a, 18b, 18c)의 용착 작업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과 대향하는 위치에 링형으로 또한, 동심원형으로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이 패터닝된 단자 기판(17)을 도 2와 같이 릴(14)의 하부 플랜지(14d) 내주와 허브 사이에 형성한 보링부(14b)에 끼워 장착한다. 릴(14)의 상부에는 회전축(13)의 슬롯부에 일단을 걸고, 타단을 릴(14)에 걸게 한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15)을 상부 공간(43)에 삽입하고, 가압판(16)을 플 랫 스파이럴 스프링(15)에 덮고, 회전축(13)에 가압판(16)을 C링 등으로 고정하고, 하우징(2)의 상부 공간(22)에는 하우징 캡(39)이 덮인다.
또, 하우징(2)의 하부 공간(3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U(3)가 장착되고, 방음판(35)(도 4참조)을 통해 이어 패드(4)가 장착되어 있다.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는 릴(14)에 권취되고, 입력 코드(9) 및/또는 브리지 코드(10)의 일단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 기판(17)의 금속 집전링(19a, 19b, 19c)에 납땜 처리 등으로 접속된다.
도 6은 1개의 릴(14) 내에 2개의 입력 코드(9) 및 브리지 코드(10)를 권취 수납하고, 또한 입력 코드(9)와 브리지 코드(10)의 도중의 피복을 벗기고 이 박리부(48)에 단자 기판(7)을 납땜하여, 연속된 도체(1개의 도체)로 만든 경우의 단자 기판(17)으로의 납땜 개소를 설명하기 위한 배선도이다.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내에 1개의 권취 수단을 설치하여 2종류의 코드를 동시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플러그(8)의 좌우 L, R 및 그라운드 G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8a) 장착의 입력 코드(9)로부터, 예를 들면, 좌측 헤드폰 하우징(1L) 내의 D/U(3)(L)에 단자 기판(17)을 통해 입력(또는 스테레오 헤드 세트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출력)된 신호를,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을 연결하는 브리지 코드(10)를 통해, 우측 헤드폰 하우징(1R) 내의 D/U(3)(R)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단자 기판(17)에 납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 납땜 작업은 손작업의 불확실성 때문에 불량 발생의 원인으로서 상위를 차지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릴(14)의 보링부(14b)에 단자 기판(17)을 압입(壓入)하기 전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코드(9)의 G용 리드 중간 부분의 피복을 벗겨 박리부(48)를 형성하고, 이 박리부(48)를 단자 기판(17)에 작은 숫자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납땜하도록 만들고, 나머지인 핫 측의 G용 입력 코드(9)는 단자 기판(17)을 통해 우측 헤드폰 하우징(1R)의 D/U(3)(R)에 다이렉트로 접속시키면, 단자 기판(17)으로의 납땜 위치는 작은 숫자 5, 6으로 나타낸 2개소에서 끝나므로, 많은 납땜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땜도 넓은 장소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전술한 종래와 같이 작은 좌우 헤드폰 하우징(1L, 1R)의 보링부(14b) 내에 놓여진 플러그형의 접점(18a, 18b, 18c)에 입력 코드(9) 단부(端部)의 납땜 작업이나 용착 공정이 생략되고, 번잡성과 불량 발생으로 연결되는 원인이 제거되어 불량률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입력 코드(9)의 도체가 잘린 곳이 없는 동일 부품이기 때문에, 전달 로스에 의한 음질에 있어서의 저감(고음질) 및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얻어진다.
도 7 (A)는 본 발명의 권취 수단을 휴대용의 라디오 수신기, 휴대용 기록 재생 장치,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의 전자 기기 내에 장착한 경우의 주요부를 절단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A)에서, 50은 상자체를 나타내고 이 상자체(50) 또는 상자체(50) 내에 설치한 섀시(51)의 절연 기판(52) 상에 브러시형의 접점(18a, 18b, 18c)을 배치하고,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이 패터닝된 단자 기판(17)을 릴(14) 측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릴(14)에 권취되 는 입출력 코드(53)의 선단에는 좌우용의 이어폰, 헤드폰, 마이크로폰, 입력 플러그(입력 잭을 포함하는 접속전(接續栓)), 출력 플러그(출력 잭을 포함하는 접속전)(54)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릴(14)의 하부 플랜지(14d)에 단자 기판(17)을 장착했지만, 릴(14)의 하부 플랜지(14d)에 직접 금속 집전링(19a, 19b, 19c)을 패터닝하도록 해도 된다.
도 7 (B)에 나타낸 것은 상자체(50)의 상부 반체에 추축(56)을 세워 설치하고, 이 추축(56)에 드럼(55)을 회동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시키고 드럼(55)의 하단에 드럼(55)의 직경보다 큰 원반형의 단자 기판(17)을 고정시킨 것이며, 입출력 코드(53)는 드럼에 권취된다.
전술한 권취 수단으로서는 캠을 가지는 클릭부와 걸림편의 클릭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 대신에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 기어와 래칫 방식, 클릭과 클릭 관(冠)바퀴 등 회전 멈춤의 걸림 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 전술한 구성에서는 릴의 플랜지 주변을 클릭부로 했지만, 이 클릭부 대신에 클릭부를 새로 설치하거나, 또는 릴을 드럼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헤드폰 세트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 제1 헤드폰 하우징과,상기 제1 헤드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추축(樞軸)과,상기 추축에 회동(回動) 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릴과,상기 릴에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는 입력 코드와,상기 릴에 설치되고, 상기 추축에 대하여 상기 릴과 함께 회동할 수 있는 단자 기판과,상기 단자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코드가 접속되는 금속 집전링과,상기 제1 헤드폰 하우징의 내부의, 상기 금속 집전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접점(接点)과,상기 제1 헤드폰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접점에 접속되는 제1 스피커를 구비하는, 헤드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제2 헤드폰 하우징과,상기 제2 헤드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2 스피커와,상기 입력 코드와 상기 제2 스피커에 접속되고, 상기 릴에 상기 입력 코드와 함께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는 브리지 코드를 더 구비하는, 헤드폰 장치.
- 전자 기기 상자체와,상기 전자 기기 상자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추축(樞軸)과,상기 추축에 회동(回動) 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릴과,상기 릴에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는 코드와,상기 코드에 접속되는 헤드폰과,상기 릴에 설치되고, 상기 추축에 대하여 상기 릴과 함께 회동할 수 있는 단자 기판과,상기 단자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코드가 접속되는 금속 집전링과,상기 전자 기기 상자체 내부의, 상기 금속 집전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접점(接点)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 내의 추축(樞軸)에 회동 될 수 있도록 장착된 릴에 코드를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코드 권취 장치에 있어서,상기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에 접점(接点)을 배치하고, 상기 릴에 금속 집전링을 가지는 단자 기판을 설치하여 구성되고,한쪽의 상기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의 드라이브 유닛에 접속되는 입력 플러그의 그라운드용 입력 코드를 도중에서 박리한 박리부를 상기 금속 집전링의 단자에 접속하고,상기 입력 코드의 상기 박리부 이후를 브리지 코드로 한 일단을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하여 구성되는,코드 권취 장치.
-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 내의 추축(樞軸)에 회동 될 수 있도록 장착된 릴에 코드를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코드 권취 방법에 있어서,상기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에 접점(接点)을 배치하고, 상기 릴에 금속 집전링을 가지는 단자 기판을 설치하고, 상기 릴에 상기 코드를 권취하는 단계,한쪽의 상기 헤드폰 하우징 또는 상자체의 드라이브 유닛에 접속되는 입력 플러그의 그라운드용 입력 코드를 도중에서 박리한 박리부를 상기 금속 집전링의 단자에 접속하는 단계,상기 입력 코드의 상기 박리부 이후를 브리지 코드로 한 일단을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 권취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52465A JP4127242B2 (ja) | 2004-05-21 | 2004-05-21 | ヘッドホン装置及び電子機器 |
JPJP-P-2004-00152465 | 2004-05-21 | ||
PCT/JP2005/009721 WO2005115048A1 (ja) | 2004-05-21 | 2005-05-20 | ヘッドホン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コード巻回装置とコード巻回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0156A KR20070030156A (ko) | 2007-03-15 |
KR101159143B1 true KR101159143B1 (ko) | 2012-06-22 |
Family
ID=3542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1397A KR101159143B1 (ko) | 2004-05-21 | 2005-05-20 |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코드 권치 장치 및 코드 권취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599509B2 (ko) |
JP (1) | JP4127242B2 (ko) |
KR (1) | KR101159143B1 (ko) |
CN (2) | CN1820538A (ko) |
BR (1) | BRPI0505972A (ko) |
TW (1) | TWI270310B (ko) |
WO (1) | WO200511504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870A (ko) * | 2017-06-20 | 2018-12-28 | 이수행 | 헤드폰 타입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공기청정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48531B2 (ja) * | 2003-09-12 | 2010-09-22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ヘッドホン |
US7810750B2 (en) | 2006-12-13 | 2010-10-12 | Marcio Marc Abreu |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
WO2007070508A2 (en) | 2005-12-13 | 2007-06-21 | Marcio Marc Abreu |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
CA2636159C (en) * | 2006-01-06 | 2014-06-03 | Marcio Marc Abreu |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
KR100781228B1 (ko) * | 2006-11-13 | 2007-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내장형 안테나 모듈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
JP5261971B2 (ja) * | 2007-04-27 | 2013-08-14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圧延機ワークロールのロールギャップ測定装置 |
SG153697A1 (en) * | 2007-12-26 | 2009-07-29 | Creative Tech Ltd | An assembly for a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included with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a method for using the assembly |
US8147270B1 (en) * | 2009-09-24 | 2012-04-03 | Jeffrey Wescott | Cord management method and sleeve for ends of Y-shaped cords |
US8123010B2 (en) * | 2009-10-05 | 2012-02-28 | Telefonix, Incorporated | Retractable cord reel |
US8112132B2 (en) * | 2009-12-18 | 2012-02-07 | Yuet Ming Chan | Mobile device having cord retractor |
KR101303274B1 (ko) | 2010-11-04 | 2013-09-03 | 신지앙 티안디 그룹 | 내장형 신축 이어폰 구조 및 단말 설비 |
CN102469383B (zh) * | 2010-11-04 | 2015-05-13 | 新疆天地集团有限公司 | 一种母子双耳机结构及移动终端 |
US8365887B2 (en) | 2010-12-17 | 2013-02-05 | Fischer Consumer Electronics | Retraction apparatus |
US8767387B2 (en) * | 2011-01-04 | 2014-07-01 | Vertu Corporati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
US20120224737A1 (en) * | 2011-03-01 | 2012-09-06 | John Cataldo | Cartridge for managing ear bud cables |
US20120314896A1 (en) * | 2011-06-07 | 2012-12-13 | Kevin Bryant | Retractable Audio Cord Device |
US8800907B2 (en) | 2011-10-03 | 2014-08-12 | Scott Koenig |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
CA2871142C (en) * | 2012-04-29 | 2021-06-08 | Hybrid Skillz Inc. | Retractable storage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
US20140192995A1 (en) * | 2013-01-04 | 2014-07-10 | Headlogic Llc | Ear Bud Retraction Module Having Optimal Microphone Placement |
WO2014182784A1 (en) | 2013-05-10 | 2014-11-13 | Tebo Glenn J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CN104577565B (zh) * | 2013-10-11 | 2018-11-0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自动卷线器及电气设备 |
US20150102151A1 (en) * | 2013-10-15 | 2015-04-16 | Response Engineering, Inc. | Retractable cord reel with electrical contacts mounted on an axial movable spool |
EP3091868A4 (en) | 2014-01-10 | 2017-11-29 | Marcio Marc Abreu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US9820028B2 (en) | 2014-03-21 | 2017-11-14 | Robert J. Long | Cord management device |
US9055364B1 (en) | 2014-08-18 | 2015-06-09 | Bulecom Co., Ltd. |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
WO2016174499A1 (en) | 2015-04-29 | 2016-11-03 | Laidback Life Ltd | Device for storing an earphone cabl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
WO2019237282A1 (zh) * | 2018-06-13 | 2019-12-19 |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 电子装置 |
EP3641076B1 (en) | 2018-10-19 | 2020-09-30 | Schleifring GmbH | Slipring housing with bayonet lock |
CN113875099B (zh) * | 2019-06-14 | 2022-06-28 | 史莱福灵有限公司 | 滑环装置 |
USD911317S1 (en) * | 2019-08-14 | 2021-02-23 | Skullcandy, Inc. | Base module for earphones |
KR102390426B1 (ko) * | 2019-09-26 | 2022-04-25 | 구글 엘엘씨 |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
CN111290545B (zh) * | 2020-02-21 | 2021-08-06 | 浙江优兰电气有限公司 | 一种基于机器人区块链的网络设备 |
CN113238079A (zh) * | 2021-05-20 | 2021-08-10 | 汕头经济特区广澳电力发展公司 | 一种可扩展可拓展多功能试验接线收纳盒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194U (ja) * | 1993-04-21 | 1994-11-15 | 沖電線株式会社 | 小型イヤホンコード巻き取り器 |
JP2002010385A (ja) * | 2000-06-26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9525A (ja) | 1986-10-27 | 1988-05-14 | Brother Ind Ltd | 印字装置のインタ−フエイス |
JPS63109525U (ko) * | 1986-12-30 | 1988-07-14 | ||
US5339461A (en) * | 1991-09-20 | 1994-08-16 | Luplow Harley M | Compact radio frequency receiver having take-up spool housed earphone conductors |
DE69301748T2 (de) | 1992-04-22 | 1996-10-02 | Agfa Gevaert Nv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luminiumfolie zur Verwendung als Träger in lithographischen Druckplatten |
JPH0671194U (ja) * | 1993-02-18 | 1994-10-04 | 陽三 荒川 | 消しカス飛散防止キャップ付 長尺替えゴム使用電動消しゴム機 |
JPH09187092A (ja) | 1995-12-29 | 1997-07-15 | Sony Corp | 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
JP3635429B2 (ja) * | 1999-12-28 | 2005-04-06 | 株式会社スリービー 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ジャパン | 電気音響変換装置 |
JP2002101484A (ja) * | 2000-09-25 | 2002-04-05 | Nobumasa Asakawa |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
-
2004
- 2004-05-21 JP JP2004152465A patent/JP412724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5-18 TW TW094116113A patent/TWI27031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0 KR KR1020067001397A patent/KR1011591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0 CN CNA2005800005697A patent/CN1820538A/zh active Pending
- 2005-05-20 US US10/565,155 patent/US75995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5-20 CN CN2013100768187A patent/CN103227969A/zh active Pending
- 2005-05-20 BR BRPI0505972-0A patent/BRPI0505972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0 WO PCT/JP2005/009721 patent/WO200511504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194U (ja) * | 1993-04-21 | 1994-11-15 | 沖電線株式会社 | 小型イヤホンコード巻き取り器 |
JP2002010385A (ja) * | 2000-06-26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870A (ko) * | 2017-06-20 | 2018-12-28 | 이수행 | 헤드폰 타입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공기청정시스템 |
KR101966143B1 (ko) * | 2017-06-20 | 2019-04-05 | 이수행 | 헤드폰 타입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공기청정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127242B2 (ja) | 2008-07-30 |
CN103227969A (zh) | 2013-07-31 |
US7599509B2 (en) | 2009-10-06 |
TW200608816A (en) | 2006-03-01 |
KR20070030156A (ko) | 2007-03-15 |
TWI270310B (en) | 2007-01-01 |
US20080192975A1 (en) | 2008-08-14 |
JP2005333594A (ja) | 2005-12-02 |
WO2005115048A1 (ja) | 2005-12-01 |
BRPI0505972A (pt) | 2006-10-24 |
CN1820538A (zh) | 2006-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9143B1 (ko) | 헤드폰 장치, 전자 기기, 코드 권치 장치 및 코드 권취 방법 | |
JP2005504692A (ja) | 格納式ケーブ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 |
US6808138B2 (en) |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 |
JP2005110206A (ja) |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 |
US6199674B1 (en) | Structure of a wire winding box | |
JP2002010385A (ja) |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 |
GB2322618A (en) | Reeling device | |
US20030106823A1 (en) | Short wire length wire-winding box | |
US8059854B2 (en) | Earphone | |
US6659246B2 (en) | Extendable and retractable telephone cord apparatus | |
KR101705021B1 (ko) |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 |
KR19980059970U (ko) |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 |
JP4548531B2 (ja) | ヘッドホン | |
KR100579038B1 (ko) | 박형 콤팩트 타입 이어폰 라인 케이스 | |
TW200526058A (en) |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 |
JP3110362B2 (ja) | イヤホンマイク付き携帯電話機 | |
KR100465808B1 (ko) |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 |
JP2005328480A (ja) | ヘッドホン装置 | |
JPH09187092A (ja) | 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 |
CN216852302U (zh) | 一种耳机线收纳盒、耳机及助听器 | |
JPH06269073A (ja) | イヤホンおよび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 |
KR101674072B1 (ko) | 핀 터미널을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 |
KR200361407Y1 (ko) | 박형 콤팩트 타입 이어폰 라인 케이스 | |
JP2001189983A (ja) | 電気音響変換装置 | |
JPS60169199A (ja) | 接続端子の取付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