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426B1 -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 Google Patents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426B1
KR102390426B1 KR1020217039076A KR20217039076A KR102390426B1 KR 102390426 B1 KR102390426 B1 KR 102390426B1 KR 1020217039076 A KR1020217039076 A KR 1020217039076A KR 20217039076 A KR20217039076 A KR 20217039076A KR 102390426 B1 KR102390426 B1 KR 10239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light
assembly
range extend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8425A (ko
Inventor
비비안 더블유. 탕
리 야 왕
유-밍 첸
미히카 헤마디
두안잉 린
야우-싱 리
프레드릭 헤크만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2701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4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c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원 명세서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과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기술 및 시스템은 오디오 센서, 열 싱크 어셈블리, 회로 기판 어셈블리 및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스피커 어셈블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상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재는 둥근 코너를 통해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수직 벽에 연결된 아래로 오목한 상부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열 싱크 어셈블리는 열 싱크 및 수직 벽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열 싱크 어셈블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또한, 광 링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RANGE EXTENDER DEVICE}
본 발명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하드웨어 제약으로 인해 크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일부에는 사용자 집 내의 장치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를 움직이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작은 어린이나 동물이 닿는 곳에 있는 외부 안테나가 포함된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는 일부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 복잡한 제어 및 상태 표시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이러한 양태들은 사용자를 좌절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본원 명세서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매끈하고 둥근 에지부를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을 포함한다. 설명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기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 비해 견고성, 단순성 및 소형화가 개선되었다. 본원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오디오 센서, 열 싱크 어셈블리, 회로 기판 어셈블리 및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스피커 어셈블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상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재는 둥근 코너를 통해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수직 벽에 연결된 아래로 오목한 상부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열 싱크 어셈블리는 열 싱크 및 수직 벽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열 싱크 어셈블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또한, 광 링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이 요약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단순화된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어 있다. 이 요약은 청구범위의 필수 특징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특징부 및 구성 요소를 참조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하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후방 입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우측 입면도이다.
도 3d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좌측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단면 라인 6-6을 따라 취해진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 하우징 부재 사이의 연결 포인트를 도시하는 도 5의 후방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 구현된 예시적인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열 싱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추가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클라이언트, 서버 및/또는 전자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메시 네트워크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를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개요
본원 명세서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기존 레인지 익스텐더에 비해 견고성, 단순성 및 소형화가 개선되었다.
양태들에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가 개시된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부재를 갖는 하우징, 오디오 센서, 열 싱크 어셈블리, 회로 기판 어셈블리, 스피커 및 광 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수직 벽 및 둥근 코너를 통해 수직 벽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상부 단부 부분을 갖는 상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며, 수직 벽은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내부 표면 및 대향 외부 표면을 가지며, 수직 벽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만곡된 수직 벽의 외부 표면 및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벽의 내부 표면에 기초하여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불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부 단부 부분은 상기 상부 단부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 아래로 오목하다. 하부 하우징 부재는 수직 벽의 제2 단부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며, 하부 하우징 부재는 하부 외부 표면 및 대향 내부 표면을 가지고, 하부 외부 표면은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획정하며,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수직 벽과 하부 외부 표면 사이에 만곡된 에지부를 포함한다. 오디오 센서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열 싱크 어셈블리는 열 싱크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열 싱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수직 벽의 내부 표면의 반경보다 작은 공차 임계 거리 내에 있는 반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열 싱크 어셈블리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위한 라디오 노드를 제공하게 한다.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복수의 구멍과 정렬된다. 광 링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되며, 광 링 어셈블리는 중앙 축선으로부터 멀리 광을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광을 확산시켜 하부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golw)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태들에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안테나, 회로 기판 어셈블리, 열 싱크, 마이크로폰, 스피커 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는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 라디오 노드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열 싱크는 회로 기판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마이크로폰은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스피커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이 스피커 어셈블리와 열 싱크 사이에 위치되도록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하우징은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안테나, 회로 기판 어셈블리, 열 싱크,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어셈블리 주위에 인클로저를 형성한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 수직 벽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광 링 어셈블리는 제2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설명된 기술 및 장치를 사용하여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의 몇 가지 예일 뿐이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다른 예들과 구현 예들이 설명된다. 본원 명세서는 이제 예시적인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예시적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장치
도 1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상부 후방 사시도(100)이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코너가 둥근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인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하우징(104)은 중앙 축선(106)(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다. 하우징(104)은 적은 가시적인 특징부를 갖는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다. 양태들에서, 하우징(104)은 상부 하우징 부재(108) 및 하부 하우징 부재(11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은 하우징(104)의 외부 표면에 심(seam)(112)을 포함한다. 심(112)은 상부 하우징 부재(108)가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부착되는 위치와 정렬된다.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연결(예를 들어, 나사 결합, 스냅, 고정, 가압, 접착, 초음파 용접 등)될 수 있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또한 상부 하우징 부재 (108)에 있는 구멍(114)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114)은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입력(예를 들어,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하우징(104) 내에 위치된 오디오 센서(도 1에 도시되지 않음)와 정렬된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오디오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끄는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를 포함한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기존 Wi-Fi 네트워크의 범위를 연장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사용자의 집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의 하부 후방 사시도(200)이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복수의 구멍(202)을 포함한다. 구멍들(202)은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하부 외부 표면에 수직이다. 구멍들(202)은 하우징(104) 내의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와 정렬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배럴 잭과 같은 전원 커넥터와 정렬된 하우징(104)을 관통하는 개구(204)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 링 어셈블리(206)는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부착된다. 광 링 어셈블리(206)는 장치의 상이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 아래에 광의 글로우를 제공한다. 광의 글로우("언더 글로우"라고도 함)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가 놓여 있는 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 아래에서 방사되는 확산된 광이다. 일 예에서, 마이크로폰이 음소거된 경우 광의 글로우는 빨간색 또는 황색일 수 있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가 능동적으로 통화(예를 들어, Wi-Fi 통화,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 통화 등) 중인 경우 광의 글로우는 파란색으로 깜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실행되는 가상 어시스턴트와 상호 작용할 때 광의 글로우는 흰색일 수 있다. 따라서, 광 링 어셈블리(206)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언더 글로우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색상 및/또는 플래시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다양한 입면도이다. 도 3a는 중앙 축선(106)이 수직으로 표시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정면 입면도(300)이다.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중앙 축선(106)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수직 벽(302)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수직 벽은 x-축선 반경이 y-축선의 대략 10mm 공차 내에 있도록 y-축선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x-축선 반경을 갖는다). 또한,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상부 단부 부분(304)이 수직 벽(302)을 향해 만곡되도록 전방 입면도(300)에서 아래로 오목한 상부 단부 부분(304)을 포함한다. 상부 단부 부분(304)은 둥근 에지부(306)를 통해 수직 벽(302)의 제1 단부(예를 들어, 상부 단부)에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와 중앙 축선(106)을 공유하고,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수직 벽(302)의 제2 단부(예를 들어, 하부 단부)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에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둥근 에지부(306)와 유사한 반경을 가질 수 있는 둥근 에지부(308)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중앙 축선(106)의 방향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보다 실질적으로 짧아서, 심(112)이 하우징(104)의 하부 절반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하부 하우징 부재(110) 및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임의의 적절한 높이를 가질 수 있어서, 심(112)은 상부 하우징 부재(108)가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중앙 축선(106)을 중심으로 수직 벽(302)의 반경은 대략 38mm 내지 대략 65mm 범위 내의 반경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반경일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평면(310)을 획정하는 하부 외부 표면(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하부 외부 표면에는 광 링 어셈블리(206)가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와 광 링 어셈블리(206) 사이에 위치된다. 풋(312)은 광 링 어셈블리(206)에 연결된다. 풋(312)은 하우징(104)과 하우징(104)이 안착되는 표면 사이의 슬라이딩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풋(312)은 광 링 어셈블리(20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b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후방 입면도(320)이다. 후방 입면도(3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케이블(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이 하우징 내의 전원 커넥터(322)에 연결되어 전원을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로 전송하기 위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구(204)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는 개구(204)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는 눈에 띄지만 사용자가 빠르게 접근하기 쉬운 상부 하우징 부재(108)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풋(312)은 대략 0.3 mm 내지 대략 0.7 mm의 범위 내에 있는 높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높이 y(324)를 가질 수 있다. 광 링 어셈블리(206)는 대략 1.75 mm 내지 대략 2.25 mm 범위 내의 높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높이 z(32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 링 어셈블리(206)는 대략 3.5mm 내지 대략 4.25mm 범위 내의 임의의 적절한 거리를 포함할 수 있는 거리 x(328)만큼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코너로부터 삽입된다. 삽입 거리 x(328)는 광 링 어셈블리(206)의 반경과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외부 표면의 반경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풋(312)은 거리 q(330)와 동일한 양만큼 광 링 어셈블리(206)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포함하여, 풋(312)은 거리 q(330)와 동일한 공간만큼 광 링 어셈블리(2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삽입된다. 거리 q(330)는 대략 1.25 mm 내지 대략 1.75 mm 범위 내에 있는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높이들(324 및 326)과 삽입 거리들(328 및 330)의 조합은 광 링 어셈블리(206)에 의해 제공되는 확산된 광이 하우징(104) 아래에서 방사되고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가 놓여 있는 표면을 특정 강도로 반사하도록 하우징(104) 아래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3c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우측 입면도(340)이다. 도 3d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좌측 입면도(350)이다. 양태들에서, 하우징(104)은 대략 75mm 내지 대략 90mm의 범위 내에 있는 높이 h(342)를 갖는다.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좌측 및 우측에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부 양태들에서,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20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는 수직 벽(202)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평면도(400)이다. 평면도(400)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상부 단부 부분(304)이 도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원형이다. 상부 단부 부분(304)은 음성 명령과 같은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04) 내의 오디오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정렬되는 복수의 구멍(114)을 포함한다. 평면도(400)는 도 6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 라인 6-6을 포함한다.
도 5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저면도(500)이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구멍들(202)을 포함한다. 구멍들(202)은 하부 하우징 부재(110) 상에 임의의 적절한 패턴 또는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멍들(202)은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둥근 에지부(308)를 따라 4열로 배치된다. 또한, 풋(312)은 광 링 어셈블리(206)에서 풋(312) 뒤에 숨겨져 있는(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부재(504)의 위치를 나타내는 리세스(502)(예를 들어, 만입부, 구멍)를 포함한다. 캔틸레버 부재(504)는 광 링 어셈블리(206) 내에 형성되고, 지지점(fulcrum)에서 광 링 어셈블리(206)에 연결된다. 캔틸레버 부재(504)는 광 링 어셈블리(206)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리세스(502)는 캔틸레버 부재(504)의 자유 단부와 정렬된다. 캔틸레버 부재(504)는 캔틸레버 부재(504)의 자유 단부(예를 들어, 풋(312) 상의 리세스(502)의 위치에서)에 가해진 힘에 의해 구부러져서 하우징(104) 내에 위치된 회로 기판 어셈블리 상에서 리셋 기구(도 10d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됨)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캔틸레버 부재(504)는 사용자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를 리셋하기 위해 가압할 수 있는 리셋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도 6은 수평 단면 평면에서 그리고 단면 라인 6-6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취해진 도 4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단면도(600)이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컴팩트 어셈블리의 하우징(104) 내에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그에 부착된 다중 안테나(604)를 지지하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를 포함한다. 열 싱크 어셈블리(602)는 하우징(104)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안테나(604)는 2mm의 공차 거리 내에서 수직 벽(302)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인접하게) 위치된다.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는 또한 제1 PCBA(606), 제2 PCBA(608) 및 제3 PCBA(610)를 포함하는 다중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를 포함한다. PCBA(606)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상부 단부 부분(304)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단부 부분(304)에 접한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PCBA(606)는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612), 하나 이상의 발광 구성 요소(614)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센서(도 6에 도시되지 않음,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됨)에 결합된다. PCBA(606)는 도 1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PCBA(606, 608 및 610)는 각각 인쇄 회로 기판(PCB)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FR4 재료와 같은 유리 강화 에폭시 라미네이트 재료일 수 있으며, 다중 레이어 및/또는 전기 트레이스, 관통 구멍 구성 요소를 위한 도금 관통 구멍 및/또는 표면 장착 구성 요소를 위한 패드를 갖는다. PCBA들(606, 608 및 610) 중 적어도 하나는 쿼리 또는 명령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을 처리하고, 쿼리 또는 명령에 응답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시작할 수 있는 가상 어시스턴트를 구현하도록 구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2 PCBA(608)는 PCBA(606)로부터 열 싱크 어셈블리(602)의 반대 측에 위치된다. 특히, PCBA(608)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와 스피커 어셈블리(616) 사이에 위치된다. 스피커 어셈블리(616)는 PCBA(608)와 제3 PCBA(610) 사이에 위치된다. PCBA(610)는 스피커 어셈블리(616)와 하부 하우징 부재(110) 사이에 위치된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외부에 접하는 것은 환형 광 가이드(618) 및 반사기(620)를 포함하는 광 링 어셈블리(206)이다. 광 링 어셈블리(206)는 풋(312)에 접한다.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또한 상부 단부 부분(304)의 내부 표면에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재료의 두께가 임계 값 미만이면 빛이 재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반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PCBA(606)에 연결된 발광 구성 요소(614)(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내부 표면 상의 리세스로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두께가 리세스와 상부 단부 부분(304)의 외부 표면 사이와 같이 발광 구성 요소(614)와 정렬된 위치에서 임계 값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광은 그 반투명한 위치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를 통과한다. 광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작동 상태 또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상태 표시등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 부재(108)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단부 부분(304) 및 둥근 에지부(306)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둥근 에지부(306)와 상부 단부 부분(304)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선을 따른다. 그러나,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은 수직 벽(302)의 외부 표면이 곡선을 갖는 반면 수직 벽(302)의 내부 표면이 실질적으로 제로 드래프트 표면(예를 들어, 대략 제로 테이퍼를 갖는 직선 표면)을 갖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로 드래프트 표면은 제로 드래프트 표면과 중앙 축선(106) 사이의 각도가 5도 미만이 되도록 중앙 축선(10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수직 벽(302)의 이러한 제로 드래프트 내부 표면은 하우징 내의 구성 요소가 용이한 분해를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거나 및/또는 용이한 조립을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 양태의 더욱 상세한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서 점선 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단면도(600)의 일부의 확대도(700)이며, 하우징(104)의 상부 및 하부 하우징 부재(108, 110) 사이의 연결 포인트를 도시한다. 확대도(700)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은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은 제로 드래프트 내부 표면(702) 및 만곡된 외부 표면(704)에 기초하여 불균일한 두께를 포함한다. 만곡된 외부 표면(704)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외부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반면, 제로 드래프트 내부 표면(702)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내부 구성 요소의 용이한 삽입 또는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확대도(700)에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의 일부 및 스피커 어셈블리(616)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110)는 둥근 에지부(308)에 구멍(202)(예를 들어,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멍(202)은 각각의 구멍(202)의 위치에서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외부 표면에 수직이다.
하우징(104)은 하부 하우징 부재(110)를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에 인터페이스시키는 수직 스텝 부재(706)를 포함한다. 수직 스텝 부재(706)는 하우징(104)의 중앙 축선(106)을 향해(상부 및 하부 하우징 부재(108, 11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오프셋) 대략 0.1 mm 내지 대략 0.3 mm의 범위 내에 있는 거리 x(708)만큼 삽입된다. 수직 스텝 부재(706)는 대략 0.1 mm 내지 대략 0.5 mm의 범위 내에 있는 높이 y(710)를 포함한다. 수직 스텝 부재(706)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외부 표면과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외부 표면 사이에 수평 갭(예를 들어, 도 1의 심(112))을 생성하고, 갭은 수직 스텝 부재(706)의 높이 y(710)와 동일한 높이 및 수직 스텝 부재(706)가 삽입된 거리 x(708)와 동일한 깊이를 포함한다. 생성된 갭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수직 스텝 부재(706) 없이, 상부 하우징 부재(108)와 하부 하우징 부재(110) 사이의 연결은 높이가 불균일한 것으로 사람의 눈에 더 쉽게 인식되는 심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스텝 부재(706)에 의해 생성된 갭은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가능성이 적다.
도 8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예시적인 분해도(800)이다.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802)는 PCBA(606)와 상부 하우징 부재(108)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터치 센서(802)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상부 표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상부 단부 부분(304)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내부 표면에 접한다. 열 싱크 어셈블리(602)는 PCBA(606)와 PCBA(608) 사이에 위치된다. 패스너(804)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를 상부 하우징 부재(108)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열 싱크 어셈블리(602)와 PCBA(608) 사이에는 열 인터페이스 재료(806)(예를 들어, 열 젤, 열 패드 등) 및 전자기(EMI) 개스킷(808)이 포함된다.
PCBA(608)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와 스피커 어셈블리(616) 사이에 위치된다. 프라이버시 스위치(116)는 스피커 어셈블리(616)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인접하게) 포함된다. 스피커 메시(810)는 만곡된 에지부(308)를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양태들에서, 스피커 메시(810)는 스피커 메시(810) 상의 접착제로 하부 하우징(110)에 조립된다. 스피커 메시(810)는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구멍으로의 먼지 또는 액체 유입을 감소시키는 것 외에도 오디오 왜곡을 제한하고 공명 피크를 감소시킨다. 스피커 어셈블리(616) 아래에는 광 링 어셈블리(206)로 광을 방사하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PCBA(610)가 있다. PCBA(610)는 감압 접착제(PSA)(812), 또는 다른 접착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813)를 통해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패스너(814)는 하부 하우징 부재(110)를 스피커 어셈블리(616)에 고정하거나 또는 스피커 어셈블리(616)의 구멍을 통해 하부 하우징 부재(110)를 열 싱크 어셈블리(602)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환형 광 가이드(618), 반사기(620), 광 차단기(816) 및 PSA(818)의 층을 포함하는 광 링 어셈블리(206)가 하부 하우징 부재(110)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광 차단기(816)는 광이 환형 광 가이드(618)와 반사기(620) 사이에서 반사되도록 하여 광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광 차단기(816)는 반사기(62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백색 및 흑색 PET 필름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기(620)는 PCBA(610) 상의 LED에 의해 방사된 광을 환형 광 가이드(618)로 반사하기 위해 반사 재료로 코팅되거나 라이닝된 채널 또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환형 광 가이드(618)는 하우징(104) 아래에 언더 글로우를 제공하기 위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킨다. PSA(818)는 환형 광 가이드(618)에 반사기(620)를 부착한다. 광 링 어셈블리(206)는 하부 하우징 부재(110)와 풋(312) 사이에 위치된다. 패스너(820)는 광 링 어셈블리(206)를 하부 하우징 부재(110)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풋(312)은 PSA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광 링 어셈블리(20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PCBA(606)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PCBA(606)는 LED와 같은 발광 구성 요소(902)를 포함한다. 발광 구성 요소(902)는 하우징(104)을 통해 광을 방사하기 위해 하우징(104)의 상부 단부 부분(304)의 내부 표면에 있는 리세스와 정렬된다. 광이 하우징(104)을 통해 방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는 빛의 색상은 하우징(104)의 재료 및 페인트의 색상에 기초한다. 발광 구성 요소(902)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상태 또는 기능에 기초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광 구성 요소(902)는 하우징(104) 상의 터치 감지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PCBA(606)는 또한 마이크로폰과 같은 복수의 오디오 센서(912)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PCBA(606)는 3개의 오디오 센서(912)를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센서(912)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구멍(114)과 정렬된다. PCBA(606)는 또한 터치 센서(802)에 의해 검출된 터치 입력을 특정 기능에 매핑하는 터치 집적 회로(IC) 칩(9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은 볼륨 높이기, 볼륨 낮추기, 재생, 일시 중지, 다음, 건너 뛰기, 다시 시작, 이전 트랙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열 싱크 어셈블리(602)의 사시도(1000)이다. 열 싱크 어셈블리(602)는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수직 벽(302)의 내부 표면의 반경보다 작은 공차 임계 거리(예를 들어, 0.1 mm) 내에 있는 반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열 싱크(1002)를 포함한다. 열 싱크(1002)는 다이 캐스트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열 싱크(1002)는 안테나(1004, 1006, 1008)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된다. 안테나(1004, 1006, 1008)는 열 싱크 어셈블리(602)의 열 싱크(1002)에 고정되는 스탬핑일 수 있다. 안테나(1004, 1006, 1008)는 각각 블루투스TM, ThreadTM 및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열 싱크 어셈블리(602)는 열 싱크(1002)에 접하는 열 스프레더(1010)를 포함한다. 열 스프레더(1010)는 열 싱크(1002)와 PCBA(606) 사이에 위치되며, 상부 하우징 부재(108)의 상부 단부 부분(304)에 인접한다.
도 11은 평면도(1102), 우측 입면도(1104) 및 저면도(1106)를 포함하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PCBA(608)의 다양한 도면이다. PCBA(608)는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4) 내에 그리고 히트 싱크 어셈블리(602)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인접하게) 위치된다. 평면도(1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A(608)는 축선(1108)을 기준으로 배향된다. 축선(1108)은 PCBA(608)의 PCB(1110)에 의해 획정된 평면과 정렬된다. PCBA(608)는 하나 이상의 이중 데이터 속도 메모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1112)를 포함한다. PCBA(608)는 또한 시스템 온 칩(SoC)(1114) 및 비 휘발성 메모리(1116)(예를 들어, NAND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PCBA(608)는 SoC(1114), 비 휘발성 메모리(111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1112) 주위에 실드 프레임(1118)을 포함한다.
PCBA(608)는 또한 2.4GHz Wi-Fi 모듈과 같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차폐하는 제2 실드 프레임(1120)을 포함한다. PCBA(608)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는 스레드 제어 블록(1122), 제2 무선 네트워크 모듈(1124)(예를 들어, 5GHz Wi-Fi 모듈), 및 스레드 제어 블록(1122)과 제2 무선 네트워크 모듈(1124)을 차폐하는 제3 실드 프레임(1126)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PCBA(608) 상의 구성 요소의 배열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PCBA(608)의 구성 요소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양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PCB(1110) 상의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PCBA(610)의 평면도(1200) 및 저면도(1210)이다. PCBA(610)는 적어도 PCB(1202), 전원 커넥터(1204)(예를 들어, 배럴 잭 커넥터) 및 하나 이상의 LED 드라이버(1206)를 포함한다. LED 드라이버(1206)는 PCB(120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LED(1212)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예에서, PCBA(610)는 9개의 LED(121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ED(1212)는 광 링 어셈블리(206)의 반사기로 광을 방사한다. LED(1212)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임의의 적절한 색상 및/또는 플래시 패턴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BA(610)는 또한 작동될 때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하나 이상의 세팅 또는 기능을 리셋하는 리셋 기구(1214)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
도 13은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메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메시 네트워크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장치(1300)는 메시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전자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출력(I/O) 논리 제어, 통신 인터페이스 및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기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와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 및 상이한 구성 요소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처리하는 저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2) 및 고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4)(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입력-출력(I/O) 논리 제어(1306)(예를 들어, 전자 회로를 포함하기 위해)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의 구성 요소,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논리 장치, 및 실리콘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른 구현 예,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는 고정 논리 회로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2) 및 고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4)는 또한 장치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장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4)는 계산 집약적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반면, 저 전력 마이크로 프로세서(1302)는 하나 이상의 센서(1308)로부터 위험 또는 온도를 검출하는 것과 같은 덜 복잡한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저 전력 프로세서(1302)는 또한 계산 집약적인 프로세스를 위해 고 전력 프로세서(1304)를 깨우거나 초기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308)는 가속도, 온도, 습도, 물, 공급된 전력, 근접성, 외부 움직임, 장치 움직임, 소리 신호, 초음파 신호, 광 신호, 화재, 연기, 일산화탄소, GPS 신호, 라디오 주파수(RF), 기타 전자기 신호 또는 필드 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1308)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위험 관련 센서, 보안 센서, 기타 환경 센서, 가속도계, 마이크로폰, 카메라(예를 들어, 충전된 커플링 장치 또는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 광학 센서, 능동 또는 수동 방사 센서, GPS 수신기 및 라디오 주파수 식별 검출기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들에서,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하나 이상의 1차 센서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2차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1차 센서는 장치의 코어 작동에 대한 중심 데이터를 감지하는(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에서 온도 감지 또는 연기 검출기에서 연기 감지)하고, 2차 센서는 에너지 효율 목표 또는 스마트 작동 목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예컨대, 움직임, 광 또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임의의 유형의 비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전자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메모리 장치 컨트롤러(1310) 및 메모리 장치(1312)를 포함한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또한 메모리에 의해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으로 유지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 시스템(1314)과 같은 다양한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소프트웨어는 또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양태들을 구현하는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131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또한 다른 장치 또는 주변 구성 요소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장치 인터페이스(1318)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메시 네트워크 장치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결합하는 통합 데이터 버스(1320)를 포함한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 버스는 또한 다른 버스 구조 및/또는 버스 아키텍처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31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및/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수신된 입력은 세팅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318)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기계적 또는 가상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한 구성 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터치 패드를 따른 움직임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장치의 세팅 조정에 대응할 수 있다. 물리적 및 가상의 이동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는 사용자가 명백한 연속체의 일부를 따라 세팅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318)는 또한 버튼, 키패드, 스위치, 마이크로폰 및 이미저(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와 같은 임의의 수의 주변 장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메시 네트워크에서 다른 메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메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22) 및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또한 메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메시 네트워크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그리고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라디오 시스템(1324)을 포함한다. 무선 라디오 시스템(1324)은 Wi-Fi, 블루투스TM, 모바일 브로드밴드, 블루투스 저 에너지TM(BLE) 및/또는 포인트-투-포인트 IEEE 802.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라디오 시스템 각각은 특정 무선 통신 기술을 위해 구현되는 라디오 장치, 안테나 및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네트워크 장치(1300)는 또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1326)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장치를 라인 전압에 연결시킨다. AC 전원은 또한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이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102)의 양태들을 구현하는 임의의 메시 네트워크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14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4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예시적인 장치(1402)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모바일 폰, 태블릿, 통신, 엔터테인먼트, 게임, 미디어 재생 및/또는 다른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장치(1402)는 온도 조절기, 위험 검출기, 카메라, 광 유닛, 커미셔닝 장치, 라우터, 경계 라우터, 조이너 라우터, 연결 장치, 최종 장치, 리더, 액세스 포인트, 허브 및/또는 다른 메시 네트워크 장치와 같이 메시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시 네트워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402)는 메시 네트워크의 장치들 간에 통신되는 데이터, 수신중인 데이터, 방송용으로 예약된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 장치들 간에 동기화되는 데이터 등과 같은 장치 데이터(1406)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장치(1404)를 포함한다. 장치 데이터에는 임의의 유형의 통신 데이터는 물론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장치(1404)는 또한 셀룰러 전화 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402)는 또한 장치,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메시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 등) 및 다른 장치들 사이의 연결 및/또는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408)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는 장치를 임의의 유형의 구성 요소, 주변 장치 및/또는 액세서리 장치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는 또한 데이터 입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입력 포트를 통해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 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같은 입력뿐만 아니라 데이터소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통신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장치(1402)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처리하는 임의의 유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컨트롤러 등과 같이 하드웨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1410)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집적 회로의 구성 요소,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논리 장치, 및 실리콘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른 구현 예,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는 고정 논리 회로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402)는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결합하는 임의의 유형의 시스템 버스 또는 다른 데이터 및 명령 전송 시스템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제어 및 데이터 라인뿐만 아니라 다른 버스 구조 및 아키텍처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402)는 또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데이터 및 실행 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모듈, 프로그램, 기능 등)의 지속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1412)를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는 전파 신호를 제외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의 예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 고정 및 제거 가능한 미디어 장치, 컴퓨팅 장치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장치 또는 전자 데이터 저장소가 포함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는 다양한 메모리 장치 구성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및 기타 유형의 저장 메모리의 다양한 구현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14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메모리(1412)와 함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유지되고 프로세싱 시스템(1410)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장치 애플리케이션(1414) 및 장치 데이터(1406)의 저장을 제공한다. 장치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임의의 형태의 제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신호 프로세싱 및 제어 모듈, 특정 장치에 고유한 코드, 특정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등과 같은 장치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장치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예시적인 장치(1402)가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메시 네트워크 장치로서 구현될 때와 같이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양태들을 구현하는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1416)을 포함한다.
양태들에서,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 대해 설명된 기술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플랫폼(1426)의 "클라우드"(1424)를 통해 분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1424)는 서비스(1428) 및/또는 리소스(1430)를 위한 플랫폼(1426)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이를 나타낸다.
플랫폼(1426)은 서버 장치(예를 들어, 서비스(1428)에 포함됨)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예를 들어, 리소스(1430)에 포함됨)와 같은 하드웨어의 기본 기능을 추상화하고, 예시적인 장치(1402)를 다른 장치, 서버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리소스(1430)는 또한 예시적인 장치(1402)로부터 원격인 서버에서 컴퓨터 프로세싱이 실행되는 동안 이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1428) 및/또는 리소스(1430)는 예컨대, 인터넷,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한 가입자 네트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랫폼(1426)은 또한 시스템(1400) 전체에 분산된 기능을 갖는 상호 연결된 장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리소스(1430)에 대한 수요를 서비스하기 위해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스케일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은 클라우드(1424)의 기능을 추상화하는 플랫폼(1426)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장치(1402)에서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 더하여, 사용자(예를 들어, 게스트 또는 호스트)는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특징부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소셜 행동 또는 활동, 직업,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의 수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컨텐츠 또는 통신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을 할 수 있는 제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데이터는 저장 또는 사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처리되어 개인 식별 정보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원이 처리되어 개인 식별 정보가 사용자에 대해 결정되지 않도록 하거나 위치 정보를 획득 한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예를 들어, 도시, 우편 번호 또는 주(state) 레벨)가 일반화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특정 위치가 결정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해 수집되는 정보, 해당 정보가 사용되는 방식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이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예 1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상부 하우징 부재 및 하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상부 하우징 부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수직 벽 및 둥근 코너를 통해 수직 벽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상부 단부 부분을 가지며, 수직 벽은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내부 표면 및 대향 외부 표면을 가지며, 수직 벽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만곡된 수직 벽의 외부 표면 및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벽의 내부 표면에 기초하여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불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부 단부 부분은 상기 상부 단부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 아래로 오목하고, 하부 하우징 부재는 수직 벽의 제2 단부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며, 하부 하우징 부재는 하부 외부 표면 및 대향 내부 표면을 가지고, 하부 외부 표면은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획정하며,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수직 벽과 하부 외부 표면 사이에 만곡된 에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오디오 센서; 열 싱크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열 싱크 어셈블리로, 열 싱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수직 벽의 내부 표면의 반경보다 작은 공차 임계 거리 내에 있는 반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열 싱크 어셈블리;
하우징 내에 그리고 열 싱크 어셈블리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위한 라디오 노드를 제공하게 하는, 회로 기판 어셈블리;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스피커 어셈블리로,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복수의 구멍과 정렬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되는 광 링 어셈블리로, 광 링 어셈블리는 중앙 축선으로부터 멀리 광을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광을 확산시켜 하부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광 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예 2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상부 하우징 부재로부터 상부 단부 부분과 접하는 터치 센서를 또한 포함하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센서와 정렬되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표면의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 3
예 2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제1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 터치 센서에 연결된 제2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제1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오디오 센서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입력; 및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2 회로 기판 어셈블리; 및 발광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제3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제3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광 링 어셈블리로 광을 방사하기 위해 발광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3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한다.
예 4
예 3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제2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및 오디오 센서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의 구멍과 정렬된다.
예 5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이중 대역 안테나 및 단일 대역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 6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광 링 어셈블리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예 7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광 링 어셈블리 내에 형성되며, 지지점에서 광 링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캔틸레버 부재를 또한 포함하며, 캔틸레버 부재는 광 링 어셈블리에 의해 획정된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캔틸레버 부재는 캔틸레버 부재의 자유 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리셋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예 8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또한 포함하며, 발광 다이오드는 광이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표면을 빠져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부 단부 부분의 반투명 부분을 통해 광을 방사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 9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에서,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와 접하는 수직 스텝 부재를 포함하며; 수직 스텝 부재는 중앙 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및 수직 스텝 부재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하부 하우징 부재와 상부 하우징 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갭이 형성되도록 한다.
예 10
예 1의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오디오 센서를 온/오프 토글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제어부를 또한 포함한다.
예 11
시스템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 라디오 노드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회로 기판 어셈블리; 회로 기판에 근접하게 위치된 열 싱크; 회로 기판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회로 기판이 스피커 어셈블리와 열 싱크 사이에 위치되도록 회로 기판에 연결된 스피커 어셈블리;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으로, 하우징은 다중 안테나, 회로 기판 어셈블리, 열 싱크,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어셈블리 주위에 인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는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원통형 형상 수직 벽을 포함하며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부 표면을 가지고; 및 제2 하우징 부재는 스피커 어셈블리와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갖는,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 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예 13
예 12의 시스템에서, 열 싱크는 수직 벽의 내부 표면의 반경보다 작은 공차 거리 내에 있는 반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를 갖는다.
예 14
예 13의 시스템에서, 수직 벽은 중앙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부 표면 및 중앙 축선의 방향으로 만곡된 대향하는 만곡된 외부 표면에 기초하여 불균일한 두께를 포함한다.
예 15
예 12의 시스템에서,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광 링 어셈블리는, 중앙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및 하우징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기 위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환형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예 16
예 15의 시스템에서,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재를 제2 하우징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는 수직 스텝 부재를 포함하며; 수직 스텝 부재는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수평 심이 형성되도록 효과적으로 하우징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심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포함한다.
예 17
예 12의 시스템에서, 제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출 성형된다.
예 18
예 12의 시스템에서, 하우징의 일부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에서 반투명하고;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의 반투명 부분을 통해 광을 방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또한 포함한다.
예 19
예 12의 시스템은 광 링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캔틸레버 부재를 또한 포함하며; 캔틸레버 부재는 광 링 어셈블리와 동일 평면에 있고; 및 캔틸레버 부재는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리셋 기구와 인터페이스 한다.
예 20
예 12의 시스템은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위치되는 프라이버시 제어부를 또한 포함하고, 프라이버시 제어부는 오디오 센서를 온/오프 토글하기 위해 전환될 수 있다.
결론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양태들이 특징부 및/또는 방법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는 설명된 특정 특징부 또는 방법으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특정 특징부 및 방법은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 예로서 개시되고, 다른 동등한 특징부 및 방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다양한 다른 양태들이 설명되고, 각각의 설명된 양태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로,
    상부 하우징 부재 및 하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상부 하우징 부재는 원통형인 벽 및 둥근 코너를 통해 상기 벽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상부 단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벽은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원통형이고, 내부 표면 및 대향 외부 표면을 가지며,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기 벽의 제2 단부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고, 하부 하우징 부재는 하부 외부 표면 및 대향 내부 표면을 가지며, 하부 외부 표면은 중앙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획정하고,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기 벽과 하부 외부 표면 사이에 만곡된 에지부를 포함하며, 만곡된 에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구멍을 획정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기 벽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라디오 노드를 제공하게 하는, 회로 기판 어셈블리;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로, 스피커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외부 표면에 연결되는 광 링 어셈블리로, 광 링 어셈블리는 중앙 축선으로부터 멀리 광을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광을 확산시켜 하부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광 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 부재로부터 상부 단부 부분과 접하는 터치 센서를 또한 포함하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센서와 정렬되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표면의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제1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오디오 센서; 및
    오디오 센서 및 터치 센서에 연결된 제2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제2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오디오 센서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입력; 및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제2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발광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제3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하며, 제3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광 링 어셈블리로 광을 방사하기 위해 발광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오디오 센서를 온 및 오프 토글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제어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제어부는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이중 대역 안테나 및 단일 대역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기 벽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2mm의 공차 거리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단부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또한 포함하며, 발광 다이오드는 광이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표면을 빠져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부 단부 부분의 반투명 부분을 통해 광을 방사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와 접하는 스텝 부재를 포함하며;
    스텝 부재는 중앙 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및
    스텝 부재는 중앙 축선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상부 하우징 부재의 외부 표면 사이에 균일한 높이로 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 부재는 중앙 축선의 방향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보다 짧아서, 갭이 하우징의 하부 절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38mm 내지 65mm 범위 내의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광 링 어셈블리는,
    중앙 축선으로부터 멀리 반경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및
    하부 하우징 부재 아래에 글로우를 제공하기 위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환형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광 링 어셈블리는 1.75mm 내지 2.25mm 범위 내의 높이를 갖고; 및
    광 링 어셈블리는 3.5mm 내지 4.25mm 범위 내에 있는 거리만큼 하부 하우징 부재의 코너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17039076A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39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2935A KR102429408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9/053225 WO2021061130A1 (en) 2019-09-26 2019-09-26 Range extender device
KR1020207027620A KR102335091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620A Division KR102335091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35A Division KR102429408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425A KR20210148425A (ko) 2021-12-07
KR102390426B1 true KR102390426B1 (ko) 2022-04-25

Family

ID=6816588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620A KR102335091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17039076A KR102390426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27026355A KR102478027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27043344A KR102513436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27012935A KR102429408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620A KR102335091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55A KR102478027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27043344A KR102513436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0227012935A KR102429408B1 (ko) 2019-09-26 2019-09-26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1363359B2 (ko)
EP (2) EP3824560B1 (ko)
JP (3) JP7033635B2 (ko)
KR (5) KR102335091B1 (ko)
CN (2) CN112073860A (ko)
AU (2) AU2020220148B2 (ko)
CA (1) CA3093897C (ko)
TW (3) TWI739578B (ko)
WO (1) WO2021061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7162S1 (en) * 2020-12-05 2023-08-29 Origin Wireless, Inc. Command device
CA3093897C (en) * 2019-09-26 2024-02-20 Google Llc Range extender device
US11449114B2 (en) * 2020-03-25 2022-09-20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activated device with integrated heatsink and speaker
US11514906B2 (en) 2020-03-26 2022-11-29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activated device with integrated heatsink and speaker
US11457545B2 (en) * 2020-09-28 2022-09-27 Google Llc Thermal-control system of a media-streaming device and associated media-streaming devices
US11265632B1 (en) 2021-01-21 2022-03-01 Google Llc Speaker-integra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devices and systems
USD989369S1 (en) * 2021-06-08 2023-06-13 Shenzhen honggao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Combined LED light and speaker
EP4130931A1 (en) * 2021-08-03 2023-02-08 BSH Hausgeräte GmbH Splash proof electronic device
CN113586997A (zh) * 2021-08-03 2021-11-02 肇庆市和佳电子有限公司 一种麦克风灯效投射装置
CN215774028U (zh) * 2021-08-09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发声结构和播放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9078A1 (en) 2017-08-30 2019-02-28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controlled assista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7242B2 (ja) * 2004-05-21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及び電子機器
US8994276B2 (en) * 2006-03-28 2015-03-31 Wireless Environment, Llc Grid shifting system for a lighting circuit
EP2005732A1 (en) * 2006-03-31 2008-12-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aptive rendering of video content based on additional frames of content
CA3044757C (en) * 2011-10-21 2021-11-09 Google Llc User-friendly, network connected learning thermosta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4062389A2 (en) * 2012-10-15 2014-04-2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721586B1 (en) * 2013-03-14 2017-08-01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controlled assistant with light indicator
TWI536821B (zh) 2013-04-30 2016-06-0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多媒體通訊裝置
US20160073479A1 (en) * 2013-05-01 2016-03-10 BeON HOME INC. Modular illumination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005020B1 (en) 2013-06-07 2018-05-02 Apple Inc. Computer thermal system
EP3399386B1 (en) 2013-06-07 2023-10-04 Apple Inc. Computer internal architecture
EP3005017B1 (en) * 2013-06-07 2019-11-20 Apple Inc. Enclosure for a computer system
US9864576B1 (en) * 2013-09-09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controlled assistant with non-verbal user input
CN203788428U (zh) * 2014-03-31 2014-08-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蓝牙灯光音响
US10524044B2 (en) * 2014-09-30 2019-12-31 Apple Inc. Airflow exit geometry
WO2016057752A1 (en) * 2014-10-08 2016-04-14 BeON HOME INC. Illumination systems and associated components
US9894428B1 (en) * 2015-05-22 2018-02-13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with seamless fabric assembly
TWM535445U (zh) * 2016-07-29 2017-01-11 yong-chang Xu 組合式模組件
US10290302B2 (en) * 2016-12-30 2019-05-14 Google Llc Compact home assistant with combined acoustic waveguide and heat sink
US10708472B2 (en) * 2017-01-04 2020-07-07 Google Llc Doorbell camera
WO2018237398A1 (en) * 2017-06-23 2018-12-27 Lunera Lighting Inc. EXTENDING WI-FI COVERAGE ON DEMAND USING LED LAMPS
US10615514B2 (en) * 2017-07-14 2020-04-07 Amazon Technologies, Inc. Antenna structures of a multi-radio, multi-channel (MRMC) mesh network device
US20190052942A1 (en) * 2017-08-08 2019-02-14 Srdjan Pavelic Portable solar powered smart speaker system
CN207530995U (zh) * 2017-11-07 2018-06-22 苏宁云商集团股份有限公司 音箱设备及其麦克风阵列结构
US10448538B1 (en) * 2017-12-10 2019-10-15 Symantec Corpor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wireless routers
US20190268177A1 (en) * 2018-02-26 2019-08-29 Tri Cascade, Inc. Wireless internet of things, climate control and smart home system
CN108650185A (zh) * 2018-06-14 2018-10-12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内置天线路由器及其中框结构
US10659855B2 (en) * 2018-06-20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activated device with integrated heatsink and speaker
CA3093897C (en) 2019-09-26 2024-02-20 Google Llc Range extende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9078A1 (en) 2017-08-30 2019-02-28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controlled assis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3542A (zh) 2021-04-01
KR20220114658A (ko) 2022-08-17
EP3824560A1 (en) 2021-05-26
AU2020220148A1 (en) 2021-04-15
KR102429408B1 (ko) 2022-08-05
AU2023202031A1 (en) 2023-05-11
KR20210038416A (ko) 2021-04-07
TWI809486B (zh) 2023-07-21
US20220232305A1 (en) 2022-07-21
AU2021261829A1 (en) 2021-12-02
AU2020220148B2 (en) 2021-08-05
JP7033635B2 (ja) 2022-03-10
KR20230003593A (ko) 2023-01-06
JP2022088368A (ja) 2022-06-14
KR102335091B1 (ko) 2021-12-03
KR20210148425A (ko) 2021-12-07
US20210099779A1 (en) 2021-04-01
CN213186405U (zh) 2021-05-11
CA3093897C (en) 2024-02-20
KR20220054699A (ko) 2022-05-03
JP7322218B2 (ja) 2023-08-07
KR102513436B1 (ko) 2023-03-23
US20230239604A1 (en) 2023-07-27
TWI739578B (zh) 2021-09-11
TW202147067A (zh) 2021-12-16
EP3824560B1 (en) 2022-08-24
US11627396B2 (en) 2023-04-11
JP2023159085A (ja) 2023-10-31
CN112073860A (zh) 2020-12-11
TW202340903A (zh) 2023-10-16
EP4075676A1 (en) 2022-10-19
US11363359B2 (en) 2022-06-14
AU2021261829B2 (en) 2023-03-02
JP2021057896A (ja) 2021-04-08
KR102478027B1 (ko) 2022-12-15
CA3093897A1 (en) 2021-03-26
WO2021061130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426B1 (ko)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2544672B1 (ko) 액세스 포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