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132A -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132A
KR20200106132A KR1020200053004A KR20200053004A KR20200106132A KR 20200106132 A KR20200106132 A KR 20200106132A KR 1020200053004 A KR1020200053004 A KR 1020200053004A KR 20200053004 A KR20200053004 A KR 20200053004A KR 20200106132 A KR20200106132 A KR 2020010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gnet
storage unit
area
material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199B1 (ko
Inventor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Original Assignee
임철수
임미래
임아름
임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임미래, 임아름, 임다운 filed Critical 임철수
Priority to KR102020005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1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제1이어폰이 수납되는 제1구역과 제2이어폰이 수납되는 제2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지 않으며,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되,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된 제1이어폰이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1이어폰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고,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제1이어폰이 수납되며, 제2구역에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과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므로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이어폰은, 제2이어폰 수납고정으로 인하여 수납고정 되며,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됐던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서는 자석의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흘러내려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으로 위치하면서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Smartphone equipped with an earphone storage}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평소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스마트폰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블루투스이어폰 소지 및 사용에 편리함을 갖는 효과가 있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기술의 발달로 5G LTE(Long Tem Evolution)가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하게 되는데, 이 때 스마트폰의 음성출력단자와 연결한 유선이어폰 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블루투스이어폰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스마트폰, 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m 안팎의 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인하여 초소형 블루투스이어폰이 출시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충전과 별도로 블루투스이어폰을 충전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 중 배터리충전이 소진되면 블루투스이어폰충전기를 통하여 다시 충전할 때까지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8061호의 모바일일체형 블루투스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16-0128061호를 살펴보면, 이어폰에 해당되는 '블루투스디바이스'를 스마트폰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이어폰을 수납하려면 스마트폰의 앞면 전체면 중 디스플레이화면을 제외한 일정범위의 공간이 필요하고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면 디스플레이화면이 좁아지는 문제 및 스마트폰디자인의 전체적인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 도면1 및 도면2를 살펴보면 커넥터수납부 옆에 커넥터를 배출하기 위한 '수동버튼(66)'이 핸드폰 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동버튼'은 커넥터가 핸드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위한 장치로서 반드시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어 있는 '수동버튼'을 손으로 직접 눌러야만 커넥터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는 커넥터를 절대로 배출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또한 외부로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 커넥터만 눌렀다 놓는 것으로는 커넥터가 절대로 배출될 수 없는 구조이고, 설령 수동버튼을 커넥터수납 배면 안쪽에 배치한다 하더라도 커넥터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는 절대로 커넥터를 수납 및 배출할 수 없는 구조이다.)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경우 '수동버튼'을 반드시 핸드폰 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수동버튼'이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핸드폰을 사용 시 사용자손에 수동버튼의 돌출부가 걸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 외부로 수동버튼이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디자인의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스마트폰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이어폰수납부가 형성된 스마트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종래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스마트폰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이 아니고, 스마트폰에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블루투스이어폰을 스마트폰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스마트폰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며, 블루투스이어폰 소지를 편리하게 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을 수납함에 있어 스마트폰 측면에 미려하게 형성된 내부로 길쭉한 통형의 작은 구멍에 이어폰을 수납함으로 스마트폰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어폰을 수납 및 인출 시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 및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간의 자석배치를 과학적으로 하여 각각 자석의 역할로 인하여 이어폰이 수납 및 인출됨으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장치가 스마트폰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마트폰디자인의 미려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제1이어폰이 수납되는 제1구역과 제2이어폰이 수납되는 제2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지 않으며,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되,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된 제1이어폰이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1이어폰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고,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제1이어폰이 수납되며, 제2구역에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과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므로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이어폰은, 제2이어폰 수납고정으로 인하여 수납고정 되며,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됐던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서는 자석의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흘러내려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으로 위치하면서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 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제1이어폰에 형성되는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상기 제2이어폰에 형성되는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거나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거나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의 일정위치에 형성하는 유도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상기 수납부자석의 자력이 일정이상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제1이어폰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상기 유도자석에 위치할 때 상기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강한 수납부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당겨져서 제1이어폰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수납부자석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제1이어폰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여 제1이어폰이 따라 나와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은,
a)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b) 제2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c)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d)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e) 이어폰수납부에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f)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자석의 저항 없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g)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은,
a)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b) 제2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c)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d)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e) 이어폰수납부에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f)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유도자석에 위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수납부자석의 자력이 강함으로 인하여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유도자석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평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하게 되는데,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 시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만 소지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을 동시에 소지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 스마트폰만을 충전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이 자동으로 충전됨으로 별도의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관 및 충전됨으로 별도의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 생산에 따른 예산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기대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전체화면을 넓게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미려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배면부의 손톱삽입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 및 인출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 수납 및 인출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 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 . . 부', '. . . 기', '. .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시',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지 않는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로서,
먼저 도1을 살펴보면, 스마트폰본체(10)의 일 측에서 길쭉한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의 제1구역(21)과 제2구역(22)이 1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수납부(20)에 이어폰(30)을 삽입하여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도2를 살펴보면, 길쭉한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가 제1구역(21)과 제2구역(22)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1구역(21)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지 않고, 제2구역(22)에는 하부 쪽에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이 형성되며, 상부 쪽에는 유도자석(24)이 형성되고, 제1구역(21)과 제2구역(22) 각각에 충전단자(25)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을 살펴보면, 이어폰(30)은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이어폰(31)에는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 및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3)과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 및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이어폰(32)에는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 및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4)과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 및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이 형성되며,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 각각에 충전대응단자(50)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10)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 상기 이어폰수납부(20)에 수납되는 이어폰(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제1이어폰(31)이 수납되는 제1구역(21)과 제2이어폰(32)이 수납되는 제2구역(22)으로 구분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지 않으며,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을 더 포함하되,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 수납된 제1이어폰(31)이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1이어폰(31)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32)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을 형성하고,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 제1이어폰(31)이 수납되며, 제2구역(22)에 제2이어폰(32)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과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대응하므로 제2이어폰(32)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이어폰(31)은, 제2이어폰(32) 수납고정으로 인하여 수납고정되며,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 수납됐던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서는 자석의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흘러내려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22)으로 위치하면서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대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이어폰(31)에 형성되는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3); 상기 제2이어폰(32)에 형성되는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4);을 더 포함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대응하거나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3)이 대응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대응하거나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4)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22)의 일정위치에 형성하는 유도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자석(24)의 자력보다 상기 수납부자석(23)의 자력이 일정이상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이어폰(31)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상기 유도자석(24)에 위치할 때 상기 유도자석(24)의 자력보다 강한 수납부자석(23)의 자력으로 인하여 당겨져서 제1이어폰(31)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을 수납부자석(23)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이어폰(31)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32)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에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이 대응하여 제1이어폰(31)이 따라 나와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로서,
먼저 도4를 살펴보면, 도4A와 같이 제1구역(21)과 제2구역(22)으로 이루어진 이어폰수납부(20)에 제1이어폰(31)을 삽입하면, 도4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1이어폰(31)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대응하며 수납된다.
도4B의 상태에서 제2이어폰(32)을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삽입하며 제1이어폰(31)을 밀어 넣으면, 도4C와 같이 제1이어폰(31)이 밀려들어가면서 도4D와 같이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1자 형식으로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수납되는 것은 이어폰수납부(20)의 제1구역(21)에는 자석이 형성되지 않고 제2구역(22)에만 수납부자석(2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제1이어폰(31)이 제1구역(21)으로 들어갈 때는 아무런 저항 없이 들어가며,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함으로 제2이어폰(32)이 수납 고정되고, 제1이어폰(31)은 제2이어폰(32) 수납고정으로 인하여 보호되며 수납 고정되는 것이다.
도4D상태가 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에 형성된 충전단자(25)에 제1이어폰의 충전대응단자(50)가 대응하고,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충전단자(25)에 제2이어폰의 충전대응단자(50)가 대응하여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각각 충전된다.
도4D상태에서 제2이어폰(32)를 인출하면, 도4C와 같이 제1이어폰(31)이 흘러내려오고 제2이어폰(32)을 완전히 인출하면, 도4B와 같이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하여 고정되게 되고, 도4B의 상태에서 제1이어폰(31)을 인출하게 되므로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를 살펴보면,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에서 제2구역(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자석(24)이 형성되어 있고, 만약 유도자석이 없을 경우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21)에서 제2구역으로 흘러나오게 하려면, 스마트폰을 세우거나 세워서 흔들어야 한다.
즉 도5A와 같이 제1이어폰(31)은 이어폰수납부의제1구역(21)에 제2이어폰(32)은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각각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이어폰수납부에 형성된 유도자석(24)이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을 당겨서 도5B와 같이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유도자석(24)에 위치하게 된다.
도5B의 상태에서 제2이어폰(32)을 완전히 인출하면, 유도자석(24)의 자력보다 수납부자석(23)의 자력이 강함으로 유도자석(24)으로 부터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을 당겨서 도5C와 같이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수납부자석(23)에 대응 하게 되며, 도5C의 상태에서 제1이어폰(31)을 인출하면 된다.
도6을 살펴보면, 도4 및 도5와는 달리 도6A의 상태에서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5)이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6)을 당겨서 제1이어폰(31)이 따라서 인출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배면부의 손톱삽입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7 및 도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할 때는 도7A와 같이 수평상태로 수납하고, 이어폰을 사용할 때는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서 인출하여 도7B와 같이 수직상태로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도7C와 같이 이어폰을 작게 만들어서 수납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이란 휴대용 단말기로서 평판형 또는 세로나 가로로 접히는 폴더형 등의 모든 휴대단말기를 말하고,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서 이어폰을 인출 시 도8과 같이 손톱삽입부(60)에 손톱을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어폰을 수납하면 이어폰이 자동으로 OFF되고 이어폰을 인출하면 이어폰이 자동으로 ON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 및 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도9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이어폰수납부(20)의 제2구역(22)에 제1이어폰(31)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101);.
b) 제2이어폰(32)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31)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이탈되는 단계(102);
c)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32)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되는 단계(103);
d)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충전되는 단계(104);
e) 이어폰수납부(20)에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된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32)이 인출되는 단계(105);
f)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에서 자석의 저항 없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으로 이동하는 단계(106);
g)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위치하는 단계(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 수납 및 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도10을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제1이어폰(31)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201);.
b) 제2이어폰(32)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31)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이탈되는 단계(202);
c)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32)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되는 단계(203);
d)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충전되는 단계(204);
e) 이어폰수납부(20)에 제1이어폰(31)과 제2이어폰(32)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수납된 제2이어폰(32)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32)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2)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32)이 인출되는 단계(205);
f)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21)에서 제2구역(22)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유도자석(24)에 위치하는 단계(206);
g) 상기 f)단계에서 유도자석(24)의 자력보다 수납부자석(23)의 자력이 강함으로 인하여 제1이어폰(31)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41)이 유도자석(24)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3)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31)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22)에 위치하는 단계(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구성요소에 두개이상의 부호를 기입한 경우 두개이상의 부호가 모두 해당되거나 두개이상의 부호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본체 20 : 이어폰수납부
21 : 제1구역 22 : 제2구역
23 :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24 : 유도자석 25 : 충전단자
30 : 이어폰 31 : 제1이어폰
32 : 제2이어폰
41 :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42 :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43 :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44 :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45 :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46 :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50 : 충전대응단자 60 : 손톱삽입부
101 :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102 : 제2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103 :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에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104 :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105 :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106 :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자석의 저항 없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107 :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
201 :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202 : 제2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203 :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204 :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205 :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206 :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유도자석에 위치하는 단계.
207 : 상기 f)단계에서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수납부자석의 자력이 강함으로 인하여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

Claims (7)

  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제1이어폰이 수납되는 제1구역과 제2이어폰이 수납되는 제2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지 않으며,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되,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된 제1이어폰이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제1이어폰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형성하고,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제1이어폰이 수납되며, 제2구역에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과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므로 제2이어폰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이어폰은, 제2이어폰 수납고정으로 인하여 수납고정 되며,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 수납됐던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 제1구역에서는 자석의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흘러내려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으로 위치하면서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어폰에 형성되는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상기 제2이어폰에 형성되는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거나 제3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고,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거나 제4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 제2구역의 일정위치에 형성하는 유도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상기 수납부자석의 자력이 일정이상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이어폰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상기 유도자석에 위치할 때 상기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강한 수납부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당겨져서 제1이어폰의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수납부자석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이어폰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며,
    제2이어폰 전방 일정위치에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 및 후방의 일정위치에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5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6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여 제1이어폰이 따라 나와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6.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b) 제2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c)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d)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e) 이어폰수납부에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f)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자석의 저항 없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g)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
  7.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제1이어폰을 수납하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대응하며 수납되는 단계;.
    b) 제2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하며 제1이어폰을 밀어 넣으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탈되는 단계;
    c)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으로 자석의 저항 없이 들어가 수납되고,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형성된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2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되는 단계;
    d)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충전되는 단계;
    e) 이어폰수납부에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1자형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수납된 제2이어폰을 인출하면, 제2이어폰에 형성된 제2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로부터 이탈되며 제2이어폰이 인출되는 단계;
    f)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유도자석에 위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유도자석의 자력보다 수납부자석의 자력이 강함으로 인하여 제1이어폰에 형성된 제1이어폰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이 유도자석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납부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에 대응하며 제1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의 제2구역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작동방법.
KR1020200053004A 2020-05-01 2020-05-0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04A KR102187199B1 (ko) 2020-05-01 2020-05-0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04A KR102187199B1 (ko) 2020-05-01 2020-05-0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132A true KR20200106132A (ko) 2020-09-11
KR102187199B1 KR102187199B1 (ko) 2020-12-04

Family

ID=7247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004A KR102187199B1 (ko) 2020-05-01 2020-05-0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0284A (zh) * 2021-03-24 2021-06-29 吉首市宏佳达科技有限公司 一种5g物联网vr眼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36U (ko) * 1995-03-31 1996-10-24 이어폰단자 수납구조물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30126873A (ko) * 2012-05-13 2013-11-21 유장호 핸드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KR102136952B1 (ko) * 2019-03-25 2020-07-23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36U (ko) * 1995-03-31 1996-10-24 이어폰단자 수납구조물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30126873A (ko) * 2012-05-13 2013-11-21 유장호 핸드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KR102136952B1 (ko) * 2019-03-25 2020-07-23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0284A (zh) * 2021-03-24 2021-06-29 吉首市宏佳达科技有限公司 一种5g物联网vr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199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CN103179266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10579891A (zh) 一种智能眼镜及眼镜套装
KR102187199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KR20170127899A (ko) 태양전지패널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10153021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21000701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20013006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91398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N207802282U (zh) 蓝牙耳机以及电子设备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2187400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0472661Y1 (ko) 카드수납을 겸비한 스마트폰케이스
KR20180081877A (ko) 수납 케이스의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10129832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N202680892U (zh) 手机套结构
KR101647611B1 (ko)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107566576A (zh) 一种内置蓝牙耳机的手机
US20230208949A1 (en) Smartphone having earphone storag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