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134A -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134A
KR20200106134A KR1020200062811A KR20200062811A KR20200106134A KR 20200106134 A KR20200106134 A KR 20200106134A KR 1020200062811 A KR1020200062811 A KR 1020200062811A KR 20200062811 A KR20200062811 A KR 20200062811A KR 20200106134 A KR20200106134 A KR 2020010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hook
storage unit
shaf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400B1 (ko
Inventor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Original Assignee
임철수
임다운
임미래
임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임다운, 임미래, 임아름 filed Critical 임철수
Priority to KR102020006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400B1/ko
Priority to PCT/KR2021/006481 priority patent/WO2021241973A1/ko
Priority to US17/927,825 priority patent/US20230208949A1/en
Priority to CN202180034543.3A priority patent/CN115918057A/zh
Priority to JP2022573194A priority patent/JP202352785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04M1/10Hooks; Cradles associated with switches operated by magnetic effect due to proximity of receiver or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 시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샤프트가 왕복운동의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 또는 해제 하는 샤프트고정/해제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를 걸어서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가 상기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이탈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으로 일정깊이이상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인출부의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Smartphone equipped with an earphone storage}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평소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스마트폰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블루투스이어폰 소지 및 사용에 편리함을 갖는 효과가 있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기술의 발달로 5G LTE(Long Tem Evolution)가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하게 되는데, 이 때 스마트폰의 음성출력단자와 연결한 유선이어폰 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블루투스이어폰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스마트폰, 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m 안팎의 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인하여 초소형 블루투스이어폰이 출시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충전과 별도로 블루투스이어폰을 충전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 중 배터리충전이 소진되면 블루투스이어폰충전기를 통하여 다시 충전할 때까지 블루투스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8061호의 모바일일체형 블루투스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16-0128061호를 살펴보면, 이어폰에 해당되는 '블루투스디바이스'를 스마트폰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이어폰을 수납하려면 스마트폰의 앞면 전체면 중 디스플레이화면을 제외한 일정범위의 공간이 필요하고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면 디스플레이화면이 좁아지는 문제 및 스마트폰디자인의 전체적인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 도면1 및 도면2 (66)를 살펴보면 커넥터수납부 옆에 커넥터를 배출하기 위한 '수동버튼(66)'이 핸드폰 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동버튼'은 커넥터가 핸드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위한 장치로서 반드시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어 있는 '수동버튼'을 손으로 직접 눌러야만 커넥터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는 커넥터를 절대로 배출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또한 외부로 돌출된 '수동버튼' 없이 커넥터만 눌렀다 놓는 것으로는 커넥터가 절대로 배출될 수 없는 구조이고, 설령 수동버튼을 커넥터수납 배면 안쪽에 배치한다 하더라도 커넥터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는 절대로 커넥터를 수납 및 배출할 수 없는 구조이다.)
상기 공개 특허공보 10-2005-0111719호의경우 '수동버튼'을 반드시 핸드폰 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수동버튼'이 핸드폰외부로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핸드폰을 사용 시 사용자손에 수동버튼의 돌출부가 걸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 외부로 수동버튼이 일정길이이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디자인의 미려함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스마트폰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이어폰수납부가 형성된 스마트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종래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스마트폰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이 아니고, 스마트폰에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하여 블루투스이어폰을 스마트폰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하여 소지함으로 스마트폰을 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며, 블루투스이어폰 소지를 편리하게 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블루투스이어폰을 수납함에 있어 스마트폰 측면에 미려하게 형성된 내부로 길쭉한 통형의 작은 구멍에 이어폰을 수납함으로 스마트폰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어폰을 인출 시 수납되어있는 이어폰을 누르면 이어폰이 인출됨으로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장치가 스마트폰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마트폰디자인의 미려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 시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샤프트가 왕복운동의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 또는 해제 하는 샤프트고정/해제부;
상기 샤프트와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를 걸어서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가 상기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이탈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걸이부의 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는 걸림이탈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의 걸림고정턱에 형성되며,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 고정턱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샤프트고정/해제부는, 걸림고정턱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이탈통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는, 일 측 끝이 갈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는, 걸림경사면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는, 이탈경사면을 대응하는 제2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걸이부의 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해서 유도경사면으로 이동하면, 갈고리를 잡아주는 갈고리이탈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는, 제2갈고리가 갈고리이탈유도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유도경사면; 및 걸이부의 제2갈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유도걸림턱;과 제2갈고리가 갈고리이탈유도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도이동통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는,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리도록하는 제1갈고리; 및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의 유도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제2갈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이탈경사면을 대응하는 제3대응경사면(342c); 상기 유도경사면을 대응하는 제4대응경사면(342d);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시키기위한 걸림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의 걸림고정턱에 형성되며,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고정턱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이부는, 일 측 끝이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에는 걸림경사면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걸림해제부는, 누름부; 및 터치부;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측면 사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 할 때 삽입되는 힘에 의하여 샤프트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장치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이동부는, 일 측 끝이 샤프트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타 측끝은 이어폰받침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시 이어폰을 받쳐주는 이어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본체는, 스마트폰본체가 충전중인지를 체크하는 충전체크부; 상기 충전체크부의 체크상태에 따라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배터리 충전방법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체크부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며, 상기 충전체크부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 아니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를 통하여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평소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하게 되는데, 블루투스이어폰 및 충전기를 소지 시 스마트폰과 별도로 소지하지 않고,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만 소지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을 동시에 소지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 스마트폰만을 충전하면 블루투스이어폰이 자동으로 충전됨으로 별도의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이어폰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관 및 충전됨으로 별도의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장치 및 충전장치 생산에 따른 예산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기대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전체화면을 넓게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미려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인출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2의 이어폰인출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2의 이어폰인출부를 다른 방법으로 형성한 이어폰수납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이어폰인출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걸이부의 갈고리부분 뒷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이어폰인출부를 다른 방법으로 형성한 이어폰수납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부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부의 다른 방법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
도 14는 도13의 장치이동부가 형성된 이어폰인출부가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배터리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 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 부', '...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시',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지 않는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인출부(300)'란 스마트폰(100)의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이어폰(400)을 삽입방향(400s)으로 눌렀다놓으면, 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이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400)이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 부호를 '이어폰인출부(300)'라 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400)을 '눌렀다놓으면'이란 이어폰인출부(300)가 작동하도록 이어폰손잡이부분을 일정거리이상(통상 약5mm내외) 눌렀다놓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샤프트고정/해제부(330)'란 샤프트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어서 샤프트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에서 해제시키는 역할을 함으로 부호를 '샤프트고정/해제부(330)'라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어폰을 눌렀다놓음으로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이 배출되도록 하는 모든 장치는 이어폰인출부(300)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 및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인출부의 확대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2의 이어폰인출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먼저 도1을 살펴보면,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길쭉한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0)의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형의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삽입하여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도2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200)는 길쭉한 통형의 이어폰수납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어폰수납부입구(220) 반대쪽 후단에는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2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어폰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충전단자(230)가 형성되며, 이어폰(400)에는 이어폰충전단자(230)를 대응하는 대응충전단자(4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 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와 이어폰(400) 중 어느 일 측에 자석(24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일 측에 형성된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240a)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2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자석대신 이어폰수납부(200)에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고정돌기(도면미도식)와 이어폰(400)에 형성된 고정홈(도면미도식)을 통하여 이어폰(400)을 수납 시 고정돌기가 탄성으로 고정홈에 들어가 이어폰(400)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3을 살펴보면, 이어폰인출부(300) 확대도로서, 이어폰 수납 및 인출시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320) 및 샤프트를 누를 때마다 샤프트를 고정 및 해제하는 샤프트고정/해제부(330)가 형성되며,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걸림고정턱(332)에 걸려서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고정턱(332)에 걸려있는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고정해제하기 위하여 갈고리(341)가 이동하는 이탈경사면(333)이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300)는,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 시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320); 상기 샤프트(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샤프트(320)가 왕복운동의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 또는 해제 하는 샤프트고정/해제부(330);
상기 샤프트(320)와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를 걸어서 샤프트(320)를 고정시키는 걸이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 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일정깊이이상 눌렀다 놓으면, 이어폰인출부(300)의 샤프트(320)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는, 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340)의 갈고리(34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332);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341)가 상기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이탈경사면(3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는,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이탈경사면(333)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하는 걸림이탈턱(3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걸림고정턱(332)에 형성되며, 걸이부(340)의 갈고리(341)를 상기 걸림고정턱(332)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3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샤프트고정/해제부(330)는, 걸림고정턱(332)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이탈통로(33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32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7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고정/해제부(330)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샤프트고정/해제부(330)후방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부(340)는, 일 측 끝이 갈고리(341)가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에는, 걸림경사면(335)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342a);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340)는, 이탈경사면(333)을 대응하는 제2대응경사면(342b);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1 내지 도4의 상기 이어폰인출부(300)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400)을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320)를 누르면서 샤프트(320)가 이동하여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이어폰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이탈경사면(333)을 지나 걸림이탈턱(334)을 통하여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어폰을 놓으면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된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이탈통로(336)를 통하여 이동하며 샤프트(320)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어폰인출부 작동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이어폰'이란 블루투스이어폰을 말하며, 이어폰(400)을 스마트폰 본체(100)와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스마트폰본체(100)에 이어폰을 수납하여 일체화된 상태를 휴대하게 된다.
스마트폰본체(100) 일 측에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 시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의 수납부입구(220)에 이어폰(400)을 귀삽입부가 먼저 들어가도록 삽입하게 된다.
이어폰(400)의 손잡이(440)를 눌러 이어폰삽입방향(400s)으로 계속 이어폰을 삽입하면 도2A와 같이 이어폰 끝이 이어폰인출부(300)의 샤프트(320)에 닿게 된다.
도2A의 상태에서 이어폰손잡이(440)를 일정거리이상(통상 5mm내외) 더 눌렀다놓으면, 이어폰인출부(300)의 샤프트(320)가 이어폰인출부(30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샤프트(320)와 이어폰(400)이 도2B와 같이 들어가 고정되며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이어폰수납과 반대로 도2B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할 때는 이어폰(400)을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 눌렀다놓으면 도2A와 같이 이어폰인출부(300)에서 샤프트(320)가 배출되면서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의 손잡이(440)가 배출된다.
사용자는 도2A의 상태에서 이어폰의 손잡이(440)를 잡고 이어폰(400)을 인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 및 인출 시 이어폰인출부(300)가 푸시온/푸시오프 작동하는 것은 사용자가 이어폰손잡이(440)를 이어폰삽입방향으로 한번 누르면 푸시온 즉 이어폰이 삽입되고, 이어폰손잡이(440)를 이어폰삽입방향으로 다시 한 번 누르면 푸시오프 즉 이어폰이 배출 되는 것이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인출부(3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2를 살펴보면, 샤프트(320)가 이어폰인출부(300) 내부로 들어가면 도2B와 같이 탄성부재(370)가 압축되면서 들어가며, 이어폰인출부(300)에 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걸림고정턱(332)에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리게 되어 샤프트(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의 손잡이(440)를 삽입방향(400s)으로 일정거리이상(통상 5mm내외) 눌렀다놓으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이탈경사면(333)을 통하여 이동함으로 샤프트(320)가 고정에서 해제되고, 이때 도2A와 같이 탄성부재(370)의 탄력을 받아 이어폰인출부(300)에서 샤프트(320)가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고정 및 해제의 원리를 도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4A와 같이 이어폰(400)을 수납하기 전의 샤프트(320)가 밀려나온 상태에서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일정거리 누르면 도4B와 같이 샤프트(320)가 밀려들어가서 걸림경사면(335)이 걸이부(340)의 제1대응경사면(342a)에 닿게 된다.
이어폰을 더 누르면 걸림경사면(335)이 걸이부(340)의 제1대응경사면(342a)을 미끄러지며 들어가서 도4C와 같이 걸림고정턱(332)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이부(340)은 걸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371) 및 걸림경사면(335)과 제1대응경사면(342a)이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걸이부(340)의 갈고리(341) 측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들어가게 된다.
도4C의 상태가 되면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며,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누르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이탈경사면(333)을 지나고 걸림이탈턱(334)을 이탈하여 도4D와 같이 걸이부의 갈고리(341)가 걸림이탈통로(336)에 이르게 된다.
이때 걸이부의 갈고리(341)가 이탈경사면(333)을 이동할 때는, 샤프트가 들어가면서 이탈경사면(333)을 걸이부(340)의 제2대응경사면(342b)이 대응함으로 미끄러지며 들어가서 걸림이탈턱(334)으로 이탈된다.
또한, 걸이부(340)에 이탈홈(343)이 파여져 있음으로 걸이부(340)가 걸림이탈턱(334)을 이탈할 때, 걸림경사면끝(335a)에 걸이부(340)가 걸리는 방해를 받지 않고 걸림이탈턱(334)을 이탈할 수 있으며, 만약 걸이부(340)에 이탈홈(343)이 파여져 있지 않으면, 걸이부(340)가 걸림경사면끝(335a)에 걸리는 방해를 받아서 걸림이탈턱(334)을 이탈하지 못할 것이다.
도4D의 상태에서 눌렀던 이어폰을 놓으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이탈통로(336)를 지나가며 샤프트가 밀려나와 도4A의 상태가 되면, 샤프트 밀려나오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경사면(335)은, 상기 걸림고정턱(332)의 정면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걸림고정턱(332) 측면 쪽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경사면(333)은, 상기 걸림고정턱(332)의 일 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상부의 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탈경사면 방향은 좌우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2의 이어폰인출부를 다른 방법으로 형성한 이어폰수납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로서, 도5A를 살펴보면, 걸이부(340)와 샤프트고정/해제부(330)를 도2와 반대로 형성하였다. 즉 샤프트(320)에 걸이부(3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도2설명과 동일함으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5B를 살펴보면, 도2와는 달리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걸림경사면(335)를 형성하지 않고, 걸림경사면(335) 대신에 걸림고정턱(332) 끝부분으로부터 일자형식으로 형성하여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도2설명에서의 걸림경사면(335)을 제외한 나머지설명과 동일함으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이어폰 인출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걸이부의 갈고리부분 뒷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6 내지 도8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인출부(300)의 걸이부(340) 및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을 도2와 다른 방법으로 형성하였으며, 갈고리이탈유도부(350)를 추가하여 형성하였으며, 걸림고정턱(332)에 걸려있는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이탈 시 갈고리이탈유도부(350)를 통하여 이탈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어폰인출부(300)는, 걸이부(340)의 제1갈고리(341a)가 이탈경사면(333)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해서 유도경사면(351)을 이동하면, 제2갈고리(341b)를 잡아주는 갈고리이탈유도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350)는, 제2갈고리(341b)가 갈고리이탈유도부(350)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유도경사면(351); 및 걸이부(340)의 제2갈고리(341b)가 걸리도록 하는 유도걸림턱(352);과 제2갈고리(341b)가 갈고리이탈유도부(350)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도이동통로(3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340)의 갈고리(341)는, 상기 고정걸림턱(332)에 걸리도록하는 제1갈고리(341a); 및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350)의 유도걸림턱(352)에 걸리도록 하는 제2갈고리(34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부(340)는, 상기 이탈경사면(333)을 대응하는 제3대응경사면(342c); 상기 유도경사면(351)을 대응하는 제4대응경사면(342d);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의 이어폰인출부(300)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320)를 누르면서 샤프트가 이동하여 걸이부(340)의 제1갈고리(341a)가 걸림고정턱(332)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이어폰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걸이부(340)의 제1갈고리(341a)가 이탈경사면(333)을 지나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갈고리(341b)가 갈고리이탈유도부(350)의 유도걸림턱(352)에 걸리게 되며,
이어폰(400)을 놓으면 제2갈고리(341b)가 유도걸림턱(352)에 걸린 상태로 유도이동통로(353)를 이동하여 직진이동통로(331)에 도달하면,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7을 참조하여 이어폰인출부(300)의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고정 및 해제원리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7A와 같이 이어폰(400)을 수납하기 전에 샤프트(320)가 밀려나온 상태에서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일정거리 누르면 샤프트(320)가 밀려들어가서 도7B와 같이 걸림고정턱(332)이 걸이부(340)의 제1갈고리(341a)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이부(340)는 제1갈고리(341a)가 걸림고정턱(332)에 걸리게 하기 위하여 걸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371)로 인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 측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며 걸림고정턱(332)에 진입하게 된다.
도7B의 상태가 되면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며,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누르면 걸이부(340)의 제1갈고리(341a)가 이탈경사면(333)을 지나가며 걸림고정턱(332)을 이탈하여 도7C와 같이 걸이부의 제2갈고리(341b)가 갈고리이탈유도부(350)의 유도경사면(351)을 지나 유도걸림턱(352)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이부의 제1갈고리(341a)가 이탈경사면(333)을 이동할 때는 샤프트가 들어가면서 이탈경사면(333)을 걸이부(340)의 제3대응경사면(342c)이 대응함으로 미끄러지며 이탈하고, 이탈되는 힘과 이탈경사면(333)의 유도에 의하여 도7C와 같이 제2갈고리(341b)가 유도걸림턱(352)에 걸리게 된다.
도7C와 같이 제2갈고리(341b)가 유도걸림턱(352)에 걸리게 될 때는, 걸이부(340)의 제4대응경사면(342d)이 유도경사면(351)을 대응하여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7C와 같이 제2갈고리(341b)가 유도걸림턱(352)에 걸린 상태로 탄성부재(370)의 탄력에 의하여 제2갈고리(341b)가 미끄러지면, 제2갈고리(341b)가 갈고리이탈유도부(350)를 이탈하여 도7D와 같이 직진이탈통로(331) 쪽으로 이동하여 샤프트가 밀려나와 도7A의 상태가 되면, 샤프트 밀려나오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된다.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350)는 상기 이탈경사면(333) 측면에 이탈경사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6의 이어폰인출부를 다른 방법으로 형성한 이어폰수납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로서, 도9를 살펴보면, 걸이부(340)와 샤프트고정/해제부(330)를 도6과 반대로 형성하였다. 즉 샤프트(320)에 걸이부(3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도6 내지 도8의 설명과 동일함으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이어폰인출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개략도로서 도10을 살펴보면, 도2 및 도6과는 달리 이어폰인출부(300)에 걸림해제부(360)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는, 샤프트(320)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340)의 갈고리(34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332); 걸이부(340)의 갈고리(341)를 상기 걸림고정턱(332)으로부터 이탈시키기위한 걸림해제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330)의 걸림고정턱(332)에 형성되며, 걸이부의 갈고리(341)를 상기 걸림고정턱(332)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3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340)는, 일 측 끝이 갈고리(341)가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에는 걸림경사면(335)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342a);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해제부(360)는, 누름부(361); 및 터치부(362);와 탄성부재(3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10의 이어폰인출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320)를 누르면서 샤프트가 이동하여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400)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걸림해제부(360)의 누름부(361)를 누르면 걸림해제부의 터치부(362)가 걸림고정턱(332)을 밀어 걸이부(340)의 갈고리로(341)부터 걸림고정턱(332)이 이탈되면,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10을 참고하여 이어폰인출부(300)의 샤프트고정/해제부의 고정 및 해제원리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10A와 같이 이어폰(400)을 수납하기 전에 샤프트(320)가 밀려나온 상태에서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하여 이어폰수납부(200)에 삽입 후 이어폰을 일정거리 누르면 샤프트(320)가 밀려들어가서 도10B와 같이 걸림고정턱(332)이 걸이부(340)의 갈고리(341)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고정턱(332)은 걸이부(340)의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에 걸리거나 해제를 위하여 걸림고정턱(332)에 형성된 탄성부재(371)로 인해 걸림고정턱(332)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갈고리(341)가 걸림고정턱(332)에 진입하게 된다.
도10B의 상태가 되면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며,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하여 걸림해제부(360)의 누름부(361)을 누르면 걸림해제부(360)가 들어가 터치부(362)가 걸림고정턱(332)을 밀어 도10C와 같이 걸이부의 갈고리(341)로부터 걸림고정턱(332)이 이탈되고, 갈고리(341)가 밀려나와 도10A의 상태가 되면, 샤프트 밀려나오는 힘에 의하여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이 인출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부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인출부의 다른 방법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어폰인출부 분해확대도이며, 도14는 도13의 장치이동부가 형성된 이어폰인출부를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11 내지 도14를 살펴보면,
이어폰인출부(300)를 이어폰수납부(200) 측면에 형성한 것으로 장치이동부(380)를 추가하였으며, 장치이동부 외 기타 자세한 설명은 상기 도1 내지 도10 설명과 동일하다.
즉 스마트폰의 공간배치에 따라 이어폰인출부(300)를 도11A와 같이 이어폰수납부(200)의 배면에 형성하지 않고 도11B 및 도12와 같이 측면에 형성할 경우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삽입함으로 인하여 샤프트(320)를 작동시켜야 하는데 도11B 및 도12와 같이 이어폰인출부(300)가 측면에 배치될 경우 샤프트(32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도13과 같이 샤프트(320)와 연장 연결되는 장치이동부(380) 및 이어폰받침부(382)가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300)는, 제1이어폰인출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부(300b)로 구분되되,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300a)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이어폰인출부(300b)는 상기 제2이어폰수납부(200b)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11B와는 달리 도12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300)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300a)는,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300b)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300a)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200);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400)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수납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300)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300a)는,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300b)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300a)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200a)와 제2이어폰수납부(200b) 측면 사이에 제1이어폰인출부(300a)와 제2이어폰인출부(300b)가 1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을 삽입 할 때 삽입되는 힘에 의하여 샤프트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장치이동부(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이동부(380)는, 일 측 끝이 상기 샤프트(320)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타 측 끝은 이어폰받침부(382)와 연결되는 연장부(381);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시 이어폰을 받쳐주는 이어폰받침부(38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300a)의 이어폰받침부(382)와 제2이어폰인출부(300b)의 이어폰받침부(382) 중 어느 하나는 제1이어폰수납부(200a) 쪽으로 향하게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제2이어폰수납부(200b) 쪽으로 향하게 형성되고,
제1이어폰인출부(300a)에 형성된 장치이동부(380)의 연장부(381) 길이가 제2이어폰인출부(300b)에 형성된 장치이동부(380)의 연장부(381) 길이보다 일정 이상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인출부의 샤프트가 밀려들어가면서 고정에서 해제되는 것은, 상기 이어폰을 이어폰삽입 방향(400s)으로 누르면 이어폰 일 측 끝이 이어폰 받침부(382)를 누르게 되고, 연장부(381)을 통해 연결된 샤프트가 밀려들어가면서 고정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배터리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블록도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평 및 수직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사용상태도로서, 도15 내지 도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폰본체(100)는, 스마트폰본체가 충전중인지를 체크하는 충전체크부(600); 상기 충전체크부의 체크상태에 따라 이어폰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배터리(460) 충전방법을 선택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체크부(600)의 스마트폰본체(100)가 충전 중이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720)로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체크부(600)의 스마트폰본체(100)가 충전 중이 아니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110)를 통하여 이어폰배터리(460)가 충전되도록(710)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수납부(200)에 이어폰(400)을 수납할 경우 안정적인 수납을 위하여 도2를 참고해서 살펴보면, 상기 이어폰수납부(200)와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400)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이어폰을 고정하기 위한 자석(240);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 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240a);이 형성되고,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수납부 깊이 끝부분(223) 일 측부터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a)은, 이어폰의 길이 중 귀삽입부 쪽 일 측에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은, 이어폰수납부 입구(220) 끝부분 일 측에 짧게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240a)은, 이어폰 길이의 귀삽입부 일 측부터 이어폰손잡이(440)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이어폰인출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형의 이어폰수납부(200)에서 이어폰(400)을 인출하기 위한 푸시온/푸시오프 작동 방법의 모든 장치는 본 발명의 이어폰인출부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이란 휴대용 단말기로서 평판형 또는 세로나 가로로 접히는 폴더형 등의 모든 휴대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수납할 때는 도17A와 같이 수평상태로 수납하고, 이어폰을 사용할 때는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서 인출하여 도17B와 같이 수직상태로 접어서 도18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도17C와 같이 이어폰을 작게 만들어서 수납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구성요소에 두개이상의 부호를 기입한 경우 두개이상의 부호가 모두 해당되거나 두개이상의 부호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폰본체 101 : 스마트폰표면
110 : 스마트폰본체배터리
200 : 이어폰수납부 200a : 제1이어폰수납부
200b : 제2이어폰수납부 220 : 수납부입구
223 : 깊이 끝부분 230 : 이어폰충전단자
240, 240a :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물질
300 : 이어폰인출부 300a : 제1이어폰인출부
300b : 제2이어폰인출부 310 : 실린더
320 : 샤프트 330 : 샤프트고정/해제부
331 : 직진이동통로 332 : 걸림고정턱
333 : 이탈경사면 334 : 걸림이탈턱
335 : 걸림경사면 335a : 걸림경사면끝
336 : 걸림이탈통로
340 : 걸이부 340a : 걸이부측면
341 : 갈고리 341a : 제1갈고리
341b : 제2갈고리 342 : 대응경사면
342a : 제1대응경사면 342b : 제2대응경사면
342c : 제3대응경사면 342d : 제4대응경사면
343 : 이탈홈
350 : 갈고리이탈유도부 351 : 유도경사면
352 : 유도걸림턱 353 : 유도이동통로
360 : 걸림해제부 361 : 누름부
362 : 터치부 363 : 탄성부재
370 : 탄성부재 371 : 탄성부재
380 : 장치이동부 381 : 연장부
382 : 이어폰받침부 389 : 하우징
400 : 이어폰 400a : 제1몸체
400b : 제2몸체 400s : 이어폰삽입방향
401 : 접이부 430 : 대응충전단자
440 : 이어폰손잡이부분 460 : 이어폰배터리
500 : 제어부 600 : 충전체크부
700 : 이어폰수납체크부 710 : 스마트폰본체 배터리를통한충전
720 : 다이렉트충전 800 : 배터리체크부

Claims (25)

  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에서 이어폰을 인출 시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샤프트가 왕복운동의 들어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 또는 해제 하는 샤프트고정/해제부;
    상기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를 걸어서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가 상기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이탈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걸이부의 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는 걸림이탈턱;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의 걸림고정턱에 형성되며,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고정턱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샤프트고정/해제부는,
    걸림고정턱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이탈통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일 측 끝이 갈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걸림경사면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이탈경사면을 대응하는 제2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를 누르면서 샤프트가 이동하여 걸이부의 갈고리가 걸림고정턱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이어폰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걸이부의 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지나 걸림이탈턱을 통하여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어폰을 놓으면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된 걸이부의 갈고리가 걸림이탈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며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걸이부의 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이동하여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해서 유도경사면으로 이동하면, 갈고리를 잡아주는 갈고리이탈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는,
    제2갈고리가 갈고리이탈유도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유도경사면; 및
    걸이부의 제2갈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유도걸림턱;과
    제2갈고리가 갈고리이탈유도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유도이동통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는,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리도록하는 제1갈고리; 및 상기 갈고리이탈유도부의 유도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제2갈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이탈경사면을 대응하는 제3대응경사면(342c);
    상기 유도경사면을 대응하는 제4대응경사면(342d);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를 누르면서 샤프트가 이동하여 걸이부의 제1갈고리가 걸림고정턱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이어폰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걸이부의 제1갈고리가 이탈경사면을 지나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갈고리가 갈고리이탈유도부의 유도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이어폰을 놓으면 제2갈고리가 유도걸림턱에 걸린 상태로 유도이동통로를 이동하여 직진이동통로에 도달하면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는,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갈고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고정턱;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고정턱으로부터 이탈시키기위한 걸림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해제부의 걸림고정턱에 형성되며, 걸이부의 갈고리를 상기 걸림고정턱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걸림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일 측 끝이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에는 걸림경사면을 대응하는 제1대응경사면;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누름부; 및 터치부;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인출부가 작동하는 것은,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후 일정길이이상 누르면 이어폰이 샤프트를 누르면서 샤프트가 이동하여 걸이부의 갈고리가 걸림고정턱에 걸리게 되면, 샤프트가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됨으로 이어폰이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고,
    수납된 이어폰을 인출하고자할 때는 걸림해제부의 누름부를 누르면 걸림해제부의 터치부가 걸림고정턱을 밀어 걸이부의 갈고리로부터 걸림고정턱이 이탈되면, 샤프트가 밀려나옴으로 이어폰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1.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본체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이어폰수납부;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을 인출 시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상기 스마트폰 일 측에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가 11자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사이의 이어폰수납부 측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되되,
    제1이어폰인출부는, 이어폰수납부 입구 쪽에 형성되고, 제2이어폰인출부는,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어폰수납부와 제2이어폰수납부 측면 사이에 제1이어폰인출부와 제2이어폰인출부가 1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을 삽입 할 때 삽입되는 힘에 의하여 샤프트가 밀려 들어가도록 하는 장치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이동부는,
    일 측 끝이 샤프트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타 측 끝은 이어폰받침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며, 이어폰을 이어폰수납부에 삽입 시 이어폰을 받쳐주는 이어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이어폰인출부의 이어폰받침부와 제2이어폰인출부의 이어폰받침부 중 어느 하나는 제1이어폰수납부 쪽으로 향하게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제2이어폰수납부 쪽으로 향하게 형성되고,
    제1이어폰인출부에 형성된 장치이동부의 연장부 길이가 제2이어폰인출부에 형성된 장치이동부의 연장부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본체는,
    스마트폰본체가 충전중인지를 체크하는 충전체크부;
    상기 충전체크부의 체크상태에 따라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어폰 배터리 충전방법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수납부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체크부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며,
    상기 충전체크부의 스마트폰본체가 충전 중이 아니면 스마트폰본체배터리를 통하여 이어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납부와 이어폰수납부에 수납되는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이어폰을 고정하기 위한 자석;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 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붙는물질;이 형성되고,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수납부 깊이 끝부분 일 측부터 이어폰수납부 입구 끝부분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의 길이 중 귀삽입부쪽 일 측에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이어폰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수납부 입구 끝부분 일 측에 짧게 형성되고, 이어폰에 형성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은, 이어폰 길이의 귀삽입부 일 측부터 이어폰손잡이 일 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200062811A 2020-05-26 2020-05-26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11A KR102187400B1 (ko) 2020-05-26 2020-05-26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PCT/KR2021/006481 WO2021241973A1 (ko) 2020-05-26 2021-05-25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US17/927,825 US20230208949A1 (en) 2020-05-26 2021-05-25 Smartphone having earphone storage unit
CN202180034543.3A CN115918057A (zh) 2020-05-26 2021-05-25 具有耳机收容部的智能手机
JP2022573194A JP2023527851A (ja) 2020-05-26 2021-05-25 イヤホン収納部付きスマ-トフォ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11A KR102187400B1 (ko) 2020-05-26 2020-05-26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134A true KR20200106134A (ko) 2020-09-11
KR102187400B1 KR102187400B1 (ko) 2020-12-04

Family

ID=7247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11A KR102187400B1 (ko) 2020-05-26 2020-05-26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KR200483191Y1 (ko) * 2016-07-13 2017-04-13 김영철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136952B1 (ko) * 2019-03-25 2020-07-23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553U (ko) * 2006-10-16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단말기
KR20160128061A (ko) * 2015-04-28 2016-11-07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KR200483191Y1 (ko) * 2016-07-13 2017-04-13 김영철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136952B1 (ko) * 2019-03-25 2020-07-23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400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952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EP1916776A2 (en) Apparatus for detachably installing a smart card in a portable terminal
CN100517992C (zh) 移动电话的电池包锁定装置
JPH10336292A (ja) 携帯電話機
US8154878B2 (en) Chip card holder
KR20150062691A (ko) 자동으로 취출 가능한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US20100248550A1 (en) Chip card holder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2187400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JP2011041351A (ja) 非常用の充電器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20210129832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20170127899A (ko) 태양전지패널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102187199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JP200611560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2187200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90756B1 (ko)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US20140213084A1 (en) Electronic apparatus
EP2773085A1 (en) Holding platform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desktop telephone, and fixing method for connector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KR20070057559A (ko) 카드 커넥터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20230208949A1 (en) Smartphone having earphone storage unit
KR20220010134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N215773096U (zh) 存储装置和电子设备
KR101602729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