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91Y1 -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91Y1
KR200483191Y1 KR2020160004029U KR20160004029U KR200483191Y1 KR 200483191 Y1 KR200483191 Y1 KR 200483191Y1 KR 2020160004029 U KR2020160004029 U KR 2020160004029U KR 20160004029 U KR20160004029 U KR 20160004029U KR 200483191 Y1 KR200483191 Y1 KR 200483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ortable terminal
heads
sound output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160004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이어폰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어폰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가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이어폰 헤드(스피커)가 휴대 단말기의 형상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는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고안은 제1 및 제2 권취부가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는 각각 서로 대칭 구조로 휴대 단말기의 하부 모서리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부 모서리부에 결합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면서 한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시켜 사용가능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EARPHONE DEVICE BUILT IN A PORTABLE DEVICES AND PORTABLE DEVICE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이어폰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어폰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가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이어폰 헤드(스피커)가 휴대 단말기의 형상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는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스마트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사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단말기를 귀에 근접시키기 않고도 간편하게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또는 음성(영상) 통화를 하기 위해 이어폰이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어폰은 음향(음성)이 출력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스피커), 이어폰 헤드와 단말기를 연결하여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어폰 헤드로 전달하는 이어폰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어폰 케이블은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이어폰을 주머니나 가방 등에 보관하거나 혹은 사용 중에 이어폰 케이블이 뭉쳐 서로 엉키거나 꼬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어폰 케이블을 권취릴에 권취시켜 별도의 조작없이 이어폰 사용시에 외측으로 잡아당겨 인출하고, 수납시에는 이어폰을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적으로 상기 권취릴에 감겨지도록 하여 이어폰 케이블의 보관 및 사용 중에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이어폰은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 본체와 별도로 독립된 상태로 분리됨에 따라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이로 인해 단말기와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번거롭다. 또한, 이어폰 사용시 단말기와 분리된 이어폰을 찾아 단말기 본체에 연결해야함으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분리된 상태로 이어폰을 휴대 및 보관함에 따라 분실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4652호(공개일: 2005.01.1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4434호(등록일: 2006.05.2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1008호(등록일: 2013.10.16.)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는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이어폰(또는 권취장치)이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단말기 내장형 이어폰은 이어폰 헤드가 단말기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지 않고 외측으로 돌출 배치됨에 따라 단말기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단말기 본체의 형상과 이어폰 헤드의 형상이 서로 어울리지 못해 단말기의 디자인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어폰 인출시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동시에 인출됨에 따라 한쪽 이어폰 헤드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다른 쪽 이어폰 헤드가 인출된 상태로 존재함에 따라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05-0004652 A, 2005. 01. 12. KR 10-0584434 B1, 2006. 05. 22. KR 10-1321008 B1, 2013. 10. 16.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 내장형 이어폰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의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면서, 이어폰 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제공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이어폰 방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내장된 제1 및 제2 권취부;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에 독립적으로 권취된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전송받아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부 모서리부에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각각 암수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모서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부 모서리부와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는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접혀지거나, 상기 음향 출력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에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걸림되는 날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배터리 일체형 구조이거나, 서로 착탈가능하게 분리가 가능한 배터리 분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권취부가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는 각각 서로 대칭 구조로 휴대 단말기의 하부 모서리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부 모서리부에 결합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면서 한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시켜 사용가능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에 날개편을 구비하고, 사용시 상기 날개편을 음향 출력부로부터 전개시켜 사용함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부를 귀에 삽입시켜 사용할 때, 상기 음향 출력부가 귀 내부로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어폰 장치가 인출되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10)는 휴대 단말기(20)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권취부(11, 11')와,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12, 12')과,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20)는 도 1과 같이, 일례로 휴대폰, 즉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고안에서 휴대 단말기(20)는 휴대폰(스마트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기로서, 이어폰 장치를 통해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또는 음성(영상) 통화와 같이, 음향(음성)을 출력하는 출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모두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20)는 일례로 스마트폰인 경우, 배터리가 결합된 본체(21)와, 본체(21)의 배면을 덮는 커버(22)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21)와 커버(22)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배터리 일체형(예를 들면, 애플사의 아이폰, 삼성의 갤럭시 S6 등) 구조이거나, 혹은 서로 착탈가능한 배터리 분리형(교체형)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권취부(11, 11')는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20)의 내부에 서로 독립적으로 이격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권취부(11, 11')는 서로 대칭 구조로 휴대 단말기(20)의 본체(21)의 배면측(커버가 덮여지는 측) 또는 커버(22)의 정면측(본체의 배면과 접면하는 측)에 고정되거나, 혹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권취부(11)에는 제1 이어폰 케이블(12)이 권취되고, 제2 권취부(11')에는 제2 이어폰 케이블(12')이 권취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12, 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 권취부(11, 11')를 통해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어폰 케이블(12, 12')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제1 및 제2 권취부(11, 11')로부터 풀려 인출되고, 수납시에는 이어폰 케이블(12, 12')을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하여 이어폰 케이블(12, 12')의 보관 및 사용 중에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1 및 제2 권취부(11, 1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제1 및 제2 권취부(11, 11')는 다양한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42호(등록일: 2006.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548호(등록일: 2012.01.1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0473호(공개일: 2001.01.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548호(등록일: 2012.01.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044호(등록일: 2012.08.14.) 등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공개된 권취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음향(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로서,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12, 12')의 종단부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12, 12')을 통해 휴대 단말기(20)로부터 출력된 음향(음성)을 출력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에는 상부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의 결합홈부(21a, 21b, 22a, 22b)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결합홈부(21a, 21b, 22a, 22b)가 본체(21)와 커버(22)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체(21)에만 결합홈부(21a, 21b)가 형성되고, 커버(22)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는 도 3과 같이,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결합된 상태로 쉽게 본체(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홈(또는 고정돌기)(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에는 상기 고정홈에 암수결합되는 고정돌기(또는 고정홈)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에 형성된 고정돌기(또는 고정홈)와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형성된 고정홈(또는 고정돌기)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한을 두지 않고 암수결합을 통해 결합된 공지된 다양한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돌기는 'ㄱ'자, ' ㄴ'자형과 같은 갈고리 형태 또는 막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갈고리 형태의 고정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일 수 있고, 상기 막대 구조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암수결합되어 고정되고,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휴대 단말기(20)의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휴대 단말기(2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성과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는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20)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도록 본체(21)의 하부 좌우측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퍼즐 조각과 같이,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는 휴대 단말기(20)의 전체 외형 구조에서 한 조각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의 상부 모서리부는 휴대 단말기(20)의 하부 모서리부와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20)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멋스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암수결합되는 결합홈부(21a, 21b, 22a, 22b)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가 휴대 단말기(2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내부로(메인보드 등) 이물질 또는 물기(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와 분리된다. 이때,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는 이어폰 케이블(12, 12')을 제1 및 제2 권취부(11, 11')에 연결하기 위해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12, 12')이 관통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의 내부에는 이물질 또는 물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링과 같은 밀폐부재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는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고 스피커가 내장된 음향 출력부(131, 131')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음향 출력부(131, 13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핀(h)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음향 출력부(131, 131')의 일측면으로 접혀지거나 음향 출력부(131, 131')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져 음향 출력부(131, 131')가 사용자의 귀에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날개편(132, 132')을 포함한다.
날개편(132, 132')은 음향 출력부(131, 13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혹은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를 휴대 단말기(20)의 결합홈부(21a, 21b, 22a, 22b)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날개편(132, 132')을 음향 출력부(131, 131')의 일측면으로 접은 상태로 결합시키고, 사용시에는 음향 출력부(131, 131')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13, 13')에 날개편(132, 132')을 구비하고, 사용시 날개편(132, 132')을 음향 출력부(131, 131')로부터 전개시켜 사용함으로써 음향 출력부(131, 131')를 귀에 삽입시켜 사용할 때, 음향 출력부(131, 131')가 귀 내부로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어폰 장치가 인출되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어폰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권취부(31, 31'),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32, 32'),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33, 33')를 포함한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30)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33, 33')의 구조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어폰 장치(10)와 차이가 있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30)의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33, 33')는 음향 출력부(331, 331')의 양측면에 각각 날개 형상의 날개편(332, 332')이 구비되어 있고, 힌지핀(h)을 통해 음향 출력부(331, 331')의 양측면으로 접혀지거나, 음향 출력부(331, 331')의 양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때, 날개편(332, 332')의 형상은 곤충 날개(나비) 형상뿐만 아니라, 하트 형상, 사과 형상 등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33, 33')의 음향 출력부(331,331')의 양측면에 각각 날개편(332, 332')이 구비됨에 따라 날개편(332, 332') 전개시 전체적인 형상이 나비모양을 연상케 하여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33, 33')를 귀에 삽입시켜 사용하는 경우 머리 장식핀과 같은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30 : 이어폰 장치
11, 11', 31, 31' : 제1 및 제2 권취부
12, 12', 32, 32' :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
13, 13', 33, 33' :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
131, 131', 331, 331' : 음향 출력부
132, 132', 332, 332' : 날개편
20 : 휴대 단말기
21 : 본체
22 : 커버
21a, 21b, 22a, 22b : 결합홈부

Claims (5)

  1.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내장된 제1 및 제2 권취부;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에 독립적으로 권취되어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제1 및 제2 권취부로부터 풀려 인출되고, 수납시에는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한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전송받아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부 모서리부에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각각 암수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모서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부 모서리부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헤드는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접혀지거나, 상기 음향 출력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에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걸림되는 날개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4029U 2016-07-13 2016-07-13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483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29U KR200483191Y1 (ko) 2016-07-13 2016-07-13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29U KR200483191Y1 (ko) 2016-07-13 2016-07-13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91Y1 true KR200483191Y1 (ko) 2017-04-13

Family

ID=5860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29U KR200483191Y1 (ko) 2016-07-13 2016-07-13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34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277A (ja) * 2001-01-24 2002-08-09 Yukio Ishiyama 高機能携帯電話機
JP2004096289A (ja) * 2002-08-30 2004-03-25 Toya Kensetsu Kogyo:Kk 携帯電話機用音拡大携帯ホルダー
KR20050004652A (ko)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권취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KR20050054554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US20130244734A1 (en) * 2012-03-13 2013-09-19 Weldon H. Latham Integrated, Detachable Ear Bud Device for a Wireless Phone
KR101321008B1 (ko)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277A (ja) * 2001-01-24 2002-08-09 Yukio Ishiyama 高機能携帯電話機
JP2004096289A (ja) * 2002-08-30 2004-03-25 Toya Kensetsu Kogyo:Kk 携帯電話機用音拡大携帯ホルダー
KR20050004652A (ko)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권취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KR100584434B1 (ko) 2003-07-0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권취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KR20050054554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US20130244734A1 (en) * 2012-03-13 2013-09-19 Weldon H. Latham Integrated, Detachable Ear Bud Device for a Wireless Phone
KR101321008B1 (ko)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34A (ko) * 2020-05-26 2020-09-11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KR102187400B1 (ko) 2020-05-26 2020-12-04 임철수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997B1 (ko) 휴대전화용품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US10021486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mobile audio player
US20130237290A1 (en) Protective Communications Device Housing for Retractable Audio Devices Having Optional Gripping Mechanism
US20100206925A1 (en)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US20140193017A1 (en) Portable audio device and housing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KR200463097Y1 (ko)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KR101538796B1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83191Y1 (ko)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KR101073097B1 (ko) 이어폰 정돈장치
KR200468689Y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KR100317725B1 (ko) 목걸이형 이어폰세트
US10257605B2 (en) Earphone protection device
KR101169380B1 (ko) 이어폰 고정장치
CN204616024U (zh) 单边耳机
CN209072671U (zh) 一种复合式耳机音响
JP5580161B2 (ja) 電線コード巻取り装置
JP2004064537A (ja) ヘッドセット
KR200471153Y1 (ko) 이어폰 휴대 보관장치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140003902U (ko) 이어폰 케이스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51336Y1 (ko) 휴대폰 걸이용 이어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