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97B1 - 휴대전화용품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97B1
KR100789997B1 KR1020050065196A KR20050065196A KR100789997B1 KR 100789997 B1 KR100789997 B1 KR 100789997B1 KR 1020050065196 A KR1020050065196 A KR 1020050065196A KR 20050065196 A KR20050065196 A KR 20050065196A KR 100789997 B1 KR100789997 B1 KR 10078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neck strap
mobile phone
cor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524A (ko
Inventor
야스토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야스토시 마츠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토시 마츠다 filed Critical 야스토시 마츠다
Publication of KR2006009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a single strap passing around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한다.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폭을 가진 넥스트랩(3)과,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넥스트랩(3)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4)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5)와, 파스너(5)의 부착에 의해서 넥스트랩(3)과 파스너(5)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6)와, 수납부(6)내에 플러그측 코드부(7)가 수납되고,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8)와, 파스너(5)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이어폰 유니트(8)의 코드(9)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10)을 구비하는 휴대전화용품.

Description

휴대전화용품{IMPLEMENT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휴대전화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의 코드의 조인트 부분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휴대전화에 부착하고, 또한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에 있어서, 마이크부착 이어폰 및 이어폰측 코드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에 이어폰 유니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에 이어폰 유니트를 부착하고, 마이크부착 이어폰 및 이어폰측 코드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의 마이크부착 이어폰 및 코드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에 있어서, 마이크부착 이어폰 및 이어폰측 코드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42,51,61,71 : 휴대전화용품 2 : 휴대전화
3,42,62 : 넥스트랩 3a : 왼쪽 넥스트랩부
3b : 오른쪽 넥스트랩부 4 : 슬라이더
5 : 파스너 6,63,73 : 수납부
8,66 : 이어폰 유니트 9 : 코드
10 : 되접음수단 16 : 고리
17 : 마이크부착 이어폰 19 : 조인트
20 : 이어폰측 코드부 64 : 직물형상체
65 : 코드부 67 : 릴부
68 : 릴부 수납부 69 : 파스너부
72 : 가요성부재 74 : 끼워붙임부
75 : 장홈
본 발명은, 휴대전화용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 및 이어폰을 넥스트랩에 부착하여, 휴대전화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텔레비전 휴대전화나, 음악을 듣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휴대전화나, 휴대전화로 음악을 듣는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본체에 구비된 이어폰이나 마이크로는, 이용이 어렵거나, 혹은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음악을 들을 경우에, 휴대전화 본체에 구비된 이어폰을 귀에 대고 듣는 경우에는, 듣기가 곤란하거나, 소리가 새거나, 혹은 휴대전화를 든 손이 피로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고, 또 텔레비전 휴대전화를 이용할 경우에는, 휴대전화의 본체에 구비된 이어폰이나 마이크를 이용하여 화면을 보면서 통화할 경우에, 듣기가 곤란하거나, 이야기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는 듣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이어폰을 귀에 대어 버려, 화면에 귀의 확대 화면이 비춰지는 등의 실수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에 코드부착 이어폰을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 이어폰이나,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 등을 꺼내는 것이나, 수납이 번잡하므로, 편리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어폰이나, 코드 등의 취급의 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휴대전화용 넥스트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용 넥스트랩 장치는, 휴대전화기를 목에 매달기 위한 매달기 끈과, 이어폰 및 마이크를 플러그를 통하여 휴대전화기에 접속하는 이어폰 코드를 구비하고, 이어폰 코드의 플러그로부터 이어폰 및 마이크에 이르는 중간부가 매달기 끈을 따라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를 목에 매다는 동시에 이어폰 및 마이크를 통하여 휴대전화기에 의한 통화를 할 경우에, 이어폰 코드와 매달기 끈의 취급이 간단하고 거추장스럽지 않은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74886호
그러나, 상기 휴대전화용 넥스트랩 장치에 있어서는,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이어폰과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가 수납되지 않기 때문에, 거추장스럽거나, 외관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휴대전화용 넥스트랩 장치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수납할 경우에도 이어폰과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에 의해 부피가 커져서 수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현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이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내에 플러그측 코드부가 수납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수납부의 양 끝단 근방의 상기 넥스트랩 및/또는 파스너에 상기 코드를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코드는 상기 넥스트랩에 맞추고, 또한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 길이로 절단되며, 절단부가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상기 넥스트랩은, 상기 파스너의 부착부위가 중공(中空)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3 또는 4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상기 수납부 중에, 상기 이어폰을 수납하는 부위가 이어폰의 수납을 할 수 있는 큰 용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과의 사이에 수납부를 형성하는 직물형상체와,
상기 수납부내에 코드부가 수납 자유로우며, 또한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의 감기를 일시 정지하는 것이 자유로우며, 또한, 회전이 자유로운 전기 접합부를 가진 릴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릴부를 수납하는 릴부 수납부와,
상기 직물형상체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상기 수납부의 일부개폐동작을 행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형성한 소정 길이의 파스너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릴부에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이어폰을 상기 파스너를 개폐시켜 수납이 자유로우며, 또한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를 임의의 길이로 꺼내기가 자유롭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부착한 소정 길이의 가요성 부재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가요성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끼워 붙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에 형성한 끼워붙임부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상기 끼워 붙임부와 연이어 통하는 장홈과,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되접기 위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끝단부 근방에 형성한 되접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되접음 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장홈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수납하고, 더욱이 상기 이어폰을 상기 끼워붙임부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끼워붙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상기 이어폰 유니트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의 좌우 넥스트랩부에 상기 수납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3,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상기 이어폰은, 마이크부착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3, 4, 5, 6, 7, 8 또는 9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으로서, 휴대전화용품(1)은, 휴대전화(2)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3)과,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넥스트랩(3)의 좌우 넥스트랩부(3a,3b)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4)를 미끄럼 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좌우 파스너(5,5)와, 파스너(5,5)의 부착에 의해서 좌우 넥스트랩부(3a,3b)와 파스너(5,5)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수납부(6,6)와, 수납부(6,6)내에 플러그측 코드부(7,7)가 수납되고, 상기 휴대전화(2)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8)와, 상기 파스너(5,5)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어, 이어폰 유니트(8)의 코드(9)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10,1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넥스트랩(3)은, 직물, 가죽,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벨트형상체로 양 기초끝단부가 서로 결착되어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초끝단부 선단에 링(11)이 설치되며, 링(11)에 결착용 끈(12)을 구비한 스트랩 부착구(1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스너(5)는, 양측변과, 개방종료끝단변이 상기 넥스트랩(3)에 결착되어 있으며, 넥스트랩(3)과 파스너(5) 사이에 주머니모양의 상기 수납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넥스트랩(3) 기초끝단부 근방의 왼쪽 넥스트랩부(3a)에 제1 구멍(15a)이 형성되고, 왼쪽의 수납부(6)의 상단(도면에서 상단) 근방의 왼쪽 넥스트랩부(3a)에 제2 구멍(15b)이 형성되며, 왼쪽의 수납부(6)의 하단(도면에서 하단) 근방의 파스너(5)에 제3 구멍(15c)이 형성되고, 오른쪽의 수납부(6)의 상단(도면에서 상단) 근방의 오른쪽 넥스트랩부(3b)에 제4 구멍(15d)이 형성되며, 오른쪽의 수납부(6)의 하단(도면에서 하단) 근방의 파스너(5)에 제5 구멍(15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구멍(15a~15e)의 넥스트랩(3) 또는 파스너(5)에는 고리(16,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16,16…) 중에서, 제3 구멍(15c)과, 제5 구멍(15e)의 고리(16,16)가 상기 되접음수단(10,10)이 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 유니트(8)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이 구비되고, 플러그(18)로부터 이어지는 코드(9)가 도중에 분기하여 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은 스테레오 음성용이지만, 모노럴 음성 용이어도 좋다.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은 마이크(도시하지 않음)가 이어폰부(17a)와 일체로 설치된 것이지만, 이어폰부(17a)와 사이를 떨어지게 하여, 입가에 가까운 위치가 되는 코드(9)의 중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마이크(17b)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혹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어폰부(17a)로부터 입가에 가까운 위치까지 아암을 뻗어, 그 아암의 선단에 마이크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그 경우의 마이크도 스테레오 음성용으로 2개, 혹은 모노럴 음성용으로 1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넥스트랩(3)의 길이에 맞추고, 또한 휴대전화(도 1에서 2)의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부가 조인트(19,19…)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넥스트랩(3)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어폰 유니트(8)의 코드(9)의 분기부(9a)로부터 뻗는 3개의 선의 분기부(9a) 근방을 절단하여, 플러그(18)와 접속하는 제1 코드부(9b), 왼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과 접속하는 제2 코드부(9c), 오른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과 접속하는 제3 코드부(9d) 및 분기 코드부(9e)로 나누고, 제1 코드부(9b)를 상기 제1 구멍(15a)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제2 코드부(9c)를 상기 제3 구멍(15c)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관통시킴과 동시에, 왼쪽의 수납부(6)내를 배선하여 상기 제2 구멍(15b)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제3 코드부(9d)를 상기 제5 구멍(15e)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관통시키는 동시에, 오른쪽의 수납부(6)내를 배선하여 상기 제4 구멍(15d)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시켜, 상기 제1 코드부(9b), 제2 코드부(9c), 제3 코드부(9d)를, 상기 넥스트랩(3)에 길이에 맞추고, 또한 상기 휴대전화용품(1)의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조인트(19,19…)를 사용하여, 상기 분기 코드부(9e)의 대응하는 부분에 연결한다.
도 3은 상기 휴대전화용품(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휴대전화용품(1)을 상기 결착용 끈(12)에 의해서 휴대전화(2)에 부착하고, 상기 플러그(18)를 휴대전화(2)에 장착하여, 휴대전화용품(1)을 목에 걸어 휴대전화(2)를 매달고,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을 귀에 장착하여, 휴대전화(2)의 화면이 보이는 상태로 열어 휴대전화(2)를 손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2)의 화면을 보면서, 휴대전화(2)의 음성을 들을 수 있음과 동시에, 통화도 가능하며, 텔레비전 전화로서 이용할 수 있고, 혹은 텔레비전 방송을 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휴대전화(2)에 의해서 음악을 듣는 경우로서, 화면을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휴대전화(2)의 화상을 닫고, 휴대전화(2)로부터 손을 떼어 휴대전화(2)를 매단 상태로 하여, 음악을 듣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의 상태로부터,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수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파스너(5)의 슬라이더(4)를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측으로 슬라이드시켜 파스너(5)를 열고, 코드(9)를 상기 되접음수단(10)으로 되접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상기 수납부(6)내에 수납하여 파스너(5)를 닫는다. 도 4는 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전화용품(1)이 휴대전화(2)에 장착된 상태, 즉 상기 결착용 끈(12)이 휴대전화(2)에 결착되어, 이어폰 유니트(8)의 플러그(18)가 휴대전화(2)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도 4와 같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사용할 때에는, 파스너(5)를 열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는 용이하게 꺼내진다.
이렇게 해서, 상기 휴대전화용품(1)은, 휴대전화 본체(2a)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2)의 음성을 들을 수 있거나, 혹은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제1 구멍(15a)~제5 구멍(15e)에 고리(16,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16,16…)에 의해서 제1 구멍(15a)~제5 구멍(15e)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드(9)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드(9)는 넥스트랩(3)의 길이 및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절단부가 조인트(19,19…)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코드(9)의 길이가 넥스트랩(3)에 맞추어 조정되고, 편리성이 좋아지는 동시에 외관이 좋아진다.
그리고 또한, 이어폰 유니트(8)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이 구비되므로, 양쪽 귀로 들을 수 있거나, 혹은, 스테레오 음성으로 들을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2개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 및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20)를 수납하기 위해서, 넥스 트랩(3)의 기초끝단부 근방의 좌우 넥스트랩부(3a,3b)에 수납부(6)가 각각 구비되므로,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20)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또한 꺼낼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유니트(8)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1개로 하여 한쪽 귀에만 장착하는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이어폰 유니트(8)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대신에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는 이어폰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31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휴대전화용품으로서, 휴대전화용품(31)은,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1에서 1)에 있어서, 이어폰 유니트(도 1에서 8)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추가로 시판의 이어폰 유니트가 부착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1에서 1)의 제1 구멍(도 2에서 15a)에 대신하여,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는 크기로 넓힌 제1 구멍(32a), 제2 구멍(도 2에서 15b)에 대신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을 관통하는 크기로 넓힌 제 2 구멍(32b), 제3 구멍(도 2에서 15c)에 대신하여, 파스너(5)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되접음수단인 고정링(33)이 설치되고, 제4 구멍(도 2에서 15d)에 대신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을 관통하는 크기로 넓힌 제3 구멍(32c), 제5 구멍(도 2에서 15e)에 대신하여, 파스너(5)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되접음수단인 고정링(34)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휴대전화용품(3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이어폰 유니트(8)는 시판품이며, 상술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 은 절단은 되어 있지 않지만,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휴대전화용품(3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어폰 유니트(8)의 플러그(18)를 왼쪽 넥스트랩부(3a)의 안쪽으로부터 제1 구멍(32a)을 관통시켜 왼쪽 넥스트랩부(3a)의 왼쪽으로 돌출시키고, 왼쪽 넥스트랩부(3a)의 파스너(5)를 열어 왼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제2 구멍(32b)으로부터 수납부(6)내로 관통시키고, 수납부(6)내의 고정링(33)을 통과시켜 파스너(5)의 하단(도면에서 하단)으로부터 바깥쪽(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시켜서, 파스너(5)를 닫고, 오른쪽 넥스트랩부(3b)의 파스너(5)를 열어 오른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제3 구멍(32c)으로부터 수납부(6)내로 관통시켜, 수납부(6)내의 고정링(34)을 통과시켜 파스너(5)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파스너(5)를 닫으면 상기 휴대전화용품(3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상태로부터,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수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파스너(5)의 슬라이더(4)를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측으로 슬라이드시켜 파스너(5)를 열고, 코드(9)를 상기 고정링(33 또는 34)으로 되접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상기 수납부(6)내에 수납하여 파스너(5)를 닫는다. 도 7은 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파스너(5)를 열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휴대전화용품(31)은, 휴대전화 본체(도 1에서 2a)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2)의 음성을 들을 수 있거나, 혹은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이어폰 유니트(8)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 및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20)를 수납하기 위해서,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근방의 좌우 넥스트랩부(3a,3b)에 수납부(6)가 각각 구비되므로, 스테레오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동시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20)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또한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전화용품(31)은, 판매할 때에, 이어폰 유니트(8)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판매단가를 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유니트(8)도 시판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염가인 동시에, 이어폰 유니트(8)의 부착도 용이하다.
도 8에 있어서, 부호 41은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인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고, 휴대전화용품(41)은,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2에서 1)의 벨트형상체의 넥스트랩(도 2에서 3)에 대신하여, 적어도 파스너(5)의 부착부위를 단면이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넥스트랩(42)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넥스트랩(42)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중공부(43)를 수납부로 할 수 있고, 수납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거나, 혹은 수납부의 용적이 커지기 때문에, 넥스트랩(42)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51은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인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고, 휴대전화용품(51)은,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2에서 1)의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수납하는 부위의 공간을 넓히기 위해서 큰 용적의 이어폰 수납부(52)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의 수납이 더욱 용이해지는 동시에, 꺼내는 것도 용이해진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61은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인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고, 휴대전화용품(61)은, 휴대전화(도 2에 있어서 1)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62)과, 넥스트랩(62)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넥스트랩(62)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넥스트랩(62)과의 사이에 수납부(63)를 형성하는 직물형상체(64)와 수납부(63) 내에 코드부(65)가 수납 자유롭고, 또한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이어폰 유니트(66)와,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이어폰 유니트(66)의 이어폰측 코드부(20)를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래칫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어폰측 코드부(20)를 감는 것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고, 또한 회전이 자유로운 전기(電氣)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 릴부(67)와, 상기 수납부(63)의 일부에 형성되고, 릴부(67)를 수납하는 릴부 수납부(68)와, 상기 직물형상체(64)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4)를 미끄럼동작시켜 상기 수납부(63)의 일부 개폐 동작을 행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수납부(63) 내에 수납 자유롭게 형성한 소정 길이의 파스너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릴부(67)는, 상자체(67a)내에 있어서, 회전릴부(67b)가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자동적으로 감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어폰측 코드부(20)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끝단부(도시하지 않음)는 회전 릴부(67b)에 설치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점(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접속되고, 한편, 플러그측 코드부(7)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끝단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상자체(67a)에 고정되며, 또한, 회전 릴부(67b)를 회전 피봇지지하는 회전 피봇지지부(67c)에 설치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접점(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점(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점과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점은 회전 릴부(67b)가 회전할 때에도 동극의 접점끼리가 각각 서로 항상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래칫 기구는,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가 임의의 길이로 빼내어져 느슨해졌을 때, 래칫 기구가 작용하여, 회전 릴부(67b)의 감는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이어폰측 코드부(20)는 대략 빼내어진 길이로 유지된다.
그리고,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가 최대 길이로 빼내지면 상기 래칫 기구의 기능이 해제되어 회전 릴부(67b)가 미리 힘이 가 해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자동적으로 감아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의 수납상태로부터, 상기 파스너부(69)를 열어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빼내면, 상기 릴부(67)의 회전 릴부(67b)가 회전하고,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이 이어폰측 코드부(20)와 함께 빼내어져, 상기 래칫 기구에 의해, 대략 빼내어진 길이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파스너부(69)를 닫으면,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수납할 때에는,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최대 길이로 빼내면, 상기 래칫 기구의 기능이 해제되어 회전 릴부(67b)가 미리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어폰측 코드부(20)가 자동적으로 감아 넣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스너부(69)를 열어, 상기 수납부(63) 내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수납하고 상기 파스너부(69)를 닫으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는 완전히 수납된다.
한편,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이 수납부(63)내의 적절한 위치에 정지하여, 수납부(63)내의 안쪽까지 끌려 들어가지 않도록, 적절히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직물형상체(64)와, 넥스트랩(62) 사이를 일부 봉합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해서, 상기 휴대전화용품(61)은,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1에서 1)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 본체(도 1에서 2a)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도 1에 있어서 2)의 음성을 들을 수 있거나, 혹은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 (17)의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용이하게 원하는 길이로 빼내어,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귀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의 수납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71은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인 휴대전화용품을 나타내고, 휴대전화용품(71)은, 상기 휴대전화용품(도 6에서 31)의 파스너(도 6에서 5)에 대신하여, 연질수지 혹은 고무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정 길이의 가요성 부재(72)를 구비하고, 가요성 부재(72)는, 넥스트랩(3)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이 가요성 부재(72)의 부착에 의해서 넥스트랩(3)과 가요성 부재(72) 사이에 수납부(73)가 형성된다. 한편, 휴대전화용품(71)은 미리 이어폰 유니트(도 6에서 8)가 부착되지 않고, 시판의 이어폰 유니트를 추가로 하는 것이다.
또한, 가요성 부재(72)에는,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8)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끼워붙임 자유롭게 하기 위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유지하는 끼워붙임부(74)가 뚫려지며, 가요성 부재(72)의 길이방향으로 끼워붙임부(74)로 연이어 통하는 장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장홈(75)은, 코드(9)의 지름보다도 약간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코드(9)를 장홈(75)내에 밀어 넣어 탄력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장홈(75)을 통과시켜 수납부(73)내에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전화용품(71)에는, 이어폰 유니트(8)를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휴 대전화용품(도 6에서 31)의 제1 구멍(도 6에서 32a)에 대신하여, 플러그(18)를 관통시키는 크기로 형성된 제1 구멍(76a)이 왼쪽 넥스트랩부(3a)의 기초끝단부에 형성되고, 제2 구멍(도 6에서 32b)에 대신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관통시키는 크기로 형성된 제2 구멍(76b)이 가요성 부재(72)의 시작끝단(도면에서 상단) 근방에 왼쪽 넥스트랩부(3a) 및 가요성 부재(7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왼쪽 넥스트랩부(3a)의 가요성 부재(72)의 종단(도면에서 하단) 근방에, 손가락끝을 관통시키는 크기로 형성된 제3 구멍(76c)이 형성되고, 더욱이, 제3 구멍(76c)보다도 왼쪽 넥스트랩부(3a)의 측변 방향으로 소정간격 사이가 떨어져, 제3 구멍(76c)보다도 작은 지름의 되접음수단이 되는 제1 작은구멍(77a)이 형성되고, 제3 구멍(도 6에서 32c)에 대신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관통시키는 크기로 형성된 제4 구멍(76d)이 가요성 부재(72)의 시작끝단(도면에서 상단) 근방에 오른쪽 넥스트랩부(3b) 및 가요성 부재(7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오른쪽 넥스트랩부(3b)의 가요성 부재(72)의 종단(도면에서 하단) 근방에, 손가락끝을 관통시키는 크기로 형성된 제5 구멍(76e)이 형성되고, 제5 구멍(76e)보다도 오른쪽 넥스트랩부(3b)의 측변 방향으로 소정간격 사이가 떨어지고, 제5 구멍(76e)보다도 작은 지름의 되접음수단이 되는 제2 작은구멍(7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왼쪽 넥스트랩부(3a)에 부착한 가요성 부재(72)에 있어서, 상기 장홈(75)은, 상기 제2 구멍(76b)으로부터 끼워붙임부(74)와 연이어 통하고, 또한, 상기 제3 구멍(76c)에 연이어 통하며, 또한, 제3 구멍(76c)을 통과한 후, 방향을 대략 직각으로 바꾸어 상기 제1 작은 구멍(77a)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 다.
그리고, 오른쪽 넥스트랩부(3b)에 부착한 가요성 부재(72)에 있어서, 상기 장홈(75)은, 상기 제4 구멍(76d)으로부터 끼워붙임부(74)와 연이어 통하고, 또한 상기 제5 구멍(76e)에 연이어 통하며, 또한, 제5 구멍(76e)을 통과한 후, 방향을 대략 직각으로 바꾸어 상기 제2 작은구멍(77b)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휴대전화용품(7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어폰 유니트(8)의 플러그(18)를 왼쪽 넥스트랩부(3a)의 안쪽으로부터 제1 구멍(76a)을 관통시켜 왼쪽 넥스트랩부(3a)의 왼쪽으로 돌출시키고, 왼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제2 구멍(76b)으로부터 왼쪽으로 관통시켜, 코드(9)를 수납부(73)내에 수납하고, 코드(9)를 제1 구멍(77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오른쪽의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제4 구멍(76d)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관통시켜, 코드(9)를 수납부(73)내에 수납하고, 코드(9)를 제2 구멍(77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면, 상기 휴대전화용품(7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8)를 부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의 상태로부터,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마이크부착 이어폰(17)에 접속되는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수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9)를 상기 제1 작은구멍(77a) 또는 제2 작은 구멍(77b)에서 되접어, 제1 작은구멍(77a) 또는 제2 작은구멍(77b)에 코드(9)를 걸어멈춤시킨 상태로,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손가락끝으로 상기 제3 구멍(76c) 또는 제5 구멍(76e) 에 밀어 넣고, 또한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상기 장홈(75)내에 밀어 넣어 장홈(75)에 이어폰측 코드부(20)를 탄력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장홈(75)을 통과시켜 수납부(73)내에 수납하고,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끼워붙임부(74)에 끼워붙여 수납한다.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은 끼워붙임부(74)로부터 빼내면,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마이크부착 이어폰(17)을 빼내면, 이어폰측 코드부(20)도 빼내지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휴대전화용품(71)은, 휴대전화 본체(도 1에서 2a)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2)의 음성을 들을 수 있거나, 혹은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마이크부착 이어폰(17) 및 이어폰측 코드부(20)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휴대전화용품(71)은, 판매시점에서, 미리 이어폰 유니트(8)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판매단가를 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유니트(8)도 시판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염가인 동시에, 이어폰 유니트(8)의 부착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 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므로,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조합하여,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내에 플러그측 코드부가 수납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 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므로,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를 꺼내는 것도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의 양 끝단 근방의 상기 넥스트랩 및/또는 파스너에 상기 코드를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 구멍에 의해서 코드를 수납부내로 도입할 수 있고, 상기 고리에 의해서, 구멍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코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드는 상기 넥스트랩에 맞추고, 또한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 길이로 절단되며, 절단부가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시판의 이어폰 유니트를 사용했을 경우에, 코드의 길이가 넥스트랩에 맞추어 조정되어, 편리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외관이 좋아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넥스트랩은, 상기 파스너의 부착부위가 중공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1, 2,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 의 효과에 더하여, 넥스트랩의 중공부를 수납부로 할 수 있어, 수납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또한 수납부의 용적을 크게 취하기 위해서 넥스트랩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 중에, 상기 이어폰을 수납하는 부위가 이어폰의 수납을 할 수 있는 큰 용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어폰의 수납 및 꺼내기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사이에 수납부를 형성하는 직물형상체와,
상기 수납부내에 코드부가 수납 자유롭고, 또한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의 감기를 일시 정지하는 것이 자유로우며, 또한 회전이 자유로운 전기 접합부를 가진 릴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릴부를 수납하는 릴부 수납부와,
상기 직물형상체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상기 수납부의 일부 개폐 동작을 행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형성한 소정 길이의 파스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릴부에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이어폰을 상기 파스너를 개폐시켜 수납 자유롭고, 또한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를 임의의 길이로 빼내기 자유롭게 구성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므로,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부를 용이하게 자동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부를 임의의 길이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길이방향에 부착한 소정길이의 가요성 부재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가요성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끼워붙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에 형성한 끼워붙임부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상기 끼워붙임부와 연이어 통하는 장홈과,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되접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부재의 끝단부 근방에 형성한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장홈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수납하고, 더욱이 상기 이어폰을 상기 끼워붙임부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도록 끼워붙임시키도록 구성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하므로,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이어폰 유니트와 조합하여, 휴대전화 본체를 귀에 대지 않고, 휴대전화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어폰 및 코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어폰 및 코드의 꺼내기를 용이하게 한 휴대전화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 유니트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의 좌우 넥스트랩부에 상기 수납부가 각각 구비되므로, 정구항 1, 2, 3,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스테레오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이어폰과, 코드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또한 꺼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은, 마이크부착 이어폰이므로, 청구항 1, 2, 3, 4, 5, 6, 7, 8 또는 9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마이크부착 이어폰에 의해서 통화가 가능하다.

Claims (10)

  1.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2.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열림동작을 행하는 소정 길이의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내에 플러그측 코드부가 수납되고,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상기 파스너의 개방시작끝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구부려 되접는 되접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 및 이어폰이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양끝단 근방의 상기 넥스트랩 및/또는 파스너에 상기 코드를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넥스트랩에 맞추고, 또한 사용상태에 맞추어 소정 길이로 절단되며, 절단부가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넥스트랩은, 상기 파스너의 부착부위가 중공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중에, 상기 이어폰을 수납하는 부위가 이어폰의 수납을 할 수 있는 큰 용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7.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넥스트랩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넥스트랩과의 사이에 수납부를 형성하는 직물형상체와,
    상기 수납부내에 코드부가 수납 자유롭고, 또한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와,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의 감기를 일시 정지하는 것이 자유로우며, 또한 회전이 자유로운 전기 접합부를 가진 릴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릴부를 수납하는 릴부 수납부와,
    상기 직물형상체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미끄럼동작시켜 상기 수납부의 일부 개폐 동작을 행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 자유롭게 형성한 소정 길이의 파스너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릴부에 감는 것이 자유로운 동시에, 상기 이어폰을 상기 파스너를 개폐시켜 수납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이어폰측 코드부를 임의의 길이로 빼내기 자유롭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용품.
  8. 휴대전화에 부착이 자유롭고, 또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소정 폭을 가진 넥스트랩과,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부착한 소정길이의 가요성 부재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부착에 의해서 상기 넥스트랩과 상기 가요성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휴대전화에 접속이 자유로운 코드부착 이어폰 유니트의 이어폰을 끼워붙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에 형성한 끼워붙임부와,
    상기 가요성 부재의 길이방향에 형성한 상기 끼워붙임부와 연이어 통하는 장홈과,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코드를 되접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부재의 종단부 근방에 형성한 되접음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플러그측 코드부를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되접음수단에 의해서 되접힌 이어폰측 코드부를 상기 장홈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수납하고, 더욱이 상기 이어폰을 상기 끼워붙임부내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끼워붙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유니트에는 좌우의 귀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이어폰이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에 접속되는 코드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넥스트랩의 기초끝단부 근방의 좌우 넥스트랩부에 상기 수납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마이크부착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품.
KR1020050065196A 2005-03-09 2005-07-19 휴대전화용품 KR100789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5501A JP4278625B2 (ja) 2005-03-09 2005-03-09 携帯電話用品
JPJP-P-2005-00065501 2005-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24A KR20060097524A (ko) 2006-09-14
KR100789997B1 true KR100789997B1 (ko) 2008-01-02

Family

ID=3473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96A KR100789997B1 (ko) 2005-03-09 2005-07-19 휴대전화용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74196B2 (ko)
JP (1) JP4278625B2 (ko)
KR (1) KR100789997B1 (ko)
CN (1) CN100440897C (ko)
TW (1) TW2006334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1852A1 (en) * 2004-12-03 2006-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KR100657996B1 (ko) * 2005-01-17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식 엔에프씨 모듈
US7416099B2 (en) 2005-10-06 2008-08-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eck str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070099681A1 (en) * 2005-11-02 2007-05-03 Peter Kielland Wearable caddy for a personal audio device having integrated cord storage
US20070099680A1 (en) * 2005-11-02 2007-05-03 Peter Kielland Wearable caddy for a Personal Audio Device having integrated cord storage
US7792316B2 (en) * 2006-01-27 2010-09-07 Creative Technology Ltd Portable storage container with cable management 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managing cables of a portable storage container
JP4899770B2 (ja) * 2006-10-11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WO2009009150A2 (en) * 2007-07-12 2009-01-15 Renee Michelle Cleary Tele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hold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90016559A1 (en) * 2007-07-12 2009-01-15 Renee Michelle Cleary Tele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holding apparatus and methods
EP2179676A1 (de) * 2007-12-07 2010-04-28 Desirée Adrian Trageband in Form eines Lanyards oder Schlüsselbandes
US20090321490A1 (en) * 2008-06-27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Laptop computer carrier
ITVI20090035A1 (it) * 2009-02-24 2010-08-25 Helios Group S P A Sostegn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condutture flessibili
US8107653B2 (en) * 2009-06-25 2012-01-31 Jerry Leigh Of California, Inc. Garment with built-in audio source wiring
US8455758B2 (en) * 2010-01-07 2013-06-04 Zipbuds, LLC Cable organization assemblies
US8975514B2 (en) 2010-01-07 2015-03-10 Zipbuds, LLC. Cable organization assemblies
US20110204115A1 (en) * 2010-02-25 2011-08-25 Tannehill John Wayne Cradle and Holder
US8881961B1 (en) 2012-06-07 2014-11-11 Antanas V. Cibirka Mobile electronic device carrier assembly
US8794495B1 (en) 2012-07-12 2014-08-05 Lesley J. Wathen Carrier for mobile phone
US20140158726A1 (en) * 2012-12-10 2014-06-12 David Malara Equipment sling
US20140185856A1 (en) * 2013-01-03 2014-07-03 Koss Corporation Lanyar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R3009165B1 (fr) * 2013-08-02 2015-08-28 Franck Minassian Vetement a capuche
USD770424S1 (en) 2013-10-14 2016-11-01 Wicked Audio, Inc. Pair of earbuds
USD780154S1 (en) 2013-10-14 2017-02-28 Wicked Audio, Inc. Headphone
US9706830B1 (en) * 2016-01-28 2017-07-18 Monique Prince Support and carrying apparatus for a cellular phone
US9615160B1 (en) * 2016-09-26 2017-04-04 Hussain Younes Mothaffar Earphone system with retractable cables
KR102024772B1 (ko) 2018-10-01 2019-09-25 (주)발맥스기술 Lng bog 재액화 시스템
KR102022985B1 (ko) 2018-11-26 2019-09-20 (주)발맥스기술 Lng bog 재액화 시스템
WO2020153489A1 (ja) * 2019-01-24 2020-07-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712A (ja) 2000-05-12 2001-11-22 Vomy International:Kk イヤホーン付きハンドストラップ
KR200292178Y1 (ko) 2002-04-04 2002-10-18 유용운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200315210Y1 (ko) 2003-02-27 2003-06-02 씨에스엘 정보통신 주식회사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JP2003162344A (ja) 2001-11-28 2003-06-06 Mainstream:Kk 入力機能付端末機器類カバーおよび端末装置
KR20040050656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50A (ja) * 1997-12-08 1999-07-02 Sony Corp 電子機器
CN2344880Y (zh) * 1998-11-11 1999-10-20 李永宁 内藏天线的肩带
GB2373998A (en) * 2000-10-13 2002-10-09 Infinia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with neck-strap
GB2369742A (en) * 2000-11-30 2002-06-05 Nokia Mobile Phones Ltd Neck strap accessory for audio device having wired earpiece
US20020090099A1 (en) * 2001-01-08 2002-07-11 Hwang Sung-Gul Hands-free,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838181B2 (ja) * 2002-09-18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ATE341893T1 (de) * 2003-06-16 2006-10-15 Benq Mobile Gmbh & Co Ohg Kopfhörerdraht und kopfhörer
US20060062413A1 (en) * 2004-09-20 2006-03-23 Wehrell Michael A Wired exercise garment and method
US7783065B2 (en) * 2005-03-18 2010-08-24 Nyko Technologies, Inc. Wireless headphone kit for media play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712A (ja) 2000-05-12 2001-11-22 Vomy International:Kk イヤホーン付きハンドストラップ
JP2003162344A (ja) 2001-11-28 2003-06-06 Mainstream:Kk 入力機能付端末機器類カバーおよび端末装置
KR200292178Y1 (ko) 2002-04-04 2002-10-18 유용운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20040050656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200315210Y1 (ko) 2003-02-27 2003-06-02 씨에스엘 정보통신 주식회사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4196B2 (en) 2007-02-06
TW200633470A (en) 2006-09-16
US20060205441A1 (en) 2006-09-14
JP4278625B2 (ja) 2009-06-17
JP2005168071A (ja) 2005-06-23
KR20060097524A (ko) 2006-09-14
CN100440897C (zh) 2008-12-03
CN1832508A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997B1 (ko) 휴대전화용품
US7702122B2 (en) Headgear for docking and listening to portable audio devices
US8787610B2 (en) Ergonomic system for compact winding and storage of earphone set/headphones used with digital media devices
US8269111B2 (en) Scrunch-it earpiece/wire organiz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263645B1 (ko) 결속 및 결속 해제가 용이한 이어폰 및 와이어
EP2724552A1 (en) Ergonomic system for compact winding and storage of earphone set/headphones used with digital media devices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KR101538796B1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KR20010103042A (ko) 단말기 휴대장치 및 단말기와 이어폰의 휴대장치
KR101374008B1 (ko) 블루투스 이어폰
GB2352710A (en) Cable receptacle for microphone and/or speaker cable
JP2004522341A (ja) 線固定可能イヤーホン
KR200483191Y1 (ko)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3028127A1 (en) Headphone assembly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JP2001169382A (ja) イヤホン装置
KR200468689Y1 (ko) 스마트폰 케이스
JP2001197919A (ja) ネック・ストラップ
CN101072476A (zh) 便携设备保护装置
KR200204385Y1 (ko)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JP7464982B2 (ja) 保持具
CN216312246U (zh) 一种带有收纳耳机功能的伸缩数据线装置
CN216253220U (zh) 一种有线耳机盒
JP3557336B2 (ja) マイクロホン付きイヤホン
JP3044233U (ja) イヤホーン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