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385Y1 -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4385Y1 KR200204385Y1 KR2020000014403U KR20000014403U KR200204385Y1 KR 200204385 Y1 KR200204385 Y1 KR 200204385Y1 KR 2020000014403 U KR2020000014403 U KR 2020000014403U KR 20000014403 U KR20000014403 U KR 20000014403U KR 200204385 Y1 KR200204385 Y1 KR 2002043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ll body
- doll
- connection cord
- mobile phone
- fanc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가진 인형몸체(11); 상기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형성되어 개방 및 봉합이 가능한 개봉수단; 및 상기 개봉수단을 개봉하여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수납하거나 상기 인형몸체(11)로부터 탈취가능하며,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자의 송수신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을 구비하여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인형몸체에 내장함으로써 외적인 미려를 향상시켜 젊은이들이 지향하는 미적감각에 보조를 맞출 수 있으며, 인형몸체와 핸즈프리장치의 분리가 용이하여 인형몸체의 세탁이 가능한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가 내장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기기는 위치에 제한을 받지않고 통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증가 추세가 날로 급등하여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이라면 필수품이 되다시피 하였다.
최근에는 운전중이나 다른 일을 하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의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이어폰과 마이크로 구성된 이어마이크를 휴대폰의 연결잭에 연결하고 이어폰을 귀에 꼽아 자유로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차량의 내부에 별도의 스피커와 고성능 마이크를 설치한 후 스피커와 마이크가 핸드폰에 연결되도록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즈프리장치는 이어마이크 및 차량용 스피커/마이크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각적인 미려감이 없어 젊은이들의 미적감각에 보조를 맞출 수 없으며, 특히, 차량 내부의 장식성을 고려하지 않아 둔탁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젊은이들의 미적감각을 고려하여 악세사리 팬시인형에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를 내장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개방수단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개방수단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폰 10a... 컨넥터
11... 인형몸체 13... 지퍼손잡이
15... 지퍼부재 17... 부착포
19... 단추부재 21... 연결잭
23... 연결코드 24... 접속코드
25... 인출공
27... 수화기수납부 29... 수화기
30... 이어마이크
31... 송화기수납부 33... 송화기
35... 통화버튼 37... 본체
41... 회전릴
43... 스위치부 45... 안내공
46... 휴대폰수납부 47... 스피커
49... 마이크 51... 배터리수납부
53... 배터리 55... 걸이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은 소정의 형상을 가진 인형몸체; 상기 인형몸체의 등 부분에 형성되어 개방 및 봉합이 가능한 개봉수단; 및 상기 개봉수단을 개봉하여 상기 인형몸체 내에 수납하거나 상기 인형몸체로부터 탈취가능하며,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자의 송수신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개봉수단은 상기 인형몸체의 등 부분을 개봉하는 지퍼부재, 부착포 또는 단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컨넥터에 접속되는 연결잭이 마련되며 상기 인형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코드와, 상기 인형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코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과, 상기 연결코드에 연결되고 상기 인형몸체 내에 형성된 수화기수납부에 수납되어 수신음을 출력하는 수화기와, 상기 연결코드에 연결되며 상기 인형몸체 내에 형성된 송화기수납부에 수납되어 송신음을 송신하는 송화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형몸체는 전면에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수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인형몸체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상기 휴대폰의 컨넥터에 연결되는 연결잭과, 상기 인형몸체에 내장되어 외부로 수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인형몸체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송신음을 송신하고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이 설치된 마이크와, 상기 연결잭과 스피커와 마이크를 연결하는 연결코드와, 상기 인형몸체 내에 형성된 배터리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수단은 통화음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어마이크가 연결되어 상기 인형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인형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안내공를 통해 인출가능한 연결코드와, 상기 이어마이크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코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과, 상기 연결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인형몸체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상기 휴대폰의 컨넥터와 접속되는 연결잭과, 상기 인형몸체 내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연결코드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연결코드를 잡아당겨 외부로 인출할 때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코드를 되감는 회전릴과, 상기 인형몸체의 저면에 노출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릴의 탄성복원력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인형몸체에 내장하여 통화가 가능하므로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미적감각에 보조를 맞출 수 있으며, 인형몸체와 핸즈프리장치의 분리가 용이하여 인형몸체의 수시 세탁이 가능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은 소정의 형상을 가진 인형몸체(11)와, 상기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형성되어 개방 및 봉합이 가능한 개봉수단과, 상기 개봉수단을 개봉하여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수납하거나 상기 인형몸체(11)로부터 탈취가능하며,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자의 송수신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형몸체(11)는 통상적인 동물형상을 가진 것으로 울(wool)섬유나 천 등의 직물 또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사람의 형상과 같이 팔과 다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인형몸체(11)를 동물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만화영화 또는 기업 및 각종 단체를 홍보하는 마스코트 등의 캐릭터 인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봉수단은 일 구현예로서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마련되어 지퍼손잡이(13)를 올려 인형몸체(11)의 내부를 개방시키거나, 상기 지퍼손잡이(13)를 내려 등 부분을 봉합시킬 수 있는 지퍼부재(15)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현예에 따른 개봉수단은 일명 찍찍이라 불리우는 부착포(17)가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포(17)의 탈부착에 의해 인형몸체(11)의 내부를 개방시키거나, 등 부분을 봉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개봉수단은 단추부재(19)가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단추부재(19)를 끼우고 풂으로써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을 개방하거나 봉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개봉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퍼부재, 부착포 및 단추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등 부위를 절개하여 서로 겹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봉수단은 인형몸체(11)의 등부분에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배부위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수단은 인형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수신수단은 일단에 연결잭(21)이 설치되어 있는 연결코드(23)가 인형몸체(11)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인출공(2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잭(21)이 인형몸체(11)와 떨어져 있는 휴대폰(10)의 컨넥터(10a)에 접속가능하고, 연결코드(23)의 타단에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귓속으로 출력하는 수화기(29) 및 상기 수화기(29)에 근접되도록 연결코드(2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송신음을 송신하는 송화기(33)기가 설치되되, 상기 수화기(29) 및 송화기(33)는 인형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수화기수납부(27) 및 송화기수납부(31)에 각각 수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화기수납부(27) 및 송화기수납부(31)는 각각의 수화기(29) 및 송화기(33)를 고정시키도록 수축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를 위해 고무줄과 같은 장력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각각의 수납부는 장력부재의 장력에 의해 수화기(29) 및 송화기(33)를 파지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인형몸체(11)의 일측에는 수화기(29) 및 송화기(33)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폰(10)으로부터 벨 또는 멜로디와 같은 수신음이나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누름동작에 의해 통화가 가능한 통화버튼(35)이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화버튼(35)은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후크스위치를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10)으로부터 수신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통화버튼(35)을 눌러 후크 온시킴으로써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휴대폰(10)의 컨넥터(10a)에 연결잭(21)을 접속하여 휴대폰(10)을 가방 또는 주머니에 넣거나 벨트 등에 착용하고, 인형몸체(11)는 가방의 외부에 달거나 신체의 의류 등에 착용하고 있다가 휴대폰(10)으로부터 수신음이나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통화버튼(35)을 누르고, 인형몸체(11)를 파지하여 귀 및 입주위에 대고 통화를 한다. 즉, 상대통화자의 송신음은 수화기(29)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고, 사용자의 송신음은 송화기(33)를 통해 상대통화자에게 전달된다. 만약, 일정기간이 지나 인형몸체(11)가 더러워졌을 경우, 사용자는 개봉수단을 개봉하여 수화기(29) 및 송화기(33)를 인형몸체(11)의 내부로부터 탈취한 다음 세탁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수단은 인형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수신수단은 후술되는 연결코드(23)에 연결되고 상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 예컨대, 인형몸체(11)의 팔부분에 노출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컨넥터(10a)에 접속되는 연결잭(21)과, 통상적인 카 핸즈프리장치로서 상기 인형몸체(11) 내부의 머리부분에 내장되어 외부로 수신음을 출력하는 고출력 스피커(47)와, 통상적인 카 핸즈프리장치로서 상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 예컨대, 인형몸체(11)의 팔부분에 노출되어 송신음을 송신하고 전화가 걸려 왔을 때 누름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35)이 설치되어 있는 고성능 마이크(49)와, 인형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연결잭(21)과 스피커(47)와 마이크(49)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코드(23)와,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형성된 배터리수납부(51)에 수납되어 스피커(47) 및 마이크(49)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형몸체(11)는 차량의 내부에 걸거나 부착할 수 있는 걸이부재(55)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그 전면에는 휴대폰(10)이 수납될 수 있는 휴대폰수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49a는 인형몸체(11)의 팔부분에 노출된 마이크(49)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부재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형몸체(11)를 차량 내부의 전면 창에 걸어 놓고 있다가 운전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마이크(49)에 설치된 통화버튼(35)을 누른다. 그러면, 사용자는 운전을 하면서도 자유로운 통화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잭(23)을 휴대폰(1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휴대폰(10)을 휴대폰수납부(46)에서 꺼내 휴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수단은 인형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수신수단은 통화음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송수화기(33,29)를 포함하는 이어마이크(30)가 연결되고 인형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공(2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코드(23)를 구비하되, 상기 수화기(29)는 사용자의 귀에 꼽아 상대 통화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이어폰이고, 송화기(33)는 수화기(29)에 근접되도록 연결코드(23)에 연결된 마이크이다. 여기서, 상기 송화기(33)에는 휴대폰(10)으로부터 벨 또는 멜로디와 같은 수신음이나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누름동작에 의해 통화가 가능한 통화버튼(35)이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폰(10)으로부터 수신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통화버튼(35)을 눌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코드(23)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후술되는 본체(37)로부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 예컨대 팔부분으로 노출되어 휴대폰(10)의 컨넥터(10a)와 접속되는 연결잭(2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형몸체(11) 내부에는 연결코드(23)를 감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하는 권취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권취수단은 인형몸체(11)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37)와, 상기 연결코드(23)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37)에 형성된 중심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코드(23)를 잡아당겨 외부로 인출할 때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코드(23)를 되감는 회전릴(41)과, 상기 인형몸체(11)의 저면에 노출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릴(41)에 제공되는 탄성복원력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함으로써 연결코드(23)를 되감을 수 있는 스위치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형몸체(11)는 차량의 내부에 걸거나 부착할 수 있는 걸이부재(55)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전면에는 휴대폰(10)이 수납될 수 있는 휴대폰수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24는 연결코드(23)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인형몸체(11) 내에 수용되며 끝부분에 연결잭(23)이 마련된 접속코드이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권취수단의 본체(37)에 스피커, 마이크 및 온스위치가 마련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선택적으로 스피커폰으로 대용할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형몸체(11)를 차량 내부의 전면 창에 걸어 놓고 있다가 운전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이어마이크(30)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연결코드(23)는 인형몸체(11)의 일측 안내공(4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연결코드(23)가 외부로 인출될 때 회전릴(41)은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미도시된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제공됨과 동시에, 스위치부(43)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구속되어 회전릴(41)은 반대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코드(23)가 인출되면 통화버튼(35)을 누른 다음 수화기(29)를 귀에 꼽고 통화한다. 즉, 상대 통화자의 음성은 수화기(29)를 통해 귀로 전달되고, 사용자의 송신음은 송화기(33)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상대방의 통화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 당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통화가 끝나면, 스위치부(43)를 누른다. 그러면, 회전릴(41)은 탄성복원력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연결코드(23)를 회전릴(41)에 되감는다. 여기서도, 상기 송수신수단은 인형몸체(11)의 개봉수단을 개방하여 인형몸체(11)의 내부로부터 탈취한 다음 세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잭(23)을 휴대폰(1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휴대폰(10)을 휴대폰수납부(46)에서 꺼내 휴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통신기기를 채용하는 팬시인형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형 카세트나 MP3 등의 뮤직용 음향기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은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인형몸체에 내장하여 통화가 가능하므로 외적인 미려를 향상시켜 젊은이들이 지향하는 미적감각에 보조를 맞출 수 있으며, 인형몸체와 핸즈프리장치의 분리가 용이하여 인형몸체의 세탁이 가능한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6)
- 소정의 형상을 가진 인형몸체(11);상기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에 형성되어 개방 및 봉합이 가능한 개봉수단; 및상기 개봉수단을 개봉하여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수납하거나 상기 인형몸체(11)로부터 탈취가능하며,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화자의 송수신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개봉수단은,상기 인형몸체(11)의 등 부분을 개봉하는 지퍼부재(15), 부착포(17) 또는 단추부재(19)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송수신수단은,상기 휴대폰(10)의 컨넥터(10a)에 접속되는 연결잭(21)이 마련되며 상기 인형몸체(11)의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2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코드(23)와,상기 인형몸체(1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코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35)과,상기 연결코드(23)에 연결되고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형성된 수화기수납부(27)에 수납되어 수신음을 출력하는 수화기(29)와,상기 연결코드(23)에 연결되며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형성된 송화기수납부(31)에 수납되어 송신음을 송신하는 송화기(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형몸체(11)는 전면에 휴대폰(10)을 수납하는 휴대폰수납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송수신수단은,상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컨넥터(10a)에 연결되는 연결잭(21)과,상기 인형몸체(11)에 내장되어 외부로 수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7)와,상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송신음을 송신하고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35)이 설치된 마이크(49)와,상기 연결잭(21), 스피커(47) 및 마이크(49)를 연결하는 연결코드(23)와, 상기 인형몸체(11) 내에 형성된 배터리수납부(51)에 수납되어 상기 스피커(47) 및 마이크(49)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송수신수단은,통화음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어마이크(30)가 연결되어 상기 인형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고 인형몸체(1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안내공(45)를 통해 인출가능한 연결코드(23)와,상기 이어마이크(30)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코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버튼(35)과,상기 연결코드(23)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인형몸체(11)의 소정부위에 노출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컨넥터(10a)와 접속되는 연결잭(21)과,상기 인형몸체(11) 내에 고정되는 본체(37)와,상기 연결코드(23)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37)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연결코드(23)를 잡아당겨 외부로 인출할 때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코드(23)를 되감는 회전릴(41)과,상기 인형몸체(11)의 저면에 노출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릴(41)의 탄성복원력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위치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403U KR200204385Y1 (ko) | 2000-05-22 | 2000-05-22 |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403U KR200204385Y1 (ko) | 2000-05-22 | 2000-05-22 |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4385Y1 true KR200204385Y1 (ko) | 2000-11-15 |
Family
ID=196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4403U KR200204385Y1 (ko) | 2000-05-22 | 2000-05-22 |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4385Y1 (ko) |
-
2000
- 2000-05-22 KR KR2020000014403U patent/KR2002043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9997B1 (ko) | 휴대전화용품 | |
JP4231525B2 (ja) |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 |
US20220279264A1 (en) | Electronic device | |
JP2008193688A (ja) | ヘッドセット | |
KR101538796B1 (ko) |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 |
KR20010103042A (ko) | 단말기 휴대장치 및 단말기와 이어폰의 휴대장치 | |
KR200204385Y1 (ko) | 이동통신기기용 팬시인형 | |
GB2352710A (en) | Cable receptacle for microphone and/or speaker cable | |
KR100901361B1 (ko) |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 |
KR200438262Y1 (ko) | 엠피쓰리 장치 | |
JP2001169382A (ja) | イヤホン装置 | |
KR20110122974A (ko) | 기능성 케릭터 구조를 갖는 이어폰 수납장치 | |
JP3361304B2 (ja) |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 |
KR200483191Y1 (ko) |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200364568Y1 (ko) |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 |
KR200200176Y1 (ko) | 헤어 핀 이어폰 | |
JP3048283U (ja) | 携帯通受信装置用の付帯用具 | |
KR200175325Y1 (ko) | 이어마이크폰의 자동되감기장치 | |
KR200204783Y1 (ko) | 목걸이형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 |
KR200330236Y1 (ko) | 핸드폰 | |
KR200292156Y1 (ko) | 감김방식의 이어마이크로폰을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 |
JP2005184037A (ja) | 携帯電子機器用イヤホン | |
KR200200186Y1 (ko) | 이어폰 고정장치 | |
KR200254500Y1 (ko) | 핸드폰 휴대장치 | |
KR200233029Y1 (ko) |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