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554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554A
KR20050054554A KR1020030087934A KR20030087934A KR20050054554A KR 20050054554 A KR20050054554 A KR 20050054554A KR 1020030087934 A KR1020030087934 A KR 1020030087934A KR 20030087934 A KR20030087934 A KR 20030087934A KR 20050054554 A KR20050054554 A KR 2005005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bile communication
mounting groov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8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554A/ko
Publication of KR2005005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고, 공공장소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인출되어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피커 장착홈;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로 신호음을 전달하고,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연결라인; 상기 스피커가 장착홈으로부터 연결라인을 매개로 인출된 다음, 다시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입시키도록 상기 장착홈 내측에 구비되는 라인권취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Apparatus for both speaker and ear-phon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고, 공공장소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인출되어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이나, 실내 즉,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원하는 상대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이동통신수단으로, 산업발전에 따른 이동통신 사용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그 증가 추세가 날로 급등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시판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로는 셀룰러폰(DCS), 개인휴대통신(PCS), 기타 휴대용 이동통신기기를 말하며, 상기 셀룰러폰과 개인휴대통신의 종류로는 바타입(bar type)과, 플립 타입(flip type) 또는 폴더 타입(folder type)등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사용자에 의해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개의 문자,숫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한 몸체부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화면을 갖는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제공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주위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시끄러운 공공장소에서 출력음을 제대로 청취할 수 있도록 몸체부에 구비되는 이어잭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장치와 이어폰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고, 이어폰장치가 부착된 일반적인 이통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몸체부(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피커장치(2)가 구비된다. 이 때, 필요시 상기 몸체부(1)의 이어잭(미도시)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별도로 이어폰장치(3)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어폰장치는 몸체부(1)의 이어잭(미도시)으로 접속되는 이어포트(4)와, 케이블(5)을 매개로 연결되어 음을 출력하는 이어폰(6)과, 상기 케이블(5) 상에 구비되어 음이 입력되는 마이크(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어폰 장치가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왔을 때, 스피커장치(2)를 통해 멜로디, 비프음 등의 수신을 확인하게 되어 있으며,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위와 같은 확인방법으로 이어폰(6)을 통해 수신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게임을 즐기거나 음악 등의 멜로디를 듣고자 할 때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청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폰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전화를 수신하거나, 게임을 실행하거나, 멜로디를 재생하여 청취하고자 할 때, 주위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을 구비하여 장착할 경우에도 장착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고, 공공장소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인출되어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이어폰장치의 구비없이 스피커장치를 이어폰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장치로의 사용시 목에 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단말기용 목걸이의 구비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피커 장착홈;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로 신호음을 전달하고,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연결라인; 상기 스피커가 장착홈으로부터 연결라인을 매개로 인출된 다음, 다시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입시키도록 상기 장착홈 내측에 구비되는 라인권취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의 착탈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스피커를 내장용 스피커로 동작시키거나 이어폰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라인권취수단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를 지속적으로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권취스프링; 및 상기 회전풀리의 회전을 규제하고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으로 이루어져 연결라인을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장착홈 일측에 구비되고, 일부가 단말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풀리로 이루어져 연결라인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연결라인을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어 각각의 연결라인을 이어 연결라인이 고리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고리형태의 이음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는, 단말기 몸체(1)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피커 장착홈(10)과; 상기 장착홈(1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20)와; 상기 단말기 몸체(1)에 구비되는 중앙제어부로부터 상기 스피커(20)로 신호음을 전달하고, 소정 길이를 갖는 인출가능한 연결라인(30)과; 상기 스피커(20)가 장착홈(10)으로부터 연결라인(30)을 매개로 인출된 다음 다시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라인(30)을 인입시키는 라인권취수단(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20)의 착탈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수단(40)과; 상기 접촉감지수단(4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스피커(20)를 내장용 스피커로 동작시키거나 이어폰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0)는 일반적인 이어폰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장착홈(10)과 스피커(20)의 대향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40)는 그 일예로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스피커(20)가 장착홈(10)에 안착되어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피커(20)는 내장된 스피커와 같이 소리의 크기 및 듀얼 스피커로 동작한다. 반면, 상기 스피커(20)가 장착홈(10)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내장 스피커(20)로서의 기능은 차단되고 스테레오 이어폰처럼 사용된다.
상기 연결라인(30)은 상기 스피커(20)가 단말기 몸체(1)의 장착홈(10)으로부터 이탈될 때 사용자의 귀까지 충분히 인출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인권취수단(50)은 상기 스피커(20)가 이어폰으로서의 사용을 완료한 후, 스피커(20)가 단말기 몸체(1)의 장착홈(10)으로 장착될 때, 연결라인(30)을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일예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풀리(미도시)와; 상기 회전풀리(미도시)을 일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구동부재(미도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구동부재(미도시)의 회전력으로 회전풀리(미도시)가 회전하면서 그 풀리 사이에 연결라인을 권취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부재(미도시)의 일예로 권취스프링(예를 들면, 와선형 판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인권취수단(5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라인을 자동 또는 수동적으로 단말기 몸체(1)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라인권취수단(50)은 상기 회전풀리(미도시)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연결라인(30)이 소정길이 인출된 시점에서 상기 회전풀리(미도시)를 록킹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 일예로, 상기 회전풀리(미도시)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 이탈 가능한 스토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풀리의 회전을 규제하고 해제하여 연결라인의 인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수단의 구비여부는 라인권취수단의 구성에 의하여 좌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권취수단이 연결라인을 자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권취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회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게 된다.
반면, 라인권취수단이 회전풀리 만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연결라인(30)을 인입시키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스토퍼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연결라인(30)을 인입하도록 할 경우, 상기 회전풀리의 일부는 단말기 몸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 노출부를 회전시키면서 연결라인을 권취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라인(30)에 구비되어 각각의 연결라인을 이어 연결라인이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이음부재(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이음고리와 같은 이음부재(60)에 의하여 두 연결라인(30)을 이어 고리형태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 형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스피커(20)가 단말기 몸체(1)의 장착홈(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장형 스피커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피커(20)가 장착홈(10)에 안착되어 있음을 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스피커(20)가 내장형 스피커(20)로서 동작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스피커(20)는 통상적인 내장형 스피커로서 동작한다.
한편, 사용자가 공공장소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 상대방에 피해를 주지 않으며, 게임, 통화 그리고 고품질의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 스피커(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단말기 몸체(1)의 장착홈(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스피커(20)가 장착홈(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연결라인(30)은 라인권취수단에서 풀리면서 인출되어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20)를 이어폰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감지수단(40)은 상기 스피커(20)가 안착홈(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20)는 스테레오 이어폰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토퍼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상기 연결라인(30)이 적정한 길이로 인출된 시점에서 스토퍼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라인(30)의 인출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연결라인(30)에 구비되는 연결고리(60)을 연결하게 되면, 연결라인(30)은 고리형태를 이루어 사용자는 목에 걸 수 있게 된다.
이후, 이어폰 기능으로서의 스피커(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연결라인(30)이 연결고리(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이를 분리하고 상기 연결라인(30)은 라인권취수단(5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권취되면서 단말기 몸체(1)의 장착홈(10)에 안착되어 내장스피커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고, 공공장소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인출되어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구비되는 스피커가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장치로의 사용시 목에 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단말기용 목걸이의 구비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된 스피커를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이어폰장치의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장치로의 사용시 목에 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단말기용 목걸이의 구비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을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고, 이어폰장치가 부착된 일반적인 이통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단말기 몸체 10: 장착홈
20: 스피커 30: 연결라인
40: 접촉감지수단 50: 라인권취수단
60: 이음부재

Claims (6)

  1. 단말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피커 장착홈;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로 신호음을 전달하고,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연결라인; 및
    상기 스피커가 장착홈으로부터 연결라인을 매개로 인출된 다음, 다시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입시키도록 상기 장착홈 내측에 구비되는 라인권취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의 착탈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스피커를 내장용 스피커로 동작시키거나 이어폰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권취수단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를 지속적으로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권취스프링; 및
    상기 회전풀리의 회전을 규제하고 해제하는 스토퍼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권취수단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장착홈 일측에 구비되고, 일부가 단말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풀리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어 각각의 연결라인을 이어 연결라인이 고리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단말기 몸체의 양측에서 인출되는 두 연결라인을 이어 고리형태를 형성하는 이음고리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KR1020030087934A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KR2005005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934A KR20050054554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934A KR20050054554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554A true KR20050054554A (ko) 2005-06-10

Family

ID=3724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934A KR20050054554A (ko) 2003-12-05 2003-12-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91Y1 (ko) * 2016-07-13 2017-04-13 김영철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91Y1 (ko) * 2016-07-13 2017-04-13 김영철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590B2 (en) Headset base with display and communications base
US79868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20110275323A1 (en)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EP195401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ne
JP2003533090A (ja) 適合可能な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携帯電子装置
JP3830823B2 (ja) 音声−tdd混合通信方式のための電話機の送受話器
CN201328175Y (zh) 收卷式免持装置
JP2008072158A (ja) ネックストラップ型補聴器、ネックストラップ型携帯電話
KR200500545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스피커장치
JP2002152829A (ja) 移動体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入出力装置
US9936296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JP2005175747A (ja) 携帯通信端末機
KR102583552B1 (ko) 이어폰 장치
JP2002281136A (ja) マイク付きイヤホン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CN213126408U (zh) 一种便于跑步固定耳机
GB2452027A (en) Bluetooth earpiece with data backup capabilities
KR200208097Y1 (ko) 머리띠 겸용 헤드셋
KR101071008B1 (ko) 이동통신단말의 이어폰 장치
KR20080105671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KR20000024290A (ko) 핸즈프리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된 핸드폰
CN111711883A (zh) 声控便携式耳机
JP3050286U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送受話器
KR200285673Y1 (ko) 휴대폰의 안테나를 이용한 이어마이크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