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29B1 -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29B1
KR101602729B1 KR1020140187112A KR20140187112A KR101602729B1 KR 101602729 B1 KR101602729 B1 KR 101602729B1 KR 1020140187112 A KR1020140187112 A KR 1020140187112A KR 20140187112 A KR20140187112 A KR 20140187112A KR 101602729 B1 KR101602729 B1 KR 10160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tray
portable terminal
pul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18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하여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인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삽입된 트레이에 걸리도록 하여, 트레이를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구비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트레이를 인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System with Easy Drawing Out of Tray}
본 발명은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 지도록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규격과 형상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서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소켓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0)를 포함하며, 하우징(10)과 덮개(20) 사이의 공간에 트레이(40)가 슬라이딩 안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접점(30)이 구비되고, 하우징(10) 또는 덮개(20)의 양 측면에 리테이너(22)가 구비된다. 리테이너(22)는 탄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통상 길게 형성된 바의 형태로서, 측방 내측으로의 탄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트레이(40)는 상하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어, 테두리 내측에 심 카드 등이 안착되며 심 카드의 하방에 구비된 접촉단자와 상기 접점(30)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소켓에 삽입된 트레이(40)가 임의로 다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트레이(40)의 측면에 걸림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2)는 리테이너(22)에 걸림 위치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이젝터(50)가 더 구비되고, 트레이(40)에는 이젝터(50)와 대향되도록 통공(40a)이 형성된다. 이젝터(50)는 트레이(40)의 분리 및 이탈을 위한 것으로, 외부의 가압핀(미도시)이 트레이(40)의 통공(40a)을 관통하여 이젝터(50)를 누르게 되면, 장형의 이젝터(50)가 전방으로 인입되면서, 하우징(10)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구성된 캠부(51)의 일단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캠부(51)의 타단부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트레이(40)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어, 트레이(40)는 리테이너(22)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그러나 트레이(40)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이젝터(50)와 캠부(51)를 구비하게 되면, 하우징(10)에 그만큼의 설치 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어, 소켓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8,734,188 B2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 지도록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배치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하우징개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개방부에 위치되되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삽입홀을 갖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및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었다가, 상기 인출부재에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걸린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는 인출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노출부와 대향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홀은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제 1 삽입홀과 제 2 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삽입홀과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구비된 상기 인출핀이 상기 제 1 삽입홀로 삽입되면,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 1 삽입홀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 삽입홀을 지나 상기 제 1 삽입홀과 대향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삽입홀에 위치된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면,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2 삽입홀과 대향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에 수용되되 상기 제 2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제 2 삽입홀에 걸림 위치된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걸림부를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면과 상기 걸림부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 1 삽입홀에서 상기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삽입부는 복수 개의 카드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인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삽입된 트레이에 걸리도록 하여, 트레이를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의 제 2 삽입홀은 제 1 삽입홀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삽입홀로 이동된 인출핀의 가이드돌기는 임의로 제 1 삽입홀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제 2 삽입홀에 위치된 인출핀의 가이드돌기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될 때, 인출핀의 걸림부가 제 2 삽입홀에 걸린 상태로 삽입홈의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구비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트레이를 인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부재의 인출핀이 트레이의 제 2 삽입홀에 걸리는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전체 제조 비용 감소는 물론, 전체 중량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경쟁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핀의 가이드돌기와 걸림부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방향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핀이 트레이의 삽입홀에 삽입될 때, 어느 각도로 삽입되어도 무방하여, 인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의 삽입홀에 인출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의 삽입부와 삽입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의 인출핀이 트레이의 제 1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의 인출핀이 트레이의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가 트레이를 인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60)은 심 카드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을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트레이(200) 및 인출부재(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내부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수납공간(1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일측은 개방되어 하우징개방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트레이(200)가 하우징개방부(120)를 거쳐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양 측부와 대향되는 하우징(100)의 양측에는 트레이(200)의 후술하는 걸림홈(216) 방향으로 리테이너(130)가 구비될 수 있다. 리테이너(13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트레이(200)의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카드(C)를 안착시켜서 카드(C)가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되 삽입부(210)와 연결되는 노출부(220)를 포함한다. 삽입부(2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카드(C)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안착홈(2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안착홈(214)에 각각의 카드(C)가 안착된다. 상기 카드(C)는 심 카드, SD 카드, Micro SD 카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214)의 저면에는 개방되도록 접촉개방부(214a)가 형성되어, 안착홈(214)에 안착된 카드(C)는 접촉개방부(214a)를 통하여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10)의 형상 및 구조는 카드(C)의 다양한 형상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214)은 복수 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안착홈(214)은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리테이너(130)와 대향되는 삽입부(210)의 양 측부에는 오목하게 걸림홈(216)이 형성되며, 트레이(200)의 삽입부(21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삽입되면, 트레이(200)의 걸림홈(216)에 하우징(100)의 리테이너(130)가 삽입 위치되어, 트레이(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걸림홈(216)의 형상 및 리테이너(130)의 형상은 이들이 상호 걸림 결합되는 형상이기만 하면 어느 형상이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인출부재(3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서 트레이(200)의 노출부(220)에 형성된 삽입홀(222)에 삽입된 상태로 트레이(200)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의 삽입홀에 인출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출부재(300)는 인출핀(310)과 손잡이부(320)를 포함한다. 인출핀(3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2)와, 가이드돌기(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314)를 갖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돌기(312)의 단면과 걸림부(314)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걸림부(314)의 직경이 가이드돌기(312)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걸림부(314)의 단면적이 가이드돌기(312)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3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돌기(31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손잡이부(320)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인출시킬 때, 인출부재(300)의 인출핀(310)이 트레이(200)의 삽입홀(222)에 삽입되며, 이때,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트레이(200)의 삽입홀(222)에 위치되고,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트레이(200)의 삽입홀(222)을 지나 트레이(200)의 삽입홈(212)에 위치된다. 트레이(200)의 삽입홀(222)과 삽입홈(212)의 구조는 추후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와 걸림부(314)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방향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핀(310)이 트레이(200)의 삽입홀(222)에 삽입될 때, 어느 각도로 삽입되어도 무방하여, 인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의 삽입부와 삽입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카드(C)가 안착되는 삽입부(210)와, 삽입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노출부(220)를 포함한다. 트레이(200)의 노출부(220)는 트레이(200)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위치된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삽입될 때, 트레이(200)의 삽입부(210)를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부(221b)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부(221a)를 포함한다. 그리고 노출부(220)의 외측부(221a) 중앙에는 내측부(221b) 방향으로 삽입홀(222)이 형성되고, 노출부(220)의 내측부(221b)와 대향되는 삽입부(210)의 일측에는 삽입홀(222)과 연통되도록 삽입홈(212)이 형성된다. 삽입홈(212)은 인출부재(300)의 걸림부(314)가 수용되도록 삽입부(21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그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인출부재(300)의 걸림부(314)가 삽입홈(212)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삽입홀(22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 1 삽입홀(222a)과 제 2 삽입홀(22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홀(222a)과 제 2 삽입홀(222b)은 상호 연통되도록 노출부(220)의 중앙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제 1 삽입홀(222a)은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물론 걸림부(314) 또한 삽입될 수 있는 제 1 높이(d1: 도 6 도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2 삽입홀(222b)은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삽입되나, 가이드돌기(312)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부(314)는 삽입될 수 없는 제 2 높이(d2: 도 6 도시)를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부(210)에 위치된 걸림부(314)가 제 2 삽입홀(222b)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삽입홀(222b)은 제 1 삽입홀(222a)에 삽입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1 삽입홀(222a)에서 제 2 삽입홀(222b)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삽입홀(222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삽입홀(222b)의 단부는 제 1 삽입홀(222a)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의 인출핀이 트레이의 제 1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의 인출핀이 트레이의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배치된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에서 인출시키기 위하여, 인출부재(300)의 인출핀(310)이 트레이(200)의 제 1 삽입홀(222a)에 삽입된다. 이때,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1 삽입홀(222a)에 삽입되고, 인출핀(310)의 걸림부(314)가 제 1 삽입홀(222a)을 통과하여 제 1 삽입홀(222a)과 대향되는 삽입홈(212)의 일측에 수용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제 1 삽입홀(222a)에 위치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제 2 삽입홀(222b)로 이동되며, 이때, 삽입홈(212)의 일측에 위치된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를 따라 제 2 삽입홀(222b)과 대향되는 삽입홈(212)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2 삽입홀(222b)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제 2 삽입홀(222b)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제 2 삽입홀(222b)에 걸린 상태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를 따라 삽입홈(212)의 트레이(200)를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인출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삽입홀(222b)은 제 1 삽입홀(222a)에 삽입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1 삽입홀(222a)에서 제 2 삽입홀(222b)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삽입홀(222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삽입홀(222b)의 단부는 제 1 삽입홀(222a)과 멀리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1 삽입홀(222a)에서 제 2 삽입홀(222b)의 단부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312)는 제 1 삽입홀(222a)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결과,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제 2 삽입홀(222b)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될 때,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제 1 삽입홀(222a)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인출핀(310)의 걸림부(314)가 제 2 삽입홀(222b)에 걸린 상태로 삽입홈(212)의 트레이(200)를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가 트레이를 인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삽입부(2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구비된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200)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출부재(300)의 손잡이부(320)를 파지한 상태로, 인출부재(300)의 인출핀(310)을 트레이(200)의 노출부(220)에 형성된 제 1 삽입홀(222a)로 삽입 즉, 전진시킨다.
그러면,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부(220)의 제 1 삽입홀(222a)에 위치되고,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제 1 삽입홀(222a)과 대향되는 삽입부(210)의 삽입홈(212)의 일측에 위치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출부재(300)의 손잡이부(320)를 파지한 상태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를 노출부(220)의 제 2 삽입홀(222b)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제 2 삽입홀(222b)과 대향되는 삽입부(210)의 삽입홈(212)의 타측에 위치된다. 이때, 걸림부(314)는 제 2 삽입홀(222b)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제 2 삽입홀(222b)에 걸림 위치된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출부재(300)의 손잡이부(320)를 당겨서, 인출부재(300)의 인출핀(310)이 노출부(220)의 제 2 삽입홀(222b)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 즉, 후진된다. 이때, 인출핀(310)의 걸림부(314)는 노출부(220)의 제 2 삽입홀(222b)에 걸림 위치된 상태이므로, 인출핀(310)이 후진될 때, 노출부(220)도 인출핀(310)을 따라 후진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10)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인출부재(300)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300)가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삽입된 트레이(200)에 걸리도록 하여, 트레이(200)를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200)의 제 2 삽입홀(222b)은 제 1 삽입홀(222a)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삽입홀(222b)로 이동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는 임의로 제 1 삽입홀(222a)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제 2 삽입홀(222b)에 위치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될 때, 인출핀(310)의 걸림부(314)가 제 2 삽입홀(222b)에 걸린 상태로 삽입홈(212)의 트레이(200)를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부재(300)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구비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트레이(200)를 인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예를 들면 이젝터(50: 도 1 도시) 및 캠부(51: 도 1 도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그만큼의 공간이 절약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부재(300)의 인출핀(310)이 트레이(200)의 제 2 삽입홀(222b)에 걸리는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20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전체 제조 비용 감소는 물론, 전체 중량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경쟁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핀(310)의 가이드돌기(312)와 걸림부(314)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방향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핀(310)이 트레이(200)의 삽입홀(222)에 삽입될 때, 어느 각도로 삽입되어도 무방하여, 인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60: 커넥터 시스템 100: 하우징
110: 수납공간 120: 하우징개방부
130: 리테이너 200: 트레이
210: 삽입부 212: 삽입홈
214: 안착홈 214a: 접촉개방부
216: 걸림홈 220: 노출부
221a: 외측부 221b: 내측부
222: 삽입홀 222a: 제 1 삽입홀
222b: 제 2 삽입홀 300: 인출부재
310: 인출핀 312: 가이드돌기
314 : 걸림부 320: 손잡이부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안쪽에 배치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하우징개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개방부에 위치되되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삽입홀을 갖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및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서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었다가, 상기 인출부재에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걸린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인출시키고,
    상기 인출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는 인출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노출부와 대향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홀은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제 1 삽입홀과 제 2 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삽입홀과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에 구비된 상기 인출핀이 상기 제 1 삽입홀로 삽입되면,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 1 삽입홀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 삽입홀을 지나 상기 제 1 삽입홀과 대향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삽입홀에 위치된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면,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2 삽입홀과 대향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에 수용되되 상기 제 2 삽입홀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제 2 삽입홀에 걸림 위치된 상기 인출핀의 상기 걸림부가 휴대용 단말기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걸림부를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면과 상기 걸림부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홀은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 1 삽입홀에서 상기 제 2 삽입홀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핀의 상기 가이드돌기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삽입부는 복수 개의 카드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20140187112A 2014-12-23 2014-12-23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160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12A KR101602729B1 (ko) 2014-12-23 2014-12-23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12A KR101602729B1 (ko) 2014-12-23 2014-12-23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29B1 true KR101602729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112A KR101602729B1 (ko) 2014-12-23 2014-12-23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781B2 (en) 2021-07-1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081A (ko) * 2009-10-29 2011-05-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US8734188B2 (en) 2011-04-29 2014-05-2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ray-type card connector preventing tray from flying out therefr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081A (ko) * 2009-10-29 2011-05-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US8734188B2 (en) 2011-04-29 2014-05-2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ray-type card connector preventing tray from flying out therefr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781B2 (en) 2021-07-1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655B2 (en) Connector
KR102147957B1 (ko)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US8061608B2 (en) Card reader
US9590356B2 (en) Puller type card socket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KR102042082B1 (ko) 적층형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666851B1 (ko) 트레이의 혼용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1833722B1 (ko) 적층형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602729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460079B1 (ko) 카드용 소켓
CN106848743B (zh) 一种卡座插拔机构和终端
EP2978195A1 (en) Communications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kinds of intelligent cards
KR101796043B1 (ko)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468956B1 (ko) 카드 자동 취출 기능을 갖는 듀얼 카드형 소켓
KR101633918B1 (ko) 오삽입 방지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900724B1 (ko) 멀티 카드 소켓 커넥터
KR200455633Y1 (ko) 카드 리더
KR101741437B1 (ko) 이종의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806107B1 (ko)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KR20150053004A (ko) 상하 이동 지지방식 트레이 삽입 소켓
KR100954442B1 (ko) 데이터 저장장치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