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107B1 -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107B1
KR101806107B1 KR1020160130073A KR20160130073A KR101806107B1 KR 101806107 B1 KR101806107 B1 KR 101806107B1 KR 1020160130073 A KR1020160130073 A KR 1020160130073A KR 20160130073 A KR20160130073 A KR 20160130073A KR 101806107 B1 KR101806107 B1 KR 10180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oving
housing
contac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윤주영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6013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107B1/ko
Priority to CN201611104547.1A priority patent/CN10791955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접속부와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부재의 이동접속부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앳지부가 구비되고, 고정접속부에 이동앳지부 방향으로 고정앳지부가 구비되므로, 이동앳지부와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WITH IMPROVED SWITCH-CONTACT DETECTION}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접속부와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식별 카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등(이하 '심카드'를 예로 들기로 함)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인증,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자카드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자카드 커넥터는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 및 각종 카드가 안착되며 하우징(1)으로 삽입되는 트레이(7)를 포함한다. 하우징(1)은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11)와 쉘(12)을 포함하고, 베이스(11)와 쉘(12) 사이로 트레이(7)가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1) 내부에는 이젝터부재(5)와 스위치부재(4)가 더 구비된다.
이젝터부재(5)는 트레이(7)의 분리 및 이탈을 위한 것으로, 베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젝터(51)와 베이스(11)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캠부(52)를 포함한다. 외부의 가압핀(미도시)이 트레이(7)의 통공(7a)을 관통하여 이젝터(51)를 누르게 되면, 장형의 이젝터(51)가 전방으로 인입되면서, 캠부(52)의 일단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캠부(52)의 타단부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트레이(7)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어, 트레이(7)가 후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스위치부재(4)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접속부(41)와 베이스(11)의 전면 벽에 고정되는 고정접속부(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부재(4)는 트레이(7)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동접속부(41)가 고정접속부(42)에 말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트레이(7)가 하우징(1) 내부로 전진되면 이동접속부(41)가 트레이(7)를 따라 전진되면서 고정접속부(42)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동접속부(41)와 고정접속부(42)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는 경우, 종래 스위치부재(4)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이동접속부(41)와 고정접속부(42) 사이의 접촉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355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접속부와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에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의 가압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접속부와, 상기 전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선단부는 상기 이동접속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접속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접속부와 접촉 또는 해제되는 고정접속부를 갖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 구비되는 상기 전측부와, 상기 베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접속부가 상하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측부의 상기 이동접속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동접속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접속부가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접속부에 접촉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접속부는,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상기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탄성을 갖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부의 선단부에 상기 고정접속부와 마주보도록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앳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앳지부와 상기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접속부는, 상기 전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이동앳지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선단부에 상기 이동앳지부와 마주보도록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앳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방으로 탄성이동되고, 상기 이동앳지부는 상기 고정앳지부에 점 접촉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하방으로 탄성이동되고, 상기 이동앳지부는 상기 고정앳지부의 하부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상기 이동앳지부와 상기 고정앳지부가 점 접촉될 때, 상기 고정바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고정앳지부는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이동앳지부가 상기 고정앳지부의 하부로 이격될 때, 상기 고정앳지부는 상부로 이동된 높이만큼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앳지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앳지부가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거나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앳지부와 연결된 상기 고정바의 기울기 변화로 인하여 상기 고정앳지부가 상기 이동앳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동접속부에 접촉되는 모서리는 상기 이동접속부에 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접속부를 가압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때, 상기 가압핀이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젝트바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인출홀에 삽입된 후,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상기 전단부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절곡돌출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접속부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앳지부가 구비되고, 고정접속부에 이동앳지부 방향으로 고정앳지부가 구비되므로, 이동앳지부와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앳지부와 고정앳지부는 상호 크로스된 상태로 점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동접속부의 탄성에 의한 상부 가압력이 이동앳지부와 점 접촉된 고정앳지부로 몰리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앳지부와 고정앳지부 사이에 이물질이 구비되는 경우, 이동앳지부와 고정앳지부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가압력으로 인하여 이물질이 외부로 튕겨나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바의 탄성에 의하여 이동앳지부가 고정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때, 고정앳지부는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앳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하 이동되므로, 고정앳지부와 이동앳지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고정앳지부가 이동앳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이하게 닦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으로 삽입된 트레이가 슬라이딩부를 하부로 가압할 때, 트레이의 슬라이딩안내부가 슬라이딩부에 접촉되면, 슬라이딩안내부가 슬라이딩부를 따라 면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카드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캠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스위치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고정접속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스위치부재의 이동접속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일부 절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일부 절개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이동접속부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고정앳지부가 이동앳지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1000)는 휴대 기기(미도시),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트레이(200), 트레이(200)를 인출시키기 위한 이젝트수단(400) 및 트레이(200)의 삽입을 감지하는 스위치부재(300: 도 6 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트레이(200)가 안착되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가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공간부(132)가 구비된다. 커버(110)와 베이스(120)는 경우에 따라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32)의 전방 즉, 베이스(120)의 전방은 폐쇄되어 전측부(122: 도 3 도시)가 구비되고, 공간부(132)의 후방은 개방되어 개방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개방부(130)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공간부(132)로 삽입되며, 이어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한편, 이하에서,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 한, 전방이라 함은 개방부(130)에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전측부(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2)에 SD 카드, 심카드 등 각종 카드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공간부(132)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트레이(200)의 삽입부(210)가 하우징(100)의 공간부(132)에 삽입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삽입부(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부(220)를 포함한다. 삽입부(210)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삽입부(210)의 상면에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수용되고, 삽입부의 하면에 제 3 카드(C3: 도 5 도시)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1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150: 도 3 도시)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부(21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부(220)의 후술하는 이젝트바(410)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출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베이스(120)는 전측부(122)와 개방부(130) 사이의 양측에 제 1 측부(124)와 제 2 측부(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이젝트바(410)를 기이드하도록 제 1 측부(124)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부(12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단자부(140), 리테이너(150), 이젝트수단(400) 및 스위치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자부(140)는 트레이(200)에 수용된 카드, 예를 들면 제 1, 2, 3 카드(C1, C2, C3)를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베이스(120)의 저면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리테이너(150)는 베이스(120) 또는 커버(110)에 트레이(200)의 걸림부(212)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의 이동을 제한시킨다. 이러한 리테이너(150)는, 베이스(120) 또는 커버(110)에서 트레이(200)의 걸림부(212)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절곡부(152)와,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절곡부(152)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1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154)의 걸림부(21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결착부(156)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부(156)가 트레이(200)의 걸림부(212)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젝트수단(400)은 하우징(100)의 공간부(132)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이젝트바(410) 및 캠부(420)를 포함한다. 이젝트바(410)는 하우징(100) 내부의 가이드부(124a)에 안내된 상태로 베이스(120)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그 전방은 캠부(42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그 후방은 하우징(100)의 개방부(130)를 지나 그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젝트바(410)의 전방에는 캠부(420)와 연결되도록 오목하게 연결안내부(412)가 형성되어, 캠부(420)가 연결안내부(412)에 삽입된다.
캠부(420)는 캠수용부(215)에 수용된 상태로 전측부(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422)와, 회전부(422)의 일측에 전단부(214)와 맞닿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절곡돌출부(424)와, 회전부(422)의 타측에 이젝트바(410)의 연결안내부(412)에 삽입되는 연결부(426)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핀(P) 등이 이젝트바(410)에 외부 압력을 가하면, 이젝트바(4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부(420)의 연결부(426)를 회전시키면, 회전부(422)에서 그 상부 방향으로 90°절곡된 절곡돌출부(424)가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트레이(200)의 전단부(214)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트레이(200)에는 캠부(420)가 수용되도록 캠수용부(215: 도 5 도시)가 더 구비되어,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스위치부재(300)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캠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트레이(200)에는 하우징(100)의 전측부(122)와 대향되는 단부에 전단부(2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단부(214)의 하부에는 캠부(42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캠부(420)의 회전부(422)는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캠부(42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120)의 전측부(122)에 캠부(420)가 위치될 때, 캠부(420)는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의 너비만큼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에 중첩되므로, 베이스(1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너비만큼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스위치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고정접속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위치부재(300)는 하우징(100) 내부로 트레이(2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전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접속부(310) 및 이동접속부(320)를 포함한다. 고정접속부(310) 및 이동접속부(320)는 경우에 따라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32)의 전방에는 오목하게 제 1 안내부(121)와 제 2 안내부(123)가 형성된다. 제 1 안내부(121)는 공간부(132)의 전방에 위치되는 베이스(120)의 저면에 이동접속부(320)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전측부(12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 2 안내부(123)는 제 1 안내부(12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전측부(122)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안내부(121)와 제 2 안내부(123)는 베이스(120)의 저면과 전측부(122)에 오목하게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접속부(310)는 전측부(122)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측부(122)의 일측에 회전축(122a)이 형성될 때, 전측부(122)의 타측에 오목하게 결합안내부(122b)가 형성되고, 결합안내부(122b)에 상기 고정접속부(310)가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접속부(310)는 결합안내부(122b)에 고정되는 고정부(312)와, 고정부(312)에서 제 2 안내부(123)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314)와, 고정바(314)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이동앳지부(328: 도 8 도시)와 마주보도록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앳지부(316)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스위치부재의 이동접속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접속부(320)는 단자부(140)의 전측부(122)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 2 안내부(123)와 고정접속부(310) 사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단자부(140)의 일측에 커버(11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2)와, 돌출부(322)의 상단부에 제 1, 2 안내부(121, 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323)를 포함한다. 연장부(323)는 돌출부(322)의 선단부에서 제 1 안내부(121) 방향으로 연장되되 커버(110)와 가까워지도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324)와, 상기 슬라이딩부(324)의 선단부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밴딩부(326)와, 상기 밴딩부(326)의 선단부에 고정접속부(310)의 고정앳지부(316)와 마주보도록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앳지부(328)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자부(140)의 일측과 돌출부(322)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부(3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스위치부재가 트레이의 위치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일부 절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즉,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전측부(122)에 밀착되지 않은 경우, 이동앳지부(328)는 고정앳지부(316)와 접촉되어, 이동접속부(320)는 고정접속부(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는 상호 크로스된 상태로 점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동접속부(320)의 탄성에 의한 상부 가압력이 이동앳지부(328)와 점 접촉된 고정앳지부(316)로 몰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 사이에 이물질이 구비되는 경우,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가압력으로 인하여 이물질이 외부로 튕겨나가게 되어,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 간의 접촉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트레이(200)의 전단부(214)의 슬라이딩부(324)에 접촉되는 모서리는 슬라이딩부(324)와 면접촉되도록 슬라이딩안내부(21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슬라이딩부(324)에 접촉되면, 트레이(200)의 슬라이딩안내부(214a)가 슬라이딩부(324)를 따라 면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일부 절개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전측부(122) 방향으로 트레이(200)가 삽입되면, 트레이(200)가 슬라이딩부(324)를 따라 전측부(12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딩부(324)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고, 이동앳지부(328)는 슬라이딩부(324)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 간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처럼 이동접속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별도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의 이동접속부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고정앳지부가 이동앳지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이동앳지부(328)는 고정앳지부(316)와 점 접촉되어, 이동접속부(320)는 고정접속부(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접속부(310)의 고정바(314)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가 점 접촉될 때, 이동앳지부(328)가 고정앳지부(316)를 상부로 가압하게 되면, 고정바(314)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앳지부(316)는 이동앳지부(328)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된다.
이어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된 경우, 트레이(200)는 이동접속부(320)의 슬라이딩부(324)를 가압하도록 위치되어 슬라이딩부(324)와 연결된 이동앳지부(328)가 고정앳지부(316)의 하부로 이격된다. 이때, 고정앳지부(316)는 상부로 이동된 높이(h1)만큼 이동앳지부(328)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로 이동된 후, 이동앳지부(328)와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즉, 이동앳지부(328)가 하부로 이동되자마자 이동앳지부(328)와 고정앳지부(316)가 상호 이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앳지부(316)가 하부로 이동되는 구간에서는 고정앳지부(316)가 이동앳지부(328)에 상호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앳지부(328)가 상하 이동될 때, 고정앳지부(316)와 이동앳지부(328)는 상기 높이(h1)만큼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앳지부(316)와 연결된 고정바(314) 또한 고정앳지부(316)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그러면 고정바(314)의 높이 변화로 인한 기울기가 변화되어, 고정바(314)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앳지부(316)는 이동앳지부(328)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앳지부(3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처럼 고정앳지부(316)와 이동앳지부(328)가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때, 고정앳지부(316)는 이동앳지부(3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고정앳지부(316)와 이동앳지부(328) 사이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고정앳지부(316)가 이동앳지부(3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이하게 닦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커넥터 장치
100: 하우징 110: 커버
120: 베이스 121: 제 1 안내부
122: 전측부 122a: 회전축
122b: 결합안내부 123: 제 2 안내부
124: 제 1 측부 124a: 가이드부
125: 제 2 측부 130: 개방부
132: 공간부 140: 단자부
150: 리테이너 152: 절곡부
154: 지지부 156: 결착부
200: 트레이 210: 삽입부
212: 걸림부 214: 전단부
214a: 슬라이딩안내부 215: 캠수용부
220: 노출부 222: 인출홀
300: 스위치부재 310: 고정접속부
312: 고정부 314: 고정바
316: 고정앳지부 320: 이동접속부
321: 연결돌부 322: 돌출부
323: 연장부 324: 슬라이딩부
326: 밴딩부 328: 이동앳지부
400: 이젝트수단 410: 이젝트바
412: 연결안내부 420: 캠부
422: 회전부 424: 절곡돌출부
426: 연결부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에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의 가압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접속부와, 상기 전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선단부는 상기 이동접속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접속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접속부와 접촉 또는 해제되는 고정접속부를 갖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 구비되는 상기 전측부와, 상기 베이스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접속부가 상하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측부의 상기 이동접속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동접속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접속부가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접속부에 접촉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접속부는,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상기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탄성을 갖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밴딩부와, 상기 밴딩부의 선단부에 상기 고정접속부와 마주보도록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앳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트레이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앳지부와 상기 고정접속부 간의 접촉을 해제하고,
    상기 고정접속부는,
    상기 전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이동앳지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선단부에 상기 이동앳지부와 마주보도록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앳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방으로 탄성이동되고, 상기 이동앳지부는 상기 고정앳지부에 점 접촉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하방으로 탄성이동되고, 상기 이동앳지부는 상기 고정앳지부의 하부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바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상기 이동앳지부와 상기 고정앳지부가 점 접촉될 때, 상기 고정바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고정앳지부는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이동앳지부가 상기 고정앳지부의 하부로 이격될 때, 상기 고정앳지부는 상부로 이동된 높이만큼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앳지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앳지부가 상기 이동앳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거나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앳지부와 연결된 상기 고정바의 기울기 변화로 인하여 상기 고정앳지부가 상기 이동앳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이동앳지부와 상기 고정앳지부는 상호 크로스된 상태로 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동접속부에 접촉되는 모서리는 상기 이동접속부에 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접속부를 가압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때, 상기 가압핀이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젝트바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인출홀에 삽입된 후,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상기 전단부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절곡돌출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KR1020160130073A 2016-10-07 2016-10-07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KR10180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73A KR101806107B1 (ko) 2016-10-07 2016-10-07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CN201611104547.1A CN107919554A (zh) 2016-10-07 2016-12-05 提高开关接触可靠性的连接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73A KR101806107B1 (ko) 2016-10-07 2016-10-07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107B1 true KR101806107B1 (ko) 2017-12-07

Family

ID=6092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73A KR101806107B1 (ko) 2016-10-07 2016-10-07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6107B1 (ko)
CN (1) CN107919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910B1 (ko) * 2018-10-16 2020-05-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697B1 (ko) 2014-08-12 2016-06-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4318U1 (de) * 2002-03-19 2002-08-08 Eao Esa Elektro Zweigniederlas Schalter für ein Gurtschloß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JP5798214B2 (ja) * 2013-06-17 2015-10-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ソケットのための接触端子
KR101630766B1 (ko) * 2014-10-17 2016-06-15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CN205509151U (zh) * 2016-01-15 2016-08-24 安费诺东亚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新型nano SIM卡和Micro SD卡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697B1 (ko) 2014-08-12 2016-06-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910B1 (ko) * 2018-10-16 2020-05-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19554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CN100573562C (zh) 存储卡连接器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US20040014342A1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JP2004311416A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KR20080066761A (ko) 카드 커넥터
KR102042082B1 (ko) 적층형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833722B1 (ko) 적층형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US7357655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KR1020463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WO2010124747A1 (en) A connector device
CN100511270C (zh) 带有卡弹出机构的存储卡连接器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KR101836312B1 (ko)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KR101806107B1 (ko)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KR101823332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커넥터 장치
KR101806248B1 (ko)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774437B1 (ko) 통합단자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673861B1 (ko) 콘텍트의 절연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20060194466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84477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