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312B1 -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312B1
KR101836312B1 KR1020160087414A KR20160087414A KR101836312B1 KR 101836312 B1 KR101836312 B1 KR 101836312B1 KR 1020160087414 A KR1020160087414 A KR 1020160087414A KR 20160087414 A KR20160087414 A KR 20160087414A KR 101836312 B1 KR101836312 B1 KR 10183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d
tray
card receiv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707A (ko
Inventor
윤주영
박상현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6008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312B1/ko
Priority to CN201611101387.5A priority patent/CN107611706B/zh
Publication of KR2018000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트레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에 복수 개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카드수용부와 제 2 카드수용부는 트레이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되 상호 중첩되도록 위치되므로, 트레이의 전체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plurality of cards}
본 발명은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복수 개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식별 카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등(이하 '심카드'를 예로 들기로 함)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인증,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로 다른 가입 정보를 담고 있는 심카드를 여러 개 구비하게 되면, 하나의 단말기로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가입 정보가 담긴 심카드를 여러 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심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하게 되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를 업무용 또는 개인용 등으로 변경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크기의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종래 듀얼 카드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듀얼 카드 트레이(1)는 단말기(미도시)의 소켓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면에 각각 다른 크기의 카드가 안착되는 제1안착면(2) 및 제2안착면(3)이 상호 포개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안착면(2)과 제2안착면(3)은 그 선단 가장자리만 서로 겹치고 제2안착면(3)의 나머지 가장자리는 상기 제1안착면(2)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면(3)은 상기 제1안착면(2)보다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트레이(1)의 제1안착면(2) 또는 제2안착면(3)에 카드를 안착시킬 수 있다. 제1안착면(2)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카드가 안착되고, 제2안착면(3)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카드가 안착된다. 그리고 이들 제1,2안착면(2, 3)에 동시에 제1,2카드가 각각 안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제1카드는 제1안착면(2)에 안착되면서 제2안착면(3)을 덮도록 구성되므로, 제1안착면(2)에 제1카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2카드를 제2안착면(3)에 안착시키거나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제1카드를 제1안착면(2)에서 탈거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899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트레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트레이에 복수 개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에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저면에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제 2 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은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제 2 접점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제 1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1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제 2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2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면부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1 탄성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가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1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 면부에는 상기 제 2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2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2 탄성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2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상기 단자안내부를 제외한 부분과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제 2 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타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압부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이동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안내부의 중앙에 상기 제 1 가압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이동안내부와, 상기 제 2 이동안내부의 중앙에 상기 제 2 가압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제 1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일측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3 카드수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의 저부에는 제 3 카드보다 작은 크기의 카드안내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3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3 카드의 제 3 접점은 상기 카드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서 상기 제 3 카드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제 3 카드의 제 3 접점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의 제 3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3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3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면부에는 상기 제 3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 3 탄성안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 3 카드가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3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3 가압부는 상기 제 3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3 카드수용부가 차례로 위치되고, 상기 제 2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상기 단자안내부 및 상기 카드안내공이 차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단자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 1 단자노출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위치되되,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접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노출측부와 제 2 노출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서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노출측부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에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단자지지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와, 상기 제 4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5 라운드부와, 상기 제 5 라운드부에 상기 제 2 노출측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이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라운드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 3 라운드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 1 라운드부 내지 상기 제 5 라운드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노출측부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라운드부 사이로 제 1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노출측부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4 라운드부 사이로 제 2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때, 상기 가압핀이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젝트바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인출홀에 삽입된 후,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상기 전단부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절곡돌출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드수용부가 트레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에 복수 개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카드수용부와 제 2 카드수용부는 트레이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되 상호 중첩되도록 위치되므로, 트레이의 전체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의 카드수용부에는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므로,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카드는 가압부에 의하여 임의로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카드수용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 내부에 수용공간부 및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트레이에는 지지플레이트에 가이드 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는 제 1, 2 탄성안내부가 형성되므로, 제 1, 2 카드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 2 카드의 압력에 의하여 제 1, 2 가압부가 제 1,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 1, 2 가압부가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제 1, 2 카드가 제 1, 2 카드수용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에 제 1 단자, 제 2 단자 및 제 3 단자가 구비되므로, 단자부재를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단자부재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단자는 제 1 라운드부 내지 제 5 라운드부를 구비하므로,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이 제 1 단자의 제 3 라운드부에 접촉될 때, 제 1 라운드부 내지 제 5 라운드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1 접점이 가하는 압력을 상쇄시키게 되어, 제 1 단자는 제 1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됨은 물론,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3 단자는 제 3 카드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므로, 제 3 단자의 접촉부가 제 3 카드와 용이하게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캠부의 회전부는 트레이의 캠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캠부는 트레이의 캠수용부의 너비만금 트레이의 캠수용부에 중첩되어, 베이스의 전체 길이는 그만큼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크기의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종래 듀얼 카드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1 카드수용부에 제 1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2 카드수용부에 제 2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3 카드수용부에 제 3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캠수용부에 이젝트수단의 캠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1000)는 휴대 기기(미도시),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트레이(200) 및 트레이(200)를 인출시키기 위한 이젝트수단(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트레이(200)가 안착되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가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공간부(130)가 구비된다. 커버(110)와 베이스(120)는 경우에 따라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의 전방 즉, 베이스(120)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122: 도 10 도시)가 구비되고, 공간부(130)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128)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개방부(128)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공간부(130)로 삽입되며, 이어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한편, 이하에서,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 한, 전방이라 함은 개방부(128)에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전측부(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각종 카드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트레이(200)의 삽입부(210)가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에 삽입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삽입부(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부(260)를 포함한다. 삽입부(210)에는 각종 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삽입부(21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150: 도 10 도시)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부(21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부(260)의 후술하는 이젝트바(310)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출홀(262)이 관통 형성된다.
이하, 트레이(200) 및 이젝트수단(300)의 세부 구조 및 이들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삽입부(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노출부(260)를 포함한다. 삽입부(210)는 그 일면에 위치되는 제 1 면부(220), 그 타면 즉, 제 1 면부(220)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제 2 면부(230) 및 제 1 면부(220)와 제 2 면부(230) 사이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구비되는 수용공간부(210a: 도 6 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용공간부(210a)에는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240: 도 6 도시)가 삽입된다.
제 1 면부(220)와 제 2 면부(230)에는 각각 각종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2 카드수용부(232)가 형성되며, 제 3 카드수용부(2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카드수용부(222)에는 예를 들면, SD 카드, Micro SD 카드 등의 제 1 카드(C1)가 수용되고, 제 2, 3 카드수용부(232, 223)에는 예를 들면 심카드 등의 제 2, 3 카드(C2, C3)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면부(2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부(260)에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3 카드수용부(223)가 차례로 위치되며, 제 1 카드수용부(222)의 저면에는 제 2 카드수용부(232)와 중첩되지 않도록 단자안내부(250)가 관통 형성된다. 단자안내부(250)는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이 후술하는 제 1 단자(144: 도 10 도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면부(230)에는 제 1 카드수용부(222)의 단자안내부(250)를 제외한 부분과 중첩되도록 제 2 카드수용부(232)가 위치되어, 제 2 면부(2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부(260)에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제 2 카드수용부(232)와 단자안내부(250)가 차례로 위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2, 3 카드(C1, C2, C3)가 수용되는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를 구비하되,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200)에 복수 개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이(200)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2 카드수용부(232)는 트레이(200)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되 상호 중첩되도록 위치되므로, 트레이(200)의 전체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카드수용부(222)의 트레이(200)의 후방과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테두리부(222a)에는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수용되는 제 1 카드(C1)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1 가압부(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드수용부(232)의 트레이(200)의 후방과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테두리부(232a)에는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수용되는 제 2 카드(C2)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2 가압부(2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카드수용부(223)의 트레이(200)의 후방과 가까이 위치되는 제 3 테두리부(223a)에는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수용되는 제 3 카드(C3)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3 가압부(2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에는 제 1, 2, 3 가압부(224, 234, 227)가 돌출 형성되므로,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에 수용되는 제 1, 2, 3 카드(C1, C2, C3)는 제 1, 2, 3 가압부(224, 234, 227)에 의하여 임의로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 1, 2, 3 가압부(224, 234, 227) 중 어느 한 가압부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 더하여, 제 1 면부(220)에는 제 1 테두리부(222a)에서 제 1 가압부(224)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1 탄성안내부(225)가 형성되고, 제 3 테두리부(232a)에서 제 3 가압부(234)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3 탄성안내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면부(230)에는 제 2 테두리부(232a)에서 제 2 가압부(234)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2 탄성안내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탄성안내부(225)는 제 1 테두리부(2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이동안내부(225a)와, 상기 제 1 이동안내부(225a)의 중앙에서 제 1 가압부(224)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오목부(225b)를 포함한다. 제 2 탄성안내부(236)는, 제 2 테두리부(23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이동안내부(236a)와, 상기 제 2 이동안내부(236a)의 중앙에서 상기 제 2 가압부(234)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오목부(236b)를 포함한다. 제 3 탄성안내부(228)는 제 3 테두리부(2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이동안내부(228a)와, 상기 제 3 이동안내부(228a)의 중앙에서 제 3 가압부(224)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오목부(228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2, 3 카드(C1, C2, C3)가 제 1, 2, 3 카드수용부(222, 232, 223)에 수용되면서 제 1, 2, 3 가압부(224, 234, 227)를 가압할 때, 제 1, 2, 3 가압부(224, 234, 227)는 제 1, 2, 3 탄성안내부(225, 236, 228)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제 1 면부(220)와 제 2 면부(230) 사이의 내부에는 빈 공간의 수용공간부(210a)가 구비되고, 수용공간부(210a)에는 지지플레이트(24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부(210a)의 전방은 단자안내부(250)와 일체로 연결되고, 수용공간부(210a)의 후방은 제 1 탄성안내부(225)와 제 2 탄성안내부(236)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1 탄성안내부(225)는 제 1 면부(220)와 마주보는 수용공간부(210a)의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 2 카드수용부(232)와 제 2 탄성안내부(236)는 제 2 면부(230)와 마주보는 수용공간부(210a)의 타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24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수용공간부(210a)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40)의 일면은 제 1 면부(220)와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지지플레이트(240)의 타면은 제 2 면부(230)와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1 탄성안내부(225)는 지지플레이트(240)의 일면에 맞닿게 되고, 한 쌍의 제 2 카드수용부(232)와 제 2 탄성안내부(236)는 각각 지지플레이트(240)의 타면에 맞닿게 된다.
이처럼 트레이(200) 내부에는 수용공간부(210a)가 형성되므로 제 1, 2 탄성안내부(225, 236)는 수용공간부(210a)에 수용된 지지플레이트(240)에 가이드된 상태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2 가압부(224, 234)는 제 1, 2 탄성안내부(225, 236)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2 카드수용부(222, 232)로 안내되는 제 1, 2 카드(C1, C2)는 지지플레이트(24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1 카드수용부에 제 1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제 1 카드(C1)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가압부(224)는 제 1 테두리부(222a)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제 1 카드(C1)가 삽입되면, 제 1 가압부(224)는 제 1 카드(C1)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 1 카드(C1)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제 1 가압부(224)가 함몰되는 크기만큼,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1 탄성안내부(225)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탄성지지부(226)는 제 1 탄성안내부(225)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 1 탄성안내부(225)의 제 1 오목부(225b)와, 제 1 이동안내부(225a)는 제 1 탄성지지부(226)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가압부(22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 변형된다. 즉, 제 1 카드(C1)가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삽입되면서 제 1 가압부(224)를 가압하는 순간, 제 1 가압부(224)는 제 1 카드(C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제 1 카드(C1)가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가압부(224)의 일측에 제 1 탄성안내부(225)를 구비하여, 제 1 카드(C1)가 제 1 가압부(224)를 가압하면, 제 1 가압부(224)가 제 1 탄성안내부(225)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200) 내부에 수용공간부(210a) 및 제 1 탄성안내부(225)가 형성되므로,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삽입되는 제 1 카드(C1)의 압력에 의하여 제 1 가압부(224)가 제 1 탄성안내부(225)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 1 가압부(224) 및 제 1 탄성지지부(226)가 수용공간부(210a)에 가이드된 상태로 제 1 탄성안내부(225)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제 1 카드(C1)가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2 카드수용부에 제 2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제 2 카드(C2)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가압부(234)는 제 2 테두리부(232a)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제 2 카드(C2)가 삽입되면, 제 2 가압부(234)는 상술한 제 1 가압부(224)와 마찬가지로 제 2 카드(C2)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제 2 가압부(234)가 함몰되는 크기만큼, 제 2 카드수용부(232)와 제 2 탄성안내부(236)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탄성지지부(238)는 제 2 탄성안내부(236)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안내부(236)의 제 2 오목부(236b)와, 제 2 이동안내부(236a)는 제 2 탄성지지부(238)의 이동에 의하여 제 2 가압부(23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제 2 카드(C2)가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의 제 3 카드수용부에 제 3 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제 3 카드(C3)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3 가압부(227)는 제 3 테두리부(223a)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제 3 카드(C3)가 삽입되면, 제 3 가압부(227)는 상술한 제 1 가압부(224)와 마찬가지로 제 3 카드(C3)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제 3 가압부(227)가 함몰되는 크기만큼, 제 3 카드수용부(223)와 제 3 탄성안내부(228)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탄성지지부(229)는 제 3 탄성안내부(228)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 3 탄성안내부(228)의 제 3 오목부(228b)와, 제 3 이동안내부(228a)는 제 2 탄성지지부(238)의 이동에 의하여 제 3 가압부(227)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제 3 카드(C3)가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에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베이스(120)는 전측부(122)와 개방부(128) 사이의 양측에 제 1 측부(124)와 제 2 측부(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이젝트바(310)를 가이드하도록 제 1 측부(124) 또는 제 2 측부(125)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부(124a)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단자부재(140), 리테이너(150) 및 이젝트수단(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자부재(140)는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1, 2, 3 카드(C1, C2, C3)를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20)의 하면에 위치되는 단자부(142), 단자부(142)와 연결된 상태로 단자안내부(250)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단자(144), 단자부(142)와 연결된 상태로 제 2 카드수용부(232)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단자(146) 및 단자부(142)와 연결된 상태로 제 3 카드수용부(223)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 3 단자(148)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자부재(140)는 베이스(120)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 1 단자(144)는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베이스(120)에는 제 1 단자(144)가 트레이(200)의 단자안내부(250)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1 단자노출부(126)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은 트레이(200)의 단자안내부(250) 및 베이스(120)의 제 1 단자노출부(126)를 통하여 제 1 단자(144)와 맞닿게 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제 2 단자(146)는 트레이(200)의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수용된 제 2 카드(C2)의 제 2 접점(C2a)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베이스(120)에는 제 2 단자(146)가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2 카드(C2)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2 단자노출부(127a)가 형성되고, 제 2 단자노출부(127a)를 통하여 제 2 접점(C2a)과 제 2 단자(146)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제 3 단자(148)는 트레이(200)의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수용된 제 3 카드(C3)의 제 3 접점(C3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베이스(120)에는 제 3 단자(148)가 트레이(200)의 카드안내공(223b)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 3 단자노출부(127b)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수용된 제 3 카드(C3)의 제 3 접점(C3a)은 트레이(200)의 카드안내공(223b) 및 베이스(120)의 제 3 단자노출부(127b)를 통하여 제 3 단자(148)와 맞닿게 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형성되는 단자안내부(250)가 제 2 카드수용부(232)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되므로, 제 1, 2 카드수용부(222, 232)에 수용되는 제 1, 2 카드(C1, C2)가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제 1, 2 단자(144, 146)에 용이하게 접속된다. 또한, 트레이(200)의 제 3 카드수용부(223)에는 베이스(120) 방향으로 카드안내공(223b)이 관통 형성되므로,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수용되는 제 3 카드(C3)는 카드안내공(223b)을 통하여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제 3 단자(148)에 용이하게 접속된다. 이처럼 단자부재(140)는 제 1, 2, 3 단자(144, 146, 148) 모두를 베이스(120)에 일체로 구비할 수 있어, 단자부재(140)의 전체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테이너(150)는 베이스(120) 또는 커버(110)에 트레이(200)의 걸림부(212)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의 이동을 제한시킨다. 이러한 리테이너(150)는, 베이스(120) 또는 커버(110)에서 트레이(200)의 걸림부(212)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절곡부(152)와,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절곡부(152)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1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154)의 걸림부(21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결착부(156)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부(156)가 트레이(200)의 걸림부(212)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젝트수단(300)은 하우징(100)의 공간부(130)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이젝트바(310) 및 캠부(320)를 포함한다. 이젝트바(310)는 하우징(100) 내부의 가이드부(124a)에 삽입된 상태로 베이스(120)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그 전방은 캠부(32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그 후방은 하우징(100)의 개방부(128)를 지나 그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캠부(320)는 하우징(100)의 전측부(122)에 형성되는 회전축(12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30)의 전방으로 삽입된 트레이(200)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공간부(1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이젝트바(310)와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이젝트바(310)에는 캠부(320)의 타단부와 연결되도록 오목하게 연결안내부(312)가 형성되어, 캠부(320)의 타단부가 연결안내부(312)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핀(P) 등이 이젝트바(310)에 외부 압력을 가하면, 이젝트바(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부(320)를 회전시켜서, 캠부(320)가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강제로 인출시킨다. 한편, 트레이(200)에는 캠부(320)가 수용되도록 캠수용부(215: 도 14 도시)가 더 구비되어,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도 1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수용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00)의 단자안내부(250) 및 베이스(120)의 제 1 단자노출부(126)를 통하여 제 1 단자(144)와 맞닿게 되므로, 제 1 단자(144)는 제 1 단자노출부(126) 및 단자안내부(250)를 지나 제 1 카드(C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단자노출부(260)에 제 1 단자(144)가 위치되되, 제 1 단자(144)는 단자부(142)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접점(C1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단자(144)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 1 단자노출부(260)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노출측부(126a)와 제 2 노출측부(12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단자(144)는 단자부(142)에서 제 1 노출측부(126a)를 지나 제 1 단자노출부(26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돌출부(144a)와, 상기 제 1 돌출부(144a)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노출측부(126a)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144b)와, 상기 제 1 라운드부(144b)에서 상기 단자안내부(250)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144c)와, 상기 제 2 라운드부(144c)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126b)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144d)와, 상기 제 3 라운드부(144d)에서 상기 제 1 단자지지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144e)와, 상기 제 4 라운드부(144e)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126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5 라운드부(144f)와, 상기 제 5 라운드부(144f)에 상기 제 2 노출측부(126b)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144g)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라운드부(144b) 내지 제 5 라운드부(144f)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이 제 3 라운드부(144d)에 접촉되면서 제 3 라운드부(144d)에 압력을 가하면 제 1 라운드부(144b) 내지 제 5 라운드부(144f)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이 용이하게 상쇄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44)는 제 1 카드(C1)와 전기적으로 접촉됨은 물론,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 1 단자(144)가 제 1 단자노출부(126)를 지나 트레이(200)의 단자안내부(25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때, 제 1 단자(144)의 제 2 라운드부(144c)와 마주보는 제 1 노출측부(126a)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2 라운드부(144c) 사이로 제 1 안내돌기(126c)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단자(144)의 제 4 라운드부(144e)와 마주보는 제 2 노출측부(126b)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4 라운드부(144e) 사이로 제 2 안내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C1a)이 제 1 단자(144)에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제 1 단자(144)의 제 2 라운드부(144c)와 제 4 라운드부(144e)가 제 1 안내돌기(126c) 또는 상기 제 2 안내돌기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므로, 제 1 단자(144)가 임의로 휘거나 굽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제 1 접점(C1a)의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제 1 면부(220)에 제 1 카드수용부(222)와 제 3 카드수용부(223)가 형성되고, 제 2 면부(230)에 제 2 카드수용부(23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단자부재(140)의 제 1 단자(144)는 제 1 카드수용부(222)에 수용되는 제 1 카드(C1)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단자(146)는 제 2 카드수용부(232)에 수용되는 제 2 카드(C2)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 3 단자(148)는 제 3 카드수용부(223)에 수용되는 제 3 카드(C3)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는 예를 들면 나노 심 카드로 구성되어, 제 2 단자(146) 및 제 3 단자(148)는 그 형상이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제 2 카드(C2)가 안착되는 제 2 카드수용부(232)는 제 2 면부(230)에 형성되고, 제 3 카드(C3)가 안착되는 제 3 카드수용부(223)는 제 1 면부(220)에 형성되므로,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 간에 높이 차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 2 단자(146)는 단자부(142)에 연결된 상태로 제 2 카드(C2)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면 되지만, 제 3 단자(148)는 단자부(142)에 연결된 상태로 제 3 카드(C3) 방향으로 돌출된 후 제 3 카드(C3)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3 단자(148)는 단자부(142)에 연결된 상태로 제 3 카드(C3)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48a)와, 상기 단차부(148a)에서 제 3 카드(C3)의 제 3 접점(C3a)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148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 3 단자(148)는 제 3 카드(C3)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48a)를 구비하므로, 제 3 단자(148)의 접촉부(148b)가 제 3 카드(C3)와 용이하게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캠수용부에 이젝트수단의 캠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트레이(200)에는 하우징(100)의 전측부(122)와 대향되는 단부에 전단부(2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단부(214)의 하부에는 캠부(32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215)가 형성된다. 캠부(320)는 캠수용부(215)에 수용된 상태로 전측부(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322)와, 회전부(322)의 일측에 전단부(214)와 맞닿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절곡돌출부(324)와, 회전부(322)의 타측에 이젝트바(310)의 연결안내부(312)에 삽입되는 연결부(3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젝트바(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부(320)의 연결부(326)를 회전시키면, 회전부(322)에서 그 상부 방향으로 90° 절곡된 절곡돌출부(324)가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트레이(200)의 전단부(214)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320)의 회전부(322)는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캠부(32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120)의 전측부(122)에 캠부(320)가 위치될 때, 캠부(320)는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의 너비(W)만큼 트레이(200)의 캠수용부(215)에 중첩되므로, 베이스(1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너비(W)만큼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커넥터 장치
100: 하우징 110: 커버
120: 베이스 122: 전측부
122a: 회전축 124: 제 1 측부
124a: 가이드부 125: 제 2 측부
126: 제 1 단자노출부 126a: 제 1 노출측부
126b: 제 2 노출측부 126c: 제 1 안내돌기
127a: 제 2 단자노출부 127b: 제 3 단자노출부
128: 개방부 130: 공간부
140: 단자부재 142: 단자부
144: 제 1 단자 144a: 제 1 돌출부
144b: 제 1 라운드부 144c: 제 2 라운드부
144d: 제 3 라운드부 144e: 제 4 라운드부
144f: 제 5 라운드부 144g: 제 2 돌출부
146: 제 2 단자 148: 제 3 단자
148a: 단차부 148b: 접촉부
150: 리테이너 152: 절곡부
154: 지지부 156: 결착부
200: 트레이 210: 삽입부
210a: 수용공간부 212: 걸림부
214: 전단부 215: 캠수용부
220: 제 1 면부 222: 제 1 카드수용부
222a: 제 1 테두리부 223: 제 3 카드수용부
223a: 제 3 테두리부 223b: 카드안내공
224: 제 1 가압부 225: 제 1 탄성안내부
225a: 제 1 이동안내부 225b: 제 1 오목부
226: 제 1 탄성지지부 227: 제 3 가압부
228: 제 3 탄성안내부 228a: 제 3 이동안내부
228b: 제 3 오목부 229: 제 3 탄성지지부
230: 제 2 면부 232: 제 2 카드수용부
232a: 제 2 테두리부 234: 제 2 가압부
236: 제 2 탄성안내부 236a: 제 2 이동안내부
236b: 제 2 오목부 238: 제 2 탄성지지부
240: 지지플레이트 250: 단자안내부
260: 노출부 262: 인출홀
300: 이젝트수단 310: 이젝트바
312: 연결안내부 320: 캠부
322: 회전부 324: 절곡돌출부
326: 연결부

Claims (15)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에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저면에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제 2 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은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제 2 접점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제 1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1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제 2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2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부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1 탄성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가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1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 면부에는 상기 제 2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2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제 2 탄성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카드가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2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상기 단자안내부를 제외한 부분과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제 2 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의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타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압부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이동안내부와, 상기 제 1 이동안내부의 중앙에 상기 제 1 가압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이동안내부와, 상기 제 2 이동안내부의 중앙에 상기 제 2 가압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6.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에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저면에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제 2 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은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제 2 접점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제 1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일측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3 카드수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의 저부에는 제 3 카드보다 작은 크기의 카드안내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3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3 카드의 제 3 접점은 상기 카드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의 제 3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3 카드의 측방을 가압하도록 제 3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부에는 상기 제 3 가압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 3 탄성안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 3 카드가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 3 가압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3 가압부는 상기 제 3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서 상기 제 3 카드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제 3 카드의 제 3 접점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상기 제 3 카드수용부가 차례로 위치되고,
    상기 제 2 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측부 방향으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상기 단자안내부 및 상기 카드안내공이 차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11. 삭제
  12.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에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저면에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제 2 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카드수용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은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 수용되는 제 2 카드의 제 2 접점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단자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 1 단자노출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위치되되,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접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노출측부와 제 2 노출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단자부에서 상기 제 1 단자노출부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노출측부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에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단자지지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와, 상기 제 4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노출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5 라운드부와, 상기 제 5 라운드부에 상기 제 2 노출측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1 카드의 제 1 접점이 상기 단자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라운드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 3 라운드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 1 라운드부 내지 상기 제 5 라운드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노출측부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라운드부 사이로 제 1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노출측부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4 라운드부 사이로 제 2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14. 제 1 항, 제 6 항 및 제 12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이젝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의 일측을 따라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
    상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기 트레이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때, 상기 가압핀이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이젝트바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인출홀에 삽입된 후, 상기 이젝트바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캠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상기 전단부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절곡돌출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상기 이젝트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KR1020160087414A 2016-07-11 2016-07-11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KR10183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14A KR101836312B1 (ko) 2016-07-11 2016-07-11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CN201611101387.5A CN107611706B (zh) 2016-07-11 2016-12-05 能够容纳多个卡的连接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14A KR101836312B1 (ko) 2016-07-11 2016-07-11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707A KR20180006707A (ko) 2018-01-19
KR101836312B1 true KR101836312B1 (ko) 2018-03-08

Family

ID=6102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14A KR101836312B1 (ko) 2016-07-11 2016-07-11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6312B1 (ko)
CN (1) CN107611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5994B2 (ja) * 2018-05-22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トレイ
KR20200111396A (ko)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매체용 트레이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5467B1 (ko) * 2019-08-08 202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15109182A (ja) * 2013-12-04 2015-06-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3464A1 (fr) * 1996-01-10 1997-07-11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muni d'un boitier amovible contenant un adaptateur permettant la lecture de cartes a puces aux formats differents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US8597058B2 (en) * 2012-03-22 2013-12-03 Proconn Technology Co., Ltd. Card holder
KR101627697B1 (ko) * 2014-08-12 2016-06-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CN205141320U (zh) * 2015-11-13 2016-04-06 莫列斯有限公司 电子卡托盘及电子卡连接装置
CN105634528B (zh) * 2016-01-21 2018-06-26 昆山捷皇电子精密科技有限公司 带检测启动开关的手机卡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15109182A (ja) * 2013-12-04 2015-06-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11706B (zh) 2019-09-27
CN107611706A (zh) 2018-01-19
KR20180006707A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CN110086490B (zh) 电子设备的卡托结构及电子设备
EP1321886A1 (en) Card connector
KR1020463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KR101836312B1 (ko)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KR101823332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커넥터 장치
US6739911B2 (en) Card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first accommodating position and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833722B1 (ko) 적층형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KR101774437B1 (ko) 통합단자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666851B1 (ko) 트레이의 혼용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987097B1 (ko)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7252527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806248B1 (ko)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806107B1 (ko)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TW200533018A (en) Low profile memory card connector
KR101824018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673861B1 (ko) 콘텍트의 절연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796043B1 (ko)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083910B1 (ko) 복수의 카드 수용이 가능한 트레이 및 그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
KR101950201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