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252B1 -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252B1
KR101586252B1 KR1020140102515A KR20140102515A KR101586252B1 KR 101586252 B1 KR101586252 B1 KR 101586252B1 KR 1020140102515 A KR1020140102515 A KR 1020140102515A KR 20140102515 A KR20140102515 A KR 20140102515A KR 101586252 B1 KR101586252 B1 KR 10158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using
card
accommoda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김주철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10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트레이에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은 트레이에 복수 개의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트레이에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드를 선택적으로 트레이의 멀티 수용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카드를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 개의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탄성부는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트레이의 걸림부가 탄성부에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탄성부의 어느 한 단부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진 탄성부는 견고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System with Multi Receiving Part}
본 발명은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트레이에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규격과 형상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서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소켓은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0)를 포함하며, 베이스(10)와 덮개(20) 사이의 공간에 트레이(40)가 슬라이딩 안착된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접점(30)이 구비되고, 베이스(10) 또는 덮개(20)의 양 측면에 리테이너(22)가 구비된다. 리테이너(22)는 탄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통상 길게 형성된 바의 형태로서, 측방 내측으로의 탄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트레이(40)는 상하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어, 테두리 내측에 심 카드 등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심 카드의 하방에 구비된 접촉단자와 상기 접점(30)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소켓에 삽입된 트레이(40)가 임의로 다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트레이(40)의 측면에 걸림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2)는 리테이너(22)에 걸림 위치된다.
한편, 베이스(10)의 일측에는 이젝터(50)가 더 구비되고, 트레이(40)에는 이젝터(50)와 대향되도록 통공(40a)이 형성된다. 이젝터(50)는 트레이(40)의 분리 및 이탈을 위한 것으로, 외부의 가압핀(미도시)이 트레이(40)의 통공(40a)을 관통하여 이젝터(50)를 누르게 되면, 장형의 이젝터(50)가 전방으로 인입되면서, 베이스(10)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구성된 캠부(51)의 일단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캠부(51)의 타단부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트레이(40)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어, 트레이(40)는 리테이너(22)와 결합이 해제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한편, 서로 다른 가입 정보를 담고 있는 심카드를 여러 개 구비하게 되면, 하나의 단말기로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가입 정보가 담긴 심카드를 여러 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심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하게 되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를 업무용 또는 개인용 등으로 변경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트레이에는 한 개의 심카드만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심카드 이외의 다른 심카드는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데, 작은 심카드를 별도로 휴대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분실 우려 또한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SD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트레이와 소켓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전체 부품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는, 경박단소화를 지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8,734,188 B2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트레이에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 후측에 구비되는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다수 개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의 저면에는 제 1 개방부와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카드 및 상기 제 2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수용부의 저부에 제 3 개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3 수용부 및 상기 제 3 개방부는 상기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상기 제 3 개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3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3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점은 상기 제 3 접점과 포개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 2 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2 카드 및 상기 제 3 카드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 수용부 또는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중 어느 한 오목부의 하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다른 한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부의 상측에 상기 제 3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3 카드가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돌출면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는: 전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삽입되고, 후측은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젝트바;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트레이의 전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이젝트바의 전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트레이의 전측이 상기 캠부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가 정회전되면서 상기 캠부의 일단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되고, 상기 캠부의 타단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되며, 상기 이젝트바는 상기 캠부의 타단부를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되고,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이젝트바가 전진되면, 상기 캠부가 역회전되면서 상기 캠부의 타단부는 상기 이젝트바를 따라 전진되고, 상기 캠부의 일단부는 후진되면서 상기 트레이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양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재에 걸려 상기 트레이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상호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트레이 측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탄성부를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트레이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부를 지나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안내부가 걸림 위치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은 트레이에 복수 개의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트레이에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에 제 1 카드 내지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제 1 수용부 내지 제 3 수용부를 구비하되, 제 3 수용부의 경우, 제 2 수용부에 포개어지도록 구비하고, 제 2 카드 및 제 3 카드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어느 한 카드가 대응되는 제 2 수용부 또는 제 3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트레이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에 구비되는 제 1 수용부 내지 제 3 수용부 중 제 3 수용부에 카드가 수용될 때, 제 3 수용부에 구비되는 돌출면부에 제 3 카드가 걸림 위치되어, 제 3 카드가 안정적으로 제 3 수용부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드를 선택적으로 트레이의 멀티 수용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카드를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 개의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탄성부는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트레이의 걸림부가 탄성부에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탄성부의 어느 한 단부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진 탄성부는 견고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3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와 하우징에 구비된 접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 및 탈거되는 과정에서 인출부재의 캠부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가압부재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될 때 가압부재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은 하우징(100), 트레이(200) 및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부재(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수납공간(122)이 구비된다.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은 경우에 따라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 전측은 폐쇄되고, 수납공간(122) 후측은 개방되어 하우징개방부(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트레이(200)가 하우징개방부(124)를 거쳐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 전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각종 카드를 안착시켜서 카드가 하우징(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내측이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02)와, 트레이(200)의 삽입부(202)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삽입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개방부(124) 방향에 구비되도록 삽입부(202)의 외측에 형성되는 노출부(204)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삽입부(202)에는 각종 카드가 수용되도록 수용부(210: 도 4 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드는 복수 개의 카드,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로 구성되며,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는 각각 심카드, SD 카드, Micro SD 카드 등으로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수용부(210)는 멀티 수용부,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가 수용되도록 제 1 수용부(212) 내지 제 3 수용부(218)가 구비되며, 이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수용부(210)는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수용되도록 트레이(200)의 삽입부(202) 저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제 3 수용부(2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는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 1 수용부(212)의 저면 및 제 2 수용부(214)의 저면에는 각각 개방되도록 제 1 개방부(213)와 제 2 개방부(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제 1 접점(130: 도 7 도시) 및 제 제 2 접점(132: 도 7 도시)이 제 1 개방부(213)와 제 2 개방부(215)를 통하여 제 1 카드(C1) 및 제 제 2 카드(C2)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200)의 수용부(210)에는 제 3 수용부(218)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수용부(214)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21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오목부(216)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C3)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218)가 구비된다. 즉, 제 3 수용부(218)는 제 2 수용부(214)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고, 제 3 카드(C3)는 한 쌍의 오목부(216)에 걸림 위치되면서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된다. 이때, 한 쌍의 오목부(216) 중 어느 한 오목부(216)의 하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다른 한 오목부(216) 방향으로 돌출면부(217)가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오목부(216)의 하측에 돌출면부(217)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면부(217)의 상부에 제 3 수용부(218)가 구비되어, 제 3 카드(C3)가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될 때, 돌출면부(217)에 걸림 위치된다. 이처럼 제 3 카드(C3)가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될 때, 돌출면부(217)에 걸림 위치되므로, 제 3 카드(C3)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 3 수용부(218)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3 수용부(218)의 저부에는 제 3 개방부(219)가 구비되는데, 제 3 개방부(219) 또한, 제 2 개방부(215)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제 3 접점(134: 도 7 도시)이 제 3 개방부(219)를 통하여 제 3 카드(C3)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멀티 카드, 예를 들면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를 구비하고, 제 1 카드(C1)와 제 2 카드(C2)를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와 제 2 수용부(214)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제 1 카드(C1)와 제 3 카드(C3)를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와 제 3 수용부(218)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복수 개의 카드를 트레이(20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카드 이외의 다른 카드를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 개의 카드를 휴대용 단말기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3 수용부(218)는 제 2 수용부(214)에 포개어지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3 수용부(218)는 제 1 수용부(212)에 포개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제 1 카드와 제 3 카드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와 하우징에 구비된 접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에 제 1 카드(C1)가 수용되고, 트레이(200)의 제 2 수용부(214)에 제 2 카드(C2)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의 제 1 수용부(212)에 제 1 카드(C1)가 수용되고, 트레이(200)의 제 3 수용부(218)에 제 3 카드(C3)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때, 제 3 수용부(218)는 제 2 수용부(214)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므로, 제 2 카드(C2)가 제 2 수용부(214)에 수용되면, 제 3 카드(C3)는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 3 카드(C3)가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되면, 제 2 카드(C2)는 제 2 수용부(214)에 수용될 수 없다. 즉,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 중 어느 한 카드만 트레이(2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카드(C3)가 트레이(200)의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될 때, 돌출면부(217)에 걸림 위치되므로, 제 3 카드(C3)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 3 수용부(218)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트레이(200)에 제 1 카드(C1) 내지 제 3 카드(C3)가 수용되도록 제 1 수용부(212) 내지 제 3 수용부(218)를 구비하되, 제 3 수용부(218)의 경우, 제 2 수용부(214)에 포개어지도록 구비하고,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어느 한 카드가 대응되는 제 2 수용부(214) 또는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되도록 하여, 트레이(200)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의 제 1 개방부(213)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1 카드(C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1 접점(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의 제 2 개방부(215)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2 카드(C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2 접점(132)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의 제 3 개방부(219)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3 카드(C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3 접점(134)이 구비된다. 이때, 제 3 수용부(218)는 제 2 수용부(214)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고, 제 3 개방부(219) 또한 제 2 개방부(215)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며, 제 3 접점(134)은 제 3 개방부(219)와 마주보도록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접점(130), 제 2 접점(132) 및 제 3 접점(134)은 기판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접점(132)은 제 2 개방부(215)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에 배치되므로, 제 2 접점(132)과 제 3 접점(134)은 상호 포개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0)의 저면에는 제 1 접점(130), 제 2 접점(132) 및 제 3 접점(134)과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제 1 접점노출부(120a), 제 2 접점노출부(120b) 및 제 3 접점노출부(120c)가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20)의 저면 외측에 위치된 제 1 접점(130), 제 2 접점(132) 및 제 3 접점(134)이 제 1 접점노출부(120a), 제 2 접점노출부(120b) 및 제 3 접점노출부(120c)를 통하여 하부하우징의 저면 내측에 위치도는 제 1 카드(C1), 제 2 카드(C2) 및 제 3 카드(C3)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처럼 제 2 개방부(215)와 제 3 개방부(219)가 상호 포개어진다 하더라도, 제 2 접점(132)과 제 3 접점(134)은 상호 포개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제 2 수용부(214)에 수용되는 제 2 카드(C2)는 제 2 접점(132)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 3 수용부(218)에 수용되는 제 3 카드(C3)는 제 3 접점(134)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인출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출부재(300)는 외부 가압에 의하여 하우징(100)에 삽입된 트레이(200)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이젝트바(310)와 캠부(320)를 포함한다.
이젝트바(310)는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전측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 내부에 삽입되고, 후측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의 외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이젝트바(310)의 전측 단부는 후술하는 캠부(320)와 결합되도록 결합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트레이(200)가 삽입되면, 이젝트바(310)는 하우징(100)의 일측과 트레이(200) 사이에서 수납공간(12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캠부(320)는 이젝트바(310)의 전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안내부(322)와, 상기 회전안내부(322)의 일측에서 트레이(200)의 전측과 맞닿도록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24)와, 상기 회전안내부(322)의 타측에서 이젝트바(310)의 전측과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26)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의 전측에는 회전축(121)이 형성되고, 회전축(121)에 캠부(320)의 회전안내부(322)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 및 탈거되는 과정에서 인출부재의 캠부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삽입되면, 트레이(200)의 전측이 캠부(320)의 일단부 즉, 제 1 연장부(324)를 가압하여, 캠부(320)가 정회전된다. 그러면 캠부(320)의 제 1 연장부(324)는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되고, 캠부(320)의 타단부 즉, 제 2 연장부(326)는 수납공간(122)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된다. 이때, 이젝트바(310)는 상기 캠부(320)의 제 2 연장부(326)를 따라 수납공간(122)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삽입된 트레이(200)는 가늘고 길게 형성된 핀 등의 인출도구(T)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탈거시킬 수 있다. 즉, 인출도구(T)를 트레이(200)의 인출홀(204a)에 삽입시킨 후, 이젝트바(310)의 후측을 이젝트바(310)의 전측 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이젝트바(310)가 전진되면서, 캠부(320)의 제 2 연장부(326)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캠부(320)가 역회전되면서, 캠부(320)의 제 1 연장부(324)는 후진되며, 이때, 캠부(320)의 제 1 연장부(324)와 밀착된 트레이(200) 또한 후진되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서 외부로 탈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삽입부(202)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삽입되면, 트레이(200)의 삽입부(202)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걸림부(23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가압부재(140)에 걸림 위치되어, 트레이(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가압부재(140)는 지지부(142), 탄성부(144) 및 가압부(146)를 포함한다. 지지부(14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하우징(100)의 상부하우징(110)에서 트레이(200)의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탄성부(144)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42)에 상호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상부하우징(110)의 양 측부에 연결된다. 이처럼 탄성부(144)는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42)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탄성부(144)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탄성부(144)의 어느 한 단부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진 탄성부(144)는 견고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144)를 얇게 제조한다 하더라도, 탄성부(144)는 그 양 단부가 지지부(142)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지지부(142) 및 탄성부(144)는 하우징(100)의 상부하우징(1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지지부(142) 및 탄성부(144)는 하우징(100)의 하부하우징(120)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146)는 탄성부(144)에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부(144)의 길이방향 측부에서 트레이(200)의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146)는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트레이(200)의 걸림부(230)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46a)와, 트레이(200)의 걸림부(230)가 경사부(146a)를 지나 걸림 위치되도록 경사부(146a)의 선단부에서 탄성부(144)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안내부(146b)를 포함한다.
트레이(200)의 걸림부(230)는 트레이(200)의 양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트레이(2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220)는 생략 가능하다. 이러한 걸림부(230)는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32)와, 슬라이딩부(232)의 선단부에서 트레이(2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트레이(200)의 측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234)와, 연장부(234)의 단부에서 트레이(200)의 측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걸림안내부(146b)가 걸림 위치되는 결착부(236)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200)의 상기 걸림부(230)가 상기 가압부(146)를 상기 트레이(200) 측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탄성부(144)를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트레이(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230)가 상기 가압부(146)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부(146)에 걸림 위치된다. 이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가압부재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면, 트레이(200)의 슬라이딩부(232)가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에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 전진된 후, 트레이(200)의 연장부(234)가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의 선단부와 맞닿게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탄성부(144)는 트레이(200)의 연장부(234)의 탄성부(144)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트레이(20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탄성부(144)의 저항력은 최대치에 이르게 된다.
이어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조금 더 삽입하여, 트레이(200)의 연장부(234)가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의 선단부를 지나는 순간, 트레이(200)의 결착부(236)가 하우징(100)의 걸림안내부(146b)에 걸리게 되고, 하우징(100)의 탄성부(144)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되며, 탄성부(144)의 저항력은 급격하게 감소된다. 이때, 탄성부(144)는 그 양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42)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탄성부(144)는 지지부(142)에 지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때, 트레이(200)의 슬라이딩부(232), 연장부(234) 및 결착부(236) 순으로 하우징(100)의 가압부(146)를 지나가게 되며, 트레이(200)의 연장부(234)가 하우징(100)의 가압부(146)를 지나가게 되면, 트레이(200)의 결착부(236)가 하우징(100)의 가압부(146)의 걸림안내부(146b)에 걸림 위치되어, 트레이(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사용자 관점에서, 트레이(200)의 연장부(234)가 하우징(100)의 가압부(146)를 지나는 순간, 하우징(100)의 탄성부(144)의 저항력이 감소되므로, 사용자는 클릭감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200)가 하우징(100)에 안전하게 삽입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트레이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될 때 가압부재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22)에 삽입된 트레이(200)는 상술한 인출부재(300)에 의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부재(300)가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트레이(200)가 인출될 때 가압부재(140)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인출부재(300)를 전진시키면, 인출부재(300)는 트레이(200)를 후진시키고, 이때, 트레이(200)의 걸림부(230)는 결착부(236), 연장부(234) 및 슬라이딩부(232) 순으로 하우징(100)의 가압부(146)와 접촉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트레이(200)의 결착부(236)는 하우징(100)의 걸림안내부(146b)를 강제로 지나게 되고, 계속해서 트레이(200)가 후진되면서 트레이(200)의 연장부(234)가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의 선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탄성부(144)는 트레이(200)의 연장부(234)의 돌출 길이만큼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200)가 조금 더 후진되면, 도 15와 같이, 트레이(200)의 슬라이딩부(232)가 하우징(100)의 경사부(146a)를 지나게 되어,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상부하우징
120: 하부하우징 120a: 제 1 접점노출부
120b: 제 2 접점노출부 120c: 제 3 접점노출부
121: 회전축 122: 수납공간
124: 하우징개방부 130: 제 1 접점
132: 제 2 접점 134: 제 3 접점
140: 가압부재 142: 지지부
144: 탄성부 146: 가압부
146a: 경사부 146b: 걸림안내부
200: 트레이 202: 삽입부
204: 노출부 204a: 인출홀
210: 수용부 212: 제 1 수용부
213: 제 1 개방부 214: 제 2 수용부
215: 제 2 개방부 216: 오목부
217: 돌출면부 218: 제 3 수용부
219: 제 3 개방부 220: 이동가이드부
230: 걸림부 232: 슬라이딩부
234: 연장부 236: 결착부
300: 인출부재 310: 이젝트바
312: 결합부 320: 캠부
322: 회전안내부 324: 제 1 연장부
326: 제 2 연장부

Claims (10)

  1.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 후측에 구비되는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다수 개의 카드가 수용되도록 다수 개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의 저면에는 제 1 개방부와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카드 및 상기 제 2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주연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사이의 상호 마주보는 공간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제 3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수용부의 저부에 제 3 개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3 수용부 및 상기 제 3 개방부는 상기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의 일측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상기 제 3 개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3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제 3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점은 상기 제 3 접점과 포개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 2 개방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2 카드 및 상기 제 3 카드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 수용부 또는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되고,
    한 쌍의 상기 오목부 중 어느 한 오목부의 하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다른 한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부의 상측에 상기 제 3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3 카드가 상기 제 3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돌출면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전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삽입되고, 후측은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젝트바;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트레이의 전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이젝트바의 전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트레이의 전측이 상기 캠부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캠부가 정회전되면서 상기 캠부의 일단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전측 방향으로 전진되고, 상기 캠부의 타단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되며, 상기 이젝트바는 상기 캠부의 타단부를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후측 방향으로 후진되고,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이젝트바가 전진되면, 상기 캠부가 역회전되면서 상기 캠부의 타단부는 상기 이젝트바를 따라 전진되고, 상기 캠부의 일단부는 후진되면서 상기 트레이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양 측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재에 걸려 상기 트레이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에 상호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트레이 측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탄성부를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트레이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부를 지나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에 맞닿으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안내부가 걸림 위치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20140102515A 2014-08-08 2014-08-08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58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5A KR101586252B1 (ko) 2014-08-08 2014-08-08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5A KR101586252B1 (ko) 2014-08-08 2014-08-08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252B1 true KR101586252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15A KR101586252B1 (ko) 2014-08-08 2014-08-08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2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437B1 (ko) * 2016-02-01 2017-05-3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종의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WO2017150844A1 (ko) * 2016-03-03 2017-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796043B1 (ko) * 2016-04-28 2017-11-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WO2018062723A1 (en) * 2016-09-27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d ho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19108530A1 (en) * 2017-11-28 2019-06-06 Molex, Llc Card soc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155A (ja) * 2003-12-19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JP3176438U (ja) * 2011-04-29 2012-06-21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120068997A (ko) * 2010-10-13 2012-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듀얼 카드소켓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155A (ja) * 2003-12-19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KR20120068997A (ko) * 2010-10-13 2012-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듀얼 카드소켓 커넥터
JP3176438U (ja) * 2011-04-29 2012-06-21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カード用コネク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특허 US 8,734,188 B2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437B1 (ko) * 2016-02-01 2017-05-3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종의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WO2017150844A1 (ko) * 2016-03-03 2017-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170103220A (ko) * 2016-03-03 2017-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11024994B2 (en) 2016-03-03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device having multi-receiving part
KR102483702B1 (ko) * 2016-03-03 2023-0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796043B1 (ko) * 2016-04-28 2017-11-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측방출입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WO2018062723A1 (en) * 2016-09-27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d ho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0271447B2 (en) 2016-09-27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d ho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19108530A1 (en) * 2017-11-28 2019-06-06 Molex, Llc Card so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US7011537B1 (en) SIM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ion mechanism
CN204103072U (zh) 可快速退卡的卡片连接器
US8142229B1 (en) Card connector with cam feature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a card
US8672229B2 (en)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KR20150099346A (ko)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00085808A (ko) 트레이식 카드용 커넥터
JP5880853B2 (ja) 電子機器のトレイ式引出し部構造
EP3443619B1 (en) Multi-portion connector for use with differently-sized cards
EP1860784B1 (en) SIM card attachment/detachment guid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KR20100026909A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20463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JP2004079494A (ja) トレイ式メモリカードアダプタモジュール
US6739911B2 (en) Card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first accommodating position and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KR101833722B1 (ko) 적층형 카드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666851B1 (ko) 트레이의 혼용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1836312B1 (ko) 복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KR101823332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커넥터 장치
KR20110048081A (ko) 커넥터
US6875041B1 (en) Latch for electrical device combined with data card ejector
KR101574724B1 (ko) 회전형 취출 수단을 구비한 심 카드용 소켓
KR101774437B1 (ko) 통합단자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633918B1 (ko) 오삽입 방지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