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66B1 -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66B1
KR101630766B1 KR1020150043507A KR20150043507A KR101630766B1 KR 101630766 B1 KR101630766 B1 KR 101630766B1 KR 1020150043507 A KR1020150043507 A KR 1020150043507A KR 20150043507 A KR20150043507 A KR 20150043507A KR 101630766 B1 KR101630766 B1 KR 10163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card
terminal
dete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533A (ko
Inventor
양인철
박정용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CN201910594170.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33399B/zh
Priority to TW104134055A priority patent/TWI612729B/zh
Priority to JP2017514688A priority patent/JP6435404B2/ja
Priority to CN201580028832.7A priority patent/CN106463862B/zh
Priority to TW104216615U priority patent/TWM531071U/zh
Priority to US15/510,137 priority patent/US10411403B2/en
Priority to PCT/KR2015/010946 priority patent/WO2016060510A1/ko
Publication of KR2016004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66B1/ko
Priority to US16/522,654 priority patent/US1070761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4Resiliently-mounted rigid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또는 트레이가 카드 소켓에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의 구조변경을 통해 카드 또는 트레이의 삽입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어 카드/트레이가 삽입될 때 카드/트레이에 의해 아래로 눌리는 디텍트 단자; 및 하우징에서 디텍트 단자의 아래에 구비되어 디텍트 단자와 접촉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디텍트 단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고 카드/트레이와 접촉되어 아래로 눌리면서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는 눌림부분을 포함하며, 눌림부분 중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부분보다 카드/트레이에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가 낮게 형성되거나 카드/트레이와 접촉되는 부분의 자체 높이가 하우징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또는 트레이가 카드 소켓에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의 구조변경을 통해 카드 또는 트레이의 삽입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고, 단자간 접촉부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여 산화피막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통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는 전화번호 등 다양한 가입자의 개인정보 등이 저장된 각종 카드(메모리카드/심카드)를 카드 소켓에 꽂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카드의 삽입 형태를 보면 카드만을 삽입하는 형태와 카드를 별도의 트레이에 탑재한 상태로 삽입하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카드 소켓에는 카드 또는 트레이가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카드 삽입 확인 단자는, 카드/트레이 삽입시 카드/트레이의 선단에 접촉되는 디텍트 단자, 및 카드/트레이를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디텍트 단자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접촉되는 스위치 단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8837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와 미국 등록특허 제7,865,210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카드/트레이 삽입시 디텍트 단자가 후방으로 밀린 후 스위치 단자와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디텍트 단자는 카드/트레이 삽입시 후방으로 밀렸다가 카드/트레이 인출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이처럼, 선행문헌들의 경우 카드/트레이 삽입시 후방으로 밀리는 디텍트 단자가 자체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카드/트레이는 디텍트 단자로부터 인출방향으로 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가 외곽으로 돌출되어 카드/트레이와 세트간의 외곽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 사이에 산화 피막이 발생하거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접점 불량을 유발시켜 통전성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8837호(2013.02.15.공고) 미국 등록특허 제7,865,210호(2011.01.0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드/트레이의 삽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의 단자간 접촉부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여 산화피막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어 카드/트레이가 삽입될 때 카드/트레이에 의해 아래로 눌리는 디텍트 단자; 및 하우징에서 디텍트 단자의 아래에 구비되어 디텍트 단자와 접촉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디텍트 단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분과,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고 카드/트레이와 접촉되어 아래로 눌리면서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는 눌림부분을 포함하며, 눌림부분 중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부분보다 카드/트레이에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가 낮게 형성되거나 카드/트레이와 접촉되는 부분의 자체 높이가 하우징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또한, 디텍트 단자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분으로서 제1 하우징 고정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 뒷부분에 양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은 제1 하우징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져 눌림부분을 구성하는 제1 컨택부; 제1 컨택부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카드/트레이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컨택부를 누르도록 가이드하며 눌림부분을 구성하는 누름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트레이가 상기 누름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컨택부를 누를 때 제1 컨택부는 타단으로 가면서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눌린다.
또한, 제1 컨택부는, 제1 하우징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면; 연결면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벤딩된 하향 경사면; 및 하향 경사면으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된 상향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단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고정부; 및 제2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트레이의 미삽입시 제1 컨택부와 제2 컨택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 배면에는 제1 컨택부의 타단 상면이 위로 들리지 않게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다.
또한, 누름 가이드부의 단부가 하우징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눌리게 되면 PCB에 접촉되어 PCB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트레이와 접촉되는 누름 가이드부의 위치는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고정점 즉, 제1 컨택부 중 제1 하우징 고정부에 연결되는 부분 보다 낮게 위치되거나, 누름 가이드부의 자체 높이가 하우징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설치되며, 카드/트레이가 삽입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는 디텍트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디텍트 단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상기 디텍트 단자와 접촉이 해제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트 단자는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분의 단부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단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되,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형성된 산화피막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디텍트 단자의 눌림 변위 보다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의 경사 구간 이동에 따른 상기 스위치 단자와의 마찰 변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의 상향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향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의 모서리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사면을 마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의 상향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향 경사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의 모서리가 상기 제1 접촉부의 경사면을 마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카드/트레이 삽입시 디텍트 단자가 카드/트레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갖는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에 의해 카드/트레이가 위로 들리는 방향 즉, 두께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는 인출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게 되어 카드/트레이와 세트간의 외곽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고, 하우징을 커버하는 메탈쉘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억지끼움의 삽입방식을 가지므로 대폭 향상된 삽입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디텍트 단자를 구성하는 누름 가이드부로 인해 카드/트레이 삽입시 제1 컨택부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으며, 제1 컨택부 중 카드/트레이에 의해 눌리는 부분보다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이 단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기존의 디텍트 단자에 비해 스위치 단자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카드/트레이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돌부를 통해 디텍트 단자의 제1 컨택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 단자의 제2 컨택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 사이의 쇼트(Short) 불량률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카드/트레이 삽입시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카드/트레이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를 위치시킴으로써, 종래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카드/트레이의 전방에 위치되는 카드 소켓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카드 소켓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에 경사 구간을 적용하여 단자 모서리가 접촉면을 긁어 마찰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 사이에 산화 피막 발생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통전 불량을 유발하더라도 이를 제거하여 통전성 안정화를 통해 접점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디텍트 단자가 아래로 눌려질 때 디텍트 단자의 제1 접촉부 가 스위치 단자의 제2 접촉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디텍트 단자(500)의 눌림 변위 보다 제1 접촉부(530)와 제2 접촉부(620) 사이의 경사 구간 이동에 따른 스위치 단자(600)와의 접촉 변위가 커지므로 마찰 발생 구간의 극대화로 인한 통전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카드/트레이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하우징에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디텍트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스위치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카드/트레이 삽입 전 디텍트 단자의 제1 컨택부와 스위치 단자의 제2 컨택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카드/트레이가 삽입되면서 제1 컨택부와 제2 컨택부가 서로 접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하우징과 디텍트 단자의 비율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디텍트 단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의 하우징에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는 디텍트 단자의 사시도.
도 12는 스위치 단자의 사시도.
도 13은 카드/트레이 삽입에 따른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디텍트 단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디텍트 단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디텍트 단자의 모서리가 스위치 단자의 경사면을 마찰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 경사 각도에 따른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 간의 마찰 발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에 카드/트레이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은 하우징을 커버하는 메탈쉘이 생략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카드 소켓을 구성하는 하우징(100)은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는 전방과 메탈쉘에 의해 커버되는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공간(110)을 갖는다. 삽입공간(110)의 바닥면에는 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200)가 구비되고, 삽입공간(110) 내 뒷부분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될 때 이를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로서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가 구비된다.
도 2는 하우징에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디텍트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스위치 단자의 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 내 뒷부분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로서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가 상하로 구비된다.
카드/트레이(1)가 삽입공간(11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카드/트레이(1)가 디텍트 단자(300)를 아래로 눌러 스위치 단자(400)와 접속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삽입공간(110) 내로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의 접촉이 상하로 이루어지므로 카드/트레이(1)가 디텍트 단자(300)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게 되어 카드/트레이(1)와 세트간의 외곽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즉,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끝까지 삽입되지 않았다고 인식하게 되고,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가 서로 접촉된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공간(110) 내로 끝까지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디텍트 단자(30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카드/트레이(1)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리며, 스위치 단자(400) 또한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디텍트 단자(300)와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디텍트 단자(300)는, 제1 하우징 고정부(310), 제1 컨택부(320) 및 누름 가이드부(33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고정부(310)는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컨택부(320)는 삽입공간(110) 내 뒷부분에 양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은 제1 하우징 고정부(31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 단자(40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 컨택부(320)는, 제1 하우징 고정부(31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면(321), 연결면(321)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벤딩된 하향 경사면(322), 및 하향 경사면(322)으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된 상향 경사면(323)을 포함한다. 상향 경사면(323)의 단부가 스위치 단자(400)와 접촉된다.
누름 가이드부(330)는 제1 컨택부(320)의 타단 즉, 상향 경사면(323)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공간(110) 내로 삽입되는 카드/트레이(1)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컨택부(320)를 누르도록 가이드한다.
스위치 단자(400)는, 제2 하우징 고정부(410)와 제2 컨택부(42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고정부(410)는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에 일체로 성형된다.
제2 컨택부(420)는 제2 하우징 고정부(410)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제2 컨택부(420)의 단부가 디텍트 단자(300)와 접촉된다.
삽입공간(110)의 저면에는 제2 컨택부(420)가 위치되어 상하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120)가 형성된다. 제2 컨택부(420)가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고정부(410)의 일부도 관통부(120)에 위치된다.
한편, 삽입공간(110) 내 배면에는 카드/트레이(1)의 미삽입시 디텍트 단자(300)의 제1 컨택부(320)가 위로 들리지 않도록 하여 제1 컨택부(320)와 스위치 단자(400)의 제2 컨택부(420)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돌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디텍트 단자(300)의 제1 컨택부(320)를 걸림돌부(130)에 걸기 전 제1 컨택부(3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었다가, 제1 컨택부(320)를 눌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돌부(130)게 걸면 제1 컨택부(3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컨택부(42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디텍트 단자(300)와 스위치 단자(400) 사이의 쇼트(Short) 불량률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6은 카드/트레이 삽입 전 디텍트 단자의 제1 컨택부와 스위치 단자의 제2 컨택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카드/트레이가 삽입되면서 제1 컨택부와 제2 컨택부가 서로 접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컨택부(320)를 걸림돌부(130)에 건 상태에서 제1 컨택부(32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컨택부(420)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 때, 제2 컨택부(420)는 위로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이다.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어 제1 컨택부(320)를 누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컨택부(320)가 아래로 경사지게 눌리게 되고, 제1 컨택부(320)의 단부와 제2 컨택부(420)의 단부가 서로 접촉되면서 추가적으로 눌리게 된다. 최종적으로 눌린 모습을 보면 제1 컨택부(320)는 아래로 경사진 상태이고 제2 컨택부(420)는 수평상태이며, 두 컨택부(320)(420)의 단부는 서로 접촉된 상태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트레이(1)에 의해 제1 컨택부(320)가 눌리기 전, 제1 컨택부(32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누름 가이드부(330)의 단부는 제1 컨택부(320)에 비해 낮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1) 삽입시 카드/트레이(1)가 누름 가이드부(330)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부터 제1 컨택부(320)를 간접적으로 누르게 되고, 추가적으로 삽입되어 제1 컨택부(32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제1 컨택부(320)를 직접적으로 누르게 된다.
카드/트레이(1)에 의해 제1 컨택부(320)가 눌리는 과정에서 제1 컨택부(320)는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눌리므로 단부 접촉부분은 카드/트레이(1)와 접촉되지 않는 형태이다.
한편, 제1 컨택부(320) 중 카드/트레이(1)에 의해 직접 접촉되는 부분보다 카드/트레이(1)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스위치 단자(4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단부 쪽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카드/트레이(1)에 의해 제1 컨택부(320)가 눌릴 때, 스위치 단자(400)와 접촉되는 부분이 훨씬 많이 움직이게 된다(A+α). 따라서, 카드/트레이(1)의 두께가 두꺼워 상대적으로 디텍트 단자(300)가 눌리는 거리가 줄어들더라도 기존의 디텍트 단자에 비해 스위치 단자(4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제1 컨택부(320)와 제2 컨택부(420)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하우징과 디텍트 단자의 비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우징(100)의 삽입공간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부(120) 내에서 디텍트 단자(300)를 구성하는 누름 가이드부(330)가 위치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1)를 삽입하여 디텍트 단자(300)가 눌릴 때 눌리는 부분인 누름 가이드부(330)는 관통부(120)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누름 가이드부(33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눌리게 되면 PCB에 접촉되어 PCB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트레이(1)와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는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고정점 즉, 제1 컨택부(320)의 연결면(321)보다 낮게 위치되거나, 누름 가이드부(330)의 높이(H1)가 하우징(100)의 바닥면 두께(H2)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디텍트 단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디텍트 단자(300)를 구성하는 제1 컨택부(320)는 1단으로 벤딩된 형태를 갖는다. 즉, 제1 컨택부(320)는 제1 하우징 고정부(31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면(321), 연결면(321)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벤딩되는 하향 경사면(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텍트 단자(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의 하우징에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는 디텍트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스위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은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 내 뒷부분에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카드 삽입 확인 단자로서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가 상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드/트레이(1)가 삽입공간(11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카드/트레이(1)가 디텍트 단자(500)를 아래로 눌러 스위치 단자(600)와 접속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삽입공간(110) 내로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접촉이 상하로 이루어지므로 카드/트레이(1)가 디텍트 단자(500)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게 되어 카드/트레이(1)와 세트간의 외곽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즉,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끝까지 삽입되지 않았다고 인식하게 되고,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공간(110) 내로 끝까지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디텍트 단자(50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카드/트레이(1)가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에 삽입될 때 카드/트레이(1)에 의해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눌려진다.
디텍트 단자(500)는, 제1 하우징 고정부(510), 판스프링부(520), 제1 접촉 부(530) 및 누름 가이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고정부(510)는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판스프링부(520)는 카드/트레이(1)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분으로서,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 내 뒷부분에 양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을 가진다. 판스프링부(520)의 일단은 제1 하우징 고정부(51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에 후술할 제1 접촉부(530)가 구비되어 스위치 단자(600)와 접촉된다. 이러한 판스프링부(520)는, 제1 하우징 고정부(51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면(521), 연결면(521)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벤딩된 하향 경사면(522), 및 하향 경사면(522)으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된 상향 경사면(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30)는 판스프링부(520)의 타단 즉, 상향 경사면(523)의 단부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되어 후술할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와 접촉된다.
누름 가이드부(540)는 판스프링부(520)의 타단 즉, 상향 경사면(523)의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 고정부(510)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공간(110) 내로 삽입되는 카드/트레이(1)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판스프링부(520)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가이드한다.
스위치 단자(600)는 디텍트 단자(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디텍트 단자(500)가 카드/트레이(1)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디텍트 단자(500)와 접촉이 해제된다.
스위치 단자(600)는 제2 하우징 고정부(610)와 제2 접촉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고정부(610)는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접촉부(620)는 제2 하우징 고정부(61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되어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와 접촉된다.
삽입공간(110)의 저면에는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속부(530) 및 누름 가이드부(540)가 위치되어 상하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접촉부(530) 및 누름 가이드부(540)가 연결되는 판스프링부(520)의 일부도 관통부(120)에 위치된다.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부(120) 내에서 디텍트 단자(500)를 구성하는 누름 가이드부(540)가 위치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1)를 삽입하여 디텍트 단자(500)가 눌릴 때 눌리는 부분인 누름 가이드부(540)는 관통부(120)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누름 가이드부(54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눌리게 되면 PCB에 접촉되어 PCB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트레이(1)와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는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고정점 즉, 판스프링부(520)의 연결면(521)보다 낮게 위치되거나, 누름 가이드부(540)의 높이가 하우징(100)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카드/트레이 삽입에 따른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 단자(300)의 제1 접촉부(530)와 스위치 단자(400)의 제2 접촉부(620)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끝까지 삽입되지 않았다고 인식하게 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트레이(1)가 하우징(100)의 삽입공간(110)에 삽입되면, 디텍트 단자(500)가 카드/트레이(1)에 의해 눌려져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카드/트레이(1)에 의해 디텍트 단자(500)의 판스프링부(520)가 눌리기 전, 판스프링부(520)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누름 가이드부(540)의 단부는 판스프링부(520)에 비해 낮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카드/트레이(1) 삽입시 카드/트레이(1)가 누름 가이드부(540)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부터 판스프링부(520)를 간접적으로 누르게 되고, 추가적으로 삽입되어 판스프링부(52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판스프링부(520)를 직접적으로 누르게 된다.
카드/트레이(1)에 의해 디텍트 단자(500)의 판스프링부(520)가 하방으로 눌리는 과정에서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는 접촉이 해제된다. 이처럼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카드/트레이(1)가 삽입공간(110) 내로 끝까지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도 14는 디텍트 단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 단자(500)를 구성하는 판스프링부(520)는 평평한 외팔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판스프링부(520)는 벤딩부분이 없이 평평한 일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텍트 단자(5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5는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디텍트 단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디텍트 단자의 모서리가 스위치 단자의 경사면을 마찰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트레이(1)에 의해 디텍트 단자(500)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 사이에 마찰 발생 구간(W)을 형성하여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접촉부 사이에 산화 피막 발생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여 통전 불량을 유발하더라도 이를 제거하여 통전성 안정화를 통해 접점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접촉부에 경사 구간을 적용하여 단자 모서리가 접촉면을 긁어 마찰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마찰 발생 메커니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조립 공정에서 디텍트 단자(500)에 비틀림력을 인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디텍트 단자(500)는 조립 전 위치(①)에서는 비틀림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조립 후 위치(②)에서는 디텍트 단자(500)의 비틀림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X방향 디텍트 단자(500)의 조립 전 초기 위치와 조립 후 최종 위치의 차이(△X)로 인해 X방향 비틀림력이 발생하게 되고, Z방향 디텍트 단자(500)의 조립 전 초기 위치와 조립 후 최종 위치의 차이(△Z)로 인해 Z방향 비틀림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화살표 방향(도 15의 화살표 참조)으로 디텍트 단자(500)의 비틀림 복원력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틀림력에 의해 디텍트 단자(50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고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 모서리(530a)가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 경사면(620b)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디텍트 단자(500)와 스위치 단자(600)의 접촉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디텍트 단자(500)가 아래 방향(-Z)으로 이동할 때 제1 접촉부(530) 모서리(530a)는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 경사면(620b)을 따라 이동하므로 디텍트 단자(500)의 눌림 변위 보다 제1 접촉부(530)와 제2 접촉부(620) 사이의 경사 구간 이동에 따른 스위치 단자(600)와의 접촉 변위가 커지므로 마찰 발생 구간의 극대화로 인한 통전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7은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의 접촉부 경사 각도에 따른 디텍트 단자와 스위치 단자 간의 마찰 발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의 상향 경사 각도(θ1)를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의 하향 경사 각도(θ2)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 모서리(530a)가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 경사면(620b)을 마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의 상향 경사 각도(θ1)를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의 하향 경사 각도(θ2)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단자(600)의 제2 접촉부(620) 모서리(620a)가 디텍트 단자(500)의 제1 접촉부(530) 경사면(530b)을 마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 : 카드/트레이 100 : 하우징
110 : 삽입공간 120 : 관통부
130 : 걸림돌부 200 : 접속단자
300 : 디텍트 단자 310 : 제1 하우징 고정부
320 : 제1 컨택부 330 : 누름 가이드부
400 : 스위치 단자 410 : 제2 하우징 고정부
420 : 제2 컨택부 500 : 디텍트 단자
510 : 제1 하우징 고정부 520 : 판스프링부
530 : 제1 접촉부 540 : 누름 가이드부
600 : 스위치 단자 610 : 제2 하우징 고정부
620 : 제2 접촉부

Claims (12)

  1.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어 카드/트레이가 삽입될 때 카드/트레이에 의해 아래로 눌리는 디텍트 단자; 및 하우징에서 디텍트 단자의 아래에 구비되어 디텍트 단자와 접촉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텍트 단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고 카드/트레이와 접촉되어 아래로 눌리면서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는 눌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눌림부분 중 상기 고정부분과 연결되어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부분보다 카드/트레이에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가 낮게 형성되거나 카드/트레이와 접촉되는 부분의 자체 높이가 하우징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트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분으로서 제1 하우징 고정부;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 뒷부분에 양측방향으로 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은 제1 하우징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 단자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눌림부분을 구성하는 제1 컨택부;
    상기 제1 컨택부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카드/트레이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컨택부를 누르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눌림부분을 구성하는 누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카드/트레이가 상기 누름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컨택부를 누를 때 제1 컨택부는 타단으로 가면서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부는,
    상기 제1 하우징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면;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벤딩된 하향 경사면; 및
    상기 하향 경사면으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된 상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벤딩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카드/트레이의 미삽입시 제1 컨택부와 제2 컨택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 배면에는 상기 제1 컨택부의 타단 상면이 위로 들리지 않게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가이드부의 단부가 하우징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눌리게 되면 PCB에 접촉되어 PCB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트레이와 접촉되는 누름 가이드부의 위치는 외팔보 형태로 움직이는 고정점 즉, 상기 제1 컨택부 중 제1 하우징 고정부에 연결되는 부분 보다 낮게 위치되거나, 누름 가이드부의 자체 높이가 하우징의 바닥면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카드 삽입 확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8. 삭제
  9.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설치되며, 카드/트레이가 삽입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는 디텍트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디텍트 단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상기 디텍트 단자와 접촉이 해제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텍트 단자는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분의 단부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단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되,
    상기 카드/트레이에 의해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마찰 발생 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형성된 산화피막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트 단자가 하방으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디텍트 단자의 눌림 변위 보다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의 경사 구간 이동에 따른 상기 스위치 단자와의 마찰 변위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상향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향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의 모서리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사면을 마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상향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향 경사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의 모서리가 상기 제1 접촉부의 경사면을 마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20150043507A 2014-10-17 2015-03-27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63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94170.XA CN110233399B (zh) 2014-10-17 2015-10-16 电子装置用卡槽
TW104134055A TWI612729B (zh) 2014-10-17 2015-10-16 電子裝置用卡槽
JP2017514688A JP6435404B2 (ja) 2014-10-17 2015-10-16 電子装置のためのカードソケット
CN201580028832.7A CN106463862B (zh) 2014-10-17 2015-10-16 电子装置用卡槽
TW104216615U TWM531071U (zh) 2014-10-17 2015-10-16 電子裝置用卡槽
US15/510,137 US10411403B2 (en) 2014-10-17 2015-10-16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PCT/KR2015/010946 WO2016060510A1 (ko) 2014-10-17 2015-10-16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US16/522,654 US10707612B2 (en) 2014-10-17 2019-07-26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0997 2014-10-17
KR1020140140997 201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533A KR20160045533A (ko) 2016-04-27
KR101630766B1 true KR101630766B1 (ko) 2016-06-15

Family

ID=5591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07A KR101630766B1 (ko) 2014-10-17 2015-03-27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11403B2 (ko)
JP (1) JP6435404B2 (ko)
KR (1) KR101630766B1 (ko)
CN (2) CN106463862B (ko)
TW (2) TWI6127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6430B2 (en) 2019-03-12 2021-11-16 Molex, Llc Multi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ulti car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766B1 (ko) 2014-10-17 2016-06-15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806107B1 (ko) * 2016-10-07 2017-12-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9106A1 (en) 2004-10-07 2006-04-13 Ddk Ltd. Card connector
US20120058657A1 (en) 2010-09-08 2012-03-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detecting contacts actuated by slider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2150A1 (de) * 1991-11-12 1993-05-13 Amphenol Tuchel Elect Chipkartenlesegeraet mit einem endlagenschalter
TW374506U (en) * 1998-06-06 1999-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base board connector with the switching device
WO2001003052A1 (en) 1999-07-02 2001-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mart card reader
US6425775B1 (en) * 2001-03-16 2002-07-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art card connector
TW496595U (en) * 2001-03-20 2002-07-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US6899557B2 (en) * 2001-04-23 2005-05-31 Molex Incorporated Detection switch mounted in a card socket
JP3800591B2 (ja) * 2001-09-07 2006-07-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FR2840459B1 (fr) * 2002-05-28 2004-07-16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puce comportant un commutateur perfectionne
TW539265U (en) * 2002-06-20 2003-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TW534485U (en) * 2002-06-20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CN2554818Y (zh) 2002-06-25 2003-06-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KR100619579B1 (ko) * 2003-05-26 2006-09-06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4023389B2 (ja) * 2003-05-26 2007-12-19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3101218U (ja) 2003-10-24 2004-06-10 詮欣股▲分▼有限公司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探知装置
CN2689517Y (zh) * 2004-03-03 2005-03-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20060076409A1 (en) * 2004-10-13 2006-04-13 Sheng-Ching Ko Card reading apparatus
CN2779651Y (zh) * 2004-12-01 2006-05-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7258278B2 (en) * 2005-06-01 2007-08-2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reader
JP4711891B2 (ja) * 2006-06-05 2011-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TWM303516U (en) * 2006-06-23 2006-12-21 Advanced Connectek Inc Card connector
CN200953411Y (zh) * 2006-08-25 2007-09-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具有防呆结构的sim卡连接器
US7396245B2 (en) * 2006-10-13 2008-07-0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US7865210B2 (en) 2007-01-05 2011-01-04 Apple Inc.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JP5098580B2 (ja) 2007-08-31 2012-1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及び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964800B2 (ja) * 2008-02-14 2012-07-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204324Y (zh) * 2008-03-28 2009-03-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252178Y (zh) * 2008-04-21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207504Y (zh) * 2008-05-13 2009-03-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64551B2 (ja) * 2008-05-30 2010-10-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ソケット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201369423Y (zh) 2009-03-16 2009-12-23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卡连接装置
JP5286126B2 (ja) * 2009-03-24 2013-09-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498663U (zh) * 2009-08-25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5251819B2 (ja) * 2009-10-09 2013-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5585156B2 (ja) * 2010-03-26 2014-09-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US8251722B2 (en) * 2010-04-02 2012-08-28 Horng Yu Tsai Electrical connector and one pair of switch terminals thereof
TWM409566U (en) 2010-12-23 2011-08-1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TWM416221U (en) * 2011-02-09 2011-11-1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US8579640B2 (en) * 2011-02-09 2013-11-1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KR101201667B1 (ko) * 2011-03-28 2012-1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JP2013012451A (ja) * 2011-06-28 2013-01-17 Smk Corp カード検出スイッチ付きカードコネクタ
KR101228837B1 (ko) 2011-08-03 2013-02-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심 카드 소켓
KR101327302B1 (ko) * 2012-04-30 2013-11-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듀얼 메모리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CN103928779B (zh) * 2013-01-11 2016-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US9378436B2 (en) * 2013-01-18 2016-06-28 Molex, Llc Low profile connector
CN104300321B (zh) * 2013-07-18 2016-10-05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电子卡连接装置及电子装置
TWM475715U (en) 2013-08-23 2014-04-0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5449470B (zh) * 2014-07-29 2018-02-16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6060510A1 (ko) 2014-10-17 2016-04-21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630766B1 (ko) * 2014-10-17 2016-06-15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US9543999B2 (en) * 2014-11-26 2017-01-10 Molex, Llc C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9106A1 (en) 2004-10-07 2006-04-13 Ddk Ltd. Card connector
US20120058657A1 (en) 2010-09-08 2012-03-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detecting contacts actuated by sli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6430B2 (en) 2019-03-12 2021-11-16 Molex, Llc Multi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ulti car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48799A1 (en) 2019-11-14
US10411403B2 (en) 2019-09-10
CN106463862B (zh) 2019-07-23
CN106463862A (zh) 2017-02-22
TWI612729B (zh) 2018-01-21
CN110233399A (zh) 2019-09-13
JP6435404B2 (ja) 2018-12-05
KR20160045533A (ko) 2016-04-27
JP2017528883A (ja) 2017-09-28
TW201633613A (zh) 2016-09-16
US20170310043A1 (en) 2017-10-26
US10707612B2 (en) 2020-07-07
CN110233399B (zh) 2021-06-29
TWM531071U (zh)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871B2 (en) Connector assembly
US8308495B2 (en) Push-push card connector
US7794249B2 (en) Push-push card connector
US6382995B1 (en) Smart card connector with retain and eject means
KR20170063163A (ko)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US6736684B2 (en)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US8632350B2 (en) Card connector
KR101738396B1 (ko) 커넥터 단자
KR101630766B1 (ko)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US885191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
JP3148538U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50070170A1 (en) Connector contact having wiping function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KR20110016367A (ko)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US712186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5902992A (en) Card contacting construction
US2012023164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809682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9142897B2 (en) Connector
KR101460073B1 (ko)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KR101847457B1 (ko) 카드 커넥터
US786699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414398B2 (ja) カード用電気ソケ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