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73B1 -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 Google Patents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73B1
KR101460073B1 KR1020130028462A KR20130028462A KR101460073B1 KR 101460073 B1 KR101460073 B1 KR 101460073B1 KR 1020130028462 A KR1020130028462 A KR 1020130028462A KR 20130028462 A KR20130028462 A KR 20130028462A KR 101460073 B1 KR101460073 B1 KR 10146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ixing
side wall
tray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110A (ko
Inventor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02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7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8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for contacting a b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휴대전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를 트레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트레이를 단말기의 소켓 구조 내로 삽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카드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볼을 활용한 가압 방식을 통해 트레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레이를 지지하고 고정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의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트레이 결합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가 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이 명확하게 감지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즉시로 파악함으로써, 무리한 추가 가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TRAY TYPE CARD SOCKE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휴대전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를 트레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트레이를 단말기의 소켓 구조 내로 삽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카드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볼을 활용한 가압 방식을 통해 트레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탈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규격과 형상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안착시키고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서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트레이를 사용하고, 이 트레이의 외측은 소켓에 결합되도록 하고, 내측은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 형상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에서 다양하게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켓과 트레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합성수지 등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본체의 베이스(10)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금속 쉘(20)은 상호 결합되어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접점(30)들이 노출되어 있다.
베이스(10)와 금속 쉘(20)의 사이 공간을 향해 측방으로부터 트레이(30)가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되며, 트레이(30)는 상하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어, 테두리 내측에 심 카드 등이 안착되며 심 카드의 하방에 구비된 접촉 금속편과 상기 접점(30)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삽입된 트레이(30)가 임의로 다시 배출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금속 쉘(20)에 리테이너(22)를 형성한다. 리테이너(22)는 탄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통상 길게 형성된 보의 형태로서, 측방 내측으로의 탄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이(30)의 측방에는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있는데, 트레이(30)가 삽입되어 안착홈(32)이 리테이너(22)와 맞물리도록 안착되면, 리테이너(22)의 탄성에 의해 안착홈(32)으로의 가압 고정력이 형성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외측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리테이너(22)에 의해 트레이(30)는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22)는 금속 쉘(20)의 일부가 장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베이스(10) 측에 별도로 배치되기도 하는데, 종래의 리테이너(22)들은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길게 형성되는 형태적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22)는 후측이 금속 쉘(20)에 고정되어 있고, 전측은 절곡된 형태로 독립되어 있다. 즉, 종래의 리테이너(22)는 보 형태의 탄성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길고 얇은 형태의 리테이너(22)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점과의 접합 부분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서의 고정 가압력이 상실됨으로써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트레이(30)를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금속 쉘(20)에 사용되는 금속판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이를 절곡하여 확보할 수 있는 탄성 가압력의 범위도 제한적이고, 외부 충격에 약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고정을 위해 종래의 리테이너와 같이 변형이나 파손이 쉬운 형상이 아니면서도,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특허공개 US 2012/0276765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과 스프링을 활용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트레이에 대해 강한 고정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특성에 의해 볼이 트레이의 안착홈에 강하게 삽입되는 충격감, 클릭감 내지는 소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레이의 결합이 완료되었는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카드를 수용하는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중앙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상기 통공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볼을 상기 측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은 상기 트레이의 테두리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이 상기 볼의 정면에 위치될 때, 상기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내측으로 상기 볼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을 제공한다.
상기 측벽부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고정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은 양단에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마주보는 측벽부와의 사이 공간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의 상기 고정홈부의 사이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의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경사부 사이 그리고 상기 경사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는 소정 각도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편의 상기 통공의 너비는 상기 볼의 최대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의 중심은 상기 통공의 표면, 평면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의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홈의 곡률반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의 곡률반경이 상기 안착홈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를 지지하고 고정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의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트레이 결합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가 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이 명확하게 감지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즉시로 파악함으로써, 무리한 추가 가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소켓과 트레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에 트레이가 안착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트레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트레이가 결합되는 과정을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이 트레이를 가압하는 과정 및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과 안착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나 기판 등에 설치되거나 그 일부로 형성되는 베이스(100)는 가운데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양 측방으로 측벽부(110)가 전후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는 절연체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00)의 양 측벽부(110) 전방은 막혀 있으며, 후방은 트레이 및 카드(미도시)가 인입되는 부분이다.
양 측벽부(110)에는 고정편(200)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상 금속재질의 판형 구성을 길게 절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편(200)의 중앙에는 스프링(210)과 이에 지지되는 볼(220)이 구비되는데, 스프링(210) 및 볼(220)은 고정편(200)의 외측, 측벽부(110)의 내측 공간 사이에 구비되고, 스프링(21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볼(220)을 밀어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편(200) 구성은 양 측방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트레이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300)는 내측에 심 카드(C)를 수용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켓의 개방된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내측으로 인입된다. 트레이(300)는 상하방이 개방되어 카드(C)가 삽입되며, 외측에는 테두리부(310)가 형성되는데, 테두리부(310)의 외 측방에는 내입된 홈 형상의 안착홈(320)이 형성된다.
트레이(300)가 최종 안착 위치에 도달하면, 안착홈(320)은 볼(220)의 위치에 이르게 되어 상호 맞물리게 되는데, 이 때 볼(220)은 스프링(210)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홈(320)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된다. 삽입된 볼(220)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있을 때까지 안착홈(320)과 맞물려 트레이(30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 때의 한계 외력은 스프링(210)의 강도 및 볼(220)과 안착홈(320)의 형상,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210)의 가압력, 가압성능 및 그 신뢰도는 전술한 보 형태의 탄성힘에 의할 때보다 더 강하고 높다고 할 것이다.
측벽부(110)에는 전방 및 후방에 고정홈부(116)가 각각 내입 형성되는데, 고정홈부(116)에는 고정편(200)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 부분을 고정부(208; 도 5)라 한다. 고정편(200) 중 양단 고정부(208)의 사이 공간은 측벽부(110)의 내측을 인입시켜 얇게 형성한 개방부(114)를 구비하여 빈 공간으로 배치하고, 이 부분에 스프링(210) 및 볼(220)을 배치시킨다. 이러한 개방부는(114)는 제조시에 고정편(200)을 상방에서 삽입하는 장비가, 고정편(200)을 잡은 상태에서 하방 이동시에, 잡은 부분이 측벽부(110)를 피하며 하방 이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스프링(210)은 내측을 향해 수평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평 배치되며, 스프링(210)의 배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안착부(112)를 형성하여 스프링(210)의 외측 단부를 스프링안착부(112)에 지지시킨다.
고정홈부(116)는 약간 측벽부(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홈부(116)에 삽입되는 고정편(200)이 측벽부(110)의 내측 표면과 같은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어 트레이(300)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서는, 고정편(200)의 가운데 부분은 양 단부에 비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어야 한다. 이에 경사부(206)가 형성되도록, 고정부(208)와 지지부(204)의 사이를 두 번 반대방향으로 꺾은 형상이 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트레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트레이가 결합되는 과정을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00)의 양 측방에는 측벽부(110)가 구비되고, 측벽부(110)는 전방 및 후방에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116)를 구비한다. 이 고정홈부(116)의 사이 공간에는 개방부(114)를 형성하여 빈 공간이 되도록 하고, 고정홈부(116)는 개방부(114)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개방부(114)의 중앙에는 스프링안착부(112)가 형성된다.
고정편(200)은 전후방 양단부에 고정부(208)가 구비되고, 고정부(208)는 고정홈부(116)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고정부(208)의 내측으로는 경사부(206)가 형성되어,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연장되며, 양측의 경사부(206) 사이에는 지지부(204)가 다시 전후방 방향으로 평행하면서 측벽부(110)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트레이(300)의 슬라이딩 경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볼(220)은 지지부(204)의 중앙에 구비되는 통공(202)에 일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그 외측방에는 스프링(210)이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스프링(210)의 내경은 볼(220)의 최대 외경보다 작도록 한다.
내입되는 트레이(300)의 테두리부(310) 양측은 처음에는 후방의 측벽부(110)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되다가, 중간 부분부터는 고정편(200)의 지지부(204)에 의해 지지된다. 조금 더 인입되면 테두리부(310)가 지지부(204)보다 더 내입 돌출된 볼(220)을 외측으로 밀어 내게 되는데, 안착홈(320) 부분에 이르러서 볼(220)이 다시 안착홈(320) 부분으로 스프링(210)의 힘으로 밀려 나오게 되면서 트레이(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이 트레이를 가압하는 과정 및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는 고정편(200)의 지지부(204) 및 통공(202) 측에 배치된 볼(220)의 초기 상태이다. 볼(220)이 통공(202)을 관통하여 빠져버리면 안되므로, 통공(202)의 테두리에 지지된 볼(220)의 중심(O1)이 지지부(204)의 위치보다 L1 만큼 내측에 위치되도록 볼(220) 및 통공(202)의 크기를 선정한다. 이 때 스프링(210)은 스프링안착부(112)에 지지되어 배치되는데, 스프링(210)의 외부 이탈을 막기 위해 그 외측에 이탈방지부(1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탈방지부(113)는 스프링(210)의 내측 중앙에 돌출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b)는 트레이(300)의 모서리부(330)가 볼(220)에 최초로 접촉하여, 볼(220)을 내측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모서리부(330) 측의 가압에 의해 볼(220)의 중심은 O1 보다 더 외측인 O2로 밀려나게 된다.
(c)는 트레이(300)의 테두리부(310) 측방이 볼(220)을 밀어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때 볼(220)이 최대로 외측으로 밀려난 상태가 된다. 즉 이 때의 중심 O3의 위치가 볼(220) 중심의 최대 외측 배치 지점이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300)가 계속적으로 슬라이딩되며 안착홈(320)과 볼(220)이 정면으로 마주보며 안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볼(220)은 스프링(210)의 가압에 의해 외측의 빈 공간으로 가압되며 그 중심이 O4 부분으로 위치되는데 볼(220)이 돌출되면서 안착홈(320)의 모서리 부분을 가압하여 트레이(300)를 안쪽으로 밀면서 결합 및 안착이 가속화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최종적으로 볼(220)이 안착홈(320)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강한 힘의 스프링(210)에 의해 볼(220)이 내입되는데, 볼(220)이 안착되면서 안착홈(320)에 약간의 충격 내지는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딸깍하는 느낌으로 트레이(300)가 안착됨을 쉽게 느낄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장형의 보타입 리테이너의 경우 얇은 평판을 휘어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프링에 비해 가압력이 약하고, 그 형상적인 한계로 인해 탄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형상이 변형될 여지가 크다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스프링(210)은 형상이 변형될 여지가 없으며 강한 가압 지지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되므로, 장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과 안착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착홈(320)과 볼(220)에 있어서, (a)와 같이 곡률반경 R1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b)와 같이 안착홈(320)의 곡률반경 R2에 비해 볼(220)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a)와 같은 경우는, 볼(220)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딱딱한 느낌으로 안착홈(320)에 충격을 가하며 결합시키게 되고, (b)와 같은 경우는, 부드럽게 접촉되며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트레이(300) 삽입시에 상대적으로 일찍부터 볼(220)이 내입되어 오랜 면적에 걸쳐 가압하게 되므로, 트레이(300)를 내측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좀더 빨리 가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베이스 110 : 측벽부
112 : 스프링안착부 113 : 이탈방지부
114 : 개방부 116 : 고정홈부
200 : 고정편 202 : 통공
204 : 지지부 206 : 경사부
208 : 고정부 210 : 스프링
220 : 볼 300 : 트레이
310 : 테두리부 320 : 안착홈
330 : 모서리부

Claims (10)

  1. 카드를 수용하는 트레이가 삽입되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중앙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상기 통공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볼을 상기 측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은 상기 트레이의 테두리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이 상기 볼의 정면에 위치될 때, 상기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내측으로 상기 볼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고정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은 양단에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마주보는 측벽부와의 사이 공간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기 고정홈부의 사이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의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경사부 사이 그리고 상기 경사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는 소정 각도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상기 통공의 너비는 상기 볼의 최대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중심은 상기 통공의 평면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홈의 곡률반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곡률반경이 상기 안착홈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KR1020130028462A 2013-03-18 2013-03-18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KR10146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462A KR101460073B1 (ko) 2013-03-18 2013-03-18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462A KR101460073B1 (ko) 2013-03-18 2013-03-18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10A KR20140114110A (ko) 2014-09-26
KR101460073B1 true KR101460073B1 (ko) 2014-11-10

Family

ID=5175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462A KR101460073B1 (ko) 2013-03-18 2013-03-18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31B1 (ko) * 2016-08-10 2016-10-04 주식회사 더원테크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유심 트레이 제조방법
CN106374295A (zh) * 2016-10-08 2017-02-01 东莞市欧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卡体异常退出的Micro SIM卡卡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941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테이 어셈블리
JPH10316223A (ja) * 1997-05-16 1998-12-02 Nec Corp ラジアルテーピング品の固定機構
JP2006059659A (ja) 2004-08-19 2006-03-02 Jst Mfg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KR20100085808A (ko) * 2009-01-20 2010-07-29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트레이식 카드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941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테이 어셈블리
JPH10316223A (ja) * 1997-05-16 1998-12-02 Nec Corp ラジアルテーピング品の固定機構
JP2006059659A (ja) 2004-08-19 2006-03-02 Jst Mfg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KR20100085808A (ko) * 2009-01-20 2010-07-29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트레이식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10A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458B1 (ko) 심 카드의 커넥터
KR100865610B1 (ko) 카드용 커넥터
TWI513121B (zh) 用於微型用戶識別模組卡之插槽
US20120009808A1 (en) Card connector
CN107425312B (zh) 卡连接器和卡用连接器
US9124042B2 (en) Hold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ember via an elastic member
US20020101722A1 (en) Card connector for receiving information card with identifier therein
KR101495002B1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KR20070078771A (ko) 카드용 커넥터
KR101032077B1 (ko) 카드용 커넥터
US8382498B2 (en) Card connector with ejector
JP2004311416A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EP1406204A2 (en) Card holder for cellular phone
US20140045364A1 (en) Connector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KR101460073B1 (ko)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US10014630B1 (en) Card connector
KR101460079B1 (ko) 카드용 소켓
KR101532406B1 (ko) 상하 이동 지지방식 트레이 삽입 소켓
US930034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smart cards
KR10143040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JP4571028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7963780B2 (en) Card fixing module
CN109149180B (zh) 卡托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