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077B1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77B1
KR101032077B1 KR1020090007512A KR20090007512A KR101032077B1 KR 101032077 B1 KR101032077 B1 KR 101032077B1 KR 1020090007512 A KR1020090007512 A KR 1020090007512A KR 20090007512 A KR20090007512 A KR 20090007512A KR 101032077 B1 KR101032077 B1 KR 10103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leaf spring
lock
slider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752A (ko
Inventor
미츠루 고바야시
고이치 기류
히데오 미야자와
야스유키 미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카드를 슬라이더의 로크용 판스프링을 강제적으로 누르도록 비스듬하게 삽입하는 조작을 한 경우에, 슬라이더의 로크용 판스프링이 영구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커버(30)에는 잘라 일으켜서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삽입되는 카드(10)를 안내하여, 삽입되는 카드(10)가 로크용 판스프링(50)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제한한다. 하우징 본체(22)에는, 크게 변위하려는 로크부(52)를 받치는 받침용 돌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용 판스프링(50)에는 로크부(52)로부터 튀어나온 래그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22)에는 슬릿(130)이 형성되어 있어, 로크부(52)가 크게 변위하려고 했을 때에, 슬릿(130)의 벽면(133)이 래그부(120)를 받친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 등에 끼워져 사용되며,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오디오 기기, 휴대 전화기 등은 정보 기억 매체로서, 반도체 기억 소자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인 메모리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통상의 메모리 카드보다 작은 사이즈의 메모리 카드가 제공되고 있고, 이 소형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도 제공되고 있다.
이 소형 메모리 카드는, 특히 휴대 전화기의 기능 확대에 대응하도록 개발된 것이며, 소형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휴대 전화기에 끼워져 사용되고 있다.
이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가지고 다니고, 접는 조작을 하고, 데이터 판독 장치에 접촉시키는 등 여러 가지 장면에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소형 메모리 카드의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장착하기, 빼내기도 다양한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소형 메모리 카드는 한 변의 길이가 10 mm 정도로 짧아, 사람에 따라서는 다루기 어려울 정도로 사이즈가 작다. 이 때문에,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대해서는, 종래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경우에 비해서 여러 가지 면을 배려한 세심한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통상,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슬라이더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측면 쪽의 오목부를 탄성적으로 로크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트캠 기구를 이용한 로크 기구에 의해서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내부에 로크되고, 또, 스프링에 의해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구성이다. 소형 메모리 카드는, 로크되는 슬라이더의 판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로크된 상태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내에 장착된다. 한편, 장착 상태에서는, 소형 메모리 카드 패드의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마찰력도 소형 메모리 카드를 장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소형 메모리 카드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손끝으로 소형 메모리 카드를 일단 눌러 분리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슬라이더는 로크가 해제되어 스프링력으로써 이동하고, 소형 메모리 카드가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여, 소형 메모리 카드의 일부가 삽입구보다 돌출되는 상태로 된다. 소형 메모리 카드의 일부가 삽입구보다 돌출된 배출 상태에서는, 소형 메모리 카드는 슬라이더의 판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로크된 상태로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유지되고 있다. 그 후에, 이용자가 소형 메모리 카드 중 삽입구보다 돌출되고 있는 부분을 손끝으로 잡아 뺌으로써, 소형 메모리 카드는 슬라이더와의 탄성적인 로크가 해제되어 빼내어진다.
여기서, 소형 메모리 카드는 사이즈가 작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장착 상태 및 배출 상태에서의 슬라이더의 소형 메모리 카드에 대한 로크력(유지력)을 강하게 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351884호 공보
이 때문에, 슬라이더의 판스프링이 영구 변형되어 휘어 버린 경우에는, 장착 상태 및 배출 상태에서의 슬라이더의 소형 메모리 카드에 대한 로크력이 감소하여, 소형 메모리 카드가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보다 밖으로 튀어나와 낙하해 버리는 일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장착 상태에서 충격 등에 의해 소형 메모리 카드가 로크력에 대항하여 쓸데없이 배출되면, 휴대 전화기의 통신에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소형 메모리 카드는 작기 때문에, 낙하하면 상황에 따라서는 분실될 우려도 있다.
종래의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소형 메모리 카드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더의 판스프링이 영구 변형되어 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소형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예컨대 소형 메모리 카드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한 경우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구성되어 있지 않다. 또, 소형 메모리 카드 중에는, 삽입 방향의 선단 쪽의 폭이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카드 삽입구의 폭보다도 조금 좁은 것도 있어, 이런 유형의 소형 메모리 카드에서는 소형 메모리 카드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조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택트를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는 커버와, 카드 배출 위치와 카드 장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커버가 카드 삽입구 및 카드 수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본체와 이 슬라이더 본체에 부착되어 있어 카드를 탄성적으로 로크하는 로크용 판스프링을 갖고, 상기 카드 삽입구를 지나서 상기 카드 수용부에 이르는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상기 카드를 탄성적으로 로크하고, 또한 배출 조작에 의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상기 카드와 탄성적으로 로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카드 삽입구 방향으로 상기 카드 배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인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이것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버릴 정도까지 과도하게 휘는 것을 제한하는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카드가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 된 경우라도,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는 일이 일어나지 않고, 이로써, 로크용 판스프링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로크용 판스프링에 의한 카드를 로크하는 로크력이 쓸데없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되는 마이크로 SD 카드(상표)용의 커넥터(20)를, 커버를 생략하고, 또 마이크로 SD 카드(상표, 이하 카드라 함)(10)와 대응시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의 편의상, 슬라이더(40)는 장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2는 커넥터(2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커넥터(20)를 커버 부위에서 절단하여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선 IIIB-IIIB를 따른 종단 정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A)에서, 선 IIIC-IIIC를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X1-X2는 폭 방향, Y1-Y2는 길이 방향, Z1-Z2는 두께(높이) 방향이다. Y1은 카드(1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방향이며, Y2는 카드(10)가 배출되는 방향이다. 또한, 카드(10)에 대해서 보면, Y1측은 선단이며, Y2측은 후단이다.
카드(10)는 상면(11), 하면(12), 선단(13), 후단(14)을 갖고, 내부에 IC 메모리가 있으며, 선단(13) 가까이의 하면에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나란히 늘어서 있고, X1측의 측면에 볼록부(15)와 오목부(16)를 갖는 형상이다. 도면 부호 17X1은 선단(13)과 X1측의 측면(18X1) 사이의 코너부이며, 도면 부호 17X2는 선단(13)과 X2측의 측면(18X2) 사이의 코너부이다. 선단(13)의 폭(W1) 치수는 후단(14)의 폭(W2) 치수보다 짧다.
[카드용 커넥터(20)의 개략 구조]
설명의 편의상, 가장 먼저 카드용 커넥터(20)에 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카드용 커넥터(20)는 커넥터 하우징(21)과, 슬라이더(40)와, 압축 코일 스프링(60)과, 하트캠 기구(65)를 갖고, Y2단에 카드 삽입구(70)를 갖는다. 카드 삽입구(70)의 폭(W3) 치수는 카드(10)의 후단(14)의 폭(W2)과 같은 치수이며, 카드(10) 선단(13)의 폭(W1)보다 긴 치수이다.
커넥터 하우징(21)은, 복수의 컨택트(23)가 정렬되어 고정되어 있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본체(22)와, 하우징 본체(22)의 상면 쪽을 덮는 금속판제의 커버(3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22)와 커버(30)에 의해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70)와 삽입되어 장착된 카드가 수용되는 카드 수용부(71)가 형성된다.
커버(30)는 하우징 본체(2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 본체(22)를 덮고 있다. 커버(30)에는, 슬라이더(40)를 누르는 판스프링편(30c), 후술하는 링크 부재(61)를 누르는 판스프링편(30d)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0)는 합성수지제이며 대략 L자 형상의 슬라이더 본체(42)와 이 슬라이더 본체(42)에 고정되어 있는 로크용 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다. 이 슬라이더 본체(42)는, X2 방향으로 어깨형으로 튀어나와 있는 돌출부(43)와, Y2 방향의 끝에서 X2 방향으로 아암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삽입되는 카드(10)의 선단(13)을 받치는 카드 받침부(44)와, Y2 방향의 끝 부근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트캠 홈(45)을 갖는다. 판스프링(50)은 슬라이더 본체(42)로부터 Y2 방향으로 돌출된 외팔보형 판스프링부(51)와 그 선단 쪽의 로크부(52)를 갖는다. 판스프링부(51)는 X1-X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변형 가능하며, 로크부(52)는 판스프링부(51)의 선단을 X2측으로 구부리고 되접어 꺾어, X2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 형상으로 된 것으로, 판스프링부(51)의 탄성적인 휘어짐을 동반하여 X1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로크부(52)는 카드 수용부(71)의 X1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43)는 볼록부(15)와 대향하도록, 로크부(52)는 오목부(16)를 결합 고정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40)는, 하우징 본체(22)의 내측 중 X1측에, 하우징 본체(22)의 상면(25)과 커버(30)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안내 홈(26)을 따라서 Y1, Y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슬라이더(40)의 Y2측의 단부면(40a)은 위치(P1)와 위치(P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위치(P1)는 카드 미장착 상태에서의 위치, 위치(P2)는 카드(10)가 장착되었을 때의 카드 장착 위치이다. 한편, 위치(P1)는, Y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40)의 최종 위치이며, 단부면(40a)이 하우징 본체(22)의 기립면(28)에 맞닿은 위치이고, 카드 배출 위치이다. 돌출부(43)는 위치(S1)와 위치(S3) 사이에서 이동한다.
슬라이더(40)는 압축 코일 스프링(60)과 링크 부재(61)와 함께 끼워져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60)은 홈(27)에 끼워져 있다. 슬라이더(40)는 압축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Y2 방향으로 위치(P2)에 이동한다. 링크 부재(61)의 Y2단은 하우 징 본체(22)에 결합 고정되어 있고, 링크 부재(61)의 Y1단은 하트캠 홈(45)에 끼워 맞춰져 있다. 하트캠 홈(45)과 링크 부재(61)에 의해서 하트캠 기구(65)가 구성되어 있다.
[카드(10)를 정상적으로 삽입한 경우의 카드 장착 동작]
여기서, 정상적인 삽입이란 정규 방향으로부터의 삽입을 의미한다. 정규 방향이란 카드용 커넥터(20)의 Y1-Y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심선의 방향이다.
한편, 슬라이더(40)는 카드 배출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다.
카드(10)의 장착은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카드(10)의 위치는 카드(10)의 후단(14) 위치로 나타낸다. 도 4는 카드(10)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드(10)를 장착하는 조작은, 이용자가 카드(10)를 카드 삽입구(70) 내에 삽입하여, 손끝으로 후단(14)을 최종 위치까지 밀어 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카드(10)는 카드 삽입구(70) 내에 삽입되어,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13)이 카드 받침부(44)에 접촉하고, 볼록부(15)가 돌출부(43)에 접촉한 위치(Q1)까지 삽입되면, 로크부(52)와 오목부(16)가 결합된다.
이어서, 카드(10)는 손끝으로 도 4의 (B)에 도시하는 최종 위치(Q3)까지 눌러 들어간다. 슬라이더(40)는 카드(10)에 의해서 눌려 압축 코일 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Y1 방향으로 최종 위치(P3)(S3)까지 카드(10)와 함께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손끝을 카드(10)로부터 떼어내면, 슬라이더(40)는 압축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서 Y2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트캠 기구(65)에 의해서 로크되는 카드 장착 위치(P2)(S2)에서 정지하고, 카드(10)는 위치(Q2)까지 되돌려져 정지하며, 카드(10)는 장착된 상태가 된다. 도 4의 (C), 도 5는 카드(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카드(10)는 로크부(52)와 오목부(16)와의 탄성적인 결합 고정에 의해서 슬라이더(40)에 로크되고, 최종적으로는 카드용 커넥터(20)에 로크된다. 또한, 패드는 컨택트(23)와 접촉한다.
[카드 배출 조작 및 동작]
카드(10)의 배출은 손끝으로 카드(10)를 일단 눌러 넣고, 손끝을 Y2 방향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카드(10)의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손끝으로 카드(10)를 눌러 넣으면, 카드(10)는 위치(Q3)까지 눌려 들어가고, 슬라이더(40)가 카드(10)와 함께 Y1 방향으로 최종 위치(P3)까지 이동하여,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하트캠 기구(60)는 로크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손끝을 Y2 방향으로 되돌리면, 슬라이더(40)가 압축 코일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카드 삽입구(70) 방향으로 이동하고, 카드(10)는 슬라이더(40)의 카드 받침부(44)에 의해 눌려, 슬라이더(40)와 함께 Y2 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40)는, 로크부(52)가 오목부(16)를 로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는 단부면(40a)이 하우징 본체(22)의 기립면(28)에 맞닿은 카드 배출 위치(P1)(S1)까지 카드(10)와 함께 이동하여, 카드(10)는 상기한 위치(Q1)까지 되돌려진다.
카드(10)는 로크부(52)와 오목부(16)와의 탄성적인 결합 고정에 의해서 슬라이더(40)에 로크되고, 최종적으로는 카드용 커넥터(20)에 로크된다.
그 후에, 이용자가 카드(10)의 후단(14) 쪽을 손끝으로 잡아 뺌으로써, 로크부(52)에 오목부(16)로부터 X1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판스프링부(51)가 강제적으로 휘어져 로크부(52)가 오목부(16)로부터 빠져나와, 로크부(52)와 오목부(16)와의 탄성적인 결합 고정이 해제되어, 빼내어진다.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 판스프링부(51)에 카드 수용부(71)보다 외측 방향(X1 방향)으로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
여기서, 정상이 아닌 상태의 삽입이란,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를 X-Y면 상에서 카드용 커넥터(20)의 Y1-Y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심선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로크부(52)가 카드 수용부(71)보다 외측(X1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하도록 판스프링부(51)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는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이다.
이어서,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 판스프링(50)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과도하게 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에 관해서,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A)에 있어서 선 VII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B)에 있어서 선 VIII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3의 (C)에 있어서 선 IX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40)를 카드(1)와 대응시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본체(22) 중 슬라이더(40)가 슬라이드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하는 구성 부분의 사시도, 즉 슬라이더(40)가 카드 배출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카드용 커넥터(20) 중 X1측이며 카드 삽입구(70) 근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슬라이더(40)가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슬라이더(40)가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카드용 커넥터(20)를 그 저면 쪽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카드용 커넥터(20)는,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 판스프링부(51)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판스프링부(51)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이하의 4개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갖는다.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
도 7, 도 9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0)에는, X1측 부근의 부위에, Z2 방향으로 잘라 일으켜서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카드 배출 위치(P1)에 위치하는 슬라이더(40)의 판스프링부(51)의 Z1측에 Y1-Y2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길이 L을 갖는다.
또한,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배출 위치(P1)에 위치하는 슬라이더(40)의 로크부(52)보다도 약간 카드 삽입구(70) 쪽의 위치와 슬라이더 본체(41)의 돌출부(43)의 어깨부(43a)보다도 Y1측의 위치와의 사이에 뻗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판스프링(50)의 높이 위치보다도 Z1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판스프링(50)과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의 잘라 일으킨 부분의 치수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22)의 Z1측의 상면과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의 Z2측 끝과의 사이의 치수(A)가 카드(10)의 두께(T)보다도 짧도록 정해져 있다.
이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에, 카드의 코너부(17X1)를 받아내어, 그 이상으로 카드(10)에 의해서 판스프링부(51)가 X1 방향으로 눌리는 것을 제한하고, 판스프링부(51)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받침 돌기부(1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2)에는, 카드 삽입구(70)에 가까운 위치에, 받침용 돌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아울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용 돌기부(110)는 배출 위치(P1)에 위치하는 슬라이더(40)의 판스프링부(51)의 X1측의 면 중, 로크부(52)보다 조금 Y1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에,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로크부(52)를 X1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은 슬라이더(40)가 배출 위치보다 Y1 방향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도 17의 (B) 참조].
받침용 돌기부(110)는 후술하는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로크부(52)가 카드의 코너부(17X1)에 의해서 눌려 X1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되려고 할 때에, 로크부(52)를 받아내어 변위를 제한하고, 판스프링부(51)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로크부(52)보다 아래쪽(Z2 방향)으로 돌출된 래그부(120)와, 하우징 본체(22)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130))]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그부(120)는 로크부(52)보다 아래쪽(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2)에는 래그부(120)의 이동 경로를 따른 슬릿부(130)가 Y1-Y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릿부(130)는 Y2 방향의 끝 부위에 X1 방향으로 넓어진 오목부(131)를 갖고, 또한, Y1측의 부위에 X1 방향으로 넓어진 오목부(132)를 갖는다.
오목부(131, 132) 부위를 제외하고, 슬릿부(130)의 X1측의 모서리의 벽면(133)은 래그부(120)의 X1측의 면과 대향해 있다. 도면 부호 133a는 벽면(133) 중, 받침용 돌기부(110)에 대응하는 부분의 벽면이다.
예컨대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로크부(52)가 카드(10)의 측면(18X1)에 의해서 눌려 X1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될려고 할 때에, 슬릿부(130)의 벽면(133)이 래그부(120)를 받아내어, 로크부(52)가 그 이상으로 X1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제한하 고, 판스프링부(51)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슬라이더 본체(41)의 벽면(141))]
도 7, 도 10, 도 14,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는 슬라이더 본체(41)에 판스프링(50)의 기초부(53)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다. 판스프링(50)은 기초부(53)로부터 Y2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스프링부(51)를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41)는 홈부(140)를 갖는다. 홈부(140)는 Y1-Y2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판스프링부(51)가 헐겁게 수용되는 크기이다. 판스프링부(51)는 홈부(140) 안에서 뻗어 있다. 벽면(141)은 홈부(140)의 X1측의 벽면이며, 판스프링부(51)의 X1측의 면과 대향해 있다.
이 벽면(140)은 예컨대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로크부(52)가 카드의 코너부(17X1)에 의해서 눌려 X1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될려고 할 때에, 판스프링부(51)를 받아내어 변위를 제한하고, 판스프링(50)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제한한다[도 27의 (B) 참조].
또한, 카드용 커넥터(20)는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를 갖는다.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자세로 삽입하여, 판스프링(50)에 이것을 비틀리게 하는 축선 방향의 압출력이 작용한 경우에, 판스프링(50)이 비틀림을 일으키는 것을 제한한다.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슬릿부(130)의 Y1측 부위의 X1 방향으로 넓어진 오목부(132))]
도 11,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32)는 슬릿부(130) 중, 슬라이더(40)가 카드 장착 위치(P2)보다 약간 Y1측의 최종 위치(P3)에 있을 때의 래그부(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되어, 로크부(52)가 카드(10)에 의해서 눌려 슬라이더(40)가 카드 장착 위치(P2)를 지나 최종 위치(P3)에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로크부(52)가 X1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52)가 X1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판스프링부(51)가 비틀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도 27의 (B) 참조].
[상기한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 및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의 동작]
이어서,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 상기한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 및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가 판스프링부(51)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제1 형태>
카드용 커넥터(20)의 카드 삽입구(70)의 폭(W3) 치수가 카드(10) 선단(13)의 폭(W1)보다도 긴 치수임에 따라, 카드(10)가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하, 이 삽입을 「비스듬하게 끼우기」라고 한다.
조작자가 카드(10)를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끼우는 경우에는, 통상, 예컨대 도 17의 (B), 도 18의 (A), (B), 도 19의 (A), (B), 도 20의 (A)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쳐서,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고, 그 후에 장착된다.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가 카드(10)의 코너부(17X1)를 받고, 이후에는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이동하여,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슬라이더 본체(41)의 어깨부(43a)에 이르고, 이후에는 도 19의 (A), (B),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슬라이더(40)를 Y1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켜, 슬라이더(40)는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최종 위치(P3)까지 이동한다.
그 후,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어깨부(43a)를 미끄러져 내려와, 카드(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된다.
한편,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슬라이더 본체(41)의 돌출부(43)의 어깨부(43a)에 결합 고정된 채로 있는 경우에는, 카드(10)는 그 이상 삽입될 수 없게 되고, 장착은 성공하지 못하고 끝나, 조작자는 카드(10)를 꺼내 재차 장착을 시도하게 된다.
카드(10)가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된 경우에, 카드(10)의 삽입 상황에 따라서, 상기한 제1 내지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동작한다.
이하, 이에 관해 설명한다.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의 동작]
도 21은 슬라이더(40)가 배출 위치(P1)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로크부(52)에 X1 방향으로 강한 힘(F1)을 작용시킨 경우의 판스프링부(51)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다. 이 상태는, 조작자가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를 비스듬하게 끼워 카드(10)의 코너부(17X1)가 로크부(52)를 누른 경우에 발생한다.
도 21의 (A)는 초기 상태이다. 카드(10)의 코너부(17X1)의 X1 방향으로의 변위는 코너부(17X1)가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에 맞닿은 위치에 제한된다. 따라서, 판스프링부(51)의 X1 방향으로 휘어지는 양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로크부(52)가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보다 X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치수(B)로 제한된다. 판스프링부(51)의 로크부(52) 부근 부분의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한되어, 탄성 한도 이하이며, 힘(F1)이 해제되면, 판스프링부(52)는 원래의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한편, 로크부(52) 및 래그부(120)는 함께 오목부(131) 안으로 들어가 X1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도 19의 (A),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카드(10)의 코너부(17X1) 및 볼록부(15) 등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의 동작]
도 22는 슬라이더(40)가 배출 위치보다 Y1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상태로 로크부(52)에 X1 방향으로 강한 힘(F2)을 작용시킨 경우의 판스프링부(51)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는 조작자가 카드(10)를 비스듬하게 끼우기 시작한 직후, 예컨대 도 17의 (B)에 도시하는 상태와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상태 사이에서 발생한다.
도 22의 (A)는 판스프링부(51)가 휘기 전의 상태이다. 로크부(52)의 X1 방향 으로의 변위는, 로크부(52)가 받침 돌기부(110)에 받아내어지고, 동시에 래그부(120)가 벽면(133a)에 받아내어짐으로써, 도 22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제한된다. 판스프링부(51)의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도 22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제한되어 탄성 한도 이하이며, 힘(F2)이 해제되면 판스프링부(51)는 원래의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의 동작]
도 23은 슬라이더(40)가 도 22에 도시하는 위치보다 Y1 방향으로 더욱 이동한 상태로 로크부(52)에 X1 방향으로 강한 힘(F3)을 작용시킨 경우의 판스프링부(51)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는, 조작자가 카드(10)를 비스듬하게 끼우고 있는 동안, 예컨대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23의 (A)는 판스프링부(51)가 휘기 전의 상태이다. 로크부(52)의 X1 방향으로의 변위는, 래그부(120)가 벽면(133)에 받아내어짐으로써, 도 2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제한된다. 판스프링부(51)의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도 2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제한되어 탄성 한도 이하이며, 힘(F3)이 해제되면 판스프링부(51)는 원래의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또, 로크부(52)의 X1 방향으로의 변위도 제한되기 때문에, 로크부(52)가 카드(10)의 오목부(16)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오목부(16) 안에서 멈춘다.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의 동작]
도 24의 (A)는 판스프링부(51)가 휘기 전의 상태이다. 로크부(52)에 X1 방향으로 힘(F4)이 작용한 경우, 판스프링부(51)는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휜다. 판스프링부(51)는 홈부(140)의 출구 부분에서 벽면(141)에 맞닿아 그 이상으로 휘는 것이 제한된다. 판스프링부(51)의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탄성 한도 이하이며, 힘(F4)이 해제되면, 판스프링부(51)는 원래의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와 이 때에 작용하는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와의 관계]
여기서, 카드(10)의 삽입 상태와 이 때에 작용하는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10)가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되었을 때에는,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기능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더라도,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계속해서 기능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면, 제1 및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기능하기 시작하여, 제1, 제2 및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한다. 이 상태는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19의 (A)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면,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와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20의 (A)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면,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기능한다. 카드(10)의 삽입 상태가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계속해서 기능한다.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제2 형태>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했을 때에,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를 따른 코너부(17X1)가 로크부(52)를 타고 넘지 않고서, 도 2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52)를 눌러 Y1 방향으로 삽입되어, 도 2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는 자세는 수정되었지만 X1측에 밀려온 상태에 있고, 슬라이더(40)는 장착 위치(P2)를 지나 최종 위치(P3)까지 이동하여,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10)가 더욱 Y1 방향으로 눌려 들어가려고 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카드(10)의 비스듬한 방향 삽입에 의해서 슬라이더(40)가 장착 위치에서 로크되어 버리며, 이 상태에서, 카드(10)를 재차 비스듬하게 끼웠을 때에도 도 25의 (A)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카드(10)가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된 경우에, 도 25의 (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1, 제4 및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하고, 도 25의 (B) 및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가 작동한다.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의 동작]
이하,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7의 (A)는 판스프링부(51)가 휘기 전의 상태이다. 코너부(17X1)의 라운드 형상 및 로크부(52)의 X2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에 의해,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로크부에는 Y1 방향으로, 즉 판스프링부(51)의 축선 방향으로 강한 압축력(F5)이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X1 방향의 힘(F6)이 작용한다.
래그부(120)의 X1측에는 오목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래그부(120)가 오 목부(132) 안에 들어감으로써, 로크부(52)가 X1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한 힘(F5)과 힘(F6)이 작용한 경우에, 로크부(52)가 X1 방향으로 변위하여, 판스프링부(51)가 휘고 판스프링부(51)가 비틀리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의 판스프링부(51)의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탄성 한도 이하이며, 힘(F5)과 힘(F6)이 해제되면 판스프링부(51)는 원래의 직선형으로 복원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카드용 커넥터(20)는, 카드(10)를 비스듬하게 끼우는 등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도, 판스프링부(51)가 영구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드용 커넥터(20)는, 사용자가 카드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에도, 또 이 조작을 반복한 경우라도,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의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대한 유지력 및 배출 상태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의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대한 유지력은,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상태로 유지되어, 소형 메모리 카드가 소형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서 밖으로 튀어나와 떨어져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이루는 래그부(120) 및 슬릿부(130)는 장착되어 있는 카드(10)의 쓸데없는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도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가 카드 장착 위치(P2)에 위치할 때에도, 래그부(120)는 벽면(133)에 대향하며, 로크부(52)는 X1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장착되어 있는 카드(10)를 무리하게 빼내려고 하여도, 로크부(5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드(10)의 오목부(16)로부터 밀려나오는 일이 없고, 카드(10)는 로크 상태로 유지되어, 쓸데없이 이탈되는 것이 제한된다.
실시예 2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되는 마이크로 SD 카드용의 커넥터(20A)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의 (A)는 도 28의 커넥터(20A)의 평면도, 도 29의 (B)는 도 29의 (A)에서 B-B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0은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도 28에서 원 XXX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슬라이더(40A)를 도시한다. 도 32의 (A), (B)는 커버(30A)를 도시한다.
카드용 커넥터(20A)는 도 1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카드용 커넥터(20)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으로, 카드용 커넥터(20)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카드용 커넥터(20)의 구성 부분과 구성이 다른 부분에는 카드용 커넥터(20)의 구성 부분에 붙인 부호에 첨자 A를 붙인 기호를 붙인다.
카드용 커넥터(20A)는 하우징 본체(22A)와, 슬라이더(40A)와, 압축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하트캠 기구(65)와, 커버(30A)를 갖고, Y2 방향의 끝에 카드 삽입구(70)를 갖는다.
커버(30A)는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A)를 갖고, 하우징 본체(22A)를 덮는다.
슬라이더(40A)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42A)와, 이 슬라이더 본체(42A)에 고정되어 있는 로크용 판스프링(50A)으로 이루어진다.
판스프링(50A)은 슬라이더 본체(42A)보다 Y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팔보형의 판스프링부(51A)와, 그 선단 쪽의 로크부(52A)를 갖는다. 로크부(52A)는 판스 프링부(51A)의 선단을 X2측으로 구부리고 다시 Y1 방향으로 되접어 X2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돌출시킨 형상이다. 로크부(52A)를 형성하는 반원형의 편부(片部)(200)는 Y2단의 이음부(201)에 의해 판스프링부(51A)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반원형의 편부(200)의 선단(200a)과 판스프링부(51A)의 X2측의 면 사이에는 의도적으로 형성한 치수(g)의 간격(202)이 존재하고 있다. 이 편부(200)는 외팔보형 상태에 있으며, 선단(200a)이 판스프링부(51A)에 맞닿을 때까지, 이음부(201)를 중심으로 X1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판스프링(50A)은 판스프링부(51A)에 더하여, 로크부(52A) 자체가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 본체(42A)는, 돌출부(43)의 X1측 부분에서 Y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아암형의 돌출부(210)를 갖는다. 돌출부(210)는, 판스프링부(51A)의 바로 X1측에 위치하며, 판스프링부(51A)를 따라서 존재하고 있다. 돌출부(210)는 폭이 W10이며, Y2 방향의 선단이 X1-X2 방향으로 휘는 약간의 스프링성을 갖는다. 돌출부(210)는 선단에 선단부(211)를 갖는다. 선단부(211)의 폭은 W11이며, 상기 W10보다 크며, 돌출부(210)보다 X1측과 X2측의 양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선단부(211)의 X2측의 면(211X2)은 판스프링부(51A) 중, 로크부(52A)보다 약간 Y1 방향으로 치우친 곳에서 접촉하고 있다.
돌출부(210)는, 로크부(52A)에 X1 방향으로 강한 힘이 작용한 경우에, 판스프링부(51A)의 중간 부위를 지지하여, 판스프링부(51A)가 X1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판스프링부(51A)의 중간 부위는 로크부(52A)보 다 슬라이더 본체(42A) 쪽으로 치우친 부위이다.
도면 부호 51Aa는 판스프링부(51A) 중 상기한 아암부(210)의 선단부(211)에서 Y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자유단 아암부이며, 길이 L10을 갖는다.
카드 미장착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0A)는 도 30에 도시하는 위치(P1)에 위치하며, 로크부(52A)는 카드 삽입구(70) 가까이에 위치한다. Z 방향에서는, 도 2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52A)는 카드 삽입 가이드부(100A)에서 Z2측에 위치한다.
도 33은 슬라이더(40A)가 Y1 방향으로 최종 위치(P3)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는 슬라이더(40A)가 카드 장착 위치(P2)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하우징(22A)에는, 리브부(230)가 카드 장착 위치(P2)에 위치하는 슬라이더(40A)의 아암부(210)의 선단부(211)의 X1측의 면(211X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카드(10)를 정상적으로 삽입한 경우 및 카드(10)를 정상적으로 빼내는 경우에서의 로크부(52A) 등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드(10)를 정상적으로 삽입한 경우, 로크부(52A)가 볼록부(15)에 의해서 눌려 일시적으로 X1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 후에 X2 방향으로 복원되어, 오목부(16)에 끼워 맞춰진다. 로크부(52A)가 볼록부(15)에 의해서 눌려 X1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도 3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단 아암부(51Aa)와 함께 편부(200)가 탄성적으로 휘고, 나아가서는 돌출부(210)도 탄성적으로 조금 휜다.
배출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카드(10) 후단(14) 쪽을 손끝으로 잡아 뺄 때에도, 로크부(52)는 오목부(16)로부터 X1 방향으로 밀려나와, 일시적으로 X1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 후에 X2 방향으로 복원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자유단 아암부(51Aa)와 함께 편부(200)가 탄성적으로 휘고, 나아가서는 돌출부(210)도 탄성적으로 조금 휜다.
여기서, 탄성적으로 휘는 부분이 자유단 아암부(51Aa)와, 편부(200)와 돌출부(210)로 분산되어, 휘는 부분에 걸리는 부담은 적게 된다.
이어서, 카드(10)를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한 경우 등에, 판스프링(50A)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과도하게 휘는 것을 제한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드(10)를 비스듬하게 끼운 경우>
예컨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 삽입구(70)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된 카드(10)는 로크부(52A)를 X1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나,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가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된 카드(10)를 받아내어, 카드(10)는 그 이상 X1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한되고, 판스프링부(51A)는 X1 방향으로의 과도한 휘어짐이 제한된다.
한편,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는, 삽입되는 동안에 카드(10)의 기울어진 방향을 보정하는 역할, 및 카드(10)를 잘못해서 후단(14)을 선두로 하여 삽입하는 조작을 한 경우에, 카드(10)의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카드(10)가 최종 위치까지 눌려 들어가, 슬라이더(40A)가 도 33에 도시하는 최종 위치(P3)로 이동한 상태에서, 로크부(52A)가 X1 방향의 힘(F10)을 받은 경우>
판스프링부(51A) 중 로크부(52A)보다 약간 Y1측의 부위가, 돌출부(210)의 선단부(211)의 면(211X2)에 의해서 받아내어져, 판스프링부(51A)가 X1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는 것이 제한된다. 또, 이 때, 돌출부(210) 자신도 조금 휜다.
또한, 로크부(52A)의 편부(200)가 탄성적으로 휘고, 로크부(52A) 자신도 상기한 힘(F10)의 일부를 흡수한다.
한편, 돌출부(210)에 의한 상기 기능은, 카드(10)가 최종 위치까지 눌려들어간 경우 외에, 카드(10)의 삽입 쪽의 선단이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부(100)를 통과한 후에, 카드(10)가 최종 위치에 이르기 전의 상태에도 발휘된다.
<카드(10)가 장착되어, 슬라이더(40A)가 도 34에 도시하는 카드 장착 위치(P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로크부(52A)가 X1 방향의 힘(F11)을 받은 경우>
상기 힘(F11)은 예컨대 장착되어 있는 카드(10)를 무리하게 빼내려고 한 경우에 발생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스프링부(51A) 중 로크부(52A)보다 약간 Y1측의 부위가 돌출부(210)의 선단부(211)의 면(211X2)에 의해서 받아내어져, 판스프링부(51A)는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제한된다.
여기서, 도 3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돌출부(210)의 선단부(211)의 X1측의 면(211X1)이 하우징(22A)의 리브부(230)에 대향해 있으며, 돌출부(210) 자신이 X1 방향으로 휘는 것이 제한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210)만으로 힘을 받치고 있었던 경우에는, 돌출부(210)가 휘어버릴 정도로 힘이 강한 경우라도, 리브부(230)에 의해서 돌출부(210) 자신이 X1 방향으로 휘는 것이 제한되어, 판스프링부(51A)는 X1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0)에 대한 로크력이 강해져, 카드(10)를 무리하게 빼낼려고 하여도 빼내어지지 않아, 쓸데없는 카드의 이탈이 제한된다. 또한, 휴대 전화를 떨어뜨리거나 하여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도, 카드(10)가 쓸데없이 이탈되어 버리는 것이 제한된다.
[카드 삽입 검출 스위치(250)]
도 35는 카드(10)가 삽입되었음을 검출하는 스위치(250)를 도시한다. 이 검출 스위치(250)는 카드용 커넥터(20A) 중 X2측이며 또한 Y1 방향 끝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고, 도 36의 (A)에 아울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컨택트부(30Ae)와, 제2 컨택트부(251a)를 갖는다.
제1 컨택트부(30Ae)는, 도 3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제 커버(30A)의 일부를 연장시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도 3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초부 쪽의 아암부(30Ae1)와, 중간부(30Ae2)와, 선단 쪽의 손가락부(30Ae3)를 갖는다.
Z1측에서 볼 때, 아암부(30Ae1)는 Y1-Y2선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각도 α(약 10도) 경사져 대략 Y1 방향으로 뻗어 있다.
중간부(30Ae2)는 아암부(30Ae1)의 선단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β(약 60 도) 구부러져 있는 부분이다.
손가락부(30Ae3)는 중간부(30Ae2)의 선단에서 Y1 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면 부호 30Ae4는 손가락부(30Ae3)의 단부이다.
아암부(30Ae1)와 중간부(30Ae2)는 X1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산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면 부호 30Ae5는 산과 같은 형상의 정상부이다.
제2 컨택트부(251a)는, 하우징 본체(22A)의 Y1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컨택트 부재(251)의 일단 쪽의 부분이며, 상기한 손가락부(30Ae3)보다 X2측의 위치에 있고, Y2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직선형이다.
손가락부(30Ae3)와 제2 컨택트부(251a) 사이에는 치수(g10)의 갭(252)이 존재하고 있다.
제2 컨택트부(251a)의 근원에서부터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가 최초로 접촉할 예정의 위치(U1)까지의 치수는 L10로, 비교적 길다. 따라서, 위치(U1)에 X2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 제2 컨택트부(251a)는 X2 방향으로 휘기 쉽게 되어 있다.
제1 컨택트부(30Ae) 중 X2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상부(30Ae5)이다. 제1 컨택트부(30Ae) 중 힘이 작용하는 위치보다도 선단 쪽에 존재하는 중간부(30Ae2) 및 손가락부(30Ae3)는 대략 L자형으로 되어 있고, 또 손가락부(30Ae3)가 짧기 때문에, 손가락부(30Ae3)는 제2 컨택트부(251a)에 비해서 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어서, 카드(10)가 삽입되었을 때의 검출 스위치(250)의 동작에 관해서 설 명한다.
카드용 커넥터(20A)가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예컨대 휴대 전화기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30A)는 그라운드 전위가 되고, 제1 컨택트부(30Ae)는 그라운드 전위로 되고 있다. 컨택트 부재(251)의 타단은 제어 회로에 이르는 배선 패턴 끝의 패드와 납땜되어 있고, 제2 컨택트부(251a)는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도 36의 (A)는 카드(1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제1 컨택트부(30Ae)의 손가락부(30Ae3)와 제2 컨택트부(251a)가 갭(25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해 있으며, 검출 스위치(250)는 오프이다.
카드(10)가 카드용 커넥터(20A)에 삽입되면, 도 3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17X2)가 아암부(30Ae1)에 맞닿아, 아암부(30Ae1)가 X2 방향으로 휘어,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가 제2 컨택트부(251a)의 X1측의 면(251b)에, 위치(U1)에서 접촉한다. 이 시점에서, 검출 스위치(250)는 온으로 된다.
카드(10)는 도 36의 (C)에 도시하는 최종 위치(도 4에 부호 Q3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카드(10)가 도 36의 (B)에 도시하는 위치를 지나 최종 위치까지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3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18X2)이 산과 같은 형상의 정상부(30Ae5)를 X2 방향으로 눌러, 제1 컨택트부(30Ae)를 X2 방향으로 휘게 한다. 제2 컨택트부(251a)는 손가락부(30Ae3)에 의해서 X2 방향으로 눌려, X2 방향으로 각도(γ) 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가 제2 컨택트부(251a)의 면(251b)을 스치면서 Y2 방향으로 위치(U2)까지 이동하고, 이후 에는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가 제2 컨택트부(251a)의 위치(U2) 부위를 꽉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 검출 스위치(250)는 온을 유지한다.
여기서, 중간부(30Ae2) 및 손가락부(30Ae3)는 거의 휘지 않고, 오로지 제2 컨택트부(251a)가 휘기 때문에, 제1 컨택트부(30Ae)의 선단 부분과 제2 컨택트부(251a)의 쌍방이 같은 정도로 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위치(U1)에서부터 위치(U2)까지의 거리(L11)(와이핑량)가 길어져 길이가 약 0.1 mm 정도로 된다.
카드(10)가 카드용 커넥터(20A)로부터 배출되면, 도 36의 (C) 상태의 검출 스위치(250)는 도 36의 (B)에 도시하는 상태를 지나 도 36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오프가 된다. 도 36의 (C)의 상태로부터 도 36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는 제2 컨택트부(251a)의 면(251b)을 스치면서 Y1 방향으로 위치(U1)까지 되돌아간다.
따라서, 카드(10)를 장착하는 조작 및 배출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도 36의 (C)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컨택트부(251a)의 면(251b) 중, 위치(U1)와 위치(U2) 사이의 영역(251c)은 닦이고 클리닝되며, 동시에, 손가락부(30Ae3)의 단부(30Ae4)도 클리닝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와이핑량이 길수록 클리닝 효과는 높다. 카드용 커넥터(20A)는 와이핑량이 약 0.1 mm로 길기 때문에, 영역(251c)의 클리닝 효과는 높다.
여기서, 카드용 커넥터는 휴대 전화기의 측면에 노출되어 끼워져 사용되기 때문에, 진애가 많은 분위기에 계속해서 노출되어, 진애가 컨택트에 부착하기 쉽고, 컨택트에 부착된 진애에 의해서 도통(導通)이 이루어지지 않아, 카드(10)를 장 착했을 때에 검출 스위치가 온으로 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검출 스위치(250)의 경우에는, 카드(10)를 장착하는 조작 및 배출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컨택트부 중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클리닝되어, 깨끗한 상태를 회복하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250)는 확실하게 온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검출 스위치(250)를 갖춘 카드용 커넥터(20A)는 휴대 전화기 등의 진애에 주의가 필요한 제품에 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되는 카드용 커넥터를, 커버는 생략하고 카드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카드용 커넥터를 분해하여, 카드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되는 카드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커버의 위치에서 단면하여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 선 IIIB-IIIB를 따른 종단 정면도, (C)는 (A)에 있어서 선 IIIC-IIIC를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카드 장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카드용 커넥터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카드 배출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A)에 있어서 선 VII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B)에 있어서 선 VIII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C)에 있어서 선 IX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를 카드와 대응시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본체 중 슬라이더가 슬라이드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하는 구성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카드용 커넥터 중 X1측이며 카드 삽입구 근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 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더가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와는 다른 방향에서 볼 때의, 슬라이더가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슬라이더가 최종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카드용 커넥터를 저면 쪽에서 볼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를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한 제1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B)에 계속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B)에 계속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B)에 계속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A)는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1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의 (A)는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2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의 (A)는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3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A)는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제4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를 비스듬한 방향에서 삽입한 제2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B)에 계속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는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B)는 비틀림 발생 회피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되는 카드용 커넥터를 카드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의 (A)는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 B-B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0은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도 28에 있어서 원 XXX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슬라이더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슬라이더 최종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슬라이더가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마이크로 SD 카드 삽입 검출 스위치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검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카드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은 카드 삽입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C)는 카드 장착 완료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 카드 16 : 오목부
20 : 카드용 커넥터 21 : 커넥터 하우징
22 : 하우징 본체 30 : 커버
40 : 슬라이더 42 : 슬라이더 본체
43 : 돌출부 44 : 카드 받침부
45 : 하트캠 홈 50 : 판스프링
51, 51A : 판스프링부 51Aa : 자유단 아암부
52, 52A : 로크부 60 : 압축 코일 스프링
65 : 하트캠 기구 100 : 카드 삽입 가이드부
110 : 받침 돌기부 120 : 래그부
130 : 슬릿부 132 : 오목부
133 : 벽면 140 : 홈부
141 : 벽면 200 : 편부(片部)
210 : 돌출부 211 : 선단부
250 : 마이크로 SD 카드 삽입 검출 스위치 30Ae : 제1 컨택트부
251a : 제2 컨택트부

Claims (10)

  1. 컨택트를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는 커버와, 카드 배출 위치와 카드 장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커버가 카드 삽입구 및 카드 수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본체와 이 슬라이더 본체에 부착되어 있어 카드를 탄성적으로 로크하는 로크용 판스프링을 갖고, 상기 카드 삽입구를 지나 상기 카드 수용부에 이르는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상기 카드를 탄성적으로 로크하고, 또한 배출 조작에 의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상기 카드와 탄성적으로 로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카드 삽입구 방향으로 상기 카드 배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인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정상이 아닌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이것에 영구 변형이 일어나버릴 정도까지 과도하게 휘는 것을 제한하는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
    을 갖고,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은, 상기 커버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 방향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가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을 과도하게 휘는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상기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카드 삽입 가이드 레일을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을 받치는 받침용 돌기부를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은,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보다 상기 하우징 본체 방향으로 돌출된 래그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상기 래그부의 이동 경로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릿을 갖고,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상기 슬릿의 벽면이 상기 래그부를 받치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카드 장착 위치보다도 안쪽의 최종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기 래그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축선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한 경우에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비틀림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래그부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이 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부를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카드 삽입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스프링부와,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선단이 상기 카드 수용부 쪽으로 구부러지며 다시 상기 슬라이더 본체 방향으로 되접힌 편부(片部)에 의해서 형성되는 로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편부의 선단과 상기 판스프링부 사이에 간극을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과도한 휘어짐 제한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중간 부위를 받치는 아암형 돌출부인 것인 카드용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용 판스프링의 중간 부위는 상기 로크부보다 상기 슬라이더 본체 쪽의 부위인 것인 카드용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카드 장착 위치 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여 상기 돌출부가 휘는 것을 제한하는 리브부를 갖는 것인 카드용 커넥터.
KR1020090007512A 2008-02-01 2009-01-30 카드용 커넥터 KR101032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2925 2008-02-01
JPJP-P-2008-022925 2008-02-01
JPJP-P-2008-071751 2008-03-19
JP2008071751 2008-03-19
JP2008178794A JP2009259761A (ja) 2008-02-01 2008-07-09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08-178794 2008-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52A KR20090084752A (ko) 2009-08-05
KR101032077B1 true KR101032077B1 (ko) 2011-05-02

Family

ID=4093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12A KR101032077B1 (ko) 2008-02-01 2009-01-30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37759B2 (ko)
JP (1) JP2009259761A (ko)
KR (1) KR101032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7957Y (zh) * 2008-10-07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连接器
JP4662293B2 (ja) * 2008-11-26 2011-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1034399A2 (ko) 2009-09-21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1774078U (zh) * 2010-07-21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2012113984A (ja) * 2010-11-25 2012-06-14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201667B1 (ko) * 2011-03-28 2012-1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CN202077293U (zh) * 2011-04-12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收容机构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US9825405B1 (en) * 2017-03-28 2017-11-21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Push-push fixing structure and chip detecting module
US10276976B1 (en) 2018-01-11 2019-04-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30B1 (ko) * 2006-01-30 2008-01-1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6606U (en) * 1999-07-02 2001-09-2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ejecting mechanism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581063B2 (ja) * 1999-11-05 2004-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JP3635625B2 (ja) * 1999-11-05 2005-04-06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JP3429267B2 (ja) *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175656B2 (ja) * 2005-11-30 2008-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42630B2 (ja) 2005-12-02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4576354B2 (ja) * 2006-04-14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906523B2 (ja) * 2007-01-25 2012-03-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72718B2 (ja) * 2007-11-30 2011-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30B1 (ko) * 2006-01-30 2008-01-1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7759B2 (en) 2009-12-29
JP2009259761A (ja) 2009-11-05
US20090197445A1 (en) 2009-08-06
KR20090084752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077B1 (ko) 카드용 커넥터
JP4006408B2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KR100952240B1 (ko) 카드 커넥터
JP3431608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4720824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135173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527675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6652299B2 (en) Card connector
TWM472339U (zh) 卡用連接器
JP380243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WO2007114591A1 (en)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JP4365989B2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EP1239545A1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that card has been held in card mounting position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6645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087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014508B2 (en) Multi-card connector assembly with a movable multi-card connector
EP1069522A2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JP200510083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H10124628A (ja) カード読取装置
JP200403120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29463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76938Y1 (ko)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JP200225206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